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148
ICT R&D 기술로드맵 2025 차세대보안·블록체인 차세대보안 블록체인

Transcript of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Page 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ICT R&D 기술로드맵 2025

차세대보안·블록체인 차세대보안 블록체인

Page 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age 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ICT R&D기술로드맵 2025

차세대보안·블록체인 차세대보안 블록체인

Page 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age 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1차세대보안 분야

006

008

028

030

036

040

Ⅰ. 개념 및 범위

Ⅱ. 동향 조사 분석

Ⅲ. 기술 발전 전망

Ⅳ. 대상 기술 선정

Ⅴ. 기술로드맵

Ⅵ. 기술 확보 전략

02 블록체인 분야

056

060

106

112

116

120

142

Ⅰ. 개념 및 범위

Ⅱ. 동향 조사 분석

Ⅲ. 기술 발전 전망

Ⅳ. 대상 기술 선정

Ⅴ. 기술로드맵

Ⅵ. 기술 확보 전략

[참고] 참여 전문가 명단

Contents

ICT R&D 기술로드맵 2025

차세대보안·블록체인

Page 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블록체인

ICT R&D기술로드맵2025

Page 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06Ⅰ. 개념 및 범위

030Ⅳ. 대상 기술 선정

008Ⅱ. 동향 조사 분석

036Ⅴ. 기술로드맵

028Ⅲ. 기술 발전 전망

040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06

개념 및 범위 ICT R&D 기술로드맵 2025Ⅰ

1.개념 및 정의

정보보호는 암호, 인증, 인식, 분석/감시 등의 보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생산하거나, 관련 보안 기술을 활용 하여 개인·기업·국가의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컴퓨터·네트워크 기반의 정보보안, 안전·안심 생활을 위한 물리보안, 정보통신 기술과 타 산업 기술이 융합된

환경의 보안 기술을 포함

컴퓨터·네트워크 수준의 보안을 넘어 치안감시, 의료, 전력 등 사회 全영역 보안으로 확장되면서, ICT 기반 미래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기업·국가 안보의 핵심역할을 수행

차세대보안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진입과 全산업의 초연결화·디지털화·지능화로 인해 야기되는 고도의

사이버위협과 같은 부작용을 해소하여 실생활에서 국민의 안전과 자산을 보호하는 신규기술을 포함

정보보안

<공통기반 보안>

암호, 인증/인가, 데이터 보안, 인공지능 보안 등

<네트워크 및 응용서비스 보안>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 클라우드·엣지 보안,

위협분석 및 보안 관제, 응용서비스 보안 등

<시스템·디바이스 보안>

보안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대응, 디지털 포렌식,

IoT·모바일·웨어러블 디바이스 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

지능형 영상인식, 객체 식별 및 추적,

CCTV 인프라/콘텐츠 보호 등

휴먼 바이오인식, 바이오메트릭 보안,

보안 검색 및 무인전자경비 등

스마트 홈·빌딩 보안, 자동차 보안,

선박·해양 보안, 비행체·항공 보안,

헬스케어 보안, 인공지능 및 로봇 보안 등

1) 2) 3)

4) 5) 8)7)6)

1) Computer and Information Security Handbook,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Computer_and_Information_Security_Handbo.html?id=zb916YOr16wC&source=kp_cover&redir_esc=y,

2) http://www.pssi.cm/mediatheque# 3) http://story.malwares.com/19 4) 보안뉴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142 5) 테크니들, http://techneedle.com/archives/27853 6) TechNet Easy Services, https://www.technetes.co.uk/cybersecurity/ 7) 보안뉴스,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1530 8) 펜타시큐리티,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49423

Page 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07

2.기술분류(Technology Tree)

중분류 소분류 요소기술

공통기반

보안

암호기술 암호 설계, 암호 부채널 분석, 암호 분석

인증/인가 기술 범용 인증, ID 관리 및 접근제어, 바이오 인증

데이터 보안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유출 방지, 디지털저작물 침해/권리 보호, 빅데이터 보안관리 및 DB 보안

인공지능 보안 인공지능 보안위협 분석 기술, 로봇 보안 및 제어

시스템·

디바이스

보안

보안취약성 SW취약점분석, HW취약점분석

악성코드 악성코드 대응, 랜섬웨어 대응

시스템 보안 운영체제 보안, 가상화 보안, 시스템 접근통제

디지털 포렌식 디지털 증거 수집 및 분석, 안티 포렌식 대응

디바이스 보안 IoT 디바이스 보안, 스마트 디바이스 보안, 웨어러블 디바이스 보안, 기타 디바이스 보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

보안

유선 네트워크 보안 경계보안, 보안 연결, DDoS대응

무선 네트워크 보안 이동 통신망 보안, 무선근거리통신망보안

클라우드·엣지 보안 가상화 플랫폼 보안,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소프트웨어 정의 보안, 엣지 컴퓨팅 및 네트워크 보안

위협분석 및 관제 지능형 사이버위협 분석, 보안정보 분석 및 로그 관리, 보안 관제

응용서비스 보안 웹 보안, 이메일 보안, 전자화폐 보안, 블록체인 보안, 전자거래 이상행위 탐지, 거래·사기 방지

물리보안

휴먼/바이오인식 바이오인식 센서, 바이오인식 엔진, 휴먼인식 및 검색, 휴먼/바이오인식 응용

CCTV 감시/관제 카메라 및 저장장치, VMS/통합관제, 지능형 영상감시, CCTV 인프라 보호

보안검색 및 무인전자경비 대인 검색기, 수화물/화물 검색기, 알람 모니터링, 무인전자경비 서비스

융합보안

스마트시티 보안 홈·시티 디바이스 보안 및 제어, 홈·시티 데이터 프라이버시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스마트공장 보안, 기반시설 보안, 스마트 에너지 보안

자동차 및 이동체 보안 자동차 및 이동체 내·외부 통신 보안, 내·외부 접근제어, 침입탐지, 보안취약점 진단

헬스케어·의료 보안 헬스케어 디바이스·센서 보안, 의료 데이터 보안 및 공유

선박·해양·항공 보안 자율운항 선박 해킹방지, 해운항만 통신 보안, 해양 인프라 보안 관제, 무인비행체 보안, 항공 인프라 보안 관제

Ⅰ. 개념 및 범위

Page 1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08

1.주요국의 정책동향 구분 주요 현황

한국

•�우리나라는 정보보호 R&D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계속해 왔으며, 이를 통해 정보보호 산업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생태

계를 조성하고 있음

- 2018년 ITU 글로벌 사이버 보안지수(GCI) 평가에서 상위권인 15위에 랭크(Global Cybersecurity Index 2018, ITU, `20. 6)

•�국내 정보보호 R&D 예산 규모는 2020년 620억 원으로 `19년 대비 0.3% 증가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R&D 예산 중 6%를

차지(̀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 국가적인 정보보호의 마스터플랜(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19. 2))을 수립하였으며, ‘민간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19. 1)과 청와대

국가안보실‘국가 사이버 안보전략’(̀19. 4)를 통해 정보보호 R&D에 적극적인 투자 정책 추진

① 민간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 2019(과학기술정보통신부, `19. 1) :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환경 구축을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인프라(데이터, 네트워크, AI 등) 보호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전략 수립

※ 데이터경제 신뢰성 보장, 5G·IoT 융합서비스 안전성 강화, 지능형 위협대응 고도화를 위한 R&D 추진

②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4차 산업혁명위원회 의결, `19.2)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보호 기술 강국 실현”을 위한 정보보호 중

장기 R&D 4대 전략을 수립

※ ▲정보보호 중장기 핵심기술 개발 ▲혁신적 R&D추진 ▲정보보호 산업경쟁력 강화 ▲수요자 참여 R&D 생태계 조성

③ 5G+전략(관계부처 합동, `19. 4) : 경제·사회 전반에서 5G 기반의 디지털 전환과 지능화 혁신을 통해, 새로운 First-Mover형 산업

과 서비스를 도출·육성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 <5G+ 전략>

- 5G 활용성·연관성, 글로벌 시장성, 국내 경쟁력 등을 고려,

5G+ 전략산업* 도출 -

- 10대‘5G+ 핵심산업’(장비·단말·디바이스·보안)

+ 5대‘5G+ 핵심서비스’ -

- 국가안보의 총괄기구인 청와대 국가안보실의‘국가 사이버안보 전략’과 연계하여 추진 (전략과제4 사이버보안 산업성장기반 구축, `19. 4)

동향 조사 분석 ICT R&D 기술로드맵 2025Ⅱ

Page 1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09

구분 주요 현황

한국

전략과제 주요내용

(과제1) 국가핵심

인프라 안정성 제고

[국가 정보통신망 보안 강화] 모바일, 클라우드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 기반 업무환경이 사이버위협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보안기술 및 시스템을 적시 개발 및 적용

[차세대보안 인프라 개발] 사이버위협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고신뢰 네트워크를 개발 보급

(과제2) 사이버공격

대응역량 고도화

[대규모 공격 대비태세 강화] 사이버공격에 대해 실시간으로 탐지·차단할 수 있도록 공격탐지 범위

를 확대하고 인공지능기술 기반의 대응기술개발

(과제3) 사이버보안

산업 성장기반 구축

[보안 인력 및 기술 경쟁력 강화]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해소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혁신적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 사이버보안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

미국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ROGRAM)

은 $55억 규모(요구안 기준)로 11개 투자 분야를 선정, 그 중 사이버보안 분야는 12%(6,600억 원) 비중으로 투자계획 수립(̀19. 9)

* (NITRD) 각 부처별 ICT 분야 R&D 사업들을 하나로 통합한 범부처 ICT R&D 프로그램으로, 대통령 직속기구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관리 하에 운영

분야고성능

컴퓨팅인프라사이버보안 AI 로봇자동화

정보과학기술

빅데이터대규모

네트워킹기타

비율(%) 24 12 12 10 10 8 8 16

* 출처 : `19. 9. NITRD 예산(안)

•�미-트럼프 대통령,‘정보통신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ICT 공급망 보호에 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Secur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Services Supply Chain) 및‘사이버보안 인력 확충에 관한 행정명

령’(Executive Order on America’s Cybersecurity Workforce)에 서명(̀19. 5)

- 행정명령의 핵심사항은 ▲대통령배 사이버보안 연례 경진대회 개최 ▲사이버보안 전문성 증진을 위한 연방직원 직무순환 프로

그램 개시 ▲사이버보안 인력 프레임워크 도입 확산 ▲사이버보안 적성 평가 실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력 부족 해소

- 외국 적대세력의 위협으로부터 미국의 안보와 시민의 안전을 보호

- 미국 내 공급 및 사용되는 ICT와 서비스의 보안성, 무결성, 신뢰성을 보장함으로써 안보 위협에 대처

•� 미 정부, 사이버위협에 대한 방어력을 강화하기 위한‘미국 국가사이버보안전략’을 발표(̀18. 9)

- 미국 국가사이버보안전략은 연방 네트워크 및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보안 강화를 목적으로 `17년 5월 발표된‘행정명령 제

13800호’를 잇는 트럼프 정부의 사이버보안 핵심 정책으로서‘행정명령 제13800호’에 따라 진행된 각종 보고서들을 토대로

개발·수립

- 미 연방정부는 미국이 직면한 사이버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연방정부의 사이버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수행할 단계 제시

- 트럼프 정부의‘국가사이버보안전략’은 전임 오바마 대통령의 사이버보안 관련 정책(PDD-20)에 비해 사이버공격자에 대한

정부 대응 권한 강화

- 국가사이버보안전략은 ▲미국인, 국토, 시민의 삶에 대한 보호 ▲미국의 번영 촉진 ▲힘을 통한 평화 유지 ▲미국의 영향력 증대

의 4개 전략영역(Pillar) 및 전략과제로 구성

* 출처 : `20. 3. KISA 2019 글로벌 정보보호 산업시장 동향조사 보고서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10

구분 주요 현황

중국

•�중국은「네트워크 안전법」시행을 통해‘ 중화인민공화국 경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운영, 유지, 사용에 있어 보안의 관리 감독은

이 법의 적용을 받도록’ 되어 있음(̀19. 6)

- 정보통신망에 대한 보안 전반을 규제하는 법으로 네트워크 보안법, 사이버보안법, 정보통신망 보안법 등 여러 용어로 활용되고 있음

- 네트워크 운영 안전, 핵심정보 인프라 시설보호, 개인정보보호, 불법정보 단속, 네트워크제한 조치, 법률 책임 등 전반에 대한 내용

을 다루고 있음

•�중국은‘국가사이버보안산업 발전계획’을 정식 발표, 중국 공업정보화부 및 베이징 시정부가 국가 사이버보안 산업 단지 조성계획 수립(̀19. 6)

- ` 25년까지 국가사이버보안 전략지원 기지, 국제적 수준의 사이버보안 연구개발 기지, 사이버보안 첨단산업 합동시범 기지, 사이버

보안 인재육성 기지, 사이버보안 산업제도 혁신 기지 등 5개 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

- 중국 공업정보화부와 교육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생태환경부, 응급관리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등 10개 부서는 `19년 8월‘산

업인터넷 보안업무 강화에 관한 지도의견’을 정식 발표하고 `20년 말까지 산업인터넷 보안을 위한 기본적인 체계를 구축할 계획

•�중국 내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인터넷, 빅데이터 등 인터넷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각종 해킹, 보이스피싱 등 정보보안

문제가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 국가 인터넷 정보 판공실에서는 국가 사이버 보안사고 대응 체계 구축을 통해 사이버 보안 사고로 인한 피해예방과 손실절감에

집중하고 있음

- 또한, 국가 안전과 사회질서 수호를 목표로 수립한‘국가 사이버 보안사고 응급대응’계획을 발표하고, 국가 사이버보안 응급 판공

실을 새로 설치하여 해당 계획을 추진하게 함* 출처: `20. 3. KISA 2019 글로벌 정보보호 산업시장 동향조사 보고서

유럽

•�영국 정부는 국가 사이버보안전략 발표(̀16년)와 함께 필수산업 분야, 신산업 분야 등 각 산업분야에서도 사이버공격에 대해 보호

전략을 발표하며 사이버보안 발전을 견인함

- ` 16년 발표된 국가 사이버보안전략(̀16~`21)에 따라 향후 5년간 19억 파운드(2조 7천억 원)를 사이버보안분야에 투자하고, 국가

사이버보안센터(NCSC)와 런던사이버보안혁신센터(LORCA)를 설립하여 사이버보안 인력을 양성하고 기업을 지원※ 필수서비스 사업자는 효과적인 사이버보안 조치를 실행하여 필수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안전하고 복원력 있도록 해야 하며, 미흡한 경우

새로운 벌금이 부과될 예정

- 영국 교통부는 커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의 사이버보안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제조공급망에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게 일관성 있게 보안정책 제공

- 영국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는 디지털 위협으로부터 민간 원자력 부문을 보호하기 위해 민간 원자력 사이버보안 전략(Civil

Nuclear Cyber Security Strategy) 발표(̀17. 2)

- 영국 국가사이버보안센터는 사물인터넷(IoT), IP카메라 등 인터넷이 연결된 제품을 대상으로 한 권고 가이드라인(제품 출시, 기본

암호 설정 등) 발표(̀18. 3)

- 영국 국립사이버보안센터는 기관을 위한 단계별 사이버보안 지침(̀18. 5), 최소사이버보안기준(Minimum Cyber Security Standard)을

발표(̀18. 7)* 출처 : 주영국 대사관 홈페이지(National Cyber Security Strategy 2016-2021)

•�독일 정부는 사이버보안 기술 역량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최근 응용 사이버 보안 국가연구센터(ATHENE) 설립

- ATHENE는 응용 사이버보안 연구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의 조직으로 독일 정부와 헤센 주의 사이버 보안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

- ATHENE의 협력 모델은 프라운호퍼 연구협회의 인프라에 2개 대학교를 연계시키는 것 외에도 새로운 유형의 네트워크 취약점이나

공격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구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이뤄짐

- 연방주와 헤센 주 정부는 `19년 기준 1,250만 유로에서 `26년 기준 3,700만 유로까지 확대하여 연구역량을 확대할 예정* 출처 : 독일 ATHENE 홈페이지 (https://www.athene-center.de/en/)

Page 1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11

구분 주요 현황

일본

•� ̀ 19년 사이버보안 예산 요구액은 852억 8,000만 엔으로 전년대비 27.2% 증가, 관련 예산 규모는 `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

으며 특히 `19년 예산요구액 급증(̀19)

- 사이버보안 예산 주요 사업은 사이버보안센터 운영, 정보보안 강화를 위한 안전한 정보 시스템 구축, IoT의 안전한 이용환경 구축

등에 활용

- 특히, 건강·의료, 복지, 어린이·육아, 고용·노동, 연금 등의 정책을 주관하는 후생노동성의 사이버보안 예산이 가장 높으며,

연금기구*, 의료** 부문 중심의 정보보호 강화에 대한 막대한 예산 투입 중

* ` 15년 6월 일본의 연금 시스템 해킹사고 발생으로 125만 건의 상세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관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예산 투입 중

** 민감 정보인 의료 정보가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실전 훈련과 실태조사 등 추진

< 일본 중앙정부 사이버보안 예산 현황 >

연도 2016 2017 2018 2019

예산(억 엔) 570.5 631.6 621.1 852.8

•�̀ 18년 7월 발표한 사이버보안 전략(Cybersecurity Strategy)은 사이버보안기본법에 따라 향후 3년간의 사이버보안 정책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략의 내용은 아래와 같음

< 일본 사이버보안전략 주요내용 >

구분 주요내용

경제 사회의 활력 제고 및

지속적 발전

- 새로운 가치 창출을 지원하는 사이버보안 추진

- 다양한 관계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공급망 실현

- 안전한 IoT시스템의 구축

국민이 안전하고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 실현

- 국가·사회를 지키기 위한 노력

- 관민 일체가 된 주요 인프라 보호

- 대규모 사이버 공격 사태 등에 대한 대처 태세의 강화 등

국제 사회의 평화·

안정과 우리나라 안보에 기여

- 안전한 사이버 공간의 견지

- 방어력·억지력 상황 파악 역량 강화 등

* 출처 : IITP 주간기술동향(`19. 10)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12

기술로드맵 2025

ICT R&D

미국 주요 R&D 동향

기관명 프로젝트명 설명 기술분류

美고등

연구

계획국

(DARPA)

Cyber Defense

•��IT 인프라가 사이버 공격에도 운용이 유지 될 수 있는 기술 개발

•�네트워크 상에 악성코드를 자동적으로 탐지하는 구조와 네트워크 상의 통신 트래픽

을 감시하는 구조 개발

네트워크

보안

APAC (Automated Program

Analysis for Cybersecurity)

•�DoD Mobile 앱 검사, 미군 앱 마켓에서 악성코드가 없도록 자동화된 도구를 개발,

R&D 및 Red팀(취약점 분석팀)으로 나누어 과제 수행악성코드

CRASH

(Clean-slate design of Resilient,

Adaptive, Secure Hosts)

•�공격을 받은 경험에 근거해 미래의 공격에 대한 방어 방법을 학습하고 공격 내성을

위해 생체시스템의 자기 회복력 메카니즘 분석

•�컴퓨터·시스템의 설계에 응용해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 추진

시스템

보안

Active Authentication•�세션이 유지되는 동안 사용자의 행위적 요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인증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연구인증/인가

CHASE

(Cyber-Hunting at Scale)

•�다양한 컴퓨팅 시스템에서 나오는 무수한 시스템/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이

버 공격을 실시간 탐지할 수 있는 도구 연구

위협 분석

및 관제

Brandeis•�가상화, 클라우드, SDN 등의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 및 기업 데이터를 안전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는 방법 연구

데이터

보안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의사 결정과 결론, 예측을 하는 AI가 제대로 판단하고 있는지 증빙할 수 있는 데이터를

차트와 분석을 통해 사용자에게 광범위하면서도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방안 연구

AI 역기능

대응

DRPIVE

(Data Protecrtion in

Virtual Environments)

•�완전동형암호(FHE)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연산 가속화 기술 연구로서 처리시간

을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 처리 대비 10배 이내를 목표로 함

데이터

보안

美국가

과학재단

(NSF)

Differential Privacy •�초보자나 전문가가 사용할 수 있는 Differential Privacy Platform인 DevDP 기술 개발데이터

보안

Forensic•�기존 메모리 포렌식 툴의 문제점을 찾고,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여 User Space

Malware를 분석하는 기술 개발

디지털

포렌식

Privacy

•�민감정보의 수집, 분석, 공유를 지원하면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해주는 기술적, 법적,

정책적 프레임워크 및 수학적, 법적 측면에서 프라이버시를 정의하고 현실적으로 필

요한 알고리즘을 개발

핀테크

보안

Crypto •�증명 가능하고 효율적인 program obfuscation 기술 개발데이터

보안

Malware•�공격 패턴의 시공간적 상관관계를 부호화하고, 유사한 행동을 했던 사용자들을 위주

로 분석하는 기술개발악성코드

obfuscation •�프로그램 난독화의 암호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증명가능하고 효율적인 난독화 기술 개발데이터

보안

참고 01

Page 1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13

2.시장동향 및 규모

가 시장 및 주요기업 동향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동향 및 전망

국내 정보보호산업은 정보보호 기업체 수의 증가, 매출 증가, 인력 증가 등 정보보호시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기반기술의 부족으로 응용제품 개발 위주의 전문 중소기업으로 발전

- 2019년 기준 국내 정보보호 기업수는 정보보안 473개, 물리보안 621개로 총 1,094개이며, 2015년 총

701개(정보보안 299개, 물리보안 402개) 대비 156% 증가 추세

- 기업 형태별로는 일반기업이 653개(59.7%), 벤처기업이 441개(40.3%)이며, 종업원 수 100인 미만 85.1%(931개),

자본금 규모 50억 미만 91.9%(1,006개)로 영세 중소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함

< 2019 국내 정보보호산업 현황 >

구분정보보안 물리보안 합계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기업

형태별

일반기업 309 65.3 344 55.4 653 59.7

벤처기업 164 34.7 277 44.6 441 40.3

소계 473 100.0 621 100.0 1,094 100.0

자본금

규모별

10억 미만 309 65.3 458 73.8 767 70.1

10억~50억 미만 114 24.1 125 20.1 239 21.8

50억 이상 50 10.6 38 6.1 88 8

소계 473 100.0 621 100.0 1,094 100.0

종사자

규모별

20인 미만 181 38.3 338 54.4 519 47.4

20인~100인 미만 200 42.3 212 34.1 412 37.7

100인 이상 92 19.5 71 11.4 163 14.9

소계 473 100.0 621 100.0 1,094 100.0

* 출처: 2019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정보보호산업 매출 기준, 정보보안은 전년도 대비 2018년에는 12.3%, 2019년도에는 6.3% 성장한 것에 비해,

물리보안은 전년도 대비 2018년에는 2.8%, 2019년도에는 3.5% 성장

정보보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이며 사이버보안 관련 정부의 법·제도의 정비, 사이버 보안사고로 인한 경각심

고조, 정부·기업의 보안 투자 강화 등이 시장에 반영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14

물리보안 시장은 물리보안 시스템 개발 및 공급(보안장비용 카메라 제조, 보안장비용 저장장치 제조, 접근통제장비

제조 등) 분야의 매출 비중이 높으며 물리보안 솔루션, 생체인식 보안시스템 제조 분야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정보보호산업의 수출액은 2018년에는 2017년 기준–0.9%로 감소하였으나, 2019년은 전년 대비 5.8% 큰 폭으로

성장하였고, 규모 면에서 물리보안 분야의 수출액이 많으나, 증가율 면에서 정보보안분야는 31.8%로 높아 해외

경쟁력이 나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해외 정보보호 산업의 동향 및 전망

미국 등 글로벌 정보보호 시장은 규모 면에서 접근권한 관리(IAM, Identity Access Management) 분야가 시장을 이끌고,

성장률 면에서 암호화 분야가 시장을 견인하여 2023년까지 연평균 10.2%로 성장할 전망(출처: 2019년 KISA 글로벌

정보보호산업동향)

구분 주요 현황

미국

•�(환경) ITU 2018‘Global Cybersecurity Index(GCI)’에 따르면 미국의 사이버보안 지수는 0.926으로 영국(0.931)에 이어 2위이며, 미주

권역에서는 2017년에 이어 연속적으로 1위를 기록

•�(시장 현황) 미국 보안시장은 317억 달러 규모로, 전 세계 시장의 약 18% 이상을 차지하며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Ernst & Young (2017-18)의 글로벌 설문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87%가 사이버 보안 예산을 50% 이상 증가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

며 향후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사이버 보안에 많은 비용을 지출할 전망

- 미국 연방 사이버 보안 시장은 인프라 강화 부문이 12%의 꾸준한 CAGR로 성장하면서 200억 달러 규모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

- 미국 보안 서비스 시장은 2023년에 286억 달러에 이를 것이며, 예측 기간 동안 연평균 8.2% 성장할 것으로 전망

•�(사업자 및 경쟁현황) 전 세계 정보보안 시장의 40%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인 미국은 연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투자 수요를 형성

- 매출 상위 15개사가 전체 시장의 27%를 점유하는 데 그쳐 특정 기업이 경쟁적 우위를 가지지 않는 경쟁적 시장 구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약 1만 730개의 기업이 존재

- 최근 클라우드 기반의 보안 솔루션 도입이 증가하면서 해당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Cisco, Symantec, Zscaler, Forcepoint 등이 주도

- 2018년 사이버보안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투자 건수는 617건으로 2015년 대비 40% 가량 증가

일본

•�(환경)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준비하며 감시 카메라, 영상 종합 관리 소프트웨어, 드론 등 각종 보안 장비에 대한 물리보안 수요 환경

이 증가 되었으며, 잦은 지진을 비롯한 자연재해에 자주 노출되는 일본 정보보안 시장에서는 데이터 백업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상승 중

•�(시장현황) 2018년 일본 정보보안 업계에서는 전년도의‘WannaCry’와 같은 대규모 보안 피해 사례는 발생되지 않았으며 2019년

이후에도 소비세 증세에 따른 경기 후퇴 리스크로 시장 성장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예상

- 시장조사기관 후지케이자이(富士)에 따르면, 2018년 일본의 물리보안 시장 규모는 2017년 대비 3.6% 성장한 9,658억 엔으로

추정했으며, 2021년에는 1조 엔을 넘어서는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

- 일본네트워크보안협회(JNSA)에 따르면 2019년 정보보안 시장은 전년 대비 4.5% 성장한 1조 1,771억 엔의 규모에 이를 전망

•�(사업자 및 경쟁현황)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따른 물리보안 신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저가 해외 제품의 일본 시장

진출에 따라 시장 경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는 양상

- 물리보안 시장은 Hitachi, Mitsubishi, NEC, Photosynth 등이, 정보보안 시장은 Trend Micro, Fujitsu, Hitachi, Vinx 등이 주요 업체로 활동 중

Page 1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15

구분 주요 현황

영국

•�(환경) 2019년 3월 발표된‘2018년 ITU의 사이버보안지수(Global Cybersecurity Index, GCI 2018)’자료에 의하면 영국은 전 세계 1위

로 발표되었으며, 최근 들어 사이버 공간을 통한 각종 침투공격과 테러 예방을 위해 국가 정보보호정책을 계속 강화하고 있는 추세로

관련 기기 및 솔루션, 소프트웨어 등의 수요가 계속 증가해 나갈 것으로 전망

•� (시장현황) 2018년 기준 영국 사이버 보안시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8% 증가한 6억 6,640만 파운드로 추정

-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의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5년간 영국의 사이버

보안 시장 매출액은 연평균 9.5%씩 증가했고, 시장 매출액은 향후 5년간 연평균 7.7%씩 증가하여 2023년 매출액이 9억 6,740만

파운드에 달할 것으로 전망

•�(사업자 및 경쟁현황) 자국 내 정보보호 산업도 높은 수준이지만 수요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글로벌 정보보호 기업 간

경쟁 강도가 치열

- 정보보안 시장은 다국적 사이버 보안 컨설팅사, 전문 ICT 서비스 사업자, 다국적 HW/SW 벤더, VAR 등이 얽혀 단독 혹은 컨소시엄

형태로 입찰에 참여하면서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

- 물리보안 시장은 미국, 일본 등 유명 브랜드 제품이 선호를 받는 추세로, 기존에 가격경쟁력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해 오던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등의 제품 증가율이 다소 주춤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중국산 등 저가 보안제품의 수요가 시장의 중심세력 구축 중

- 영국 사이버보안 스타트업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의 진출 분야 산업 전 분야에 고르게 퍼져있다는 점

에서 사이버 보안 시장의 건전성을 확인 가능

중국

•�(환경) 공업정보화부가 올해 6월 4대 이동통신사에 5G 영업허가증을 발급하는 등, 2020년 이후 5G 서비스가 상용화로 사물인터넷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보호 시장의 성장세가 더욱 높아질 전망

•�(시장현황) 중국정보통신연구원(CAICT)의‘2019년 중국 사이버보안 백서’에 따르면 중국 사이버보안 산업규모는 2018년 510억

9,2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9.2% 성장했으며, `19년에는 631억 2,900만 위안 규모를 형성할 전망

- IDC에 따르면 금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 IT 보안 지출규모의 연평균 증가율은 25.6%에 달해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돌 전망

- 2019년 중국의 IT 보안 지출액은 약 73억 5,000만 달러로 예상되며, 2022년에는 중국 보안 솔루션 시장이 137억 7,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중국안전방범제품산업협회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물리보안 산업 매출규모는 7,412억 위안에 달할 전망

•� (사업자 및 경쟁현황) 보안 SI 시장에서는 다수의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 국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파편화된

구조로 시장 집중도는 낮지만, 점차 핵심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보유한 대형 기업들을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

- 중국 영상감시설비 시장은 Hikvision, Dahua를 비롯한 상위 5개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50% 이상으로 시장 집중도가 매우 높은

편이나, 최근 샤오미, 360, 바이두 등 IT와 인터넷 기업들이 보안업체와 제휴해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시장 진입이 활발해지면서

시장 경쟁이 격화

- 중국정보통신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7월 중국 정부가 상하이 증시에 기술주 전용 상장시장 커촹반(科.板:Technology Board)을

개장하면서, 정보보호 스타트업들의 상장이 활성화될 전망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16

나 시장규모 예측

(세계시장) 세계시장 규모는 2018년 2,508억 달러이며, 연평균 15.33%로 성장하여 2026년에는 시장규모가 2.3배 이상 확대(5,840억 달러)될 것으로 전망

2018년 세계 정보보호 시장에서 정보보안은 1,526억 달러로 전체의 60.9%를 차지하고 있으며, 물리보안이 33.5%,

융합보안이 5.6% 순으로 나타남

세계적으로 대형 사이버공격과 정보유출 사고가 빈번함에 따라, 정보보호 제품·서비스 수요와 투자가 늘어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

전 세계 IoT 보안 시장은 2018년 82억 2,000만 달러로 추산되는 가운데 매년 33.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3년

351억 2,200만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Markets and Markets, `18. 9)

전 세계 인공지능 보안 시장은 2019년 88억 90만 달러로 추산되는 가운데 매년 23.3%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6년

382억 2,740만 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Markets and Markets, `19. 4)

(국내시장) 국내 정보보호산업 시장은 2018년 10조 8,180억 원에서 연평균 17.5% 성장하여 2026년에는 26조 8,560억 원까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

2020년 정보보안 시장은 전년 대비 16.4%, 물리보안이 7.6% 증가가 예상되며, 융합보안은 28.5%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정

< 차세대보안 분야 중분류별 시장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십억 원,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정보

보안

세계 152,656 168,227 185,386 204,295 225,134 248,097 273,403 301,290 332,022 10.20%

국내 3,083 3,278 3,815 4,442 5,170 6,019 7,007 8,156 9,495 16.41%

물리

보안

세계 84,150 90,293 96,884 103,957 111,546 119,689 128,426 137,801 147,860 7.30%

국내 7,035 7,280 7,833 8,428 9,069 9,758 10,499 11,297 12,156 7.60%

융합

보안

세계 14,004 17,995 23,123 29,713 38,181 49,063 63,046 81,014 104,103 28.50%

국내 700 900 1,156 1,486 1,909 2,453 3,152 4,051 5,205 28.50%

전체

(합계)

세계 250,810 276,514 305,393 337,966 374,861 416,849 464,875 520,105 583,986 15.33%

국내 10,818 11,457 12,804 14,355 16,148 18,230 20,658 23,504 26,856 17.50%

* 출처: Markets and Markets(2018~2019) 자료와 2019 글로벌 정보보호 산업시장 동향조사, 2019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정보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 시장전망 자료를 수집 및 추정함

Page 1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17

3.기술 및 표준화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정보보안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암호/인증) 양자내성암호와 경량암호 중심의 차세대 암호 기술과 O2O 서비스를 위한 무자각·무매체 인증 등 편의성과 보안성 향상을 위한 연구 진행 중(̀18~`20). 또한, 암호에 대한 양자보안성 검증 및 AI기반 암호 안전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임

•�(데이터 보안)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활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출처: `18. 1. KISA“2018년도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출처: `18. 5. 삼성 SD“GDPR과 PSD2를 통해 바라본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데이터분석 방법”

- 대량의 데이터를 암호화 상태로 수집/활용하기 위한 암호데이터 활용 기술 및 복호화 없이 암호화된 데이터 자체를 연산하기 위한 동형 암호, 함수 암호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암호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 등 암호데이터 활용 영역 확대를 위한 연구 진행 중

•�(디바이스 보안) SW 취약점 분석, 부채널 분석 대응, 보안 알고리즘/프로토콜 경량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IoT 기기와 펌웨어 및 HW 보안성 점검 등의 연구는 초기단계- 하드웨어 기기·펌웨어 취약성 분석은 모의해킹 등을 통한 제한적 방식으로 접근

•� (악성코드) AI 기반으로 알려지지 않은 신종 악성코드 및 문서형 악성코드 탐지·분석 중심의 연구를 진행 중이며, 백신체계 고도화를 위하여 다중 AI백신 기술을 개발 중 *출처: `19. 9. 주간기술동향 1913호,“인공지능을 활용한 보안기술 개발동향”

•�(네트워크 보안/5G/6G) `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전략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안전한 5G 서비스 구축을 위한 5G보안 전략으로“5G 코어망보안”, “5G 엣지보안” 원천기술개발에 투자 중 (*출처: ̀19. 06. 19. 관계부처 합동, “5G+ 전략 실행계획(안)”)

- 또한, 6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 선점을 위한 선도형 기술 개발 전략을 `20년부터 추진 중이며, 6G 설계 초기단계부터 보안을 내재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전략도 병행하여 추진 중*출처: `20. 08.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안)

- 가상화 기반의 지능형 네트워크 보안 기술을 개발 중이며, 5G 엣지망과 코어망에서의 위협 탐지/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네트워크 보안 관점에서는 사이버 레질리언스를 포함한 사전 예방적 사이버 공격 대응으로 접근 시도

•� (위협 분석 및 관제) 빅데이터+AI 기반 지능형 위협분석 및 대응 기술에 대한 연구 진행 중-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적용한 SIEM 솔루션을 실증하고 패키지화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

•� (클라우드 보안) 보안 기능의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IoT 환경에서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SecaaS)를 제공하고, 안전한 클라우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CASB(Cloud Access Security Broker) 기술 상용 활성화*출처: `18. 11. TTA, ICT 표준화전략맵 차세대보안 분야(Ver.2019)

•� (핀테크 보안) 사용자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핀테크 업계의 고객확인의무(KYC: Know Your Customer), 차세대 인증 및 전자서명 기반 구축 등의 요구를 반영한 분산 ID(DID) 등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AI 역기능) AI 역기능에 대한 연구가 UNIST, KAIST 등 학계를 중심으로 설명 가능한 AI 기술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AI 역기능 대응 기술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 KAIST에서 AI 역기능 유발 공격에 대한 자동화 대응, AI 역기능에 취약한 모델에 대한 설명을 통한 완화 및 보완, 방어 연구 등이

`20년부터 시작됨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2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18

구분 주요 동향

국내

•�(공급망 보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년 정보보호 R&D 중장기 전략을 통해‘SW 공급망 위험분석기술’분야를 시급히 확보해야

할 분야로 선정하여 관련 기술개발 과제를 추진 중

- 시스템/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공급망 위협 대응 핵심기술 개발이 시작(̀20~`24)

- 국내 연구기관 혹은 민간 기업 등에서 공급망을 통해 생산된 제품에 대해 하드웨어 수준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 기술이 구체

화 된 사례는 찾기 어려우며, 일부 개념 검증 수준의 취약점 탐지 기술과 공급망 공격에 대한 대응 체계를 다루는 연구가 진행

*출처: `20. 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4, 공급망 보안기술 동향

•��(IoT인프라보안) 자원 제약 없는 무선·모바일 기기 보안 관리 중심이며, 수많은 경량·저전력 기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및 IoT

단말 플랫폼을 지원하는 기기관리 기술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IoT 인프라 침해확산 방지 등의 연구는 초기 단계

- 스마트 미터기, CCTV, 셋탑 등 HW 자원 및 전력 제약이 없는 IoT기기 인증용 PKI기술 및 국내외 표준 확보 진행 중

국외

•� (암호/인증) 경량·양자내성 암호 등 환경 적합형 다기종·고신뢰 암호 기술 개발이 활발히 추진 중이며, 생체인식기반 인증서비스

가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 및 IoT 기기로 확대되고 언택트 사회 진입에 따른 화상회의 등 서비스 증가로 관련 인증 기술에 대한 요구

가 확대되고 있으며, 구글 등을 중심으로 양자자원량 분석기반 RSA암호 양자보안성 분석 확대 추세

- IBM/Microsoft(동형 암호), NIST(양자내성암호, 경량암호 공모사업), RSA(멀티팩터인증) 등

*출처: `19.06. FIDO Alliance Announces new Identity Verification and IoT Initiatives

- 독일 BSI에서 암호학적 접근을 통한 AI 기반 블록암호 분석 결과 제시

*출처: `16. 10. Google Brain“Learning to Protect Communications with Adversarial Neural Cryptography”

•� (데이터 보안) GDPR 등 기업이 수집·활용하는 개인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 강화 추세에 따라 차등 프라이버시, 신뢰·보안

컴퓨팅 등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암호 및 시스템 보안 연구 활발

*출처: `19. 10. NIST“NIST Big Data Interoperability Framework: vol4. Security and Privacy”

•�(디바이스 보안) SW 개발 생명주기 전체에 걸친 보안 테스트가 진행되고, 보안 내재화를 위한 SDL 및 Secure Composition 연구가

활발하며, HW 공급망 보안을 위한 보안품질보증 연구가 진행 중

•�(악성코드) 백신기능을 탑재한 EDR 기술에 집중한 연구개발 진행 및 일부 솔루션 출시

- AI 기반 신종 악성코드 탐지 기술 개발(카스퍼스키, 트랜드마이크로, IBM, RSA 등)

-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변종 악성코드 분석을 위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평판, 화이트리스트 DB를 활용한 솔루션 출시(ESET,

카스퍼스키, 시맨텍 등)

*출처: `19. 10. 보안뉴스, 차세대 보안기술 EDR 리포트

•� (네트워크 보안/5G/6G) 네트워크 보안 관점에서는 정교한 사이버 공격 대응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보안 기술, 능동적 사전

예방 MTD 기술, DDoS 공격 대응을 위한 새로운 컴퓨터/네트워크 아키텍처(XD3) 등 연구 중

- 공격 대상을 숨기기 위한 Deception Security 기술 관련 상용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함(Illusive Networks, Fidelis, TrapX Security 등)

- 이동통신 네트워크 보안 기술은 아직 4G LTE 보안 취약점 발견 및 검증 연구가 대부분이며, 유럽, 미국, 중국 등 주요국들은 5G 서

비스의 핵심이 보안이슈 해결이라 보고 있으며, 노키아, 화웨이, 시스코 등은 네트워크기반 5G 보안기술의 제품개발이 본격화 중

- Cisco, Juniper, F5 Networks 등 미국 글로벌 보안기업들은 5G 시그널링 방화벽 및 에지보안을 위한 보안제품을 출시하면서, 전역

적인 5G 보안 모니터링 등 관련 솔루션을 다각화하고 있음

- 오울루·알토대학, 핀란드 기술연구센터, 기업체(노키아, 인터디지털 등) 간 6G 플래그쉽 협업체를 구성, 내재화된 보안기술 기반

의 6G 연구개발 착수(8년 간 약 3,000억 원 규모)

*출처: `19. 9. 6G Research ver.1 (6G Flagship Univ. of OULU)

Page 2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19

구분 주요 동향

국외

•�(위협 분석 및 관제) 보안 위협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보안 관제 요원이 사이버 공격을 효과적으로 분석/대응할 수 있는 기술(SOAR)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음

- 다양한 실제 공격 방법론을 시뮬레이션하여 대상 도메인의 보안취약점을 분석/관리하는 BAS(Breach and Attack Simulation)관련

연구개발 진행 및 일부 솔루션 출시됨(AttackIQ, SafeBreach ,Cymulate 등)

※ 가트너(2018)에 따르면, Deception Security 기술은 개념정립 단계를 넘어 Emerging 기술로 정의하고 향후 Deception Security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시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

•� (클라우드 보안) 접근 제어, 위협 방지, 데이터 보호 등의 통합된 보안 기능을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SecaaS와 클라우드

기반의 CTI(Cyber Threat Intelligence) 솔루션 출시되고 있음. 클라우드 서비스 안전성을 보장하는 CASB가 `19년 가트너 10대 보안 프

로젝트로 선정됨. 서비스 가상화 플랫폼 보안 기술의 초기 연구를 진행 중

* 출처: `19. 6. Cartnet Top 10 Security Projects for 2019 (https://www.gartner.com/smarter ·withgartner/gartner-top-10-security-projects-

for-2019/)

•� (핀테크 보안) 아마존, 알리페이, 텐센트 등은 간편거래를 위한 생체인식, 행위분석 등 기술의 실증단계이며, DARPA의 Brandeis 등 안전

한 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고, MS, IBM 등은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기술의 상용화 서비스 추진 중

•�(AI 역기능) 적대적 공격 사례 등 AI 역기능에 대한 연구는 몬트리올 대학, Google, Facebook등 AI 연구를 선도하는 학계와 산업계에

서 주도하고 있음. 특히 적대적 예시를 활용한 공격에 대한 연구는 그 개념이 처음 소개된 2013년부터 다양한 공격 및 방어 방법들

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 적대적 예시를 활용하지 않는 모델 추출, 멤버십 유추 등의 공격에 대해서는 일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나 다양한 공격에 강

인한 방어 기법은 제시하지 못하는 수준으로 연구 시작단계

•�(공급망 보안) 미국은 공급망 HW·SW 위험관리에 우선순위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ICT 공급망 제품 및 서비스의 위험평가 프로세

스 기준과 관련 도구 개발에 적극적으로 추진 중(̀19. 12)

- 특히, 미국, 유럽, 일본 등의 IT 선진국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하드웨어 공급망 위협 대응 기술 마련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악성회

로 탐지 및 검증을 위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미국 글로벌 보안기업들은 ICT 공급망 보안에만 국한하지 않고, 사이버 및 물리 시스템 연계된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음

- 관련 기술로, 미국 NSA SW 리버스 엔지니어링 도구인‘지드라’오픈소스화를 추진하면서, 공급망 SW 보안의 기술영향력을 확대

전략을 추진 중에 있음

- 대표적으로 미국의‘Trust-HUB’는 HW 보안 관련 아이디어, 회로, 플랫폼, 툴, 리소스 등을 공유 환경을 구축하고 있음

*출처: `20. 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4, 공급망 보안기술 동향

•�(IoT인프라 보안) WLAN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는 무선 침입·해킹탐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AirTight, AirDefense, Cisco 등),

경량·저전력 기기 및 다양한 무선통신이 존재하는 T2T 환경에서의 연구는 초기 단계

- IoT 환경에서의 기기 제어 및 보안 관리를 위한 표준 개발이 IPSO, OneM2M 등에서 진행

*출처: `17. 6. Global Markets for Security Technologies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2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20

물리보안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지능형 CCTV) 재난재해, 강력범죄, 감염병 등 추적·대응에 있어서 CCTV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으며, 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서

기술/산업적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음

- 단순 위험 감지 수준을 넘어 CCTV 영상으로 전조를 분석하여 위험을 사전에 예측, 예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과거 범죄통계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발생하는 CCTV 영상, 외부 환경 등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공공장소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을 확률적으로 사전에 예측하는 AI 기술을 개발 중

- 국민안전 긴급현안 해결 : 강력범죄 용의자 추적, 감염병 검역 등 국민안전 긴급현안에 적용될 수 있는 Re-identification(재식별)

기술이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에 사업화 추진 중

- 사람의 인지 한계 극복 : 단순히 사람의 육안 탐지를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서 사람의 인지능력으로 식별이 불가능한 위험정보를

복원하고 인식하는 AI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5G 등 신산업 융합·확대 : 5G 서비스와 결합하여 도시 내 언제 어디든 위험을 감지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용량, 초저지연

5G+ 지능형 CCTV 신융합 서비스 확대 예상

•�(휴먼/바이오인식) 심전도, 뇌파 등 생체신호패턴 뿐만 아니라, Keystroke Dynamics, 법보행, 입술움직임 등 행동패턴으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 편리성과 오·남용 방지 등 보안성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한 무자각/지속 바이오인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심전도를 이용한 개인식별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

국외

•� (지능형 CCTV) 지능형 CCTV를 중심으로 치안정보, 환경/이벤트 정보 등 빅데이터 복합 분석을 통해 가까운 미래의 범죄를 사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 예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DAS(미국 NYPD), 톈왕(중국) 등과 같은 지능형 CCTV를 통해서 도시/국가 전체의 범죄 등 위험 상황을 실시간 감지, 대응하는 지능

형 도시감시 기술이 사회적 조류로 부각되고 있음

- 미국(PredPol, HunchLab, CompStat 등), 일본(PCA), 중국(톈왕), 영국(NDAS), 인도(Cortica AI) 등에서는 이상행동·상황 및 치안 빅데

이터를 수집하고, 복합적으로 분석해서 위험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 범죄예측시스템을 통해서 20~30%의 강력범죄 감소

효과를 얻음

- 영상 Anomaly Detection을 위해서 UCF-Crime 1,900건, ShanghaiTech 437건, UCSD-Peds 98건 및 Avenue 36건 등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시험에 활용

*출처: 2017. BBC News, https://www.bbc.com/news/world-us-canada-40293666

•� (휴먼/바이오인식) AI기반 바이오인식 기술이 지능형 도시감시 영역으로 확대되어 스마트시티 전체의 안전을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

형태로 발전하고 있음

- NGI(미국 FBI)는 미전역 공공장소에서 얼굴, 홍채, 음성, 지문, 걸음걸이 등 바이오 인식을 통해서 위험인물을 실시간 인식, 추적,

검거하는 데 활용

- 기존 신체적 특징을 확대해서 주로 행동적 특징에 기반한 소프트 바이오메트릭 기술, 바이오 신호를 기반으로 식별과 건강을 동시

에 지원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음

*출처: 미국 FBI, https://www.fbi.gov/services/cjis/fingerprints-and-other-biometrics/ngi

Page 2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21

융합보안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스마트시티 보안) 정부는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참조 모델(국토교통부, `17)과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4차산업혁명추진위, `18),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부산, 세종, `19) 등을 발표하였으나, 관련 보안기술 개발은 초기 단계 수준- 기기에서 관리시스템까지 전체 구간에서의 보안을 고려한 단대단 보안대책 수립 (LG CNS)

•�(스마트공장 보안) 스마트공장 도입확산으로 인하여 기계, 부품 등의 자산 보안에서 빅데이터 중심의 스마트공장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과 ICT 융합 제품·서비스의 보안 내재화를 위한 스마트공장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발표

•�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 의료정보 비식별화, 접근권한 관리 등 의료 민감정보의 불법 유출 방지 중심의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의료기기 해킹 방지, 의료 랜섬웨어 대응, 생체신호 기반 보안통신, 헬스케어 데이터 보안기술 등은 기초연구 수준- 2020년부터 병원 의료기기 보호를 위한 해킹 방지 등의 기술개발 진행 중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업용 제어시스템의 인프라 보호를 위한 지능형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기술과 스마트공장 융합보안 기술개발 중(삼성 SDS, LG CNS, 라온웍스)- 산업자동화제어시스템(IACS)을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KS국가표준 제정(2020.04.08.)되어 최초의 산업제어시스템

(ICS) 보안 국가표준 사례

•�(무인이동체 보안) 차량 간 V2X 통신보안, 차량용 이더넷 보안 및 취약점 분석 기술, 자율운항 선박에 대한 보안 중 원격 보안채널 기초연구진행, 드론 해킹 방지, 안티드론 등의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최근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개발이 시작되어 UAM 보안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 드론 인증·드론식별모듈(ETRI), UAM 보안(현대차), 차량용 PKI 기술(한국정보인증) 개발 중

*출처: `20. 07. TTA ICT 표준화전략맵 Ver.2021 -스마트 모빌리티 (무인기 ICT)

국외

•� (스마트시티 보안) 미국 DARPA는 에너지 그리드 시스템에 대한 공격 탐지 및 대응프로젝트(RADICS)를 수행 중이며, 시티 전체에 배치된 스마트 장치 펌웨어 위변조 방지, 보안 업데이트, 사이버 공격 탐지 및 복구 등에 대한 연구 진행 중

•� (스마트공장 보안) 독일은 플랫폼 인더스트리즈 4.0의“네트워크 시스템 보안”워킹그룹에서 안전한 통신, 식별 및 인증, 무결성 및 신뢰성 등의 핵심 주제를 도출하고 스마트공장 보안 강화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실행하고 있음

•� (디지털 헬스케어 보안) AI 이상징후 분석기반의 병원 네트워크 침입탐지 및 랜섬웨어 대응(Armis, MediGate, PaloAltoNetworks, CyberMDX), 이식형 의료기기 해킹 방지, 생체정보 기반 보안통신(아리조나 주립대)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출처: `19. 8. 주간기술동향, 1911호,“커넥티드 의료기기 보안 동향 및 이슈”, ITFIND

- 의료기기 악성코드 탐지기법 등 60여 개 이상의 헬스케어 관련 보안 프로젝트 진행(SHARPS)*출처: SHARPS projects, http://sharps.org/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산업제어설비의 초연결성으로 인해 IT 영역의 위협방지에서 OT 영역의 위협방지기술 개발로 확대 중- 산업제어시스템의 실시간 행위 모니터링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이상행위 탐지 기술을 적용하여 침해사고를 사전에 식별하는 기술

개발(Tofino, Indegy 등)- 펌웨어, 제어 로직 등 OT 구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시스템에 대한 검색 및 추적 기능 개발(PSA)- 보안 취약점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약점을 체계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보안 평가 도구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여 사용하고 있음

•� (무인이동체 보안) 차량 PKI기반 V2X 통신 보안은 실증단계, 5G 기반 차량통신보안 기술 개발 중이며, IMO 해사안전위원회 등 해양 선박의 보안 글로벌 이슈화(자율운항선박 포함) 및 해양 물류(블록체인-보안포함)추진, 안티드론, 드론식별모듈 테스트기술, UAM 보안기술 연구 활발히 진행 - 해상 초고속광대역위성통신 서비스‘Fleet Xpress’를 위한 통합위협관리시스템 개발 중(인말새트), 드론식별모듈 기반 보안 기술

테스트 기법 개발 중(네덜란드 UL), UAM 보안(아우디/에어버스)*출처: `20. 07. TTA ICT 표준화전략맵 Ver.2021-스마트 모빌리티 (무인기 ICT)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2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22

나 특허 동향

특허 현황

분야 및 기술 유효 특허 수 특허 증가율차세대보안(Next-Generation Security) 130,234 119.7%

구 분 특허 점유율 특허 증가율

선도국중국 미국

0.535582 11.30687

한국3위 4위

0.145669 5.76881

5개국 평균 - 7.011211

특허 동향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국적별출 원건 수

전 체출 원건 수

출원년도

전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미공개 구간

● 중국 53.6

● 한국 14.6

● 미국 21.8

● 일본 5.3● 유럽 4.8

단위(%)

< 차세대보안 분야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 >

* 출처 : 2019 ICT R&D 사업 사전 동향조사 및 분석, IITP

-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국적의 발행인이 출원한 특허 건수를 기반으로 차세대

보안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임

- ̀08년부터 최근까지 특허 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는 중국 특허 출원이

`09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남

-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서는 뚜렷한 증감세 없이 일정 수준의 특허를 꾸준히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Page 2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23

다 표준화 동향 * 출처 : ICT 표준화 전략맵 Ver2020, TTA

차세대보안 관련 표준화 기구

구분 표준화 기구 설명

국제

ISO/IEC JTC1ISO/IEC JTC1은 데이터 및 정보의 획득·저장·검색·처리·표현·조직·관리·보안·전송·교환을 위한 모든

기술을 포함하는 IT 기술 분야의 표준을 담당

ISO/IEC JTC1/

SC17ISO/IEC JTC1의 SC로서 카드 및 개인식별(card and personal identification)에 대한 표준을 담당

ISO/IEC JTC1/

SC27ISO/IEC JTC1의 SC(subcommittee)로서 ICT 정보보안 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을 담당

ISO/IEC JTC1/

SC37ISO/IEC JTC1의 SC로서 생체인식(biometrics)에 대한 표준을 담당

ISO TC215의료서비스 제공기관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의료 관련 메시지를 전자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의료정보분야에 대한

표준 개발

ISO TC307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보안과 프라이버시 등 블록체인 응용서비스 전반에 대한

표준 개발

ITU-T SG17

ITU-T 내에 정보보안 표준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Q4는 사이버보안 및 보안관제, Q6는 통신서비스, 산업제어시스템,

5G 네트워크, IoT, 지능형 CCTV 보안관련, Q7는 응용서비스 및 인증기술, Q8은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Q9은 원격 바

이오인식, Q10은 아이덴티티 관리 및 정보주권보장 기술, Q13은 자율주행차 보안, Q14는 분산원장기술 보안 등의 표

준 개발 담당

IEC TC65

WG10

IEC TC65는 산업용 공정 계측, 제어 및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과 요소기술에 대한 표준 개발을 담당하고 있으며 WG10

은 산업 계측 및 제어 관련 보안에 대한 표준을 담당

3GPP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로서 세계 주요 전자·이동통신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3G, 4G, 5G 등 이동통신

표준 개발을 담당

OCF 사물인터넷 기기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통신 체계 및 플랫폼 관련 표준 개발을 담당

oneM2MoneM2M은 사물통신(M2M)과 IoT 기술을 위한 요구사항, 아키텍처, API, 보안 솔루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을 개발

하고 있으며 TS-0003에서 보안 솔루션 기술 규격을 정의

FIDO 개방형 산업체 협의기구로 패스워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인증기술에의 표준화 추진

국내

TTA TC5

국내 정보보호 표준개발, 국제 표준화 추진 및 대응을 위하여 정보보호기반, 개인정보보호/ID관리 및 블록체인 보안,

사이버보안,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 바이오인식 등의 프로젝트그룹을 구성 운영

- (PG501) 정보보호기반, (PG502) 개인정보보호/ID 관리, 블록체인 보안, (PG503) 사이버보안, (PG504) 응용보안/평가

인증, (PG505) 바이오인식

TTA TC10사물인터넷/스마트시티 플랫폼 및 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분야 등 지능정보기반

기술 표준 개발을 담당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2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24

정보보안

ISO/IEC JTC1/SC27

- (WG1) 다양한 섹터(domain) 및 다양한 규모 조직에 적용 가능한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관련 표준(ISO27000

시리즈) 제ㆍ개정 진행 중

- (WG2) IoT 보안에 활용 가능한 경량 암호 알고리즘(29192) 표준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동형암호(18033-6) 표준

제정 및 형태보존 암호 표준화 진행 중

- (WG3) 공통평가기준(CC, 15408) 및 평가방법론(CEM, 18045) 표준 개정 중이며, CC 평가기준의 확대 및 암호모듈

검증과 관련한 표준화 진행 중

- (WG4) IoT 환경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27030), 빅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27046)

표준화 진행 중

- (WG5) 바이오정보 보호기술(24745R1) 개정안을 개발 중이며, WG1과 공동으로 개인정보 보호경영(27552)을

위한 27001 확대 요구사항 표준이 개정됨

ITU-T SG17

- (Q.2) 5G 네트워크를 위한 SDN, NFV, Network Slicing 보안 표준이 추진 중

- (Q.4) 사이버보안 침해증거 수집 및 보존하는 도구를 위한 가이드라인 표준과 통신사업자가 네트워크 침해사고에

대해 자동화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표준 개발 중이며, 한편 한국, 스위스, 일본, 중국 등 양자 암호키 분배 기술

표준 개발에 중점 추진 중

- (Q.6) 5G 통신보안 가이드라인, 5G 엣지컴퓨팅서비스 보안 프레임워크 및 5G에 양자내성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5G 환경에서 신뢰 엔티티 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표준이 개발 중

- (Q.7) 네트워크 및 빅데이터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식별화 메커니즘과 데이터의 민감도에 따른 비식별화

보증 등급 기준을 마련하는 표준화 추진 중

- (Q.10) ID 관리 및 상호운용성 메커니즘, 우편서비스 환경에서 자동화를 위한 식별자 및 접근성 관리 구현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 중이며, 엔티티 보증 등급 프레임워크에 대한 개정이 진행 중

- (Q.14) 분산원장기술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X.1402), 분산형 ID관리를 위한 DL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보안

지침(X.1403) 표준이 2020년 9월에 제정될 예정이며, DLT 기반 보안서비스, DLT 기술을 이용한 전자투표 등

다수의 표준이 개발 중

FIDO

- 온라인과 오프라인상 FIDO 솔루션의 확산을 위해 W3C, EMVCo, GSMA 등과 협업함과 동시에 웹/PC 플랫폼에서

바이오인증을 지원하는 FIDO2 국제표준(W3C, ITU-T)이 제정되었으며, IoT 환경을 대비한 규격개발을 추진 중

Page 2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25

TTA TC5

- (PG501) 격자 기반 양자내성암호와 근사연산 동형암호 표준이 제정되었고, 사물인터넷을 위한 Cross-Layer

인증 프로토콜과 퍼지 인증 프로토콜, 다변수 이차식 기반 양자 내성암호(HiMQ) 전자서명 표준이 개발 중

- (PG502) 검증 가능한 크리덴셜 데이터 모델 1.0 표준이 제정되었고, 분산ID를 활용한 신원관리 프레임워크 표준과

분산원장 기반 분산형 신원에 대한 보안 고려사항 기술보고서가 개발 중이며, 비식별 처리된 데이터가 여러

상황에서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갖도록 데이터 비식별 보증에 대한 요구사항 표준이 추진 중

- (PG503) 가상화 기반 이기종 백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요구사항 표준과 SDN기반 네트워크 보안 기능(I2NSF)

관련 표준화 진행 중

물리보안

ISO/IEC JTC1/SC37

- (WG3) 얼굴영상 품질 성능평가 알고리즘(AWI 24357), 얼굴인식 캡처 서브시스템 스펙(WD 24358)에 대한 표준화

진행 중

TU-T SG17

- (Q.6) 영상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카메라, 네트워크, 사용자 기기 등과의 연동 시 발생될 수 있는 보안 이슈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요구사항들을 정의하는“Security threats and requirements for video management

system(X.strvms)”표준화 진행 중

- (Q.9) 모바일기기를 위한 텔레바이오인식 보호지침(X.1087), 바이오인식기반 하드웨어 보안토큰(X.1085),

스마트 ID카드를 이용한 원격 바이오 접근제어(X.1093), 생체신호를 이용한 차세대 인증기술(X.1094) 등의 표준을

제정하였으며, 음성인식을 이용한 텔레바이오인식 인증기술(X.tas), 텔레바이오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 엔티티

인증기술(X.pet_auth) 등의 표준화 진행 중

TTA TC5, TC4

- (PG427) CCTV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비식별화된 오프라인 문서 복원 방법, 영상 개인정보 비식별화

영역 정보 검출 방법 표준이 제정되었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위한 환경 정보 규격, 프라이버시 마스킹 검증을 위한

GT(Ground Truth) 기록 방법 표준이 개발 중

- (PG504) 실감콘텐츠 보호에 활용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DRM을 지원하는 미디어 플랫폼 등 표준화 추진 중

- (PG505) 정보분할에 의한 바이오인식 정보보호 표준과 생체신호를 이용한 헬스케어 응용서비스 기술보고서가

제정되었으며, 디지털병원 환경에서의 위협모델과 보안 고려사항 기술보고서 개발 중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2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26

융합보안

ISO/IEC JTC1/SC17

- (WG12) 드론식별모듈과 드론 면허증(무인기 조종, 운영)과 관련하여 드론식별모듈 물리적/논리적 특징(CD 22460-1,

AWI 22460-2), 면허증 주요 특징/기능, 데이터구조, 접근제어, 인증(AWI 22460-3)에 대한 표준화 진행 중

ISO TC215

- 보건의료ㆍ빅데이터를 대상으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보안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의료분야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표준(27799) 구현을 위한 기술보고서(TR 11633-2)가 작업 중

- IoT 의료기기 안전성 확보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스마트 의료기기 보안인증기술 표준화 진행 중

ITU-T SG17

- (Q.6) IoT 보안 프레임워크 가이드라인(X.1361)과 IoT 환경에서의 암호화 절차(X.1362)에 대한 표준화 완료,

IoT 환경에서의 그룹인증을 위한 메시지 규격, IoT 기기 침해사고에 대한 에러 로그 표준 포맷, IoT 환경에서

개인식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 등 표준화 진행 중이며, 산업제어보안시스템,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공장 보안에 대한 표준화 논의가 적극 추진되고 있음

- (Q11) 드론 식별에 사용되는 식별 체계 기술과 관련하여 OID(Object IDentifier)를 사용한 무인기 식별 메커니즘(X.677)

표준이 제정되었으며, OID 기술을 다양한 ICT 응용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OID 해설시스템(X.672) 표준을 개정 중

- (Q13) 지능형교통체계시스템(ITS) 기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안 기능(X.1373) 표준 개정 중이며, V2X 통신 시스템

보안 지침(X.1372) 표준이 제정되었고, 차량 외부 접속 디바이스 보안요구사항(X.itssec-3), 차내망 침입탐지시스템

구현 방법(X.itssec-4), 차량용 엣지 컴퓨팅 보안 지침(X.itssec-5) 등 표준화 진행 중

IEC TC65 WG10

- 산업 공정에 대한 측정, 제어, 자동화 관련 표준, 공정 제어기기, 공정 조절밸브 등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스마트 공장 실현을 위한 요소기술 표준화 진행 중

3GPP

- 이동통신 코어기술 규격(LTE, 5G 등)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드론(TR 22.825) 및 자율주행차(TR 22.886)에 응용할

수 있는 Usecase 및 데이터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포함한 표준 개발

OCF

- (Security) 새로운 OCF 디바이스 등록에 관한 디바이스 온보딩 기술과 디바이스 접근제어에 대한 표준화 진행 중

- (Remote and Bridging Security) 타 IoT 생태계와의 연동을 위한 브릿징 기술 및 클라우드와 같은 외부 접근 기술과

관련된 보안이슈에 대한 표준화 진행 중

oneM2M

- oneM2M 환경의 보안 서비스, 보안 프레임워크, 접근제어, 인증 프로토콜, 프라이버시 보호 구조에 대한 표준화 진행 중

Page 2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27

TTA TC5

- (PG501) 사물인터넷을 위한 Cross-Layer 인증 프로토콜 표준이 개발 중

- (PG504)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위한 보안요구사항과 프레임워크, 차량용 이더넷 이상징후탐지 보안요구사항, 차량

내부 계측 제어기 통신망(CAN)을 위한 Moving Target Defense 보안요구사항, 차량 사물 통신용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보안요구사항 표준이 개발 중

TTA TC10 PG1001

- 사물인터넷 기반 저고도 무인항공기 관리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참조모델, 인터페이스 및 인증 절차에

대한 표준이 추진 중이며, 사물인터넷 CBOR(간결한 이진 객체 표현) 객체 서명 및 암호화 표준이 신규로 추진 중

4.한국의 경쟁력 현황

가 기술수준 및 역량 평가

기술 분야별 기술수준

구분기술수준

최고기술 보유국상대수준(%) 격차(년)

시스템 및 암호보안 86.2 1.3 미국

네트워크 보안 88.5 0.9 미국

데이터 및 응용서비스 보안 87.7 0.8 미국

물리보안 91.8 0.5 미국

융합보안 80.2 1.3 미국

* 출처 : ICT 기술수준조사보고서, 2018, IITP

나 한국의 보유자원 평가

구분 주요 내용

인력측면•�4차 핵심산업 분야의 발전으로 정보보호 산업의 급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인력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나, 수요에 적합한 인력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향후 질적인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이 심화될 전망

* 석박사급 이상 정보보호전문가는 `23년까지 3만 명 부족 예상(2019 ICT 전문인력 실태분석 및 전망)

물리적

인프라 측면

•�5G 서비스 세계 최초실시 등 초연결 지능화 인프라 구축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조기 정착으로 새로운 환경에 대한 선점이 가능함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망으로 고성능 제품 개발에 유리함

연구환경 및

산업화 역량

측면

•�국내업체들은 영세하여 자체 기술력이 낮고, 자립기반도 미흡하여 해외 선진업체에 비해 기술 개발 여건이 열악한 상황임

•�정보보호 산업 규모 영세, 세계시장 개척 및 판로 확보가 어려움, 내수·수출 간의 불균형, 정보수집 및 가공능력 부족, 마케팅

능력의 부족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3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28

가 발전 전망

4차 산업혁명이 보안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사이버공간의 확장, 보호대상의 증가, 신기술로 무장한 사이버공격의 진화로 요약할 수 있음

(사이버공간 확장) 사이버공간이 정보통신망과 서비스 제공 공간에서 신기술 기반의 초연결 융합서비스로 확장

(보호대상의 증가) 사이버공간의 확장에 따라 보호대상이 ICT 정보자산에서 IoT 기기, 의료기기, CPS 시스템(스마트

팩토리) 등으로 확대

(사이버공격 진화) 기존 사이버위협이 대규모 테라급으로 확대되고 기계해커에 의한 공격 등 신기술로 무장한

사이버공격의 진화

< 차세대보안기술 발전상 >

Ⅲ 기술 발전 전망ICT R&D 기술로드맵 2025

Page 3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29

나 핵심 이슈

데이터 3법 대응, 포스트코로나 대비 안전한 비대면 환경 제공을 위한 보안 기술 필요

가명정보 생성·검증, 재식별 위험성 검증 등 데이터 활용 강화를 위한 데이터 보호기술 필요

원격의료, 교육, 근무 등 안전하고 편리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및 편의성을 고려한

휴먼·바이오 인증 등 보안기술 필요

초연결 시대 네트워크 안정성 제공을 위한 인프라 보호 및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의 신뢰성 있는 제공을 위한 보안 기술 필요

5G 단말, 엣지망, MEC 플랫폼, 코어망에 이르는 전역적 보안환경 제공 필요

6G 상시적 보안 품질을 보장하는 내재화된 기술 개발 필요

초저지연·초고속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융합 ICT 환경을 이용한 서비스의 다양화로 관련 다양한 보안 이슈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 필요

AI 보편화에 따른 AI 활용 사이버 공격 대응 기술 개발 및 AI 신기술을 활용하여 보안 기술 고도화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 실시간 위협 탐지를 위한 AI 기반 지능형 사이버보안 관제 및 자동대응 기술 필요

초연결 서비스 환경에서 사이버 공격의 실시간 분석·예측·탐지 및 자동화된 대응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자동 대응 기술(SOAR) 필요

사회 안전망 구축을 통한 국민 생활 안전 보장을 위한 신종 사이버범죄 예방 대응기술 필요

최신 스마트 기기의 보안기능 강화에 따라 IoT 기기 증거분석 등 디지털 포렌식 분석기술,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필요

다크웹, 은닉채널을 통한 범죄정보 유통, 가상자산 활용 등 불법 거래추적에 대응하는 신종 사이버범죄 예방 및 대응

기술 필요

Ⅲ. 기술 발전 전망

Page 3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30

가 후보 기술

순번 구분 개념

1 초신뢰 암호기술•�초저지연·초연결 서비스에서 신뢰도와 보안성을 강화하고 양자컴퓨터 등 미래 보안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암호 설계/분석/ 구현 기술

2자기통제 기반

사용자 보호 기술

•�금융(핀테크), 의료, 유통 등 실생활 서비스에서의 편리하고 안전한 신원검증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정

보통제권이 보장되는 데이터 공유 및 활용 기술

3 데이터 활용보안기술 •�데이터의 활용성을 강화하면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보안기술

4AI 역기능

대응 기술

•�AI의 이중성과 취약성을 이용한 저비용·고효율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과 AI 시스템의 오작동·이상

행위 등을 판단·예측·대응하고 설명 가능한 AI를 통해 고신뢰 A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5AI 기반 보안 운영

자동화 기술

•� AI 기술을 IT 운영에 접목하여“IT 운영을 위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을 뜻하는

AIOps를 보안 분야에 접목하여 보안 분야에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

6온 디바이스

(On-device) AI 기술

•�네트워크나 서버를 거치지 않고, IoT 등의 스마트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컴퓨팅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빠른 AI를 구현하는 동시에, 엣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 등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

7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취약점 자동진단 기술

•�HW 및 SW 솔루션 공급망(유통망 포함), 3rd 어플리케이션 등 IT 시스템(SW·HW)에 내재된 보안취약점을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탐지하고 보안 위협에 자율적으로 대응하는 기술

8디지털 신기술을 악용한

사이버범죄 예방 및 추적 기술

•�익명 기반의 사이버범죄와 관련된 가상화폐 악용 탐지 및 추적 기술, 다크웹 기반 불법 정보·사이버위

협정보 수집 및 연관관계 분석 등 사이버범죄 예방 추적 기술

9 차세대 디바이스 보안 기술•� 5G 통신기반 융합서비스들의 IoT 기기(CIoT, IIoT 기기) 응용 보안 기술로, 이기종 펌웨어 플랫폼에

Customizing 된 TRL 5~7 단계 기술

※ 적용 범위: 리눅스 기반 IoT 기기, AR/VR 기기, 웨어러블 기기, 의료 기기 등

10 사이버 기만 공격 대응 기술•�기존 공격자의 사이버공격 킬체인 탐지, 방어, 대응의 탐지 및 모니터링 중심 전략에서 사이버기만, 유인

등의 전략을 통해 공격자의 시도를 능동적 억제(Cyber Attack Deterrence)하고 통제 기술

11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기술

•�AI 기술의 보편화에 따른 AI 기계해커 등장으로 자동화되는 지능형 사이버위협으로부터 국가·사회 인프

라와 기업망의 침해사고를 예측·탐지·분석·대응하기 위한 기술

125G 네트워크

보안 기술

•�5G+ 서비스의 안전한 제공을 위한 5G 코어망 및 멀티 엑세스 에지 컴퓨팅(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이기종 5G 디바이스 등 전주기적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위협을 방어하기 위한 기술

13안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데이터 보호 기술

•�언택트(Untact) 환경의 비대면 서비스(스마트워크, 원격회의, 금융(핀테크), 의료, 유통 등)에서의 편리하고

안전한 신원검증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정보통제권이 보장되는 데이터 공유 및 활용 기술

14사이버범죄 예방·

추적 기술

•�익명 기반의 사이버범죄(디지털성범죄, 사이버마약거래, 개인정보유통 등)와 관련된 가상화폐 악용 탐지

및 추적 기술과 다크웹 기반의 사이버위협정보 수집 및 연관관계 분석 등 사이버범죄 예방 추적기술

156G 네트워크 보안

원천기반 기술

•�6G 시대의 사이버 위협을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밀성·무결성·가용성을 보장하는 초

신뢰 핵심원천 기술

대상 기술 선정ICT R&D 기술로드맵 2025Ⅳ

Page 3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31

순번 구분 개념

16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보안 기술

•� IoT기기 불법 포획 후 암호키 해킹에 따른 플랫폼 붕괴 위협, IoT 통신 데이터 위변조 위협, 대규모 사물봇

에 의한 IoT 서비스 거부공격 등의 IoT보안위협으로부터 침해사고를 탐지·분석·대응하기 위한 기술

17 무선 채널 보안 기술•�특정 수학적 난제에 안전성을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존 암호 기술 및 프로토콜 기반의 기존 암호키 분배

기술의 한계를 탈피하는 무선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새로운 무선구간 데이터 보호 기술

18 지능형 CCTV 기술

•�CCTV 영상 분석과 IoT센서의 융합을 통해서 물리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상황(사건·사고, 재

난·재해, 감영병 등)을 식별, 추적, 검역, 예측, 대응하고, 이와 관련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등 보안 역기

능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기술

19차세대 휴먼

바이오 인식 기술

•�사람의 선천적인 신체적 특징, 타인과 구별되는 행동적 특징, 바이오 신호 등을 자동 센싱하고 분석하여 접

촉/언택트 상황에서 신분을 유일하게 검증(Verification), 식별(Identification)하고 보호(Protection)하기 위한 기술

20제조 프로세스 행위기반

사이버 자동 대응 기술

•�제조 프로세스와 네트워크 상에서의 여러 행위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제조 프로세스 성능에 영향을 미치

는 사이버공격 예측 및 사전 대응

21사이버·물리 객체 기반

제조 인프라 통합 보안 기술

•�사이버·물리 객체 기반 스마트공장 빅데이터 정보 통합 지능분석 및 가상 복제 환경 구축을 통한 사이

버 위협 탐지·분석·자율 대응 기술

22스마트공장 임베디드 시스템

보호 및 자동 취약점 진단 기술

•�스마트공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의 보안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기별 인증, 상호 보안 인증과

비인가 접근 차단, 임베디드 디바이스 펌웨어 바이너리 등 분석을 통한 보안취약성 자동 진단 기술

23자율무인이동체

인프라 보안 기술

•� 자율주행차 통신채널 보호, 접속보안, 상태 검증 등 네트워크 인프라 및 이종 자율무인이동체을 통합적으

로 연동 서비스할 수 있는 인프라 보호 기술

•�비인가 무인항공체를 이용한 악의적인 행위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인가 드론 등 무인이동체의 식별

하고 인증 기반으로 운행을 제한하는 기술

24자율무인이동체 수집 데이터

보호 및 보안위협 대응 기술

•� 자율무인이동체의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수집된 정보 중 민감 정보 및 프라이버시

를 침해할 수 있는 정보의 식별하고 보호하는 기술

•�자율주행차 비정상 작동을 유발하는 보안위협을 방지하고 위협을 실시간 탐지 및 예측하는 기술

25스마트시티 통합운영 플랫폼

보안위협 대응 기술

•�스마트시티 운영 시스템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외부(DDoS, 사이버표적공격 등) 및 내부(내부자 데이터

유출 등)의 사이버 보안 위협을 탐지하는 보안관리 기술

* 보안 위협: 과금 데이터 변조(외부·내부), CCTV 해킹, 교통신호해킹, 재난발생 등

26스마트시티

보안 자동관제 기술

•�교통, 안전, 에너지 등 스마트시티 주요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수많은 디바이스의 수집 정보를 AI 기반

으로 자동 분석하여 이상행위를 탐지하고 시설 관리 등의 도시 운영 차원의 대응 절차 연계 자동화 기술

27블록체인

신뢰성 보장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월렛 보안, 안전한 합의 프로토콜 등 블록체인 보안 강화 및 블록체인 기반 보안

응용 서비스 기술 등

Ⅳ. 대상 기술 선정

Page 3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32

나 후보기술 검토

< 기술로드맵 대상 기술 검토 기준 >

01 정부 R&D 지원 필요성(민간 영역 제외)이 있는 기술

02 위험도, 혁신성 및 기지원 여부를 고려하여 고위험·도전적 영역 기술

03 국민 생활문제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사회문제 해결형 R&D 기술

정부지원 필요성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정부지원 필요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들이 정부지원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판단

정부지원

필요성

높은 기술

초신뢰 암호기술, 데이터 활용 보안 기술,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차세대 휴먼 바이오 인식 기술, 안

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호 및 보안기술, 디지털 신기술을 악용한 사이버 범죄 예방 및 추적 기술, 지능형 CCTV

기술, 스마트공장 보안 기술, 자율무인 이동체 보안기술, 스마트시티 보안기술, 지능형 사이버보안 관제 및 자동 대응 기술,

5G/6G 네트워크 보안 기술, 스마트시티 보안 기술

고위험·도전형 R&D 여부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고위험·도전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고위험·도전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판단

고위험

도전적인 기술

초신뢰 암호기술, 데이터 활용 보안 기술,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및 자동

대응 기술, 차세대 휴먼 바이오 인식 기술

Page 3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33

사회문제해결형 R&D 여부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사회문제해결 가능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사회문제해결형 R&D

테마로 판단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

안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호 및 보안 기술, 디지털 신기술을 악용한 사이버 범죄 예방 및 추적 기술, 지능형

CCTV 기술, 스마트공장 보안 기술, 자율무인 이동체 보안기술, 스마트시티 보안기술

국산화 등 기타 필요성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 중 국산화 필요성이 있는 기술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고위험·도전성

여부와는 별도로 국가가 국산화를 지원해 줄 필요가 있는 기술로 판단

국산화 필요성이

매우 높은 기술

초신뢰 암호기술,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지능형 사이버보안 관제 및 자동 대응 기술, 5G/6G 네

트워크 보안 기술, 스마트시티 보안 기술

Ⅳ. 대상 기술 선정

Page 3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34

다 로드맵 대상 기술

순번 기술분야 주요 세부 기술 및 개념 비고1 비고2

1초신뢰

암호기술

•�(개념) 초저지연·초연결 5G 서비스에서 데이터 신뢰도와 보안성을 강화하고 양자컴퓨

터 등 미래 보안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암호 설계/분석/구현 기술 및 인프라 기술

•� (주요 세부 기술) 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인프라 기술, 암호 양자안전성 분석 기술, AI 기

반 암호 설계 기술, AI 기반 암호 분석 기술, 초저지연 암호기술, 초연결 환경 암호키 신뢰

관리기술 등

1. 고위험

도전형

/

2. 국산화 등

기타

기초·

원천

2데이터 활용

보안기술

•�(개념) 데이터의 활용성을 강화하고 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기술, 암호화 기술, 위험 탐지 기술 및 데이터 오남용 방지 기술

•�(주요 세부 기술) 안전한 가명처리 기술, 가명정보 처리 부정사용 탐지기술, 동형암호 및

안전계산 기술, 활용 강화용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시스템 개발 및 실증, AI를 활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차분 프라이버시 기술, AI데이터 공격/방어기술 등

고위험

도전형

응용·

개발

3

안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호 및

보안기술

•� (개념) 비대면 서비스의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보안 기술

•�(주요 세부 기술) 편의성 강화 무자각 인증 및 ID 관리 자동화 기술, 화상회의 보안 기술,

안전한 원격 근무를 위한 논리적 망분리 기술, 분산 디지털 신원지갑 보호 및 상호연동

기술, 원격의료 보호 기술, 온라인강의/시험 보호 기술 등

사회문제

해결

응용·

개발

4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 (개념) HW 및 SW 솔루션 공급망(유통망 포함), 3rd 어플리케이션 등 IT 시스템(SW·HW)

에 내재된 보안취약점을 AI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탐지하고 보안 위협에 자율적으로

대응하는 기술

•� (주요 세부 기술) SW 보안취약점 분석 성능 고도화와 자동화기술, HW 레벨 보안취약점 분

석기술로서 개발단계의 온칩동적 바이너리 분석 및 검증도구, 운영단계에서 임베디드 펌웨

어 및 HW 백도어 탐지기술, 공급망 보안취약점 분석 기술로 어플리케이션 공급망 보안위

협(취약점, 악성코드) 자동진단기술과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 공급되는 보안위협 진단기술

1. 국산화 등

기타

/

2.

고위험

도전형

응용·

개발

5

디지털 신기술을

악용한

사이버범죄 예방 및

추적 기술

•� (개념) 익명 기반의 사이버 범죄와 관련된 가상화폐 악용 탐지 및 추적 기술, 다크웹 기반

불법 정보·사이버위협정보 수집 및 연관관계 분석 등 사이버범죄 예방 추적 기술

•�(주요 세부 기술) 디지털 포렌식 우회 대응기술로 차세대 스마티기기의 안티포렌식 대응

과 IoT 기기 디지털 증거 수집 및 보존기술, 포렌식 데이터의 안심처리 및 증거공유기술,

신종 사이버 범죄 예방 및 대응 기술로 가상자산이용 다크웹 불법거래 추적, 은닉채널(텔

레그램) 연결 추적기술, AI 악용 디지털 신종범죄 예방 및 추적기술

사회문제

해결

응용·

개발

6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및

자동대응 기술

•� (개념) AI 기술의 보편화에 따른 AI 기계해커 등장으로 자동화되는 지능형 사이버위협으로

부터 국가·사회 인프라와 기업망의 침해사고를 예측·탐지·분석·대응하기 위한 기술

•�(주요기술)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통합 보안관제 기술, 지능형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대응 기술(SOAR), AI기반 사이버위협 예측 기술, 보안장비 우회공격 자동 차단

기술, 이종 도메인 간 사이버 공격 종합분석 기술, 사이버 트랩(Trap) 기술 등

1. 국산화 등

기타

/

2. 고위험

도전형

응용·

개발

Page 3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35

순번 기술분야 주요 세부 기술 및 개념 비고1 비고2

7

5G/6G

네트워크

보안 기술

•� (개념) 5G+ 서비스의 안전한 제공을 위한 5G 코어망 및 멀티 엑세스 에지 컴퓨팅(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이기종 5G 디바이스 등 전주기적 인프라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위협을 방어하기 위한 기술 및 6G 시대의 사이버 위협을 예상하고 선제적

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밀성·무결성·가용성을 보장하는 초신뢰 핵심원천 기술

•�(주요기술) 5G 네트워크 인프라 보호 기술, 5G 전용 네트워크 보안 관제 및 모니터링

기술, 5G+ 서비스 플랫폼 위협 탐지/대응 기술, 5G 기반 Massive Device 보안위협 탐지/

예방 기술, 6G 보안위협에 대응 가능한 보안QoS 보장 기술 개발, 6G 기밀성 제공을 위한

양자 안전성 보안 기술 개발, 초공간(해상, 공중, 위성) 이동통신 보안 기술 개발 등

국산화 등

기타

응용·

개발

8지능형

CCTV 기술

•� (개념) CCTV 영상 분석과 IoT센서의 융합을 통해서 물리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험

상황(사건·사고, 재난·재해, 감영병 등)을 식별, 추적, 검역, 예측, 대응하고, 이와 관련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등 보안 역기능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는 기술

•�(주요기술) 온전한 AI 학습이 가능한 와일드 영상 비식별 기술, 패스워드-프리 지능형

CCTV 보안 플랫폼, 야외 CCTV 기반 다중 접촉 인물 자동확장형 고정밀 동선 추적 기술,

비공개 위험 식별 및 대응 기술, 언택트 영상 보호 및 추적 기술, 하이브리드 AI CCTV 기술 등

사회문제

해결

응용·

개발

9

차세대

휴먼 바이오

인식 기술

•�(개념) 사람의 선천적인 신체적 특징, 타인과 구별되는 행동적 특징, 바이오 신호 등을

자동 센싱하고 분석하여 접촉/언택트 상황에서 신분을 유일하게 검증(Verification), 식별

(Identification)하고 보호(Protection)하기 위한 기술

•� (주요기술) 지문·홍채·정맥·얼굴 등 신체특징 인식 기술, 목소리·법보행·입술

움직임·Keystroke Dynamics·서명 등 행동특징 인식 기술, 심전도·뇌파·심박수 등

생체신호 인식 기술, 오·남용 방지를 위한 바이오정보 보호 기술, 다중모드 기반의 연속

적 개인인증 기술, 초대형 바이오인식 DB 구축 기술 등

고위험

도전형

응용·

개발

10스마트공장

보안 기술

•� (개념) 스마트공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의 보안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기별

상호 보안 인증과 비인가 접근 차단, 임베디드 디바이스 펌웨어 바이너리 등 분석을 통한

보안취약성 자동 진단 기술

•�(주요기술) 제조 프로세스 행위기반 사이버공격 자동 대응 기술, 사이버·물리 객체 기반

제조인프라 통합보안 기술, 제어시스템 무선통신 보안 기술, 스마트공장 디바이스 상호보

안인증 및 차세대 보안기술, 스마트공장 임베디드시스템 보안취약성 자동진단기술

사회문제

해결

응용·

개발

11자율무인이동체

보안 기술

•� (개념) 자율주행차 및 이종 자율무인이동체를 통합적으로 연동할 수 있는 인프라 보호

기술 및 비인가 무인이동체의 인증 제한기술

•�(주요기술) 자율주행차 네트워크 인프라 통합 보안기술, 무인항공체 식별 및 인증 기술,

자율주행차 수집 데이터 보안 기술, 무인항공체 수집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자율주행차

보안위협 대응/예측 기술, 무인항공체 취약점 자동 진단

사회문제

해결

응용·

개발

12스마트시티

보안기술

•� (개념) 스마트시티 운영 시스템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외부(DDoS, 사이버표적공격 등) 및

내부(내부자 데이터 유출 등)의 사이버 보안 위협을 탐지하는 보안관리 기술

•�(주요기술) 스마트시티 이종기기 상호 인증, 스마트시티 수집 데이터 보안 기술, 스마트시

티 통합운영, 플랫폼 보안 위협 탐지·대응 기술, 스마트시티 통합보안 관제 및 자동대응

기술, 스마트홈 다중 디바이스 보안 관리 기술, 스마트홈 디바이스 취약점 자동 진단

1. 사회문제

해결

/

2. 국산화 등

기타

응용·

개발

Ⅳ. 대상 기술 선정

Page 3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36

가 R&D 추진방향

As is (현재) To Be (미래)

•단일 액세스망의 중앙집중식 보안•전문가가 지키는 어려운 보안•수동적이고 사고대응 위주의 보안•안전하게 감추어 보호하는 데이터

•공유하고 활용하는 안전한 데이터 •안전하고 편리한 비대면 ICT 환경조성•5G/6G 초연결 시대 분산형 자율 보안•사람의 개입 없는 AI기반 지능형 보안•능동적이고 예방 중심 사이버 방어체계•신종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

나 기술로드맵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달성

목표

1. 데이터

무자각 얼굴/

음성 인식

비대면 환경

보호 솔루션

바이오인식

데이터 생성

익명정보 활용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위협

검증기술

활용 강화형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영상

비식별 기술

양자내성

검증 플랫폼

2. 네트

워크/

융합

제조 프로세스 행위기반

사이버 공격 자동 대응

시스템

5G 전용 네트워크

위협대응 시스템

5G MEC 지능형

위협대응 시스템

사이버·물리객체 기반

제조인프라

통합보안 관제 시스템

자율무인이동체

인프라 보안 시스템,

데이터 보호 및

통합보안 시스템

스마트공장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취

약성 자동진단 시스템

6G 이동통신 보안

원천기술

3. AI

바이너리

자동 취약점 분석

지능형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

동대응 기술(SOAR)

AI기반 SW

취약점 분석,

진단 및 검증도구

AI 기반 사이버

공격·방어

시뮬레이션 기술

모방불가형

바이오인식

엣지 AI CCTV

기술

AI 기반 무인

보안관제 플랫폼

4. 사회

문제

해결

가상자산

다크웹 추적기술

위험예측 지능형

CCTV 기술

스마트폰 내부데이터 분석,

IoT 디지털 포렌식 및

신기술 범죄분석기술

분산 디지털 신원지갑

보호 및 상호연동

시스템

HW 어플리케이션

공급망 위협 대응기술

스마트시티

통합운영 플랫폼 보안

위협 대응기술

AI기반

스마트시티 보안

자동관제 기술

Ⅴ 기술로드맵ICT R&D 기술로드맵 2025

Page 3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37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1. 초신뢰

암호기술

기초

원천

양자내성 보안인프라 기술

암호인프라 양자안전성 분석 기술

AI 기반 암호 설계 및 안전성 분석 기술

초저지연 암호기술

초연결 환경 암호키 신뢰 관리기술

2. 데이터

활용

보호기술

응용

개발

안전한 가명정보 활용 및 결합을 위한 가명처리 기술

가명정보 활용에 따른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 검증 기술

가명정보 처리에서의 부정사용 탐지 기술

동형암호, 안전계산 기술

활용 강화형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 개발 및 실증

AI 활용 가능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차분 프라이버시 기술

3. 안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호

보안 기술

응용

개발

편의성 강화 무자각 인증 및 ID 관리 자동화 기술

화상회의 보안 기술

안전한 원격근무를 위한 논리적 망분리 기술

분산 디지털 신원지갑 보호 및 상호연동 기술

원격의료 보호 기술

온라인강의/시험 보호 기술

4. 공급망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응용

개발

바이너리 자동

취약점 분석기술

AI기반 SW 취약점 진단 및

역공학 분석 기술

AI기반 SW 퍼징 자동화 기술

(소스코드 및 라이브러리 레벨)

Legacy SW 패치 코드 자동 생성 및

안전성 검증 기술

시스템/디바이스 HW 공급망 위협 대응기술 임베디드 펌웨어 백도어 탐지 기술 HW 온칩 동적 바이너리 분석 및 검증 도구

모바일 앱

진단기술

어플리케이션 유통/배포 마켓 자동 위협 (취약점+악성코드)

진단기술멀티 클라우드 및 공급망 SW 통합 위험분석·진단 기술

멀티클라우드 공급망 보안 진단 기술

Ⅴ. 기술로드맵

Page 4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38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5. 디지털

신기술 악용

사이버범죄

예방 및

추적기술

응용

개발

차세대 스마트기기

안티포렌식 대응기술IoT 기기 및 AI 생성 디지털 증거 원형/이력 보존기술

스마트폰 내부데이터 접근·보호 기술 분석 디지털 포렌식 데이터 안심 처리 및 범죄정보 공유 기술

가상자산 이용 다크웹 불법거래 추적기술

AI 악용 및 디지털 신종범죄 분석 기술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 확산 방지 기술

6.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자동대응

기술

응용

개발

멀티 클라우드 환경 지능형 통합보안관제 기술

AI 기반 무인 보안관제 기술

지능형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자동 대응 기술 (SOAR)

AI 기반 사이버 공격·방어 시뮬레이션 기술

AI 기반 대규모 유사ㆍ변종 악성코드 탐지/분류 기술

7. 5G/6G

네트워크

보안 기술

응용

개발

5G 코어망 공격 탐지 및 대응 기술 프로토콜 취약점 분석 및 대응 기술

사이버 인텔리전스 연동 기반 지능형

5G 네트워크 보안 자동 관제 기술MEC 유해트래픽 탐지 및 차단 기술

5G 기반 Massive Device 보안 기술

안전한 5G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바이스 인증 및

위협 대응 기술5G+ 서비스 플랫폼 위협 탐지/대응 기술

비정상 (허위) 기지국 탐지 및 제어 기술 종단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격리 보장 기술지능형 멀티 엑세스

엣지 컴퓨팅 서비스 보안 기술

6G 무선통신 보안 및

암호기술 기초연구6G 보안 QoS 보장 기술

6G 기밀성 제공을 위한

양자 안전성 보안 기술

초공간

(해상, 공중, 위성)

통신 보안 기술

8. 지능형

CCTV

기술

응용

개발

다차원 위험 예측 기술(데자뷰)

5G+ 지능형 CCTV 기술

AI 학습가능한 CCTV 영상 비식별 기술 패스워드-프리 지능형 CCTV 플랫폼

다중 접촉인물 자동확장형 추적 기술 비공개 위험 식별 및 대응 기술

언택트 영상보호 및 추적 기술

하이브리드 AI CCTV 기술

Page 4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39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9. 차세대

휴먼/

바이오

인식기술

응용

개발

무자각 얼굴/음성

인식 기술모방불가형 바이오 신호 인식 기술

EEG분석 기반 Pass-Thought 기술

사용자 자율제어 가능한

바이오인식 기술온 디맨드 멀티모달 기반 지속인식 기술

AI 학습용 초대형 바이오인식 데이터 생성 및 공유 기술

10. 스마트

공장

보안

응용

개발

제조 프로세스

행위기반 사이버공격

자동 대응 기술

사이버·물리객체 기반 제조인프라 통합보안 관제 기술

스마트 공장 제어시스템 무선통신 보안 기술

스마트공장 디바이스 상호보안인증 및 차세대 보안기술 스마트공장 임베디드시스템 보안취약성 자동진단기술

11. 자율

무인

이동체

보안

응용

개발

자율주행차 네트워크 통신 및 접속 보안기술

자율무인이동체 네트워크 인프라 통합 보안기술

무인항공체 식별 및 인증 기술

자율주행차 수집 데이터 보안 기술

무인항공체 수집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자율주행차 보안위협 대응/예측 기술 무인항공체 취약점 자동진단

12. 스마트

시티

보안

응용

개발

스마트시티 이종기기의 상호 인증 기술인공지능 기반 스마트시티 통합

보안 관리 및 자동 대응 기술스마트시티 통합운영 플랫폼 보안 위협 탐지·대응 기술

스마트시티 수집 데이터 보안 기술

스마트홈 다중디바이스 보안관리 기술 스마트홈 디바이스 취약점 자동 진단

Ⅴ. 기술로드맵

Page 4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40

1. 초신뢰 암호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5G/6G 등 신규 ICT 환경의 안전성ㆍ성능 요구사항과 양자컴퓨터 해독, AI 해독 등 미래 보안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신뢰 암호 인프라 기반 확보

민간 •�암호 신기술의 실증 및 상용 제품 적용을 통한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암호해독 등 각종 위협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고 5G/6G 보안강화를 위한 선도형 R&D 및 실증 추진

양자내성암호는 향후 주로 사용될 NIST 공모사업 결과를 활용하기 위하여, 3라운드 포함 알고리즘(2020년 발표

예정)을 대상으로 각종 환경에서 SW/HW 최적 구현, 부채널 공격 등에 대한 위협 대응, TLS 등 통신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등 5G, ICT 융합 인프라에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성능검증 및 상용화 기반 마련

AI를 이용한 신규 암호기술 및 암호 안전성 검증기술 개발 추진

5G, 6G 대용량 데이터 전송, 초저지연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신규 암호기술 및 키관리 기술 개발 추진

국제 연구협력을 활성화하여 최신 연구결과를 집적하고 신규 연구 방향을 도출하여 연구 파급력 향상 도모

2 표준 확보 전략

암호 고유기술 확보 및 활용성 강화를 위해 국제 표준화 추진

ISO/IEC 등의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한 리더십 확보

- ISO/IEC JTC1/SC27: 경량 암호기술, 양자컴퓨터 내성 암호기술 등에 대응

- ITU-T SG17: 정보통신망에 적용할 암호 응용기술 표준 추진

- IETF: 암호기술을 응용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표준

산업체 중심의 글로벌 오픈 플랫폼(예, OCF, oneM2M 등)에 연동 가능한 암호키 생명주기 신뢰관리 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통해 기술 개발과 동시에 글로벌 호환성이 확보되는 기술-표준 병행전략 추진

국내 표준화는 TTA 정보보호기반(PG501)을 통해 암호기술 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암호 안전성 및 양자내성 평가는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PG504)을 통해 추진 필요

기술 확보 전략ICT R&D 기술로드맵 2025Ⅵ

Page 4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41

2. 데이터 활용 보안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개인·가명정보 등 민감 데이터의 활용 촉진을 위해 안전한 저장·관리·유통·분석 등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활

용 보안기술 개발

•�(표준)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하여 동형암호 및 신뢰계산, 그리고 그를 활용한 데이터 유출방지 방법 등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추진

민간 •�데이터 보안기술의 실증 및 상용 제품 적용을 통한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개인정보 보호 관련 국내외 법제도 부합성을 고려하고 수요 기업과 연계하여 데이터 활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추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명정보 관련 법령 개정 과정에서 도출되는 기술적 요구사항 반영 및 연계

가명정보를 처리하고자 하는 기업 및 기관 연계하여 기술 개발 추진

*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의4(가명정보에 대한 안전조치의무 등) 컴플라이언스 준수에 필요한 기술개발 협의 및 반영

미국 HIPAA, 유럽 GDPR,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등 국내외 법·제도 적정성 고려

2 표준 확보 전략

빅데이터 환경에서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고유기술 개발 및 표준개발을 통한 표준특허 확보에 주력 해야 함

ISO/IEC JTC1/SC27: 국내 개발 동형암호, 형태보존암호 등의 알고리즘 표준과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비식별화 표준

개발 추진

ITU-T SG17: 삼성SDS, 서울대, ETRI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는“머신러닝 환경에서 동형암호 기반 데이터결합 보안

가이드라인(TR.sgfdcml)”표준 개발과 KISA 중심의“데이터의 민감도에 따른 비식별화 보증 등급 기준(X.rdda)”표준

개발에 중점 대응 필요

국내는 TTA PG501에서 동형암호, 형태보존암호에 대한 표준화 추진과 PG502에서 민감데이터 보호기술에 대한

표준화 추진이 필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4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42

3. 안전한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보호 및 보안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 (기술개발) 화상회의, 온라인 강의, 원격의료 등 비대면 서비스 이용 급증 및 비접촉(Untact)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디지털 자산 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을 통해 대국민 안전성 확보와 4차 산업 서비스 확산 기틀 마련

•� (표준) 비대면 신원 확인, 데이터 공유 등을 위한 사용자 데이터 공통 포맷 및 보안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통해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의 상호연동성을 보장하고 국제표준 선도를 통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수립

•� (인력양성) 비대면 서비스 환경으로의 전환 및 사용자 자기 주도적 정보 활용 시대에 대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전문가 양성 추진

•� (기반조성) 불편한 보안을 벗어나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 제조사 및 서비스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고도화 및 상용화 기반 조성

민간 •� 포스트코로나 시대에서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한 사용자/데이터 보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을 통해 글로벌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화상회의, 재택근무 등 비대면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사용자 자기 주도적 정보 활용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과 인프라 개발 추진

증가하는 화상회의, 재택근무, 온라인 교육 및 거래 등 서비스의 보안 위험*을 해소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언택트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보안 기반 확보* Zoom(화상회의 솔루션)은 `19. 12월 하루 1천만 명에서 `20.3월 2억 명으로 사용자가 급증 추세였으나 비인가 사용자의 회의 참석 사례와 회의내용 유출

등 피해로 활용에 제한 권고

전 세계적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강화와 사용자 개인정보의 분산형 관리 필요성*에 부합하는 산업계 요구기술의 적시 제공 및 인프라 구축 지원* 개별 사업자 중심(중앙집중형)의 사용자 정보 집중 관리로 인한 대량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사용자 입장에서 사업자별 인증정보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사용자 스스로 자기 정보를 통제 가능한 탈중앙형 개념 대두

2 표준 확보 전략

국제 표준 기반의 기술 개발 선순환 생태계 구축

ISO, ITU-T, W3C, DIF 등의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한 리더십 확보- ISO/IEC JTC1/SC27: 속성정보 기반의 분산형 데이터 보호기술- ITU-T SG17: 비대면 인증기술 및 분산형 ID관리 보호기술- W3C, DIF: 산업체 중심의 구현 포맷에 대한 표준 개발

국내는 TTA PG502를 통해 자기통제기반 사용자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산업계 공통 활용 표준을 개발하고, 금융보안표준화협의회를 통해 금융 분야 표준화 추진

Page 4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43

4. 공급망 및 시스템 보안 취약점 진단 자동화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시장성은 높지 않으나, 잠재적인 공급망 및 SW 잠재적 보안취약점 노출 방지와 외국기술의 종속성 탈피를 위해 국내

원천기술력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

•� (표준) 공급망 SW 안전성 검증기준, 분류체계 등 국내 TTA 표준화 및 국제표준화

•�(인력양성) 보안취약점분석 과제와 연계한 SW 취약점 분석 전문 인력 양성

•�(기반조성) 보안취약점 분석 연구데이터의 개방화 및 인센티브 부여 전략 추진

민간 •�정부 투자 SW/HW/공급망 보안취약점 분석 및 진단 기술에 대한 기술 사업화 및 상용 제품화 추진

1 기술개발 전략

보안취약점 분석분야 IITP 선행 R&D 결과물, 해외 오픈소스 분석도구 간 연계강화와 우선순위에 따른 분석기술의 성능 고도화 개발 전략 추진

단위별(소스코드, 바이너리 등) 취약점 분석기술 개발 중심에서 선행기술 간 통합화, 분석 알고리즘의 고도화(AI 기술

적용, 분석 범위 확대 등) 개발전략

* 고려대(오픈소스 SW 대상 보안취약점 분석기술), 카이스트(바이너리 IR 분석도구), KISA(바이너리레벨 통합 퍼징 자동화 기술), 아이넷캅(모바일 앱 검증

도구) 등 기반 기술의 연계

2 표준 확보 전략

SW 보안취약점 분석, 진단 및 검증 기술의 개방형 표준화 추진

이기종 플랫폼 및 SW 간 공통 보안 취약점 진단 및 검증기준 표준화

3 기반조성 필요사항

연구개발용 보안취약점 내포 시험데이터의 개방과 인센티브 부여 전략 추진

예) 보안취약점 내포된 소스코드 및 바이너리 시험 데이터 수집 및 DB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4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44

5. 디지털 신기술 악용 사이버범죄 예방 및 추적 기술 (디지털 포렌식 포함)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사회적 이슈인 디지털 성범죄 등 사이버범죄예방 기술은 특수 분야로 사법기관, 민간 산업체, 신뢰 공공기관이 참여하

는 공동연구 및 사법기관 실증 체계 마련

•� (기반조성) 프라이버시 보존형 사이버범죄데이터 개방화 전략을 통해 민간 산학연의 사이버범죄예방 및 신기술분야(IoT) 디지털포

렌식 인프라 구축 지원

민간•�실제 사이버 범죄 사고 및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예상되는 첨단 사이버 범죄를 예방하고 포렌식 등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 검증된

상용제품 개발로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수사기관 포함 정부 및 공공 수요와 연계한 실증형 R&D 추진

사이버 범죄 예방·추적 기술은 국민의 안전에 밀접한 관계가 있어 신속 대응을 위해서는 사이버범죄 정보 접근이 용이한 국가 사법기관 실증 추진

- 디지털 증거 수집·분석에 외산도구 이용하고 있으나, 국내 기술 확보를 통해 기술 대체와 함께 기술이전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추진

- 사이버 범죄자 식별을 위해 최신 사이버 위협에 대한 사법기관별 사례를 수집하고, 맞춤형 기술개발, 검증을 통한 사이버범죄 대응력 극대화

2 표준 확보 전략

국내외 법집행 기관 간 사이버범죄 예방·대응 공조를 위하여 정보 공유가 필수적이며 신속한 정보 공유를 위한 표준 개발 필요

ITU-T, IETF 중심으로 사이버범죄 정보 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표준화

- ITU-T: 회원국 간에 사이버정보 공유기술(CYBEX)에 대한 개정 추진- IETF: 이기종 장비 간에 데이터 공유 포맷에 대한 표준화 추진- 국내 TTA PG503을 통해 사이버범죄 탐지 및 대응기술에 대한 표준 개정과 신규 사이버범죄에 대한 정보공유

프레임워크 표준 개발이 필요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연구개발 목적의 사이버범죄 데이터의 개방화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국내외 사법공조, 수사기관 간 정보공유 등을 위한 범죄정보 비식별 조치 등

Page 4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45

6.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 및 자동대응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 (기술개발) ICT 국가기간망 보호를 위해 AI 기반 사이버 보안관제 핵심기술 제공 및 공공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

능형 사이버 침해위협 대응 기술 지원

•� (기반조성) AI 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한 국외 통합보안관제 기술과의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AI 연구분야를 보안에 접목할 수 있

는 기반조성

•�(인력양성)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이버 위협 탐지 및 지능형 사이버 보안 관제·대응 전문인력 양성

민간•�지능화·자동화된 사이버위협에 대한 즉각적인 탐지·대응이 가능한 세계 최고수준의 상용제품 개발을 통해 선제적 사이버 공

격 대응 및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사이버 보안 관제 지능화를 위한 정보공유 및 수요처 연구 참여

다양한 클라우드의 구성 및 운영환경 분석을 통해 멀티 클라우드 기반의 이기종 보안관제에 적합한 요구사항 도출

신규 ICT 환경에서 사이버 공격 및 보안위협에 신속 대응하는 기술력 확보를 위해 산·학·연 위협정보 공유 필요

국내 보안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수요처(국가CERT 등)를 중심으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결과물 적극 활용을

위해 수요처 실증

기존 AI 기반의 사이버 위협 분석 결과의 신뢰성 검증 기술개발 필요

글로벌 수준 대비 낙후된 보안관제기술(통합보안관리시스템, 엔드포인트보안, 등)에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도록

응용연구 추진

2 표준 확보 전략

글로벌化 되는 사이버위협 정보 공유 프레임워크와 연계 가능한 표준 개발

자동화된 침해사고 정보 공유 시스템, STIX/TAXII 등 글로벌 CTI 정보를 상호 변환 및 통합 관리 프레임워크 표준

연계 및 응용기술에 대한 표준개발 필요

국가 간, 타 도메인 간, Legacy 보안 솔루션 간 사이버 위협 정보 연동을 위한 STIX기반 연동 표준, 사이버침해사고 정보

수집, 저장, 관리 가이드라인 표준화 추진

이기종 보안 솔루션 및 도메인 간 사이버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대응(SOAR)을 위한 통합 보안 정보 규격

및 대응 정책 생성 표준화 추진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4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46

7. 5G / 6G 네트워크 보안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ICT 국가기간망 보호를 위해 5G 기반 사이버보안 핵심기술 확보 및 4차 산업 핵심서비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5G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구축 및 Massive Device 보안 기술 지원

•�(기반조성) 6G 이동통신 기반 新융합서비스의 초신뢰 인프라 제공을 위한 상시적 보안 품질 보장을 위한 원천기술의 선제적 대응 지원

•�(표준) 국제 표준 일정과 연계한 6G R&D 전략을 수립하여 6G 국제표준 주도 및 선제적 대응 지원

민간•�현장 중심의 연구개발로 세계 최고수준의 상용제품 개발을 통해 5G 네트워크 인프라 및 디바이스 보호 및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등 융합서비스 보안 프레임워크 모델 정립

- 융합서비스 특성을 고려한 보안 기술·기능 등을 제시하는 보안 참조모델 개발 및 보안성 검증·평가 항목 마련 등

5G 정보보안 선도기술에 대한 융합서비스 실증 방안 마련 및 실증을 통한 기술 유효성 확인

5G 디바이스(IoT 등), 엣지망, MEC 플랫폼, 코어망에 이르는 전주기적 통합 보안 모델 정립 및 요소기술 개발

6G 미래 환경(AI보편화,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 확대, 양자컴퓨팅 시대 도래) 변화에 따른 신뢰 인프라 제공을 위해 6G

설계단계부터 상시적 보안품질을 보장하는 내재화된 보안(embedded security)기술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3GPP(SA3), ITU-T(SG17), ETSI(NFV SEC) 등 5G 국제표준화 기구·사실표준단체와 연계 활동을 강화하여, 세계 최초 5G

상용화 기술 기반으로 국내 기술 경쟁력 강화

- 5G 종단 간 보안, 5G MEC 보안, 네트워크 슬라이싱 보안 등 5G 보안 아키텍처의 핵심 요구사항들이 국제 표준화

단계부터 내재화 될 수 있도록 추진

- 5G기반 스마트 공장 등 5G 융합서비스별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도메인에 특화된 표준을 추진하고, 이와 연계된

표준 특허 확보

- 정보보호 서비스 운영자와 제조자 측면에서 5G 보안 장비와 서비스의 안전성 및 도입 제품 평가의 용이성 확보를

위한 보안제품의 보증 평가 표준 개발

Page 4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47

8. 지능형 CCTV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 (기술개발) 공공 데이터 안전한 활용, 포스트 코로나 등 국민생활안전 긴급현안 해결 및 5G/6G와 新 융합산업과 연계하여 차세대

지능형 CCTV 기술경쟁력 확보

•� (표준) ITU-T, IEC 등 국제표준 기반의 지능형 CCTV 기술 개발 선순환 생태계 구축

민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글로벌 기술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수 기술이 국내외로 확산될 수 있는 시장 개척 등 생태계 조성

1 기술개발 전략

개인 사생활 침해 우려 없는 공공 CCTV 영상 데이터 활용 R&D 추진

모든 공공 CCTV 영상을 AI 학습용으로 전면 공개하기 위해, CCTV영상 내 개인정보는 철저히 비식별화되어 보호하되

AI 학습에는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온전한 AI 학습이 가능한 (복원불가형) 영상 비식별 기술 개발

* 전국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등 약 100만 대의 공공용 CCTV 영상 대부분이 AI R&D에 활용되지 못하고 30일 후에 자동 폐기되고 있음

국내 모든 영상 AI R&D와 산업에 공통 활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AI 학습가능한 개인영상보호라는 새로운

분야의 First Mover 기술 선도

공공안전, 新융합산업 등 긴급 현안에 활용 가능한 사회문제해결형 R&D 추진

국가안보 및 국민 실생활 안전과 관련된 사회문제(범죄, 재난·재해, 감염병, 디지털 성범죄 등)를 조속히 감지, 추적,

해결하기 위한 긴급 현안 해결 기술 개발

점점 은밀화·지능화·대형화되는 물리적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5G/6G와 융합하여 시·공간 제약을

극복하는 전지적(All-seeing CCTVs) 사회안전 AI 기술 개발

- 제한된 장소에 유선으로 고정된 CCTV 제약을 벗어나서 드론, 차량, 웨어러블 등과 연계·이동하며 스스로 위험을

찾아서 대응

현장에서 즉각 감지·대응이 가능한 엣지 AI CCTV R&D 추진

고속·고성능 보안지능이 내재화된 CCTV 디바이스를 통해 즉각적 위험 현장 자율대응이 가능한 엣지 AI CCTV 기술

개발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5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48

2 표준 확보 전략

국제 표준 기반의 기술 개발 선순환 생태계 구축

ITU-T, IEC 등의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한 리더십 확보

- ITU-T SG17 Q6에서 영상보안시스템의 보안 취약성과 보안 요구사항(X.strvms)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며, ETRI

중심으로 산업체 기술 반영이 필요

- IEC TC79 산하 WG12에서 영상보안시스템 표준화를 진행 중이며, 한국 대표단이 참여하여 적극 활동 중

국내는 TTA에서 PG427(CCTV)를 통하여 CCTV 장비의 기능 및 성능 표준, 관제 운영 표준, 표준적합/상호운용 표준 등

CCTV 기술 전반에 걸친 표준화를 추진 중

- CCTV 영상보안, 통신 주체 간에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 보안 등 표준 개발은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PG504)에서

추진이 필요

영상보안 업체들의 요구를 반영한 표준을 추진하고, 이와 연계된 표준 특허 확보로 글로벌 선도적 입지 확보

9. 차세대 휴먼/바이오 인식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 (기술개발) 언택트(Untact) 환경에 따른 안전한 원격 휴먼인식, 개인 바이오 정보보호 등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세대

휴먼 바이오인식 원천기술력 확보

•�(표준) ITU-T, ISO/IEC JTC1 SC37의 바이오인식 관련 표준을 준용하는 핵심 기술 및 서비스 기술 확보

민간 •�금융, 통신, 원격서비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신시장을 창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언택트(Untact) 환경 변화에 따른 비대면 보안강화, 상호 신뢰성 보장을 위한 모방불가형 상호 바이오 인증 기술력 강화

바이오 특징 정보의 불법 모방, 복제가 불가능하거나 Liveness Detection이 용이하여 비대면 언택트 서비스에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이오 신호 특징 검출, 인식 및 보호 기술 개발

일회성 기만에 의한 오인증을 방지하고 인증 실패에 따른 위험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다중 특징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식별·인증하는 지속 인증방식 추구

Page 5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49

사용자 중심 편의성 향상을 위한 바이오 인식 Usable Security 보장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가용한 바이오 정보를 자율적으로 선택해서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자율 제어가능한 멀티

모달기반 바이오 인증 기술 개발

사용자의 스마트폰, 전자여권, 또는 주민증과 연계하여 온라인 등록 및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실증 서비스 적용(금융,

통신, 출입국, 온라인 교육 등)

개인 사생활 유출 우려 없는 R&D 활용 바이오 데이터 생성 및 공유

개인 사생활 유출 우려로 인한 바이오 데이터 활용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Live 데이터와 동일한 특성과 품질을 갖는

AI 학습·시험용 바이오 데이터를 초대형 규모로 생성하고 공유하는 플랫폼 개발

생성된 초대형 바이오인식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기반의 인식 알고리즘이나 위변조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국내외 기술 표준을 준용하는 신기술 확보를 통하여 새로운 표준 확보

ITU-T 및 ISO/IEC의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 유지를 통한 리더십 강화

- ITU-T SG17 Q9에서 제정한 Telebiometric 서비스의 보안 취약성과 보안 요구사항에 대한 표준을 준용하는 신기술

개발 및 새로운 표준 제안

- ISO/IEC JTC1/SC37에서 제정한 바이오인식 데이터포맷 및 API 표준과 상호호환이 가능한 새로운 표준 제안

국내는 TTA의 PG505에서 바이오인식 시스템 및 서비스의 보안성 및 성능 기준에 관한 표준 유지보수 검토 및 신규

표준 개발이 필요

- EEG, ECG 기반의 실시간 바이오인식 기술 관련 데이터포맷 표준화 추진 중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5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50

10. 스마트공장 보안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제조 설비의 IT, OT 영역의 통합 및 상호작용하는 사이버·물리 시스템 기반 스마트공장 확산 보급으로 제조시설을 겨냥한 사이

버 공격에 대응하는 스마트공장 보안 기술 및 표준을 개발하여 보안성 강화

민간•�제조시설 내부 위협을 탐지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술과 AI 기반 이상행위 분석을 통한 선제적 공격 대응

기술을 개발

1 기술개발 전략

스마트공장 무중단 가동 보장을 위한 패키지형 R&D 추진

IT 영역과 OT 영역의 기술적 통합과 상호작용으로 인한 스마트공장 인프라의 보안 위협이 증대되고 있으나

보안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제조시스템의 부정적인 성능 영향에 대한 우려로 위협 방치*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계획(`16년 2,800개, `20년 10,000개, `25년 30,000개)에 따라 보안 기술 개발의 시급성과 스마트공장 新보안 시장 창출

침해사고 사후대응 및 IT 환경에 대한 사이버위협 방지에서 침해사고 사전대응 및 OT 환경에 대한 사이버위협

방지를 위한 기술 전환이 필요

- 제조 프로세스 침해사고 탐지 기술 확보와 제조 인프라에 적합한 선제적 보안 강화 기술 개발이 필수

스마트공장을 운영하는 제조사, 운영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 통신사 등과 연계한 공통 핵심보안기술 개발과

연구실증 중심 추진

2 표준 확보 전략

국제 표준 기반의 기술 개발 선순환 생태계 구축

IEC, ISA, NIST 등의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한 리더십 확보

- IEC62443 :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제조, 설계, 구현, 관리 등을 정의한 산업 자동 제어시스템 보안 표준화 진행 중

- NIST 800-82 : 제어시스템의 공통 시스템 토폴로지, 위협 및 취약성과 대응책 제시와 관리적/운영적/기술적

보안 권장 절차, 기준, 모범사례 등을 다룸

- ITU-T SG17 : 산업제어시스템 원격접속 보안 가이드라인(X.sg-rat) 표준 개발 착수

- ISA99 : 스마트공장 정보보호 인증 기준을 개발을 위한 표준화 작업 수행

국내는 KISA, 스마트공장추진단(중기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보안 문제 해결 및

중요정보의 안전한 보관·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표준 개발 필요

- 스마트공장 보안은 TTA 사이버보안(PG503),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PG504)에서 표준 개발이 필요하고,

스마트공장의 일반 구조, 절차, 인터페이스 등을 표준 개발하는 CPS 프로젝트그룹(PG609)과 협업 필요

- TTA 국내표준은 ITU-T SG17 등을 통해 국제표준으로 추진 필요

Page 5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51

11. 자율무인이동체 보안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사용자 생명 안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자율주행차, 드론 등 자율무인이동체에 대한 보안취약성 자동진단, 네트워크 및 데이터

보호 등 핵심 보안 기술 확보로 국민 생활안전 기반 구축

민간•�시장이 확대되는 자율무인이동체 전장부품 기술력 확보 및 세계 최고수준의 상용제품 개발을 통해 첨단 산업의 글로벌 시장 선도

기반 마련

1 기술개발 전략

안전하고 완전한 자율무인이동체 실현을 보장하는 단계별 보안기술 개발과 인프라 전체를 고려한 R&D 추진

인터넷 커넥티드 실시간 서비스(자율주행, 군집주행 등) 환경에서 사이버 안전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기·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 보안 기술 및 이용환경 전체를 고려한 통합보안기술 개발

서비스 및 기기 보안 취약성 분석 및 위협 대응 기술,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등 통합보안 관제기술, 기기 내 민감정보

보호기술 등의 R&D를 산·학·연의 협력 통한 국가 차원의 자율·무인이동체 보안기술 확보와 경쟁력 제고

2 표준 확보 전략

자율주행차 보안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선도 및 기여

국내 TTA 등 표준화 기구 통해 자율주행차를 위한 차량/교통 인프라 전체를 고려한 자율주행차 보안 프레임워크

차원으로 학계, 산업체, 연구기관들이 협업하여 국내 표준화 추진

- 자율주행차 보안 표준은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PG504)에서 표준 개발이 필요하고, 자율주행차의 기본구조,

주파수정책 등을 다루고 있는 ITS/차량 ICT 프로젝트그룹(PG905)과 협업 필요

- 5G 코어기술 및 응용표준을 개발하고 있는 5G 특별기술위원회(STC3)와 협업 필요

- ITU-T SG17 표준화 그룹은 현대자동차, ETRI, 카카오모빌리티, 고려대학교 등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어, 국내에서

개발된 고유기술이 실제 자동차 제조사 규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사전 조율 필요

- ITU-T SG17: X.itssec-4 - 차량 내부용 침입탐지(Intrusion Detection) 방법 표준, X.ipscv - 커넥티드 차량의

침입차단(Intrusion prevention) 방법 표준 등 자율주행차량에 적용가능한 차량 내/외부의 네트워크 보안 기술들에

표준화 아이템 발굴 및 지속 추진 필요

국내 무인이동체 보안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과 표준화 리더십 확보 필요

- TTA 드론시스템(PG428)과 응용보안 및 평가인증(PG504) 간에 협업이 필요

- 학계 및 연구계를 중심으로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식별과 인증을 위한 보안기술에 대한 핵심기술 확보 및

국제표준화를 동시에 추진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5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52

12. 스마트시티 보안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5G, IoT, AI 등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보안 기술은 정부의 주도하에 필수 요소 기술 및 표준 보안 프레임워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핵심 원천기술의 보급 필요

민간•�스마트시티 인프라를 구성하는 센서 등의 디바이스, 통합 운영 플랫폼, 서비스 운영기술 등에 가이드라인에 보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개발하고 시범 운영·실증 사업에 참여

1 기술개발 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자체, 국토교통부 등 스마트시티 추진 타 사업과 연계한 실증형 R&D 추진

4차위 스마트시티 추진전략(`18. 12)에 따라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이 기 추진되어 타 지자체·기관·시스템과 연계한

공통 핵심보안기술 개발과 연구실증 중심 추진

- 사이버보안 서비스는 예방단계의 보안으로 보안내재화 기반 조성을 위한 보안가이드 개발, 사전 시험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 보안위협 탐지 및 대응을 위한 통합관제

- 교통, 안전, 행정 등 스마트시티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고령화, 환경오염 등) 추진 시에, 정보유출방지 등

보안이 사회문제해결 기여하는 아이템 중심 기술 발굴

- 스마트시티 사업은 정부 주도로 수행되는 기반사업인 만큼,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시범도시 사업(세종, 부산 등)과

연계하여 스마트시티 보안 실증 개발 추진

Page 5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 분야

053

2 표준 확보 전략

국내외 스마트시티 관련 표준화는 중기 단계이며, 국내는 각 부처 소관분야별 표준화 대상이 상이하므로 관련

단체와 협력을 통한 보안 표준 개발 추진

* 범부처 4차 산업혁명위원회,“스마트시티 추진전략(`18.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ICT 기술표준 총괄), 국토교통부(스마트시티 구축 표준 총괄),

산업통산자원부(스마트시티 산업응용 기술표준 총괄)

스마트시티 보안 표준화 논의는 초기단계이므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 시범도시 구축 사업과 연계하여

보안 관련된 표준 아이템 발굴 추진 필요

- 스마트시티 관련 표준화는 ITU-T(SG20), ISO(TC268), JTC1(WG11), TTA, 스마트시티포럼 등에서 주로 가이드라인,

평가지표, 플랫폼 관련된 표준화가 추진 중

* 가이드라인(스마트시티 참조모델), 평가지표(성능평가지표 등), 플랫폼(통합관제, 데이터, 데이터 관리체계)

- ITU-T(SG17), JTC1(SC27), TTA TC5에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위한 정보수집·가공·활용기술 간 보안

인터페이스 등 표준 추진 중

- 스마트시티 표준화는 다수의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국내외 보안 표준화를 추진할 때 독립된 형태로

추진하기보다는 유사 코어기술들과 협업을 통한 추진 필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5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차세대보안·블록체인

ICT R&D기술로드맵2025

Page 5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6Ⅲ. 기술 발전 전망

112Ⅳ. 대상 기술 선정

060Ⅱ. 동향 조사 분석

056Ⅰ. 개념 및 범위

120Ⅵ. 기술 확보 전략

116Ⅴ. 기술로드맵

Page 5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56

1.개념 및 정의

(개념)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유한 정보 및 가치를 제3의 신뢰기관 없이 분산형 네트워크를 통해 기록·검증· 보관·실행하는 자율·신뢰 인프라, 시스템, 서비스 기술

모든 참여자(노드)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각각 보관하고,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해시기반으로 블록 처리하여 기록·보관·갱신

- 일정 주기*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생성한 후 이전 블록(block)들에 체인(chain)처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블록체인(blockchain)으로 명명

* 예를 들어 비트코인은 10분마다 합의과정(작업증명)을 통해 블록을 새롭게 생성

< 블록체인의 구성 형태 >

블록 0번(Genesis) 블록 1번 블록 N번

<헤더>

임의의 값 임의의 값 임의의 값

- 이전 블록 해시 값 이전 블록 해시 값

트랜잭션 해시 값 트랜잭션 해시 값 트랜잭션 해시 값

<바디> 트랜잭션(1…n) 트랜잭션(1…n) 트랜잭션(1…n)

블록체인은 ①탈중앙성, ②투명성, ③불변성, ④가용성 등의 기술적 특성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

- 데이터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던 기존 구조를 탈중앙식·분산식으로 전환하여 업무 효율화 및 사회혁신을

지향하며 가치의 인터넷(IoV) 실현 가능

* IoV(Internet of Value) : 인터넷으로 정보를 주고받듯이, 은행이나 정부 등 별도의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전 세계 모든 개인 및 기관이 자산(가치)을 교류

개념 및 범위 ICT R&D 기술로드맵 2025Ⅰ

Page 5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57

< 블록체인 기술의 4가지 특성 >

01 (탈중앙성) 중개자 없이 네트워크 내의 참여자가 공동으로 블록의 검증과 승인, 합의 등의 활동을 하며 만들고 관리

02 (투명성) 새로운 블록은 생성되는 동시에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어 공유되므로 참여자들 누구나 볼 수 있음

03 (불변성) 한 번 연결된 블록은 수정하거나 삭제하기 어려움

04 (가용성) 블록은 모든 참여자의 노드에 분산 저장되므로 그 중 어느 하나가 문제를 일으키더라도 전체 시스템은

그대로 유지

(범위)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장부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등 핵심 기반기술과 블록체인 시스템기술, 블록 체인 연동기술 등 확장기술, 그리고 타산업과의 연계·융합을 위한 서비스 기술을 포함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분산합의, 확장성, 신뢰성, 상호연동성 등 블록체인 핵심 기술 확보

블록체인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공분야 등 산업에 특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통한 타 산업과의 융합 촉진

< 블록체인 분야 개념도 >

Ⅰ. 개념 및 범위

Page 6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58

(발전단계) 분산장부 공유기술(1세대)을 시작으로 스마트계약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 시도되는 2세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로 발전

<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 단계 및 특징 >

1세대

(도입기)`09년 분산장부 공유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기반의 비트코인 등장 후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발행·유통이 주용도

2세대

(확산기)스마트 계약이 추가되어 이더리움 등 응용플랫폼 성격이 강화된 활용 사례가 등장,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확장

3세대

(자율형)

블록체인 데이터 전송 최적화 및 프라이버시 확보, IoT 등 다종 데이터 연동 처리,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성, 산업 및 실생활 블

록체인 적용 문제 해결

Page 6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59

2.기술분류(Technology Tree)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분산장부

기술

합의 기술 탈중앙화 합의 기술, 합의노드 운영 기술,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스마트계약 기반 기술, 스마트계약 외부인터페이스 기술, 분산앱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개인정보처리 기술, 사용자 주권 기술(DID)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분산저장 기술, 데이터 변경 기술, 데이터 최적화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 노드 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블록체인 OS 기술 리소스 관리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 블록체인 가상머신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블록 병렬처리 프로세스, 키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채널 관리 기능, 시스템 권한 관리 기술,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 암호키 관리 기술,

모니터링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도구, 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블록체인

연동 기술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시스템 연동기술, 타 기술 융합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이종 블록체인 트랜잭션 기술, 이종 블록체인 게이트웨이 기술, 이종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 연동기술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트랜잭션 분석 기술 트랜잭션 추적/규제 기술, 트랜잭션 검증/가시화 기술

산업융합 기술 플랫폼 서비스(BaaS) 기술, 응용 플랫폼 기술

신뢰성 검증 기술 블록체인 솔루션 검증 평가 기술, 블록체인 시험 기반 기술, 블록체인 시험 서비스 기술

Ⅰ. 개념 및 범위

Page 6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060

1.주요국의 정책동향

구분 주요 현황

한국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발표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한 대응계획(̀17. 11) 내 블록체인 분야 지원

계획 포함

- 금융·제조·유통 등 다양한 산업군에 공통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인프라 핵심기술 개발 추진(̀18~`20년) 및 미래사회 변화

대응을 위한 차세대 보안기술 투자 확대 및 사이버보험 활성화 등 기업의 보안투자 확대 유도

- 블록체인을 산업별 혁신 제품 서비스를 실현하는 주요 융합기반기술의 하나로 포함하고 관련 경쟁력 제고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신뢰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블록체인 기술발전전략’발표(̀18. 6)

- 기술개발 로드맵 마련 및 갱신 추진, 산업분야 조기 적용이 필요한 기술은 단기(̀18년~ ) 지원

- 서비스 확장 기술은 중장기적(̀20년~) 계획 하에 규모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초연결·비대면 신뢰 사회를 위한 블록체인 확산전략 발표(̀20. 6)

미국

•�사안별 검토를 거친 몇 가지 등록 요구 및 과세 지침이 제정된 상황으로 범국가적으로 일관된 정책/규제안은 정립 전이며 제도

정비 이전에 응용서비스 확산이 선행

- 연방정부는‘제4차 개방형 정부를 위한 국가전략’에 블록체인 기반 리포팅 시스템 활용을 명시하고 있으며 버몬트(̀16. 6),

애리조나(̀17. 3), 네바다(̀17. 6) 등 다수 주에서 블록체인 기술 기반 계약의 법적 효력을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등 응용

기반 조성 중

- 우정청은‘블록체인 기술: USPS의 활용가능성 모색’이라는 보고서에서 블록체인 기반 포스트 코인을 발표(̀16년), `16년, 텍

사스(Texas) 주와 유타(Utah) 주에서 공화당 대선후보 선정을 위한 전자투표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등 다수 공공서비스

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 국방부(DoD)에서는‘국방 디지털 현대화 전략’(̀19. 7)에 블록체인을 통한 통신부문의 개선 전략 계획을 포함, DARPA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해킹 불가능한 안전한 메시징 플랫폼 개발 지원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 제18차 공산당 정치국 중앙위원회에서 블록체인 플러스(Blockchain+)의 집중 분야 강조(̀19. 10)

- ①교육과 취업(자격확인, 인적자원관리), ②의료 및 양로(진료 기록 관리, 의료 데이터 주권), ③식품 안전(공급망 관리) 등 민생

과 관련된 분야

•�정부 주도의 중앙 블록체인 플랫폼 인프라 BSN(Blockchain Service Network) 상용화 시작(̀20. 4)

- 20년 말까지 중국 내 200개 도시에 노드 배치 계획

일본

•�금융청(FSA)은 기존 자금결제법의 규정 하에 있던 가상통화 관련 법안을 금융상품거래법과 연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

시작(̀18. 7)

- 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논의하기 위해 가상통화 거래업 관련 연구회를 열어 개선안을 모색 중이며, 금융상품거래법 연계안이

구체화될 경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상품 구성이 가능

동향 조사 분석 ICT R&D 기술로드맵 2025Ⅱ

Page 6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61

구분 주요 현황

독일

•�재무부 및 경제 에너지부 중심의‘블록체인 전략’발표(̀19. 9)

- ①디지털 신원관리, ②디지털 경제, ③에너지공급, ④공급 및 부가가치체인, ⑤물류 산업, ⑥소비자 보호, ⑦고등교육 증명서,

⑧공증보건, ⑨세관평가, ⑩차량유지 등 파일럿 과제 분야 정의

호주•�호주 정부는 국가차원의 블록체인 시행 방침인‘국가 블록체인 로드맵’발표(̀20. 2)

- ①수출관련 농업 공급망, ②신뢰할 수 있는 자격 증명, ③금융권 경쟁 구축 등 적용 분야 구체화

인도

•�인도 정부 연구소(NITI Aayog)는 국가 블록체인 정책 보고서인‘블록체인-인도의 전략’발표(̀20. 2)

- ①토지기록, ②의약품 공급망, ③신뢰할 수 있는 교육 자격증, ④의료 면역 관리 인프라, ⑤펀드 관리, ⑥보험(의료, 자동차 등),

⑦자동차 배터리 관리, ⑧유기농작물 관리 등 적용 가능 사례 정리

유럽

연합

(EU)

•�블록체인 기술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공동선언문 채택(̀18. 12)

- ①교육(자격확인, 학생관리), ②물류·유통, ③토지 등기 관리(전자문서), ④의료(진료 기록 관리) 등 전자정부 서비스 강화 및

행정부담 감소 분야 적용

경제협력

개발기구

(OECD)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새로운 디지털 전환에 대한 핵심요소로 보고 Going Digital Project의 2개 축으로 설정

- 블록체인 정책 센터 설립(̀19. 11), OECD 블록체인 원칙 수립(̀20) 예정

세계

경제포럼

(WEF)

•�기업의 목표 시나리오 안에서 분산원장기술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활용 툴킷(toolkit) 공개(̀20. 4)

- Redesigning Trust : Blockchain Deployment Toolkit

* 출처 :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ICT 표준화전략맵 ver2020,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2019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6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62

2.시장동향 및 규모

가 시장 및 주요기업 동향

세계시장

글로벌 기업의 블록체인 사업은 AI, IoT, 클라우드, 5G 등 타 ICT 기술과 블록체인을 융·결합하며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

- 기존 사업은 리눅스 재단의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활용하며 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가 주류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에 신기술을 결합하여 수익 창출 가능한 새로운 서비스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움직임 포착

< 글로벌 기업 블록체인 사업 동향 >

구 분 주요 서비스

IBM1)

•�클라우드, IoT, 5G, AI 등 최신기술과 블록체인 간 융·결합 기술에 관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플랫폼에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적용하는 형식의 블록체인-클라우드 간 잠재적 시너지 창출 강조

Google2)

•�구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빅쿼리(BigQuery)를 사용해 블록체인 ETL(Extract, Transform, Load)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수행 중으로 블록체인 데이터 검색에 활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도구개발 추진

•�체인링크(Chainlink)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빅쿼리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이행에 활용하는 등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제공 진행

MS3)

•�기업들이 AI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활용

•�애저 블록체인 데이터 매니저(Azure Blockchain Data Manager)를 활용하여 온체인 데이터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해주며, 데이터 이동 과정에서 AI, IoT 등과 결합

•�애저 블록체인 토큰 서비스를 활용하여 표준화된 플랫폼에서 토큰 생성 및 관리 기능을 구현하고 가상현실(VR) 소셜 플랫폼 시크(CEEK VR) 등의 로열티 제도에 접목

•�하이퍼레저 커뮤니티에 합류(̀19년 상반기)

ORACLE4)

•�기존 사업과 IT시스템 통합 과정을 간소화하고 새로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보급 가속화 추진

•�MS 애저(Azure)와 상호 연동성 강화, 하이퍼레저 패브릭 버전 1.3에 대한 지원 등 외부 연결성 강화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다른 데이터 리소스와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자 도구, ID 관리 및 데이터 통합 기능 제공

•�NITI Aayog(인도 정부 이니셔티브)와 파트너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가짜 약을 없애고, 공급망을 효율화에 참여하는 등 프로젝트 중심 참여

AWS5) •�아마존 관리형 블록체인(Amazon Managed Blockchain) 서비스 제공 중

•�하이퍼레져 패브릭 및 이더리움을 활용하여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1) IBM이 바라본 2020년 블록체인 5대 전망은, 인공지능신문, 2020. 2 2) Introducing six new cryptocurrencies in BigQuery Public Datasets-and how to analyze them, 2019.2 외 다수(cloud.google.com) 3) Azure blockchain service, 2020 (Azure Info Hub) 4) 제조 혁신 : 블록체인 도입 가치와 방향, ETRI Insight 2019-56 / Blockchain: Industry Adoption in Healthcare, 2019. 5, netscribes 5) Amazon Managed Blockchain (aws.amazon.com/ko/managed-blockchain/)

Page 6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63

국내시장

국내 주요 기업은 BaaS 중심으로 사업 전개 중이며, 핀테크,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에의 적용을 모색

- 주로 기업용 블록체인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서비스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단계

- 기존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BaaS 시장을 중심으로 블록체인의 효용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

가능성을 탐색 중

< 국내 기업 블록체인 사업 동향 >

구 분 주요 서비스

삼성SDS 1)

•�금융과 물류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BaaS 플랫폼‘넥스레져’에도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딜리버(Deliver)’를

별도 개발

•�IBM과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및 오픈소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활성화 위한 협력

•�거래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하이퍼레저 패브릭에 적용 가능한‘넥스레저 가속기(Nexledger Accelerator)’자체 개발, 깃허브

공개 계획

•�CES2020을 통해 넥스레저 기반 자동차 부품 관리 기술과 5G·에지컴퓨팅을 더한‘인텔리전트 팩토리’등을 선보임

KT2)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인 KT GiGA Chain BaaS를 출시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쿼럼(Quorum)의 개발 환경과

통합운영, 관제 기능을 제공

•�KT GiGA Chain은 특정 서비스 분야(금융, 인증, 자산관리)에 적용 가능한 공용 스마트컨트랙트를 API 형태로 제공하며, KT

클라우드 외에 외부 인프라 구축이 가능한‘단독 설치형’상품 제공

•�카드결제, 계좌이체 등 금융 분야 융합으로 부산시, 울산시, 김포시, 세종시 등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플랫폼 서비스

운영

•�KT GiGA Chain BaaS 기반으로 금융 거래, DID, 인증, 전자문서 관리, 에너지 거래,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사업

에 적용 확대

LG CNS3)

•�LG CNS는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모나체인(Monachain)’을 출시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 적용 중

•�한국조폐공사의 지역화폐 결제 플랫폼 착(ChaK), LG U+ 휴대폰 보험금 지급 시스템, 블록체인 제주도 폐배터리 유통, 전남

도 친환경 농산물 유통, 블록체인 기반의 세종시 자율주행, 식약처 수입식품 이력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확대 중

•�카카오의 그라운드X, 에버님(Evernym) 등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사업 확대 추진

그라운드X4)

•�카카오 자회사로 서비스형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Klaytn)을 개발

•�이더리움에 비해 탈중앙화를 약화시킨 대신 디앱(Dapp)에 필요한 실용성 강화하여 빠른 퍼블릭 블록체인 목표

•�메인넷 사이프러스(Cypress) 공개와 클레이튼 거버넌스 위원회 출범(2019. 6)

1) “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삼성SDS, 블록체인으로 美 공략[CES 2020], 서울경제, 2020. 1 / 삼성SDS, 블록체인 가속 기술 발표, 2019. 2. 2) “ KT, 6일 걸리던 쇠고기 이력 확인, 블록체인으로 10분 만에”, 머니투데이, 2019. 7 /‘종이 계약서는 그만!’KT가 블록체인 전자계약시스템을 선보입니다!,

KT, 2020. 2 /“KT 블록체인, 지역화폐·트러스트 비즈니스로 쌍끌이 나설 것”, 매일경제, 2019.12 3) LG CNS‘모나체인’, 카카오‘클레이튼’만나다, 파이낸셜신문, 2019. 11 / LG CNS, 글로벌 기업 에버님과 손잡고 DID 개발 나선다, 전자신문, 2020. 5 4) 그라운드X 대표 “이더리움·EOS와 경쟁할 것”, 더비체인, 2018. 9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6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64

나 시장규모 예측

(단위 : 세계시장 백만 달러, 국내시장 십억 원)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

블록체인세계 1,121 1,650 2,480 4,460 6,690 18,730 26,220 39,330 69.64%

국내 27 40 60 107 161 450 629 944 69.64%

* [세계시장]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8-2023, Mind Commerce

** [국내시장] 세계 시장의 2% 적용 (2019년 Rest of APAC 비중 준용)

전체 시장 전망

블록체인 기술시장은 `20년 24억 8,000만 달러 규모에서 `25년 393억 3,000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69.64% 성장할 전망

- (국외시장) 동기간 24억 3,000만 달러 규모에서 `25년 385억 4,3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국내시장) 동기간 60억 원 규모에서 944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

< 블록체인 분야 시장전망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

세계($M) 1,650 2,480 4,460 6,690 18,730 26,220 39,330 69.64%

국외($M) 1,617 2,430 4,371 6,556 18,355 25,696 38,543 69.64%

국내(십억 원) 40 60 107 161 450 629 944 69.64%

주 1) 국내 시장은 세계 시장의 2% 적용 (2019년 Rest of APAC 비중 준용)

2) 환율 : $1=1,200원 적용

3) 세계시장 전망은 Mind Commerce 추정치 활용

*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상세 시장 전망

(유형별) `20년에는 시장內 퍼블릭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보이나, `25년부터 컨소시엄/하이브리드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전망

- 퍼블릭 블록체인의 시장 규모는 `20년 10억 9,100만 달러 규모(전체대비 44%)에서 `25년 149억 4,500만

달러(전체대비 38%)로 연평균 65.55% 성장할 전망

- 컨소시엄/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시장 규모는 `20년 10억 1,700만 달러 규모(전체대비 41%)에서 `25년 169억

1,200만 달러(전체대비 43%)로 연평균 71.00% 성장할 전망

-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시장 규모는 `20년 37억 2,000만 달러 규모(전체대비 15%)에서 `25년 74억 7,300만

달러(전체대비 19%)로 연평균 76.46% 성장할 전망

Page 6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65

< 블록체인 유형별 시장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퍼블릭 726 1,091 1,918 2,877 7,679 10,488 14,945 65.55%

컨소시엄/하이브리드 677 1,017 1,873 2,810 7,867 11,275 16,912 71.00%

프라이빗 248 372 714 1,070 3,184 4,457 7,473 76.46%

*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솔루션별) `20년, 기반솔루션 시장(44%)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응용솔루션(33%), 미들웨어솔루션(15%),

서비스 제공 솔루션(8%) 순의 비중

- ` 25년까지 큰 비중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되나, 타 부문 대비 서비스 제공 솔루션(88.38%)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

- (응용 솔루션) `20년 8억 1,800만 달러에서 `25년 141억 5,900만 달러로 연평균 72.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비금융 부문(74.55%) 성장률이 금융부문(68.61%)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

- (기반 솔루션) `20년 7억 2,600만 달러에서 `25년 149억 4,500만 달러로 연평균 65.5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이 `20년 2억 4,000만 달러에서 `25년 55억 3,000만 달러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

- (미들웨어 솔루션) `20년 3억 7,2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61.10% 성장하여 `25년 43억 2,6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서비스 제공 솔루션) `20년 1억 9,8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88.38%로 타 부문 대비 빠르게 성장하여 `25년 5억

9,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솔루션별 블록체인 분야 시장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CAGR응용 솔루션 545 818 1,472 2,208 6,181 9,439 14,159 72.12%

금융부문 234 344 603 905 2,472 3,681 5,380 68.61%

비금융부문 310 475 868 1,303 3,709 5,758 8,778 74.55%

기반 솔루션 726 1,091 1,829 2,743 7,679 9,964 14,945 65.55%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 160 240 402 768 2,150 3,388 5,530 80.53%

프로세싱 솔루션 276 415 695 823 2,304 2,192 2,840 47.49%

통신 솔루션 116 175 293 302 845 1,395 2,092 61.91%

보안 프로토콜 솔루션 174 262 439 850 2,381 2,989 4,484 71.82%

미들웨어 솔루션 248 372 624 937 2,622 2,884 4,326 61.10%

블록체인 API 124 186 312 468 1,272 1,356 2,033 59.45%

암호화 솔루션 101 153 256 384 1,049 1,125 1,687 59.76%

연동 솔루션 22 33 56 84 302 404 606 73.40%

서비스 제공 솔루션 132 198 535 803 2,248 3,933 5,900 88.38%

합계($M) 1,650 2,480 4,460 6,690 18,730 26,220 39,330 69.64%

*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6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66

3.기술 및 표준화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분산장부 기술

1 합의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탈중앙화 합의기술) 전체 참여노드가 공평한 합의 기회 획득과 비잔틴 제어가 가능하여야 하나, 기존 PoW, PoS와 같은 비허가형 합의기술의 성능 및 과다 자원소모 한계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응용 또는 변형시켜 적용하는 수준- 아이콘루프의 루프장애허용(LFT; Loop Fault Tolerance), 루니버스의 권위증명(PoA; Proof of Authority), 심버스의 심센서스(SymSensus),

아르고의 비잔틴 장애허용 위임지분증명(BFT-DPoS) 등과 같이 탈중앙화 개념을 약화하고, 기존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 국내에서 확인되는 사례는 ETRI가 `18년부터 시도하는 난수기반 합의 메커니즘 적용 방식인 PoN(Proof of Nonce) 등에 불과

•� (합의노드 운영기술) 합의를 위하여 공평하게 선택된 노드에서 합의가능한 최소노드 구성 및 합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기술로 기존 PBFT와 같은 허가형 합의기술을 거의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노드 증가 시 과다비용 한계- 국내에서 확인되는 사례는 ETRI가 `18년부터 시도하는 PoN 기반 분산합의 기술 등에 불과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 기술) 일부 시도는 있으나 아직 단순 성능향상 및 응용 수준 연구- 대규모 노드환경에서 블록체인의 한계인 처리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국내의 경우, 미디움의 BPU 등 일부기능을 하드웨어

(chip)화하여 단순 성능 향상 수준- IoT와 같은 사물네트워크에서도 합의가 가능한 초경량/저전력 분산합의 기술로 국내의 경우, LG NB-IoT 합의 기술, 더블체인 균형

작업증명(ePoW; equilibrium Proof of Work)은 PoW 기존 기술의 응용 수준

국외

•�(탈중앙화 합의기술) 전체 참여노드가 공평한 합의 기회 획득과 비잔틴 제어가 가능하도록 탈중앙화와 보안성 동시 제공을 목표로 연구 개발하는 수준- 알고랜드의 경우 암호화기법 기반 노드 선택(VRF; Verifiable Random Function 등)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실용화 연구를 추진하

는 수준이나 합의 비용이 과다한 한계 등- 다양한 탈중앙화 합의기술을 새로운 방식으로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플랫폼과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수준

•�(합의노드 운영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합의노드가 증가하더라도 높은 트랜잭션 처리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합의노드 운영 기술이 연구되고 있음- BFT계열 합의 알고리즘(PoA-BFT, PoET-BFT, PBFT 등)에서는 높은 통신 비용으로 인해 합의노드가 수백 개로 제한된 환경에서

수천 TPS의 성능을 제공함- 대규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도 높은 트랜잭션 처리율을 제공하기 위해서 TxDAG, BlockDAG, Algorand, Bitcoin-NG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대부분 확률적으로 블록의 완결성을 보장하고 있는 수준임

•�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 기술) 대규모 노드환경에서 블록체인의 한계인 처리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이더리움 플라즈마,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및 질리카 샤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함- IoT와 같은 사물네트워크에서도 합의가 가능한 초경량/저전력 분산합의 기술로 IBM의 ADEPT(Autonomous Decentralized Peer-to-

Peer Telemetry)와 IOTA의 Tangle 등이 있으나, 검증 및 지연시간이 수분 이내로 연구개발 수준으로 실제 IoT에 적용가능한 분산합의 기술 연구개발 수준

Page 6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67

2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스마트계약 기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로 해석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계약의 정확성

을 높이고 사용자 요구사항 만족을 위한 노력

- 특히,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정형검증(Formal Verification)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컨트랙트 정형 검증이 진행

- 사용자 가독성을 위하여 사람이 사용하는 자연어 또는 형식화된 양식에 따른 사용자 요구사항(리카르디안 컨트랙트; ricardian

contract)을 스마트 컨트랙트와 매칭하는 연구가 진행

-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코드 저장소(repository) 운영과 지능형 코드 처리(retrieve) 기술 연구가 진행

•�(스마트계약 외부인터페이스 기술)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하는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

-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완성하는 연구와 자연어를 자동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로 변환하려는 시도

- 인공지능을 도입하여 보다 편리한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려는 노력 중

- 스마트 컨트랙트가 계약으로 해석되어 기존 서면으로 제공되는 계약서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분산원장 응용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해석

- 스마트 컨트랙트 순수 연구 분야인 전자 계약의 프로세스 자동화와 이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법적 요건 만족을 위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상태

•�(분산앱 기술) 블록체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여러 시범 사업과 개념검증 사업을 통해 분산앱 안정성을 평가

- 금융권에서는 20여 개의 은행과 증권사의 컨소시엄을 통해 다양한 금융거래에 분산앱 적용 중이며, 특히 해외 송금과 물류 정보

이동에 많은 시도

국외

•�(스마트계약 기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의 법적 구속력(Legally Binding)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스마트컨트랙

트의 정확성과 가독성이 연구 중

-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확성은 모델 기반연구에서 실제 동적 코드 분석 연구로 변화, 소스코드 단계와 바이트코드 단계 분석이 모두

이루어지는 중이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머신러닝 코드 분석 연구가 시작

- 가독성을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를 통한 자동 스마트 컨트랙트 생성 기술과 역공학을 통한 바이트 코드가 원래 의도와 일치하는지

를 확인하는 기술이 연구 중

•�(스마트계약 외부인터페이스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의 사용자 편의성과 더불어 실제 물리적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일치를 분석하는

외부 오라클(oracle) 접근 기술이 연구 중

- 인공지능을 통한 외부 정보 오라클의 신뢰성을 측정하려는 노력 중

- 개인 프라이버시를 위한 영지식증명 기술의 스마트 계약 활용과 블록체인 상호 연동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가 연구와 실행의 효

율성연구와 동시성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 중

•�(분산앱 기술) 증권거래, 결재송금, 투자대출, 상품거래, 신원관리, 공증/소유권, 전자 투표 등 다양한 분야의 분산앱이 개발되고 시험 중

- 특히 IBM, Microsoft, Amazon, Oracle 등은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블록체인 서비스에 여러 분산앱을 제공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7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68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3 프라이버시 보호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개인정보처리 기술) 국내에서 개인정보처리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곳은 많지 않으며, ETRI에서 사용자와 발행인의 익명성을 보장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

•�(사용자 주권 기술) DID 관련 협의체 구성하여 상용화를 위한 노력 진행 중

-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MyID 얼라이언스’는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 규제샌드박스를 지정받아, 은행 계좌 개설이 가능한

수준의 금융실명증 발급이 가능한 DID 플랫폼 및 서비스 개발 중

- SK텔레콤이 주도하는‘이니셜 DID’는 통신3사가 포함된 것이 특징이며, 성적증명, 졸업증명, 모바일 전자증명 등의 서비스를 위주

로 개발 중

- 라온시큐어가 주도하는‘DID 얼라이언스코리아’는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신원인증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글로벌 인증 표준화

와 국내 표준 DID 보급 및 확산을 주도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함

국외

•�(개인정보처리 기술) 사용자 익명성, 스마트 컨트랙트에서의 데이터 보안, 트랜잭션의 주요 내역을 숨기기, 온체인 데이터 암호화 등

을 위한 개인정보처리 기술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적용되고 있음

- 영지식증명 방식의 사용자 익명성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ZCash, Zerocoin 등 일부 블록체인에 적용

-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영지식증명 기반 익명성 제공을 위한 Identity Mixer(Idemix) 기능을 제공

- 이그니마(Enigma)는 sMPC(secure multi-party computation)를 활용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계산

할 수 있는 시크릿 컨트랙트(Secret Contract)를 제공

- Bytecoin, Monero에서는 Ring Signature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을 보내는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없게 함

- 온체인 데이터 암호화를 위해서 ABE(Attribute based Encryption), HE(Homomorphic Encryption) 등의 기술이 연구 중임

•�(사용자 주권 기술) 신원 확인/인증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

- Sovrin Foundation에서는 하이퍼레저 인디(Indy) 기반 신원인증 프로젝트 Sovrin 개발 중

- Linum Labs에서는 이더리움 기반 신원확인 시스템 uPort 개발 중

- Shocard에서는 비트코인 기반 신원인증 서비스 제공 중

- Civic은 이미 존재하는 ePassports와 같은 eID 문서에 의한 identity proof를 제공하는 방식의 Identity application 제공 중

-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Digital Bazaar는 웹상의 신원증명에 특화된 블록체인을 개발하고 있으며 DID와 Verifiable Credential을 이용

한 신원증명 기능을 제공하고 De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 기능을 통해 Verifiable Profile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함

-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록체인 기술과 DID를 이용해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신원인증 플랫폼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생태계는 총 7

개의 혁신으로 구성되며 DID 어플리케이션, 분산화 시스템, DApp을 이용한 서비스 등이 이에 포함됨

- 네덜란드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여권과 신분증, 예금증명서 등을 하나의 ID로 통합한 디지털 신분증을 개발하고 있음

- W3C에 등록된 DID Method는 총 52개 (2020년 3월 기준)

Page 7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69

4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국내에서 블록체인 상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곳은 많지 않은 상황

- 마크애니에서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유통을 위한 온-오프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 중이나 온-체인 상의 저장은 아님- KT에서 2017년부터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저장 서비스인 EDMS를 개발 중으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은 대부분 트랜

잭션 향상을 목표로 진행 중이며, 주로 금융권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 요구 성능을 목표로 개발 중임

•�(분산저장 기술) 국내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곳은 거의 없음

- 국내에서는 KT와 현대카드사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연구를 진행 중임

•�(데이터 변경 기술) 국내 블록체인 활용한 데이터 저장 기술은 데이터 수정 및 삭제 불가능(비가역성) 블록체인의 특성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주로 기술 개발 중

-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 변경기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KT가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데이터 관리 및 기록할 수 있는 EDMS를 개발 중

•� (데이터 최적화 기술) 국내 블록체인 개발 업체인 UPXIDE는 블록체인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사이드체인을 활용한 스케일링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음

국외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 인메모리 DB, 분산 DB 등 기존 DB와 결합을 통한 대용량 블록체인 블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다양한 시도 중

-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에서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제하여 인메모리 DB에 저장한 후 오프체인 분석하는 BlockSci 기술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오프체인 스토리지로 활용하여, 블록 안에 저장된 데이터가 데이터의 추가 속성뿐 아니라 주소 링크와 같은 공통 태스크를 통합시킬 수 있는 고성능 체계 갖춤

- 유럽은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위에 분산 SQL 데이터베이스인 Catena를 개발- 캐나다 워털루 대학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에 다양한 최적화 방안을 적용하여 초당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20,000TPS 까지 향상시킨

블록체인 스토리지 엔진인 FastFabric을 개발

•�(분산저장 기술) 저장공간 분리, 저장공간 제공 보상, 내용 기반 접근 등 분산저장 기술 연구

- 독일의 BigchainDB는 노드와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대용량의 블록체인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사용하는 특징을 지님

- 미국의 Storj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하여 블록체인 기술과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를 융합한 플랫폼으로, Storj는 컴퓨터의 잉여 저장 공간을(Storage)를 빌려주고 스토리지 코인을 받을 수 있고 스토리지 코인을 지불하여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컴퓨터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Storj를 이용하여 맡기게 되는 파일은 암호화 과정을 거쳐, 불특정 개인의 하드 디스크에 변조 불가능한 상태로 저장하게 함

- IPFS(Inter Planetary File System)는 인터넷 상에서의 데이터 정보 교환에 대한 프로토콜 HTTP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웹 분산화를 구현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기반 오픈소스 프로토콜로서 기존 HTTP가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Location)로 접근했다면, IPFS는 특정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내용(Contents)으로 접근 가능하게 함

•�(데이터 변경 기술)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 및 변경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기관은 많지 않음

- 최근 IBM은 bcBIM model을 제시하고 블록체인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빅데이터 모델을 제시하였음(2019년 6월 기준)

•�(데이터 최적화 기술) 데이터 압축 등 방법으로 트랜잭션 데이터 최적화 시도 중

- 이더리움의 ZK-SNARK는 오프-체인은 압축하여 실제로 트랜잭션 속도까지 향상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이후 롤업, 사이드체인 등의 기술개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7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70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5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개선을 위한 프로토콜 연구는 초기 수준

- 2019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KT가“블록체인간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지연 문제 해결”과제를 연구 중으로, 블록체인 정보 전

파 지연 성능 병목(Bottleneck) 분석 연구, 블록체인 오버레이 네트워크 저지연 프로토콜 기술 개발, 다종 블록체인 지원 피어 노드

추천 기술 개발, 다종 블록체인 지원 블록 전파 릴레이 노드 기술 개발을 진행

•�(노드 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일부 프로젝트에서 초기 연구 단계 중

- 클레이튼의 경우 확장성을 위해 메인체인에 서비스 체인을 별도로 유지하며 코어 셀 네트워크와 엔드포인트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

스 체인을 연결하고, 컨소시엄의 노드의 위치 및 스펙을 관리하여 블록 생성 타임 1초를 유지

국외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을 중심으로 개선을 위해 노력 중

- 비트코인의 경우 트랜잭션을 이미 가지고 있는 노드들에게도 트랜잭션을 모두 포함한 블록이 항상 전파되는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블록 사이즈를 줄이면서 필요한 데이터만 전송하는 최적화가 진행 중이나, 커뮤니티에서 받아들여지는 속도는 느린 상황임

- 라이트 클라이언트(light client)의 경우 모든 블록을 다운받고 검증하지 않아도, 관심있는 트랜잭션들을 받아볼 수 있으며, 블룸필터

(bloom filter)를 통해 새로운 블록이나 트랜잭션을 풀 노드로부터 전달 받음

- 이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문제, 중요 데이터를 생략 하는 문제, 악의적인 필터에 대해 I/O나 CPU 리소스를 과다하게 점유하는 문제

등이 있어 해결 중에 있음

- 이더리움의 경우 라이트 클라이언트(light client)를 위해 LES(Light Ethereum Subprotocol)을 운영하며, 블록 헤더만 다운로드 받고, 나

머지 부분은 필요에 따라 쿼리함

- 라이트 클라이언트는 합의(consensus)에는 참여하지 않으며, eth/63에서는 상태(state)를 빠르게 동기화(“fast sync”)하는 기능이 있

어 모든 트랜잭션을 실행시키지 않아도 상태를 재구성 가능

- eth/64에서는 ForkID 기술로 블록체인을 동기화 시키지 않고도 노드 간의 호환성을 결정 가능

•�(노드 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이더리움,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중심으로 개선을 위해 노력 중

- 이더리움의 경우 노드 발견 프로토콜(discv4)로 P2P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를 발견하며, 최근 v5 버전에서는 토픽 광고(topic

advertisement), 임의의 노드 메타데이터 저장 및 릴레이 기능, secp256k1 이외의 다른 크립토 키로 노드 확인 지원, 시스템 클락

(clock)에 대한 의존성 제거, 수동적 관찰자(passive observers)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보안 강화 중

- 이더리움 노드 간에는 TCP 기반의 RLPx 프로토콜을 사용함

-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허가형 프라이빗 블록체인(Permissioned Private Blockchain)의 형태를 가지므로, 인증 관리 시스템에 의해

허가된 사용자만이 네트워크에 참여 가능

- 노드들의 접근 권한은 채널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의해 관리되며 그룹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체로, 한 네트워크 안에 여러

별개의 채널이 존재하여 채널을 통해 데이터 분리 및 기밀화가 가능함

-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채널마다 독립적인 원장을 가지게 함으로써 목적에 맞는 사용이 용이하며, 노드 그룹들이 각각 별도의

채널을 통해 상호 통신하며, 관련된 원장만 저장하면 되므로 블록체인의 전체 크기를 줄임

Page 7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71

6 블록체인 OS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리소스 관리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자원 최적화 기술, 시스템 자원 관리/통제/보호 기술에 대한 국내 연구개발 동향 없음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 블록체인 상에서 고성능, 신뢰기반의 분산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OS 시스템 기술을 지원하는 언어를 통한

OS 기반 블록체인을 구축

- 블록체인과의 고성능, 신뢰기반 통신을 위한 시스템 언어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언어(Go, C, C++, Assembly, Web Assembly 등)

지원

- 신뢰성, 병렬처리, 고성능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수준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

- 아이콘루프는 Python을 사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성능 향상을 위하여 Go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을 개발하였음

•�(블록체인 가상머신) 주로 글로벌 기업이나 컨소시엄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활용

- 클레이튼(Klaytn)의 KLVM 등 플랫폼 보유 업체에서는 이더리움 EVM 기반의 가상머신을 파생시켜 호환성을 유지시키면서도 일부

차별성(Gas 비용 등)을 갖도록 개발 중

국외

•�(리소스 관리 기술) 블록체인이 단순 거래에서 분산 어플리케이션(DApp)을 수용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발전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의

실시간 수용을 위해 Layer 2 기술을 통한 데이터 분산 및 공유, Multi-threading 기반 트랜잭션 병렬처리 기술 등의 필요성 증대

- EOS는 병렬처리에 대한 연구목표는 발표하였으나, 아직 개발 결과물은 없음

-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채널 구조를 통해 논리적인 노드 구성이 가능하여 다수의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으나,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병렬처리 기능은 제공하지 않음

- 이더리움은 하나의 main 블록체인에서 모든 DApp의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다수의 Child chain에서 각각의 DApp 데이터를 분산

하여 처리한 후 최종 결과값만 main(parent) chain에서 처리하는 플라즈마(Plasma) 기술 개발 중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는 오픈 OS 또는 기존 OS(Windows, Linux, OSX 등)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터페이스를 위

한 시스템 언어를 기반으로 고성능,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음

- 역사가 깊고 다수의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는 C++을 이용한 블록체인은 비트코인(Bitcoin), 라이트코인(Litecoin), 이오스(EOS), 리플

(Ripple) 등이 있음

- Microsoft가 개발한 C#을 시스템언어로 사용하는 블록체인은 스트라티스(STRAT), 네오(Neo), 아이오타(IOTA)등이 있음

- 그 외에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고(Go)언어, 이더리움(Ethereum)은 C++와 고(Go)언어로 개발

- 솔리디티(Solidity)와 같은 절차형 언어의 버그에 취약한 점을 개선하고자 함수형 언어를 새로 개발하는 프로젝트 Zilliqa(Scilla),

Kadena(Pact), Tezos(Ocaml) 추진 중

•�(블록체인 가상머신) 스마트 컨트랙트의 바이트코드(bytecode)를 실행하고 하드웨어와 독립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 스마트 컨트

랙트를 수행한 기기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결과를 보장할 수 있으며 명령어 수행에 따른 수수료 책정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 중

- 이더리움 가상머신(EVM)은 컴퓨터 아키텍처나 시스템 성능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 결과가 동일해야 함에 따라 기능과 최적화를 제

한한 가상머신을 사용함으로써 성능이 느린 단점을 개선하고자 웹어셈블리(WASM)을 적용한 eWASM을 개발 중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7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72

7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블록체인 프로세서 기술) 미디움(Medium)의 BPU(Blockchain Process Unit) 내장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 MDL(MEDIUM

Distributed Ledger) 시리즈 개발 외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합의 병렬처리 프로세스 개발 사례 부족

- 대부분의 경우 소프트웨어 기반 블록체인 구현 및 소프트웨어 단계에서의 성능 개선을 추구하고 있는 상황

•�(블록체인 병렬처리 프로세스 기술) 일부 기관에서 디바이스 중심으로 시도 중

- 국내에서는 보스체인에서 블록체인 병렬처리 칩을 개발하겠다는 의사표현이 있었던 이후에 실체화된 사례가 없음

- 미디움은 삼성SDS의 넥스레저를 고속화하기 위한 SIGNING + VERIFYING의 병렬화를 시도

•� (키관리 시스템 기술) 대부분 HW 기반의 콜드 웰릿(cold wallet) 솔루션이며, 기존 HSM(Hardware Security Module) 장비를 통한 키 라

이프사이클 관리를 하고 있는 수준

- 블록체인 키 관리 전용의 기능보다는 범용적인 HSM 기능을 활용한 키 생성, 보관, 삭제, 인증 기능 수행

국외

•� (블록체인 프로세서 기술)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보다는 기존 Intel CPU에 구현된 보안 기능을 사용한 소프트웨어 가드 확장(SGX,

Software Guard Extension)방식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에서의 인증, 키 보호 및 스마트컨트랙트 보안 기능 개발이 대다수임

- 에니그마(Enigma) 프로젝트는 SGX를 사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프로토콜 개발

- 미국 Accelor는 하드웨어 전용 CPU 제조 회사로 BPU와 유사한 기능 제공하고 있으며,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속도를 높이고 추가적

인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칩 개발

•� (블록체인 병렬처리 프로세스 기술) 국외도 병렬처리 프로세스 연구는 초기 단계

- 미국 국방성의 자금 지원으로 무인기들의 통신을 블록체인화 하는 사업을 SKYNET이 수주한 바 있고, 이를 대중적인 IoT 칩으로 내

놓으려 하고 있으나, 이는 범용적인 블록체인 칩이 아닌 통신 영역에 한정된 역할

- 일본 NEC에서는 18년 CPU 기반 방식으로 TEE를 통해 노드간 합의를 형성, 필요한 통신을 줄여 노드 200개를 통해 초당 10만 건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입증

•�(키관리 시스템 기술) 스위스 취리히의 보안 시스템 공급업체인 Securosys는 HSM 자체가 블록체인 노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

형태의 블록체인 HSM(Hardware Security module) 개발

Page 7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73

8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채널 관리 기능) 국내 하이퍼레저 기반 플랫폼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 제공하는 기능 사용

- LG CNS의 모나체인(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은 Fabric Weaver가 블록체인의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설정/관리 기능뿐 아

니라 멀티클라우드 자동 프로비저닝 기능 제공

- 삼성SDS의 기업용 넥스레저 유니버설은 블록체인 채널에 대해 모니터상세 설정/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고, 멀티클라우드 지원도 가능

- KT의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Giga chain BaaS(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서비스를 통해 채널관리 자동화를 제공하나, KT클라우드

기반을 중심으로 지속적 기술개발을 진행

- SKT는 스톤이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하여 DID에 집중하고 있고,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채널관리 기능을 사용

•� (시스템 권한 관리 기술) 국내 기업은 블록체인의 peer 또는 Orderer 속하는 조직의 속성을 관리 할 수 있고, 네트워크의 Configuration

을 설정 가능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 블록체인 내 사용자 계정의 권한을 등록/삭제하는 기술로서 국내 주요 솔루션 플랫폼 제공사는 하이퍼레

저 패브릭 기반의 제공

•�(암호키 관리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키 관리 기술은 외부장비를 통한 키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하고 있는 수준으로 범용적인

HSM 기능을 활용한 키 생성, 보관, 삭제, 인증 기능 수행

•� (모니터링 기술) 국내 블록체인 플랫폼의 모니터링 기술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각 노드별 개수, Peer 상태 채널별 블록 정보 조회

등이 가능

- 특히 네트워크의 노드별 속성 및 관계 Map 조회 등이 제공되고 있음

국외

•�(채널 관리 기능) 채널 관리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와 타 서비스와 연계 등도 진행

- IBM은 Blockchain Platform V2.0을 준비하고 있고, 클라우드 벤더의 컨테이너 서비스와 연결 계획을 발표하였고 향후 다양한 멀티

클라우드 내에 블록체인 채널관리를 자동화

- AWS는 QLDB(Quantum Ledger Database)와 AMB(Amazon Managed Blockchain) 두 가지 서비스를 출시하였으나, 채널 관리 등은

지원이 되나 멀티 클라우드 간 채널자동 설정은 미지원

- MS사도 Azure Blockchain Workbench(관리서비스)를 통해 채널 관리

•�(시스템 권한 관리 기술) 블록체인의 peer 또는 Orderer 속하는 조직의 속성을 입력 및 관리 할 수 있음

- IBM/Orac le/Kaleido는 Organization별로 권한관리가 가능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 블록체인 내 사용자 계정의 권한을 등록/삭제하는 기술

-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은 사용자의 계정과 권한을 채널/조직별로 부여하고, 모니터링하고 계정의 권한을 삭제할 수 있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나, 기술의 성숙도나 레퍼런스는 블록체인 플랫폼별로 차이가 있음

•�(암호키 관리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의 암호키 관리 기술은 외부장비를 통한 키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하고 있는 수준

- 블록체인 키 관리 전용의 기능보다는 범용적인 HSM 기능을 활용한 키 생성, 보관, 삭제, 인증 기능 수행

- 소프트웨어(SW) 방식의 키 관리 기술도 있으나, 하드웨어(HW) 방식보다 속도 등의 이슈 존재

•�(모니터링 기술) 하이퍼레저 패브릭 계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업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각 노드별 개수, Peer 상태 채

널별 Block 정보 조회 등이 제공 중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7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74

9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국내 주요 기업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통해 개발자 표준, 공통모듈 재사용성, 개발 가이드, 향후 유지보수

성 등을 제공

- LG CNS는 모나체인이라는 블록체인 플래솜을 출시하여, 블록체인의 개발/유지보수 강화를 위한 기술로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제공

- 삼성SDS은 넥스레저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하여 서비스를 진행 중에 있고, 딜리버라는 상호운용성(넥스레저와 이더리움 연

결)을 지원하는 플랫폼도 지원하고 있음

- KT는 클라우드 기반의 GiGA Chain BaaS, 블록체인 기반의 IoT 보안,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음

- SKT는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 신원인증(DID) 플랫폼에 집중하고 있음

- 현대BS&C는 Hdac라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하여 IoT 플랫폼과의 융합서비스에 집중함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도구) 국내 주요 기업(LG/삼성 등)은 개발/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해 개발지원 도구를 제공하는 등 글로벌 벤

더 대비 각사의 경쟁력으로 제안 중

- 아직은 기본적인 수준으로서 추가 기술 개발이 필요한 사항임(예: 개발자의 개발 표준, 가이드, 재활용성, 유지보수성, 가용성 제공,

커넥션 풀 관리 등 제공)

- 향후 엔터프라이즈 기능이 더 보강되어야 하고, 또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 기반의 개발도구도 추가 개발이 필요

- LG CNS는 모나체인이라는 이름으로 개발/유지보수 강화를 위해 개발도구를 제공하고 있고, 삼성은 넥스레저의 기능에 공통비즈

니스 기능을 모아 API형태로 제공

•�(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국내 업체는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개발도구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테스트 수준은 PoC 수준

- 향후 스마트 컨트랙트가 복잡해지고, UI/UX, 외부연계, 오프체인 API 등을 고려하여 기능요건에 대한 테스팅이 자동화 될 수 있는

도구 등이 필요

국외

•�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블록체인의 체인코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개발 시 필요한 표준과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

- 특히 공통으로 사용하는 모듈의 재활용성을 지원하고, 향후 안정적 유지보수도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지칭함

- 일부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는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지속적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나, BaaS

서비스를 지향하는 Oracle, AWS, MS, Kaleid 등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음(최근 BaaS서는 블록체인 IaaS 수준임)

- 아마존은 분산원장시스템인 QLDB와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의 AMB 형태의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BaaS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음

- MS사도 Azure Blockchain Service, Solution Template(네트워크 생성), Azure Blockchain Workbench(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인

증, API G/W, 키관리 분석서비스 등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계 등을 지원하고 있음

- SAP HANA와 블록체인 생태계 간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에 중점을 두고 있음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도구) 엔터프라이즈 대상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나 개발 지원도구는 부족한 상황임

- IBM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확장기능으로 개발/테스트 환경과 테스트넷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타 글로벌 업

체도 IBM 이상의 수준을 보이고 있지 않음

•�(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글로벌 업체도 개발도구에서 구현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소스 디버깅, 컴파일, 실행 등을 할 수 있

도록 제공되는 수준

- 기존의 개발도구나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의 테스팅, Inspection 도구, 비기능테스트 도구 등은 기존의 도구를 활용하여 진행 중

Page 7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75

블록체인 연동 기술

10 블록체인 상호운용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블록체인 상호운용기술)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간 연동을 위한 인터체인은 인터체인 재단(Interchain Foundation)을 통해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인터체인 표준(Interchain Standard)에 기반하여 상호 연동성을 확보

- 코드박스는 재사용 가능한 모듈들을 조합해 블록체인 플랫폼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코드체인 파운드리 프로젝트와 네트워크의 정지

없이 모듈 단위로 신규 기능 추가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다른 네트워크와 상호 운용이 가능한 인터체인 및 확장성을 갖춘 디지

털 증권에 특화된 코드체인 플랫폼을 공개(̀19. 4월)

•�(블록체인 시스템 연동기술) 기존 레거시 서비스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범 서비스 추진

- KINX는 서비스 연속성과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블록체인 서비스 IXcloud를 기존 레거시 자원과 연동해 블록체인 노드 확장 및

운영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환경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레거시 데이터 연동은 KDX 서비스를 통해 가능함

- 인터넷 기업의 경우, 블록체인 메인넷을 개발하여 기존 블록체인 스타트업 분산앱(dApp)을 시범 서비스로 시행 중이며, 카카오

클레이튼의‘클레이’, 라인 링크체인의‘링크’등이 이에 해당

-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대신 블록체인의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투입의 가속화 진행, 주로 위변조 방지

및 데이터 정합성이 필요한 영역에서 효율성이 높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보완재 역할을 할 새로운 플랫폼 상품화 검토 진행

•�(타 기술 융합) AI, IoT, 클라우드 등 4차 산업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개발

- 다이오스(DAIOS)는 Dapp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연결해 다른 서비스를 쉽게 쓸 수 있는‘개인AI’제공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클라우드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진행(̀18. 11월)

- 크립토레빗의‘레빗’은 키보드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인공지능을 활용해 빅데이터화하여 사용자 특성에 따른 대응(패턴에 따른

보상)이 가능한 버시브 진행(̀19. 1월)

- 제닉스 스튜디오는 블록체인 기술과 IoT분야를 접속한‘젠서(Xensor)’라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출시, 주로 건물이나 빌딩 관리를

목적으로 상태 파악 및 기기 제어 기능 제공(̀19. 10월)

국외

•�(블록체인 상호운용기술) 블록체인 간 또는 기존 시스템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합되고 확장될 것으로 전망

-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 통신에 대한 정의 및 통신 방법 등 블록체인 간 연계를 위한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

- 블록체인 생태계는 폐쇄된 네트워크가 흩어져 있는 초기 구조에서, 상호 운용성과 연결에 기반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발전된 인터

넷과 비슷한 진화 과정을 거칠 것으로 전망

-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 간 연계를 위한 앵커링(anchoring), 인터체인 기술의 발전과 퍼미션드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렉체인이 조합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이 개발될 전망

- 퍼블릭 블록체인의 기능과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루트스탁(RSK), 코스모스(Cosmos), 아르고(Aergo) 등 다양한 사이드체인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서로 간의 연결성이 강화되는 형태로 발전

•�(블록체인 시스템 연동기술) IBM, 오라클 등 블록체인 사업자는 블록체인 시스템 연동 기술로 레가시 시스템으로부터 또는 한 블록체

인으로부터, 다른 블록체인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API 개발

- 미국의 Ripple Labs와 일본의 NTT사가 주도하여 개발 중인 하이퍼레저 퀼트(Quilt)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 및 非 블록체인을 위한

ILP(Interledger Protocol)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개발 중

•�(타 기술 융합)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록체인을 통해 데이터 이력을 확인하는 기술을 제공하여 인공지능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활용

하는 블록체인 데이터 매니저(Blockchain Data Manage) 서비스 출시(̀19. 11월)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7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76

11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이종블록체인 트랜잭션 기술) 이종 산업 간 발생되는 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실제 비즈 니스에 적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오

아시스블록(OASISBloc)’등장, 모든 데이터 등록과 거래 내역은 2layer구조의 오프체인 원장에 기록되며, 동시에 Inter Domain File

System(IDFS)에 분산 저장되어 데이터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제공하는 특징을 지님

•�(이종블록체인 게이트웨이 기술) 이종 블록체인 연계를 위한 비중개자 기반 연계 기술의 연구 사례는 전무하나, 게이트웨이를 통한 중

개자 기반 이종 블록체인 연계 기술은 일부 개발 중

- 빗썸은 블록체인 기술 및 거래소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해 자체 연구소를 설립, API 게이트웨이 구축을 통해 대외 서비스 인터페이스

의 효율화 증대(̀20. 1월)

-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보라(BORA)는 사용자가 저장 공간을 자동으로 최적화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 특허 출

원을 진행, 등록된 특허 이름은‘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토큰 관리 서버’임(̀19. 5월)

- 오지스(Ozys)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이종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플랫폼‘오르빗(Orbit)’을 앞세워 분산앱(Dapp) 서

비스 생태계 구축에 주력

•�(이종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연동기술) KT BaaS는 스마트 계약을 쉽게 구현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Smart Contract API를 제공하

며 블록체인 서비스가 안정운영 되도록 관제 기능을 지원

국외

•�(이종블록체인 트랜잭션 기술) `19년 컨센시스(ConsenSys)의 엔지니어링팀 페가시스(PegaSys)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만든

하이퍼레저 베수(Besu)가 리눅스 재단의 하이퍼레저 이니셔티브로 이전하는 등 가능성을 보여줌에 따라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20

년 더욱 많은 블록체인 프로토콜이 서로 협력하고 공존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

- 체인링크는 앰플포스(Ampleforth) 프로토콜을 통해 오라클 데이터 기술 구현, 앰플포스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공급 과정을 탈중앙화

하고 이를 가속하기 위해 파트너십 체결(̀19. 12월)

•�(이종블록체인 게이트웨이 기술) 하이퍼레저 캘리퍼(Caliper)는 기존 블록체인 시스템을 캘리퍼 프레임워크에 통합하기 위한 adaption

layer를 구축함, 각 어댑터는 블록체인의 native SDK또는 RESTful API를 사용해‘Caliper Blockchain NBIs’를 구현하며, 현재는 하이퍼레

저 패브릭 1.0과 소투스가 지원되며 이후 이더리움 및 다른 블록체인도 지원 예정

•� (이종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연동기술) 스마트 컨트랙트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상호 간 연계를 위한 연구 개발이 개발 및 실험 중

- 비트코인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을 만드는 루트스탁(RSK) 프로젝트의 개발사 아이오브이랩스 (IOV Labs)가 RSK와 이더리움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런칭, 이에 따라 비트코인와 이더리움 계열의 토큰 교환이 가능(̀20. 2월)

-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스타트업‘카데나’는 기업 사용자들이 안전하고 간단하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

그래밍 언어‘팩트(Pact)3.0’공개, 프라이빗과 퍼블릭이 공존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스마트 컨트

랙트 개발 가능(̀19. 6월)

- W3C 표준화 그룹(Interledger Payment Community & Business Group)에서 이종 블록체인 간 자산 교환을 위한 ILP(InterLedger

Protocol) 표준화 진행 중

- 서로 다른 블록체인 원장, 혹은 블록체인과 非블록체인 간 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기술 표준화 진행 중

Page 7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77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12 트랜잭션 분석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트랜잭션 추적/규제 기술) 블록체인 분석을 통한 불법적인 거래를 추적하는 기술은 기초연구가 대부분이며, 국내 스타트업을 중심으

로 연구개발 중에 있음

- S2W lab의 S2-Eyez는 블랙리스트 및 머신러닝을 통하여 가상자산 입출금에 대한 실시간 적법성 체크를 수행하고, 거래 주소 위협

분석을 통한 악성거래 조기 탐지 및 불법 자금 세탁을 위한 송수신 거래 여부 체크 기능 제공

- 국내 블록체인 수호(SOOHO)에서는 블록체인 상에 존재하는 거래내역인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KYT(Know Your Transaction) 이

상거래탐지 기술 개발

- 대부분은 블록체인 트랜잭션 분석 관련된 논문을 대학을 중심으로 국제 학술회의에서 발표하는 수준의 기초연구가 진행 중임

•�(트랜잭션 검증/가시화 기술) 악의적인 블록체인 노드나 비정상 블록체인 상황을 탐지하기 위한 블록체인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개발

은 초기 단계

- 루니버스(Luniverse)에서는 이해 가능한 블록체인(UBC; Understandable Blockchain) 구현을 목적으로 블록체인 데이터/네트워크 정

보, 연결 구조, 노드 정보를 대상으로 시각화 연구 중

- 과기정통부에서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개발 과제를 진행 중

국외

•�(트랜잭션 추적/규제 기술) 블록체인 익명성을 악용한 다크코인 등의 추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추적 기술은 초기 연구 단계

- 웁살라 시큐리티(Uppsala Security)의 센티넬 프로토콜(Sentinel Protocol)은 위협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킹 및 불법사용에 대한 선제적 대

응을 위한 시스템 개발 중으로 수백 개로 쪼개진 해킹 자금의 트랜잭션 추적 가능하지만, 근본적으로 거래당사자를 확인할 수는 없음

-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 카네기멜론 대학 등으로 이루어진 연구팀에서는 익명성 가상자산인 모네로(Monero)의 트랜잭션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 중(PET 2018)

- Bitfury에서 크리스탈(Crystal)이라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구현(̀18.3월), 비트코인 관련 범죄 행위를 감지 및 조사하고, 불법과 관련된

거래를 피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

- 영국의 UCL 대학은 Zcash의 익명성을 공격하는 연구를 진행 중(USENIX Security 2018)

•�(트랜잭션 검증/가시화 기술) 가상자산 불법 거래를 추적하고 대응하기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정보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은

초기 단계로 기술력 확보에 경쟁 중

- Blockexplorer, Etherscan 등은 블록 정보 및 블록체인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웹 서비스로 시각화하여 제공하고, 피해 거래소 지갑과

관련된 지갑 주소에 ***Hacker라는 라벨을 붙이고 추적에 도움을 주는 정도의 알림 제공

- Bitnbonker는 실시간으로 블록체인 상의 비트코인 트랜잭션을 시각화하여 트랜잭션이 체결될 때마다 볼(ball)이 떨어지고 클릭시 트

랜잭션 정보를 확인 가능

- BitIodine(Extracting Intelligence from the Bitcoin Network) 논문 등 특정한 블록체인을 모니터링하는 기초 연구 진행

- Skry(2017년 Bloq에 인수)는 그래프 처리(Graph Processing), 데이터 섭취 파이프라인(Data Ingestion Pipeline), 주소 군집화(Address

Clustering) 기술을 활용하여 불법 거래와 자금 세탁 거래를 실시간으로 탐지함

- Chainanalysis는 비트코인 거래에 대하여 불법 거래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며 거래 상대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실시

- ScoreChain은 대화형 플로우 차트(Interactive flow chart)를 이용한 트랜잭션 모니터링 및 분석하고, 랜섬웨어로부터 코인의 목적지를

추적하고, 공격자들을 식별하는 기능 제공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8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78

13 산업융합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플랫폼 서비스(BaaS) 기술) 국내 BaaS 기업들은 주로 하이퍼레저 혹은 이더리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으로 구축한

자체 플랫폼 위에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사업용 서비스 API를 제공 중

- BaaS 기업별로 사업에 빠른 적용을 위해서 자체 토큰 기능뿐만 아니라 디지털 분산 아이디를 활용한 인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API 보유

•�(플랫폼 서비스 기술) 국내 블록체인 기업들은 하이퍼레저 혹은 이더리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으로 구축한 플랫폼

위에서 추가 기능과 서비스를 올려서 적용 범위를 확장 중

- KT는 자사 BaaS 및 다수 블록체인 서비스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여러 사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의 솔루

션화 진행 중

- 삼성SDS는 자사 넥스레저 플랫폼에 포인트, ID 등의 서비스용 API를 개발하고, 블록체인 성능 향상을 위해 Accelerator를 개발해서

제공 중

- LG CNS는 자사 모나체인 플랫폼에 인증, 화폐, 공급망 관리 등 서비스를 개발하여, 구축형 사업에서 활용하도록 제공 중

•�(플랫폼 서비스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의 적용 범위가 실물 자산의 디지털 토큰화 등 여러 솔루션으로 확장 시도 중

- 두나무는 블록체인 원장 기반으로 매물 등록부터 매매 거래까지 지원하는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을 출시

- 삼성SDS는 보험사, 병원,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과 함께 실손 보험금 간편청구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해서 서비스 중

- 블록체인 기반으로 분산아이디(DID)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존 증명 서비스를 대체하려고 하는 시도가 주요 통신사와 은행 연합한

이니셜 DID 컨소시엄과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가 진행 중

•�(응용플랫폼기술) 블록체인 기술의‘신뢰성·투명성’으로,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 중

- 디지털 증거관리, 노지작물 생산·유통 관리,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식품안전 데이터 플랫폼 구축,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지역

공공서비스, 자율주행차 신뢰 및 상호신뢰 통행료 정산 플랫폼 구축 등

- 포스텍(POSTECH)과 연세대가 블록체인 기술을 캠퍼스 전체에 도입하여 교내에서 학내 매점이나 식당에서 결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증명서 발급, 기부금 관리 등이 가능할 예정

- 이토니온(ITTONION) 플랫폼은 설문 및 여론조사 정보플랫폼 제공, 블루웨일(Blue Whale)은 게임 평가 블록체인 제공, 벨릭(Velic)은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개발

•� (응용플랫폼기술) 금융권에서도 분산원장 기술기반 블록체인 인증과 전자서명 도입으로 증권, 은행을 중심으로 신규서비스 적용 중

- (송금 및 결제 Payments) 신한/우리은행 등 우리나라 주요은행들도 리플을 이용한 해외송금 시스템을 구축 활용 중으로, 국가간

송금 및 결제분야, 통화의 환전과 금융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비용과 시간을 단축함

- (증권이행 Securities Settlement) 교보생명, 우정사업본부 등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여 환자와 보험 청구과정의 불편 해소를 목적

으로 이더리움 플랫폼 적용하여 환자는 보험청구를 위한 번거로운 서류제출 등 없이 보험수급서비스

- (부정거래탐지 및 보안 Fraud detection and Security) 국민은행은 비대면 실명 확인 증명 자료의 위변조확인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

스 중이고, 은행연합회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뱅크사인(BankSign) 출시하여 사용

- (무역금융 Trade Finance) 해수부, 관세청, 삼성SDS 등이 민관합동 해운 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서비스 추진. KEB하나

은행은 무역금융 프로세스에 이더리움을 적용하여 서비스 중

Page 8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79

구분 주요 동향

국외

•�(플랫폼 서비스 기술) 글로벌 BaaS 사업자는 초기 클라우드 인프라에 오픈소스 블록체인 엔진 설치를 자동화해서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현재 자사의 기존 서비스를 연계하여 운영까지 제공하는 관리형 모델로 진화 중

- 아마존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Amazon Managed Blockchain으로 AWS 계정별로 조직을 추가할 수 있는 관리형 블록체인

서비스와 위 변조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퀀텀렛저 서비스를 제공 중

-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업용 이더리움인 쿼럼(Quorum) 기반의 Azure Blockchain Service로 기존 자사가 제공하는 개발 도구 및 분석

도구를 연계하여, 개발 및 운영 편의성을 높인 관리형 블록체인 서비스와 토큰 서비스를 제공하는 Azure Blockchain Token을 제공 중

- IBM은 자사 클라우드 기반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서비스형으로 운영하는 것에 추가해 고객사에 동일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피어노드를 구축하여 연계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제공

•�(플랫폼 서비스 기술) 글로벌 BaaS 사업자는 자사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강화하기 위해서, 여러 업체와의 협업 및 기술 도입을 통해

플랫폼 솔루션을 확장하고 있음

-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더리움 기반 기업형 블록체인인 쿼럼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해 JP모건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쿼럼

플랫폼을 자사 BaaS의 핵심 서비스로 활용 중

-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각 구성 모듈과 체인코드가 독립된 컨테이너들에서 동작할 때, 복수 컨테이너의 관리를 위해 도커(docker)

나 쿠버네티스(Kubernetes) 같은 오케스트레이션 서버에 보내주는 기능을 추가

•� (응용플랫폼기술) 스마트시티, 글로벌 무역, 에너지, 제조 등 다양한 영역에서 블록체인 응용플랫폼을 개발 시도 중

- (스마트시티) 에스토니아, 두바이, 중국 등에서는 정부의 행정 시스템 및 도시 내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 등에 블록체인, AI, IoT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시티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로, 교육, 의료, 인증, 유통 등 다양한 서비스를 결합하여 도심 내 생활

편의성 극대화 및 사회적 비용 절감

- (무역/유통/공급망) 덴마크(Global Trade Digitizing Platform), 두바이(Smart Dubai) 등 물류/무역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운영 서비스.

에버레져 다이아몬드 정보, 감정서, 소유권 블록체인 저장 및 관리 서비스제공, 루이비통 상품이력관리 및 추적 플랫폼 개발하여

진품여부 가리기 위한 원산지부터 판매가지 유통 전과정 추적관리, 장둥닷컴은 전자상거래 제품 추적관리, 코다커피 세계최초 블록

체인 추적 커피 제공

- (에너지) TEPCO(일본), Innogy(독일), Centrica(영국) 등은 공익사업으로 Smart Eco Service는 블록체인에 투자를 확대하여,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거래, EV 충전 및 공유, 탄소자산 거래, 에너지 데이터의 활용 등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 개발

- (제조) 일본 미쓰비시전기와 야스카와전기 등 일본 100개 대형제조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공유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

13 산업융합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플랫폼 서비스(BaaS) 기술) 국내 BaaS 기업들은 주로 하이퍼레저 혹은 이더리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으로 구축한

자체 플랫폼 위에 기본 기능 외에 다양한 사업용 서비스 API를 제공 중

- BaaS 기업별로 사업에 빠른 적용을 위해서 자체 토큰 기능뿐만 아니라 디지털 분산 아이디를 활용한 인증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API 보유

•�(플랫폼 서비스 기술) 국내 블록체인 기업들은 하이퍼레저 혹은 이더리움 같은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엔진으로 구축한 플랫폼

위에서 추가 기능과 서비스를 올려서 적용 범위를 확장 중

- KT는 자사 BaaS 및 다수 블록체인 서비스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여러 사업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서비스의 솔루

션화 진행 중

- 삼성SDS는 자사 넥스레저 플랫폼에 포인트, ID 등의 서비스용 API를 개발하고, 블록체인 성능 향상을 위해 Accelerator를 개발해서

제공 중

- LG CNS는 자사 모나체인 플랫폼에 인증, 화폐, 공급망 관리 등 서비스를 개발하여, 구축형 사업에서 활용하도록 제공 중

•�(플랫폼 서비스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의 적용 범위가 실물 자산의 디지털 토큰화 등 여러 솔루션으로 확장 시도 중

- 두나무는 블록체인 원장 기반으로 매물 등록부터 매매 거래까지 지원하는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플랫폼을 출시

- 삼성SDS는 보험사, 병원,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과 함께 실손 보험금 간편청구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해서 서비스 중

- 블록체인 기반으로 분산아이디(DID)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존 증명 서비스를 대체하려고 하는 시도가 주요 통신사와 은행 연합한

이니셜 DID 컨소시엄과 아이콘루프가 주도하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가 진행 중

•�(응용플랫폼기술) 블록체인 기술의‘신뢰성·투명성’으로,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 중

- 디지털 증거관리, 노지작물 생산·유통 관리,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식품안전 데이터 플랫폼 구축,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지역

공공서비스, 자율주행차 신뢰 및 상호신뢰 통행료 정산 플랫폼 구축 등

- 포스텍(POSTECH)과 연세대가 블록체인 기술을 캠퍼스 전체에 도입하여 교내에서 학내 매점이나 식당에서 결제할 수 있으며, 또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증명서 발급, 기부금 관리 등이 가능할 예정

- 이토니온(ITTONION) 플랫폼은 설문 및 여론조사 정보플랫폼 제공, 블루웨일(Blue Whale)은 게임 평가 블록체인 제공, 벨릭(Velic)은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개발

•� (응용플랫폼기술) 금융권에서도 분산원장 기술기반 블록체인 인증과 전자서명 도입으로 증권, 은행을 중심으로 신규서비스 적용 중

- (송금 및 결제 Payments) 신한/우리은행 등 우리나라 주요은행들도 리플을 이용한 해외송금 시스템을 구축 활용 중으로, 국가간

송금 및 결제분야, 통화의 환전과 금융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비용과 시간을 단축함

- (증권이행 Securities Settlement) 교보생명, 우정사업본부 등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하여 환자와 보험 청구과정의 불편 해소를 목적

으로 이더리움 플랫폼 적용하여 환자는 보험청구를 위한 번거로운 서류제출 등 없이 보험수급서비스

- (부정거래탐지 및 보안 Fraud detection and Security) 국민은행은 비대면 실명 확인 증명 자료의 위변조확인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

스 중이고, 은행연합회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뱅크사인(BankSign) 출시하여 사용

- (무역금융 Trade Finance) 해수부, 관세청, 삼성SDS 등이 민관합동 해운 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서비스 추진. KEB하나

은행은 무역금융 프로세스에 이더리움을 적용하여 서비스 중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8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80

14 신뢰성 검증 기술

구분 주요 동향

국내

•� (블록체인 솔루션 검증 평가 기술) 정부 과제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 및 서비스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블록체인

신뢰성 평가기준”개발 중

•�(블록체인 시험 기반 기술) 정부과제를 통해 중소규모 허가형 블록체인 시스템 설치가 가능한 시험환경이 구축되어 공공영역에 적용되

는 블록체인 시범사업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고 있으나, 대규모 블록체인 테스트베드의 부재로 비허가형/공개형 블록체인의 검증에 한계

•� (블록체인 시험 서비스 기술) 정부과제를 통해 블록체인의 요소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일부 시험도구가 개발되었으나 범용 시험도구

의 부재한 상황에서 진행 중

•� (공공영역) 공공성을 가진 시험인증 전문기관에서 블록체인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 속성 중 일부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체

계가 구축되어 시험서비스 제공 중이나 블록체인 산업 전반에 걸친 시험인증 제도의 부재로 평가의 사각지대 발생

•�(민간영역) 침투시험 전문 업체에서 블록체인 플랫폼 및 서비스에 대한 구현취약성 검증 서비스 제공 중

국외

•�(블록체인 솔루션 검증 평가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시스템·서비스에 대한 평가모델 및 기준 마련을 위한 ISO, ITU-T 등 국제 표준

화기구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국외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평가기준 개발이 가시화되는 중

- (미국) 정부차원의 노력은 드러나지 않으나, ISO/TC 307 등 국제 공적표준화 기구 내에서 평가기준 관련 표준화 활동 참여

- (중국) 정부 주도의 블록체인 평가기준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제품 및 서비스 보안성 검증을 위한 규제안 마련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에서 블록체인 정보 서비스 관리 규정을 공표(2018.10)하고, 규정 발효(2019. 02) 및 최초 허가제품

통과 발표(2019. 03)

표준화: ITU-T FG-DLT에서 제안된 분산원장 보안성 평가 관련 표준화 항목을 SG16에서 표준화 예정이며, 중국 표준화 전문가 참여

- (일본) 경제산업성에서 ISO/IEC 25010 기반의‘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평가 기준’을 발표(̀17. 04)하였으나 기준을 연계한

평가서비스는 제안되지 않았으며, 공적 표준화 기구에서 블록체인 보안위협 및 디지털 자산 거래소 보안 관리 관련 표준화 추진

- (인도) 공적표준화 기구를 통해 블록체인의 비기능 요구사항에 대한 속성 정의를 위한 신규 연구 아이템 제안

•�(블록체인 시험 기반 기술) 공공 및 민간 영역의 평가체계 구축이 일부 진행된 국가에서 보안성 및 성능 위주의 시험수행 사례가 존재

하며, 대규모 블록체인 시험을 위한 테스트베드의 부재로 성능 시험 시 AWS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존하는 상황

- (미국) IBM의 보안성 테스트 조직인 X-Force Red security에서 블록체인 보안성 테스팅 서비스 제공

* 체인코드(스마트컨트랙트) 리뷰, 블록체인 구성 및 접근제어 리뷰, 문서화 및 정책 리뷰, 오프체인 인프라와의 안전한 연동 리뷰 등

- (중국) 중국정보통신기술원(CAICT) 주도로 협의체*를 구성하고(2016.12) 평가기준 개발 및 평가 수행(2019. 6월 기준 3차 공동평가 수행)

* 2019. 6월 기준 화웨이, MS 차이나 등 250개 이상 회사 참여 중

•� (블록체인 시험 서비스 기술) 시큐어 코딩 관점의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 취약성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도구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나,

검증 대상 개발언어가 이더리움의 솔리디티(Solidity)로 한정되어 있으며 대규모 블록체인 플랫폼 및 시스템 자체에 대한 보안성 및 성

능 검증을 위한 도구의 부재로 객관적인 신뢰성 검증에 명백한 한계 존재

Page 8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81

나 특허 동향

※ (유의사항) `2019년도 ICT R&D 사업 사전동향 조사 및 분석’결과로 舊기술분류체계가 사용되었음

블록체인 기반 기술

1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국적별출 원건 수

전 체출 원건 수

출원년도

전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미공개 구간

● 중국 57.0

● 한국 12.6

● 미국 24.1

● 일본 2.0● 유럽 4.3

단위(%)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국적의 발행인이 출원한 특허 건수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임

2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과거구간

한국 9.2%

일본 7.4%

유럽 10.5%

중국 35.0%

미국 37.9%

최근구간 전체구간

● 일본 2.3%

● 유럽 4.5%

한국 10.5%

중국 57.0%

미국 25.7%

● 일본 2.6%

● 유럽 4.8%

한국 10.5%

중국 55.8%

미국 26.4%

과거구간

최근구간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811.1%

688

36410.3%

14829614.6%

293412618.2%

3,724

1371035.1%

1,680

148

출원건수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의 특허 전체 구간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특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과거구간 대비 최근구간의 특허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이 2,618.2%로 가장 증가율이 높고, 한국의 특허 증가율은 1,811.1%로 특허 증가율 측면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8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82

3 특허 해외 출원도

6

5

4

3

2

1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6

0.8

1.51.8

3.8

2.3

5.7

2.1

0.0 0.1

해외

출원도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의 특허 해외출원도를 살펴보면, 과거구간에서 유럽의

해외출원도가 가장 높고, 최근구간에서는 일본의 해외출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4 특허 영향력

14

12

10

8

6

4

2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3.1

0.5

12.3

4.43.8

1.5

7.8

1.8

0.0 0.0

특허

영향력지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의 구간별 특허영향력을 살펴보면,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미국의 특허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0.8, 최근구간 평균: 4.0)

Page 8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83

5 IP4 점유율

35%

30%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9.4%

2.2%

8.1%

4.9%

17.2%

1.4%

31.7%

0.7% 0.0% 0.2%

IP4

점유율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IP4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에는 유럽, 최근구간에서는 미국의 IP4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9.5%, 최근구간 평균: 1.7%)

6 특허청구항수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1.3

15.2

19.318.5

7.2

9.3

17.0

14.3

4.3

6.3

특허

청구항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등록특허 1건당 평균 청구항수를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미국의 평균 청구항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에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구간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1.5,

최근구간 평균: 13.5)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8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84

7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156NCHAIN HOLDINGS LIMITED( )

189ALIBABA GROUP HOLDING., LTD.( )

198COINPLUG,LNC.(한국)

311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221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의 특허 주요 출원인(TOP5)에 대해 살펴보면,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가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COINPLUG,LNC.(한국), ALIBABA GROUP HOLDING CO., LTD.(), NCHAIN HOLDINGS LIMITED()

순으로 주요 출원인(TOP5)이 구성되어 있음

블록체인 기반 기술(Blockchain Based Technology)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TOP5)에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1개

속해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 국적 출원인의 R&D를 활성화하여 더 많은 주요 출원인을 양성하기 위한 R&D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블록체인 확장 기술

1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국적별출 원건 수

전 체출 원건 수

출원년도

전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200

1,000

800

600

400

200

0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미공개 구간

● 중국 61.4

● 한국 14.3

● 미국 19.8

● 일본 2.1● 유럽 2.5

단위(%)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국적의 발행인이 출원한 특허 건수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임

Page 8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85

2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과거구간

한국 9.2%

일본 7.4%

유럽 10.5%

중국 35.0%

미국 37.9%

최근구간 전체구간

● 유럽 4.3%

한국 12.4%

중국 46.6%

미국 27.3%

일본 9.3%

● 일본 2.5%● 유럽 2.5%

중국 62.3%

한국 13.8%

미국 19.0%

● 일본 3.0%● 유럽 2.6%

한국 13.7%

미국 19.7%중국

61.0%

과거구간

최근구간

1,200

1,000

800

600

400

200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130.0%

246

20193.3% 44

15528.6%

447 1381.3%

1,111

75

668.2%

338

44

출원건수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의 특허 전체 구간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한국, 일본, 유럽

순으로 특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과거구간 대비 최근구간의 특허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이 1,381.3%로 가장 증가율이 높고, 한국의 특허 증가율은

1,130.0%로 특허 증가율 측면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8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86

3 특허 해외 출원도

5

4

3

2

1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0.4

0.9

1.4

2.0

3.1

2.5

4.0

1.9

해외

출원도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1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의 특허 해외출원도를 살펴보면, 과거구간에서는

유럽이 최근구간에서는 일본이 해외출원도가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남

4 특허 영향력

10

9

8

7

6

5

4

3

2

1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0.0 0.0

7.1

5.2

6.3

0.0

6.0

2.8

9.0

0.0

특허

영향력지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의 구간별 특허영향력을 살펴보면, 과거구간에는 중국,

최근구간에서는 미국의 특허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7.0, 최근구간 평균: 5.0)

Page 8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87

5 IP4 점유율

14

12

10

8

6

4

2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4.5% 4.4%

13.3%

2.3%

0.0%

5.7%

0.0% 0.2%0.0%

6.8%

IP4

점유율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IP4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에는 일본, 최근구간에서는 유럽의 IP4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에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구간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2.5%, 최근구간 평균: 2.0%)

6 특허청구항수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6.3

16.1

19.4

17.5

7.79.0

23.4

16.0

5.0 5.1

특허

청구항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등록특허 1건당 평균

청구항수를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에는 유럽, 최근구간에서는 미국의 평균 청구항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에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구간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9.2, 최근구간 평균: 12.7)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9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88

7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26SHANGHAI CHAIN MDT INFOTECH LTD(중국)

33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46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

100COINPLUG,LNC.(한국)

0 20 40 60 80 100 120

49NCHAIN HOLDINGS LIMITED( )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의 특허 주요 출원인(TOP5)에 대해 살펴보면,

COINPLUG,LNC.(한국)가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NCHAIN HOLDINGS LIMITED(),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 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SHANGHAI CHAIN MDT

INFOTECH LTD(중국) 순으로 주요 출원인(TOP5)이 구성되어 있음

블록체인 확장 기술(Blockchain Extension Technology)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TOP5)에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1개

속해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 국적 출원인의 R&D를 활성화하여 더 많은 주요 출원인을 양성하기 위한 R&D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블록체인 응용 지원

1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국적별출 원건 수

전 체출 원건 수

출원년도

전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미공개 구간

● 중국 61.6

● 한국 13.1

● 미국 21.8

● 일본 0.9● 유럽 2.6

단위(%)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국적의 발행인이 출원한 특허 건수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임

Page 9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89

2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과거구간 최근구간 전체구간

● 일본 1.9%

● 유럽 4.7%

중국 34.6%

한국 17.8%

미국 41.1%

● 일본 1.0%● 유럽 2.9%

중국 60.1%

한국 12.8%

미국 23.1%

● 일본 1.1%● 유럽 3.1%

중국 57.9%

한국 13.2%

미국 24.7%

과거구간

최근구간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639.5%

281

38

475.0% 234

540.0%6410 1687.8%

1,323

74478.4%

509

88

출원건수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의 특허 전체 구간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특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과거구간 대비 최근구간의 특허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이 1,687.8%로 가장 증가율이 높고, 한국의 특허 증가율은

639.5%로 특허 증가율 측면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9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90

3 특허 해외 출원도

5

4

3

2

1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5

0.8

1.2

1.9

4.8

2.3

4.0

2.2

해외

출원도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1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의 특허 해외출원도를 살펴보면,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일본의 해외출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 일본의 해외시장확보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분석됨

4 특허 영향력

18

16

14

12

10

8

6

4

2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5.3

0.0

15.8

3.4

5.7

1.5

특허

영향력지수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00.0 0.0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의 구간별 특허영향력을 살펴보면,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미국의 특허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4.4, 최근구간 평균: 3.2)

Page 9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91

5 IP4 점유율

30%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5.8%

3.2% 3.4%

6.1%

25.0%

4.3%

20.0%

0.0%

IP4

점유율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0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IP4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에는 일본, 최근구간에서는 미국의 IP4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5.6%, 최근구간 평균: 1.9%)

6 특허청구항수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9.0

16.1

19.6 19.0

10.5 10.0

19.9

14.6

4.6

6.9

특허

청구항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등록특허 1건당 평균 청구항수를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에는 유럽, 최근구간에서는 미국의 평균 청구항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에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구간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1.5,

최근구간 평균: 14.4)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9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92

7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48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

55ALIBABA GROUP HOLDING CO., LTD.(중국)

58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113COINPLUG,LNC.(한국)

0 20 40 60 80 100 120

83ALIBABA GROUP HOLDING LIMITED(중국)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의 특허 주요 출원인(TOP5)에 대해 살펴보면,

COINPLUG,LNC.(한국)가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중국), 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ALIBABA GROUP HOLDING CO., LTD.(중국),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 순으로 주요 출원인(TOP5)이 구성되어 있음

블록체인 응용 지원(Blockchain Application Support)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TOP5)에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1개

속해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 국적 출원인의 R&D를 활성화하여 더 많은 주요 출원인을 양성하기 위한 R&D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블록체인 관리

1 연도별 전체 특허 동향

국적별출 원건 수

전 체출 원건 수

출원년도

전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000

900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미공개 구간

● 중국 53.5● 한국 11.6

● 미국 27.7

● 일본 2.5● 유럽 4.7

단위(%)

연도별 국적별 특허 동향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국적의 발행인이 출원한 특허 건수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임

Page 9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93

2 특허 구간 대비 증가율

과거구간 최근구간 전체구간

한국 9.4%

● 유럽 7.0% 일본 9.4%

중국 28.3%

미국 45.8%

● 일본 2.5%● 유럽 5.3%

중국 50.5%

한국 11.0%

미국 30.6%

● 일본 3.3%● 유럽 5.5%

중국 48.2%

한국 10.8%

미국 32.3%

과거구간

최근구간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866.7%

261

27122.2% 60

27535.0%

12720 1385.2%

1,203

81456.5%

729

131

출원건수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의 특허 전체 구간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특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과거구간 대비 최근구간의 특허 증가율을 살펴보면, 중국이 1,385.2%로 가장 증가율이 높고, 한국의 특허 증가율은

866.7%로 특허 증가율 측면에서 2위를 기록하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9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94

3 특허 해외 출원도

6

5

4

3

2

1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6

0.8

1.6

2.1

4.8

3.02.8

2.0

해외

출원도

과거구간

최근구간0.2 0.1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의 특허 해외출원도를 살펴보면,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일본의

해외출원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분야에서 타국에 비해 일본의 해외시장확보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분석됨

4 특허 영향력

16

14

12

10

8

6

4

2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14.5

3.7

5.8

1.8

특허

영향력지수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0

9.8

2.3

0.0 0.0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의 구간별 특허영향력을 살펴보면,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미국의 특허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3.4, 최근구간 평균: 3.5)

Page 9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95

5 IP4 점유율

30%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3.7%

1.5%

5.3% 5.1%

25.9%

15.0%

5.0%3.1%

IP4

점유율

과거구간

최근구간0.0% 0.2%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IP4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일본의 IP4 점유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 및 최근구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5.6%, 최근구간 평균: 2.4%)

6 특허청구항수

25

20

15

10

5

0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7.2

15.1

19.3 18.6

7.6 7.2

22.4

19.1

4.15.7

특허

청구항수

과거구간

최근구간

* 과거구간(`08~`12), 최근구간(`13~`17)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에서 국가별 구간별로 등록특허 1건당 평균 청구항수를 분석한 결과,

과거구간과 최근구간 모두 유럽의 평균 청구항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한국의 경우 과거구간에는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구간에서는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과거구간 평균: 12.9, 최근구간 평균: 14.1)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9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96

7 특허 주요 출원인(Top) 출원 동향

34CHINA UNITED NETWORK TELECOMMUNICATION GROUP CO., LTD.(중국)

34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미국)

51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120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AL(미국)

0 20 40 60 80 100 120 140

96COINPLUG,LNC.(한국)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의 특허 주요 출원인(TOP5)에 대해 살펴보면,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미국)가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COINPLUG,LNC.(한국), BANK OF

AMERICA CORPORATION(미국),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미국), CHINA UNITED NETWORK

TELECOMMUNICATION GROUP CO., LTD.(중국) 순으로 주요 출원인(TOP5)이 구성되어 있음

블록체인 관리(Blockchain Governance) 기술 분야의 주요 출원인(TOP5)에 한국 국적의 출원인은 1개 속해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 국적 출원인의 R&D를 활성화하여 더 많은 주요 출원인을 양성하기 위한 R&D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출처 : 2019년 ICT R&D 사업 사전동향 조사 및 분석 2019, IITP

Page 9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97

다 표준화 동향

국제 표준화 현황 및 전망

DLT 참조구조 표준

- 2018년 금융보안표준화협회 블록체인 그룹에서 금융권 블록체인 참조구조 표준 개발

- 분산원장기술표준포럼에서는 분산원장기술 용어 정의 표준 및 활용사례 기술보고서 개발, 또한 상기 표준에

기초하여 범용 DLT 참조구조 표준 개발

- 2018년 TTA 개인정보보호/ID관리, 블록체인 보안 PG(PG502)에서 블록체인 용어표준, 분산원장기술 활용사례

기술보고서 개발

- 2019년 TTA 블록체인기반기술 PG(PG1006)을 통해 단체표준 제정 예정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요구사항 표준

- 클라우드에서 블록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단계적 기술 적용 방안 및 표준화 대상이 기획되고 있는 단계

블록체인 및 DLT 시스템에서 발견(discovery) 상호운용성 표준

- 블록체인 상호운용성에 대한 표준 개발은 현재 초기의 기획 단계

저작권 정보의 블록체인 참조구조 및 요구사항 표준

- 저작권 관련 표준 개발은 TTA 클라우드 컴퓨팅 PG(PG1003), 응용보안/평가인증 PG(PG504), 디지털콘텐츠

PG(PG601), 메타데이터 PG(PG606) 등 관련 표준 작업반들이 협업을 통해 개발

- 방송 콘텐츠 유통 메타데이터 구성 요소 및 형식(TTAK.KO-10.0730) 표준에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정보 거래 기능

확장 표준화 진행 중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이슈 및 고려사항 표준

-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과 관련하여 진행 중인 국내 표준화는 현재 없으며, ISO TC46 SC11에서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이슈 고려사항’의 발행 이후, 국내 부합화를 거쳐 2020년 내로 KS 표준화 추진 예정

분산원장기반의 지불결제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 표준

- 2018년 금융보안표준화협의회 블록체인 그룹에서 금융권 블록체인 참조구조 및 보안 위협 표준에 기초하여 금융

블록체인 보안 요구사항 표준 개발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투표에 대한 보안 위협 표준

-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그에 따른 정보보호 측면의 보안 위협

분석 및 대응 방안 등에 관한 표준을 개발 중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0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098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ID 관리 표준

- 인터넷 주소 자원, 디지털식별자를 통신망에 적용하기 위해 TTA 개인정보보호/ID관리, 블록체인 보안

PG(PG502)에서 자기 주권 ID 관리유즈케이스 분야에 대한 표준화 진행

- 통신망응용 표준을 담당하는 TTA 통신망응용 PG(PG224)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DNS, 스마트차량용 ID 등의 표준

개발을 진행 중

- TTA 개인정보보호/ID관리, 블록체인 보안 PG(PG502)에서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자원 검색

프레임워크(TTAK.KO-12.0312), 블록체인 기반의 FIDO 범용 인증 프레임워크 요구사항(TTAK.KO-12.0337)

블록체인 플랫폼 성능 측정 기준 표준

- TTA에서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블록체인 플랫폼의 보안성 및 성능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국내 단체 표준화

2020년부터 추진할 계획

국외 표준화 현황 및 전망

DLT 참조구조 표준

- ISO TC307 WG1에서 용어 표준 및 이와 연계한 참조 아키텍처 표준을 개발 중

- I TU-T에서는 각 SG별로 연구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관련 표준화 진행 중, FG-DLT의 경우 직접 표준을

개발하는 것은 아니나 표준 개발을 위한 사전 연구의 일환으로 참조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진행 중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요구사항 표준

- 2017년 11월, ITU-T SC13회의에서 클라우드에서 블록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및 요구사항 개발 착수

블록체인 및 DLT 시스템에서 발견(discovery) 상호운용성 표준

- ISO TC307 SG7에서 블록체인 상호운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 후 발견 상호운용성은 WG1으로 이관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표준화 아이템 도출 단계

저작권 정보의 블록체인 참조구조 및 요구사항 표준

- IETF, ITU-T SG13/SG17, W3C 등 주요 표준화 기구에서 저작권 정보의 블록체인 관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산업체들과 협력하여 주도적으로 참여 중

Page 10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099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 이슈 및 고려사항 표준

- 한국은 ISO TC46 SC11 내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ICT 기술을 기록 관리에 도입하고 있는 국가로‘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 이슈 및 고려사항’표준화 역시 한국의 주도로 진행 중

분산원장기반의 지불결제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 표준

- ITU-T SG17 Q14에서는 2017년 9월부터 지불결제 시스템 보안 관련 표준을 개발 중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에 대한 보안 위협 표준

- 주요 국가에서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그에 따른 정보보호

측명의 보안 위협 분석 및 대응 방안 등에 관한 표준 개발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ID 관리 표준

- 2016년부터 W3C는 블록체인 커뮤니티그룹을 결성하여, 블록체인 유즈케이스, 블록체인 메시지 형식 및 저장 사용

지침 등의 표준을 개발 중

- 식별자 관련 표준화는 블록체인과 직접적인 연관 관계는 없지만, 효율적인 표준화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들과의

연계하는 것을 적절

블록체인 플랫폼 성능 측정 기준 표준

- 국제표준화 기구에서는 블록체인의 성능 관련 표준 개발이 아직 본격화되고 있지 않으나, ISO TC307에서는

블록체인 확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신규 프로젝트가 제안될 예정

- ISO TC307 WG2에서는 블록체인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합의 알고리즘의 보안성 평가 관련 연구 아이템이 선정되어

신규 프로젝트로 제안을 검토할 예정으로 성능 측정기준 관련 신규 프로젝트 제안에 대한 기반 형성 단계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0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00

구분 표준화 기구 표준화 현황

국제

(공적)

ISO

TC307

•� (WG1-Foundations) 용어, 참조구조 2개의 국제표준(IS)과 텍사노미 및 온톨로지 기술사양서(TS)를 개발 중이며

데이터 흐름 관련 연구 진행 중

•� (WG2-Security, privacy and identity) 디지털 자산 관리자의 보안 기술 보고서(TR) 개발 중, 블록체인 합의모델

보안성 평가 신규 아이템 수립을 위한 연구 중. 또한 조직, 사물 및 프로세스 식별 테마 추진 중

•�(WG3-Smart contracts and their applications) 스마트 계약 개요 및 계약 간 상호작용 기술보고서 발표, 법적

결속을 갖는 스마트 계약 기술보고서, 공급망 및 무역 촉진 연구 보고서 개발 중

•� (JWG4-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and IT Security techniques) 보안 위협 및 취약성,

프라이버시 및 PII 보호 개요, 신원관리 개요 3개의 기술보고서 개발 중

•� (WG5-Govermance of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기술명세

서 개발 중

•�(WG8-Use cases) 활용사례 기술보고서 개발 중, 비기능 요구사항 연구 개시

•�(SG7-Interoperability of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프레임

워크 기술명세서 투표 시행, 이 결과에 따라 WG7으로 이행 예정

•� (JWG-Joint with TC46/SC11) SC11에서 개시된 기록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적용-현안 및 고려사항 기술

보고서 공동 작업

TC46•�(SC11-Archives/records management) TC307과의 JWG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 시의 이슈 및 고

려사항 표준 개발 중

TC215•�(Health informatics) 건강 정보학 표준을 다루는 위원회로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관리를 위한 건강 정보

표준을 연구하고 있으며 의료 정보 시스템 및 기기 상호 운영성에 대한 표준을 연구

ITU-T

SG13•� (Future networks (& cloud)) 2017년 11월,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기능 및 요구사항, 서비스로의 블록체

인 기능 요구사항 표준 개발 착수

SG16•� (Multimedia) 2019년 신규 연구과제 Q22 DLT 및 e-서비스 수립, 기존 탈 중앙화 원장시스템의 요구사항 및 능력

표준 외 분산원장기술 참조 프레임워크, DLT 평가기준, DLT 기반 디지털 증거 서비스 표준 항목 개발 중

SG17•� (Security) 2017 9월, 신규 연구과제 Q14 DLT 보안 개발 중이며, DLT 기반 전자지불시스템 보안 위협 및 요구사항,

DLT 기반 온라인투표시스템의 보안 위협 등을 포함하여 10개의 표준 항목 개발 중

SG20

•�(IoT and application, smart cities) 2017년 3월, Framework of blockchain of things as decentralized service platform

표준권고 초안을 제안. 해당 표준권고 초안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의 표준화와 블록체인 관련 기술이 사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특징, 요구사항, 프레임워크, 유즈케이스 등을 연구하여 표준화 추진

FG-DLT•�(Application of Distribution Ledger Technology) 분산원장기술 기반의 응용 및 서비스를 식별 분석하고 이러한

응용 및 서비스가 국제적 규모로 구현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 실무 및 지침에 대한 표준 연구 수행

FG-DFC•�(Digital Currency including Digital Fiat Currency) 디지털 법정화폐(DFC)에 대한 보안, 상호운용성, 위조 예방 및

소비자 보호/수용의 핵심 현안을 연구. 블록체인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의 이용

FG-DPM•�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to support IoT and Smart Cities & Communities) IoT 및 스마트시티를 지

원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표준 연구 수행

Page 10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1

구분 표준화 기구 표준화 현황

국제

(사실)

oneM2M •�2018년 IoT 블록체인에 대한 작업 항목 검토, IoT Trust에 대한 작업항목 채택 및 개발 예정(TR40)

IEEE 2418•�(Standard for the Framework of Blockchain Use in 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사용을 목적으

로 하는 IoT 블록체인 사용을 위한 프레임워크 표준을 개발 중

W3C•�(Verifiable claims WG) self-sovereign identity 지원을 위한 활용사례 개발을 완료했으며 검증 가능한 주장 데이터

모델 표준 개발 중

국내

TTA

PG502•�(개인정보보호/ID관리, 블록체인 보안) 분산원장기술을 활용한 온라인투표 모델 및 보안위협 대응 표준, 블록체인

용어 정의 표준, DLT 활용사례 기술보고서 개발 중

PG1006 •� (블록체인기반기술) 분산원장시스템 참조구조 등 개발 중

분산원장기술

표준포럼•�2018년 2월, 구성되어 있어 정의 표준, DLT 활용사례 기술

개인정보보호

표준포럼

•�분산원장기술 기반의 전자지갑 서비스 모델 보안요구사항, 오픈소스 기반의 분산원장 플랫폼을 위한 보안기능

요구사항 등 개발 중

금융보안표준화

협의회

•�(블록체인그룹) 금융보안 단체 표준화를 위해 금융보안 표준화 협의회, 표준개발워킹그룹 구성(2017. 9)하여 운영 중

•�금융권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공통 요구사항(은행, 증권, 보험, 카드)을 도출하고, 금융서비스 지원을 기술 분야별

표준을 개발

* 출처 : ICT 표준화전략맵 Ver.2020, TTA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0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02

4.한국의 경쟁력 현황

가 기술수준 및 역량 평가

한국의 기술수준은 80.8%로 경쟁국 대비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평가

- 기업 및 정부의 R&D 투자가 증가하는 등 블록체인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있으나

기술수준 향상 속도가 다소 느린 것으로 분석

- 한국은 최고기술국(미국) 대비 19.2%의 기술수준 격차가 있음

- 국가별 기술수준 격차는 유럽(9.5%), 일본(12.5%), 중국(14.2%) 순으로 한국이 가장 큰 기술수준 격차를 보이고

있음

< 블록체인 분야 기술수준 및 격차 >

기술수준 미국(100%) > 유럽(90.5%) > 일본(87.5%) > 중국(85.8%) > 한국(80.8%)

기술격차 최고기술국(미국)과 최하위 기술국(한국)의 기술수준 격차(19.2%), 기술격차(2.3년)

- 미국과 유럽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은 기초 분야에 대한 논문과 특허를 다수 제출하고

국제표준 활동에도 적극 참여 중

구분기술수준

최고기술 보유국상대수준(%) 격차(년)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 81 2.4 미국

블록체인 확장 기술 80 1.7 미국

블록체인 응용 지원 77 2.1 미국

블록체인 관리 85 3.0 미국

전체(합계) 80.8 2.3 미국

Page 10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3

구 분

상대수준 (100%) 기술격차 (0년)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한

럽기초 응용 사업화 기초 응용 사업화 기초 응용 사업화 기초 응용 사업화 기초 응용 사업화

블록

체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

79.7 80.8 81.0 100 100 100 87.6 88.4 88.7 84.8 86.7 86.6 90.8 91.6 91.6 2.4 0.0 1.2 1.5 1.1

블록체인 확장 기술

79.2 80.5 80.0 100 100 100 80.8 82.1 82.3 82.4 83.1 84.3 85.2 87.2 87.4 1.7 0.0 1.7 1.3 1.4

블록체인 응용 지원

76.4 77.6 76.5 100 100 100 87.8 88.5 88.0 82.9 83.3 81.5 89.9 90.2 90.3 2.1 0.0 0.4 0.9 0.3

블록체인 관리

85.5 84.4 85.7 100 100 100 94.1 91.2 90.3 91.5 90.2 90.3 94.1 93.4 93.8 3.0 0.0 1.3 1.3 1.0

상대수준

및 기술

격차

평균 80.4 81.0 81.0 100 100 100 87.6 87.6 87.4 85.5 86.0 85.9 90.0 90.7 90.8

2018년 80.8 100 87.5 85.8 90.5 2.3 0.0 1.2 1.3 1.0

2017년 76.4 100 84.8 78.9 96.0 2.4 0.0 1.3 1.8 0.5

* 출처 : 2018년도 ICT 기술수준조사보고서, 2019,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기술수준평가 도출 근거

중분류 소분류 배 경

블록

체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

이더리움, 하이퍼레저 등 오픈소스 기반의 핵심 알고리즘이라고 할 수 있는 기반 기술 분야를 미국이 주도하고 있고 실리콘

밸리 등에서는 막대한 투자를 통해 생태계 내 벤처 및 스타트업 소속의 개발인력도 풍부

유럽, 중국, 일본은 논문과 특허를 많이 발표하고 기초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경우 미국, 유럽 등지에서 개발

되거나 개발 중인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적용

일본은 금융업 등 특정 산업에 적합한 기반 기술 개발에 관심을 많이 기울이고 있으며 ISO 등의 국제표준 활동에도 적극적

으로 참여 중임

블록체인 확장 기술

미국은 IBM을 위시한 대기업 계열에서 뿐만 아니라, 실리콘밸리 중심으로 산업별, 역할별로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 적용을

통해 기술 선도국의 입지 유지

유럽, 일본 등지에서는 여전히 기반 기술의 시범적용에 몰두하고 있는 편이라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 적용에는 다소 보수적

중국의 경우 정부 및 공공 중심으로 확장 적용할 수 있는 시도를 다방면으로 하고 있으나, 기존 온라인 및 모바일 영역에서

의 기반 기술의 확장도 아직 진행 중인 관계로 여타 선진국들에 비해서는 진도가 다소 지연되는 상황

블록체인 응용 지원

블록체인 기반 기술 및 이의 확장 적용보다 중요한 분야는 특정산업 및 특정업무들에 이를 응용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는데

이 부문에 상대적으로 앞서 있는 국가는 한국으로 분석

미국은 IBM 등의 특정 대기업 중심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응용 적용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고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들

중심으로 클라우드 인프라에 탑재된 응용 서비스들이 기업 현장에서 시범 적용되는 등 민간 주도로 기술주도권을 확보해나

가고 있음

블록체인 관리

AWS, Azure 등의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는 미국이 가장 앞선 분야로 분석

총평 중국의 기술수준이 급격하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한국과 일본 및 유럽의 기술수준 향상 속도는 중국에 비해 느린 것으로 평가

특히 중국은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와 병행하여 응용 개발 분야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전 분야에 걸쳐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있음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0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04

나 한국의 보유자원 평가

구분 주요 내용

인력

측면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국내외 적용 사례 확산에 힘입어 수요·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블록체인 인력 수요도 확대되는 추세

- 상용 서비스 개발을 위해 업체에서는 초급보다는 중·고급 인재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맞는 교육과정은 부족

•�세계적인 블록체인 권위자들에 견줄만한 최고급 전문 인력이 부족하며, 산·학·연계, 취업·창업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 인력을 양성 필요

- 블록체인 산업은 탈중앙화를 통한 신뢰를 확보하는 기술로 기존 특정 기술과 플랫폼 중심의 산업에서 요구되는 직무 역량 분류

및 교육체계 재편 필요

- 교육 또한 기관·지자체·협회·민간 등 전국 각지에 산발 운영되어 교육의 효율적 운영·관리 및 교육생 스스로 체계적으로

교육을 이어나가는 데 한계

물리적

인프라

측면

•� ICT 인프라 최강국 기술을 선도하고 있어, 블록체인 R&D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반은 갖춰져 있음

- 삼성전자는 블록체인 플랫폼 SDK을 통해 블록체인 개발자들이 디앱 개발과 모바일 호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자

도구 제공

- 5G 상용화로 속도 향상뿐만 아니라 기존 네트워크 상에서는 발생하는 물리적인 지연 현상이 현격히 개선되어 이를 바탕으로 블

록체인 생태계 구축되면 수많은 정보 처리가 즉각적으로 처리 가능

- 미 시장조사기관 퓨 리서치(Pew Research)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휴대전화 보급률이 100%이며, 이 가운데 스마트폰 사용자가

95%로 세계 1위로 ICT 활용 여건은 최고 수준

•�개발자가 쉽고 빠르게 블록체인 서비스의 이용·개발이 가능한 핵심요소, 개발도구 및 환경 등 블록체인 인프라 환경은 여전히 부족

- 블록체인의 주요 기능을 쉽게 사용·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플랫폼 활용 활성화 필요

- 다수의 노드와 다양한 플랫폼 기반으로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지원 필요

연구환경

산업화

역량 측면

•�산업 전반의 양적 확장은 이루어졌으나, 일부 기업에 편중되어 있으며, 수요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은 미진한 상황(NIPA, 2019)

- 국내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은 약 1.3배, 매출 발생 기업 비중은 27.7%p 증가

* (블록체인 공급기업 수) `18년 209개 사 → `19년 265개 사(30%↑), (매출 발생 기업 비중) `18년 40% → `19년 67.7%(27.7%p↑)

- 수요기업(공급기업 아닌 모든 사업체) 중 블록체인 도입 활용 중이거나 추진 예정, 또는 도입을 고려중인 회사는 1.6%에 불과

* 2,099개 수요기업 중 2,065개(98.4%)에서 도입 계획이 없다고 응답(NIPA `19)

- 우리나라 기업의 블록체인 도입 단계를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80%가 도입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KDI, `20.1)

*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 약 13%, 도입 및 개발을 추진하거나 시험운영 및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10% 미만으로 조사

- 블록체인 기업은 법제도 문제(63.7%), 사용자 간 신뢰부족(19.5%), 네트워크 역량 부족(14.3%) 등으로 인한 사업화 어려움을 토로

•�산업의 융합화·지능화가 이루어지는 4차 산업혁명에서는 블록체인이 혁신성장동력이나, 국내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이 충분하지

않고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여건이 미비

- 국내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이 충분하지 않아 제품·서비스 개발, 스타트업, 펀딩, 상용화 등 산업적 활용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

- 국내 블록체인 기술 도입수준은 가상통화 시장으로 인하여 낮은 기술관심도로 타 산업 간 접목을 통한 시장 창출에 한계

Page 10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5

구분 주요 내용

정책적

지원

측면

•�블록체인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18. 6)을 발표

- 시범사업을 통한 초기시장 형성,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 전문인력·기업 양성 등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 추진

- 공공서비스 효율화와 민간투자 확대를 목표로, `18년부터 7개* 분야 21개 과제(중고차 거래, 축산물 이력관리, 부동산 등)의 시범사업 추진

* ①물류·유통, ②신원확인, ③의료·복지, ④전자문서, ⑤사회안전, ⑥공공서비스, ⑦에너지

- 블록체인 기술 로드맵 수립 및 R&D 사업을 이행, 블록체인 플랫폼·서비스의 신뢰성 평가 기반 확보, 국내외 표준화 활동 강화

- 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검증(PoC) 및 컨설팅 지원, 인력 양성 등을 추진

•�초연결·비대면 신뢰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20. 6) 발표

- 신뢰강화, 효율성 제고 등 블록체인의 장점을 잘 발휘할 수 있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7대 분야 선정, 전면 도입

* ①온라인투표 ②기부 ③사회복지 ④신재생에너지 ⑤금융 ⑥부동산거래 ⑦우정

- 비대면 환경에서 신원증명을 제공하고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비대면 경제의 맞춤형 기술로서 분산신원증명(DID) 활성화

- 우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기업 통합지원체계 구축

- 기술 격차(선진국 대비 2.3년) 해소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우리 기업의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표준 대응 강화

- 블록체인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 부산규제자유특구와 연계한 시범사업, 시장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등 추진

•�블록체인 초기 시장조성에는 기여하였으나, 시스템의 일부에만 적용하여 확산에 한계가 존재

- 업무절차 간소화, 비용 절감 등 성과중심의 시범사업 추진으로 국민이 실제 블록체인을 실생활에서 체험하고 도입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집중과제 부재

- 단년도 사업 중심, 기술개발 등 타 사업과 연계 부족으로 체계적인 블록체인 서비스 발굴 지원 미흡

* 출처 :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18. 6,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 `20.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블록체인 산업 실태조사, 2019,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2018년도 ICT 기술수준조사보고서, 2019,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블록체인 도입실태 및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조사, 2020. 1, 한국개발연구원(KDI)

국민 95%가 스마트폰 사용…보급률 1위 국가는? 2019. 2, KBS

Ⅱ. 동향 조사 분석

Page 10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106

1.발전 전망

블록체인 솔루션의 단계적 발전과 기업이 도출할 수 있는 기대치와의 일치성을 검토하기 위해 블록체인 스펙 트럼(Blockchain Spectrum) 발표 (Gartner, 2019)

2023년에는 전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블록체인의

진화를 4단계로 분석

- 블록체인은 5가지 요소기술*로 구성, 일부 단계는 수년간 완전히 발전하지 않지만 기업과 사회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분산화(distribution), 암호화(encryption), 불변성(immutability), 토큰화(tokeninzation),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1단계 : `09~`20) 블록체인 지원 기술(Blockchain-enabling Technologies)

- 분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술의 일부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등 블록체인 솔루션과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는 기반 제공

- 기초 기술은 암호화, 분산 컴퓨팅, P2P, 네트워킹, 메시징을 포함

(2단계 : `16~`23) 블록체인 유도 솔루션(Blockchain-inspired Solutions)

- 토큰화를 도입하기 시작하나, 가치 인터넷(IoV; Internet of Value)의 일부로서 새로운 가치 교환 시스템을 구현하기에

탈중앙화가 미흡

* 분산화, 암호화, 불변성 등 3가지 요소기술을 주로 사용

- 참여가 제한된(허가형) 중앙집중식 통제를 유지하며, 특정 조직이나 산업에서 기존 프로세스를 재설계하는 것을 목표

- 주로 금융 서비스에 종사하는 비즈니스 리더들이 개념증명과 파일럿을 통해 블록체인 탐색을 시작, 이 단계는

`20년대 초반까지 지속할 것으로 전망

Ⅲ 기술 발전 전망ICT R&D 기술로드맵 2025

Page 10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7

(3단계 : `20년대) 블록체인 완비 솔루션(Blockchain-complete Solutions)

- 블록체인 완전 솔루션은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화를 통해 토큰화가 가능하고, 새로운 형태의 가치(예: 새로운 자산

유형)로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기존 형태의 가치 광고 프로세스(디지털 커머스, 디지털 광고)에 대한 독점권 약화

* 분산화, 암호화, 불변성, 토큰화, 탈중앙화 등 5가지 요소기술을 모두 사용

- ̀ 23년도부터 기업용 블록체인 완성 솔루션이 등장할 것이며, 5가지 블록체인 요소기술을 모두 사용하여 동적 스마트

컨트랙트, 토큰화, 분산화 운영 구조를 사용하는 완전히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

(4단계 : `25년 이후) 블록체인 강화 솔루션(Enhanced-Blockchain Solutions)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분산 자기주권신원(SSI; Self-Sovereign Identity)와 같은 기술은 `25년 이후 블록체인과

융합이 가속화할 예정

- 블록체인 강화 솔루션은 사람들이 분산 SSI를 통해 디지털ID를 소유·제어·공유할 수 있으며, 개인은 자신의 ID를

공유하는 방법을 스스로 결정하여 조직·사람·사물이 상호작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결과적으로 블록체인 강화 솔루션은 토큰화 및 교환이 가능한 가치를 확장하고 기존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었던

다수의 트랜잭션을 처리 가능

- AI 등 자율 에이전트가 인간과 독립적으로 상업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얻음에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를 촉진

< 블록체인 산업 발전 전망 >

* 출처 : The 4 Phases of the Gartner Blockchain Spectrum, 2019.10.14., Gartner

https://www.gartner.com/smarterwithgartner/the-4-phases-of-the-gartner-blockchain-spectrum/

Ⅲ. 기술 발전 전망

Page 11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08

블록체인 기술은 1세대 분산장부 공유기술을 시작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 확산 적용되는 2세대로 발전

(1세대 : `09년~`14년) `09년 분산장부공유기술(DLT) 기반의 비트코인 등장 후 가상자산 발행·유통 및 거래 용도로

주로 사용

- 1세대 아키텍처는 트랜잭션 속도가 느리고, 응용범위 역시 주로 통화 발행에 한정되는 등 제한적으로 활용

(2세대 : `15년~현재) 스마트 컨트랙트가 추가되어 이더리움 등 응용플랫폼 성격이 강화된 활용 사례가 등장,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확장

-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의 다양한 분산앱(Dapp)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산권한, 유틸리티 등 다양한 용도의

블록체인 기술 기반 응용서비스가 등장

* 분산앱(dapp)는 3천 1백여 개 이상으로 지속 확산(dappradar, `20. 5월)

< 블록체인 세대별 특징 >

낮은 거래 속도, 비효율적 합의구조에 따른 네트워크 정체 현상 등 기존 1세대 및 2세대 아키텍처의 기술적 한계를 개선한 3세대 기술로 진화 예정

성능개선을 통해 공공서비스, 계약, 증명 등 신뢰가 필요한 전 산업 분야에 실질적인 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확장성을

담보하는 기술로 진화

기존 시스템(legacy system) 및 현행의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동 문제를 해결하여 산업뿐 아니라 국가 및 사회 혁신

기술로 발전할 전망

3세대 기술은 블록체인 인프라의 전송 최적화 및 안정성 확보(기반 기술), IoT 등 다종 데이터 연동 처리(확장 기술) 및 산업 실적용을 염두에 둔 실증 문제 해결(서비스 기술)이 핵심

< 3세대 블록체인 기술발전 방향 >

Page 11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09

(기반기술) 처리속도, 합의구조, 스마트계약의 신뢰성 및 확장성 관련 문제를 개선하여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의

구조적 한계 개선

- 퍼블릭 블록체인 기준 현행 수십 건에 그치는 초당 거래처리 용량을 단계적으로 상용 서비스 가능한 수준(확장성,

보안성 및 분산화 포함)까지 확장하여 실질적인 산업 적용 가능성 확보

* 비트코인의 경우, 블록생성 time = 10 min, 트랜잭션 처리용량 = ~ 7 tps, 트랜잭션 지연시간 = 60 min 수준이며, 이더리움은 블록생성 = 10 sec,

트랜잭션 처리용량 = ~ 20 tps 수준

- 참여 노드 수 증가에 따라 처리 성능이 저하되는 합의 기술 및 작업 증명의 고지연, 고비용, 지분증명의 저신뢰 등

구조적 한계 개선

- 스마트계약에 대한 자체 검증 기능을 확보하고 관련 실행과 동기화 작업에 자원 소모량이 높은 문제를 개선

- 응용 확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외부 공격 취약점 개선 및 참여자 이상 행동 탐지, 프라이버시 유출 문제 등

안전성 관련 기술적 난제 해결 필요

(확장기술) 데이터 무결성 확보 및 연동 정보의 신뢰성 제공을 통한 연속성 있는(seamless) 신뢰 네트워크 확보 방안 마련

- 현재의 블록체인은 처리 가능한 블록크기 및 연동 데이터 형태가 유연하지 못하여 다양한 크기와 규격을 처리하는

데 한계

- 블록체인 내 저장된 정보의 무결성뿐 아니라 블록체인 외부에 존재하는 정보의 신뢰성 관련 정보 제공을 통해

신뢰의 연속성 확보 필요

- 플랫폼 간, 정보 간보다 유연한 정보 처리 지원이 가능한 블록체인 처리 구조 확보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데이터를 하나의 블록체인에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기술적 지원 방안 마련

(서비스기술) 다양한 실증 및 상용화 서비스를 확보하여 파급력 높은 산업 융합 서비스를 발굴하고, 거래 완전성 및

고신뢰 담보가 가능한 서비스 제공

- 소규모 블록체인 실증서비스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험검증 환경이 미흡

- 블록체인 연구개발을 위한 시험검증도구(Emulator)와 상용 제품 서비스를 위한 신뢰성 검증 평가 기준 및

시험환경(Testbed) 마련 시급

- 3세대 블록체인에서는 산업용 서비스의 개발뿐만 아니라, 관련 신뢰성 검증 평가 기술 및 도구 개발을 통한 보안성,

안전성, 가용성, 확실성, 유지보수성 향상을 위한 인프라 기술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

Ⅲ. 기술 발전 전망

Page 11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10

2.핵심 이슈

분산장부 기술 이슈

① (이슈) 블록체인에 많은 노드들이 참여시키면 성능이 감소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드를 선택하여 합의를 하게

하면 다시 중앙화되는 문제가 발생

- (합의 기술) 블록체인에 참여한 노드들이 합의에 의해 불가역한 트랜잭션 처리 결과를 블록에 기록하기 위한 분산

합의 기술 필요

② (이슈) 미리 작성된 코드에 따라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성상 실수나 악의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쉽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요구

-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내용을 계약 당사자들이 이해할 수 있고, 형식화되어 있는 안정적 스마트 컨트랙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

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이슈

③ (이슈) 블록체인 내에서 발생한 모든 거래 기록과 개인 데이터들이 아무런 보호 없이 노출되어 프라이버시 관련

심각한 문제가 발생

-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거래 내역, 개인정보,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고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신뢰를 가져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 개발 필요

④ (이슈) 대용량 데이터를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여 저장 및 탈중앙화 관리 시스템이 미약하여 데이터 확보 관리에

대한 블록체인의 적용이 매우 제한적

-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주권을 보장함과 동시에 분산저장을 통해 저장 비용을

줄임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방안 필요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이슈

⑤ (이슈) 블록체인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트랜잭션을 다수 노드에 중복으로 전파함에 따라 성능 떨어지고,

효율적인 블록 전파 경로 탐색 기술이 부족

-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신규 트랜잭션 및 블록 데이터를 저지연,

고대역폭으로 참여 노드들에게 전달 기술 필요

⑥ (이슈) 안전성이 중요한 블록체인 시스템의 검증되고 신뢰성이 있는 시스템 개발 언어를 통한 개발이 부족하며

블록체인 시스템 리소스 관리 요구 증가

- (블록체인 OS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자원의 효율적 관리 기술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고속 실행이 가능한 가상머신 개발 및 외부 데이터 연동이 용이하도록 실행환경 제공 필요

⑦ (이슈) 비즈니스(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블록체인 활용을 위하여 블록체인 트랜잭션 처리 성능의 향상과 SW

방식과 HW 방식의 병행 접근이 요구

Page 11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11

-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블록체인 활용을 위한 처리 속도 개선과 HW 방식의 전용

프로세스 및 키 관리 방식 연구 필요

⑧ (이슈) 규제 범위 내에서 블록체인 사업에 적용을 위해서는 관리 주체가 이상 상황 및 법적 책임에 대한 대비한

시스템 관리에 대한 이슈 발생

-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채널, 시스템 권한, 계정 관리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기술, 멀티 클라우드

블록체인에 대한 통합 관리 기술이 필요

⑨ (이슈) 유사한 기능을 중복적으로 개발하는 비효율성으로 인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본 아키텍처와 공통 모듈에

대한 기술개발 업체의 요구 증가

-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멀티 블록체인에 대한 통합 개발도구 구축을 위한 기술 및 테스팅 도구 연계 기술 필요

블록체인 연동 기술 이슈

⑩ (이슈) 블록체인과 기존 시스템의 별도 운영으로 서비스 연결성 문제 및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확장성이 떨어지고 운영절차 상의 복잡도 증가

-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블록체인의 확장을 위해서 기존 운영 시스템(Legacy system)과의 효율적인 상호

운용성 확보 필요

⑪ (이슈) 이기종 블록체인 시스템은 대개 전혀 다른 기술, 표준 및 프로토콜로 실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동일한

거래정보의 생성을 어렵게 함

-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블록체인 플랫폼 간 트랜잭션 교환 및 스마트 컨트랙트 연계를 위한 공통 트랜잭션 관리

및 데이터 무결성 확보 방안 필요

블록체인 서비스 기술

⑫ (이슈) 주소의 익명성을 악용한 불법거래의 수가 증가하고 있어, 불법거래를 추적하고 대응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정 노드 혹은 트랜잭션 과정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요구 증가

- (트랜잭션 분석 기술) 블록체인의 이상적 상황을 가시적으로 검증하고, 불법 사용 추적 및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

⑬ (이슈) 블록체인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적용 대비 도입 비용 및 운영 효율성의 검증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

산업의 블록체인 융합에 의한 산업 Digital Transformation의 성공사례가 현재까지 미비

- (산업융합 기술) 공공/민간 등 다양한 산업융합을 위한 블록체인의 쉬운 구축 및 관리 효율화를 위한 BaaS 공통

플랫폼 개발 필요

⑭ (이슈) 평가속성 및 평가기준 정의를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이 초기단계이며, 대규모 비허가형 블록체인 테스트를

위한 시험환경과 범용 시험도구의 부재로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체계 구축에 어려움 존재

- (신뢰성 검증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서비스의 전체 기능계층구조와 생명주기 전반에 대응하기 위한 고신뢰성

평가기준을 국제표준과 연구동향 연계하여 개발

Ⅲ. 기술 발전 전망

Page 11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112

1.후보 기술

향후 5년간 블록체인의 핵심이슈는 ①분산장부 기술, ②블록체인 데이터 기술, ③블록체인 시스템 기술, ④블록체인

연동 기술, ⑤블록체인 서비스 기술로 예상되어 관련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후보기술 설정

구분 개념

합의 기술•�분산원장에 저장되는 트랜잭션의 유효성, 트랜잭션 집합의 일관성, 순서화의 보증을 위한 노드 간의 동의절차

에 적용되는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계약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된 데이터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데이터 병렬처리, 블록 페이로드에 트랙잭션 분산처리 및 병합 등의 기술을 활용한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각각의 피어(peer)가 중앙의 개체(사람, 그룹, 장치 또는 프로세스 등) 없이 직접 연결하

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블록체인 OS 기술 •�블록체인 상에 구동되는 분산앱(Dapp) 구현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 가상 머신 기술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디바이스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의 채널, 권한, 계정, 키 관리에 필요한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추출/분석/명세/검증 프로세스 구축, 요구사항 수준 검증 및 테스팅 기술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체인, 분산원장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변경된 정보를

상호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 융합을 통해 신규서비스 개발 기술

트랜잭션 분석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정 노드 혹은 트랜잭션 과정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관리하는 기술

산업융합 기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타 산업(도메인)에 적용가능한 코어 및 서비스 기술

신뢰성 검증 기술•�블록체인 신뢰성 제고를 위한 신뢰성 평가기준, 평가방법론, 절차서 등 평가체계 제공 및 코어 엔진 모듈화, 테

스트넷, 시험자동화 등 테스트 기술

블록체인 운용을 위한

인센티브 기술•�블록체인에서 다수 노드 참여를 통한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센티브 구조

신뢰 확산 기술•�블록체인을 통해 얻어지는 신뢰를 손상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종 블록체인 간에 정보전달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하는 기술

민감정보 교환 기술•�개인에게 민감한 정보를 완벽하게 보호하며 교환할 수 있고 개인 색인 정보 등 민감 정보를 제거할 때 정보에

최소 영향을 주는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탈중앙화 관리 기술•�블록체인을 통해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추적할 수 있는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변환 기술 •�블록체인 상의 온체인 데이터를 가져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연결해주는 기술

대상 기술 선정ICT R&D 기술로드맵 2025Ⅳ

Page 11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13

2.후보기술 검토

< 기술로드맵 대상 기술 검토 기준 >

01 정부 R&D 지원 필요성(민간 영역 제외)이 있는 기술

02 위험도, 혁신성 및 기지원 여부를 고려하여 고위험·도전적 영역 기술

03 국민 생활문제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사회문제 해결형 R&D 기술

04 핵심원천기술 자립역량 강화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 핵심 기술(해당시)

05 국산화 등 기타 필요성을 고려할 때 반드시 정부에서 개발이 필요한 기술

정부지원 필요성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정부지원 필요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들이 정부지원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판단

정부지원 필요성 높은 기술

합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

술, 블록체인 OS 기술,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블

록체인 상호 운용기술,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트랜잭션 분석 기술, 산업융합 기술, 신뢰성 검증 기술

고위험·도전형 R&D 여부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고위험·도전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고위험‧도전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판단

* (고위험·도전형 R&D) 정부 정책과 미래 트렌드를 반영한 중장기적으로 ①위험성(실패위험)이 크며, ②혁신성(파급효과)이 큰 분야

고위험 도전적인 기술합의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블록체인 OS 기술, 블록체인 상호운용 기술, 이종 블록체인 연계 기술, 트랜잭션 분석 기술

Ⅳ. 대상 기술 선정

Page 11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14

사회문제해결형 R&D 여부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의 사회문제해결 가능성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사회문제해결형 R&D

테마로 판단

* ICT 기술을 융합·접목하여 국민 생활문제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술분야

사회문제해결형 기술 산업융합 기술

국산화 등 기타 필요성 검토

로드맵위원회(`20. 5월)를 통해 후보기술들 중 국산화 필요성이 있는 기술을 검토한 바, 아래 기술이 국가가 국산화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는 기술로 판단

국산화 필요성이

매우 높은 기술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신뢰성 검증 기술

Page 11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15

3.로드맵 대상 기술

기술분야 주요 세부 기술 및 개념 비고1 비고2

합의 기술•�분산원장에 저장되는 트랜잭션의 유효성, 트랜잭션 집합의 일관성, 순서화의 보증을 위한 노드 간

의 동의절차에 적용되는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계약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서 저장된 데이터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기술

•�데이터 병렬처리, 블록 페이로드에 트랙잭션 분산처리 및 병합 등의 기술을 활용한 고성능 트랜잭

션 처리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각각의 피어(peer)가 중앙의 개체(사람, 그룹, 장치 또는 프로세스 등) 없이

직접 연결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OS 기술•�블록체인 상에 구동되는 분산앱(Dapp) 구현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 가상 머신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블록체인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디바이스 기술

국산화

필요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블록체인 시스템의 채널, 권한, 계정, 키 관리에 필요한 기술

국산화

필요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추출/분석/명세/검증 프로세스 구축, 요구사항 수준 검증

및 테스팅 기술

국산화

필요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상호운용 기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체인, 분산원장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변경

된 정보를 상호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이종의 블록체인 플랫폼 간 융합을 통해 신규서비스 개발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트랜잭션

분석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정 노드 혹은 트랜잭션 과정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관리

하는 기술

고위험·

도전형 기술

응용·

개발

산업융합

기술•�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타 산업(도메인)에 적용가능한 코어 및 서비스 기술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

응용·

개발

신뢰성

검증 기술

•�블록체인 신뢰성 제고를 위한 신뢰성 평가기준, 평가방법론, 절차서 등 평가체계 제공 및 코어

엔진 모듈화, 테스트넷, 시험자동화 등 테스트 기술

국산화

필요 기술

응용·

개발

Ⅳ. 대상 기술 선정

Page 11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116

1.R&D 추진방향

As is (현재) To Be (미래)

분산장부

•저속 에너지 소모 합의 구조

•중앙화 합의구조

•개발자 중심 스마트 컨트랙트

•고속 효율적 경량 합의구조

•탈중앙화 분산형 합의구조

•사용자 중심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취약한 데이터 기밀성

•저속 온체인(On-chain)

•프라이버시 보장 기술(선택적 제공)

•고속 사이드체인/오프체인/병렬처리

시스템

•저속 P2P 네트워크

•키/암호 분실 위험

•단일 블록체인 종속 SW개발환경

•저지연 초고속 P2P 네트워킹

•분산 키 관리

•유연한 블록체인 SW개발 환경

연동 •단일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구조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 운용성 확보

서비스•블록체인 평가 체계 불분명

•블록체인 플랫폼 난립

•블록체인 기술/성능 평가체계

•블록체인 표준화(산업/서비스)

Ⅴ 기술로드맵ICT R&D 기술로드맵 2025

Page 11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17

2.기술로드맵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달성

목표

서비스

전자문서 사용 이력/

추적 서비스

모바일 신분증

확인 서비스

글로벌 무역

거래 체인

대용량 데이터

유통 체인

스마트계약 활용

AI 연계 서비스

IoT 블록체인

서비스

제품

트랜잭션 모니터링

탐색기DID 플랫폼 BaaS 플랫폼 MyData 플랫폼

AI 데이터 /

모델 연동 플랫폼

공공 블록체인

플랫폼

분산

장부

기술

합의

기술

응용

개발

위임형 비잔틴 합의

알고리즘탈중앙화 노드 선택 기술 비잔틴 감내 탈중앙화 합의기술

합의 단계/노드구성 최적화 기술 합의 프로토콜 메시지 최적화 기술

초저지연

경량 블록체인 연구초경량/저전력 합의기술 다계층/지능형 합의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응용

개발

스마트 컨트랙트 가독성 향상 기술 지능형 스마트 컨트랙트 처리 기술자율형 서비스

구현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정형명세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동적 분석

지능형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자동 탐지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기초 연구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처리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법적 지위 대응 기술

블록

체인

데이터

기술

프라이

버시

보호

기술

응용

개발

개인 콘텐츠 추적 및

완전소멸 연구블록체인 트랜잭션 암호화 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암호화 연산 효율 향상 기술

자기주권

신원정보관리 연구발행인 및 사용자 익명성 기술 안전한 프라이빗(오프체인) 저장소

분산

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응용

개발

멀티 채널 병렬처리

기술연구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기술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분산저장 장애 복구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검색 기술 분산 병렬 질의 처리 및 고속 분석 기술

온-오프 체인

연계 연구블록체인 데이터 경량화 및 압축 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변경 및 최적화 기술

Ⅴ. 기술로드맵

Page 12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18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블록

체인

시스템

기술

블록

체인

네트

워크

기술

응용

개발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지연 기초 연구피어 간 트랜잭션/블록 저지연 전송 기술 트랜잭션/블록 전송 트래픽 최적화 기술

트랜잭션/블록 전달 경로 최적화 기술 트랜잭션/블록 전달 안전성 확보 기술

블록

체인

OS

기술

응용

개발

시스템 자원 최적화 기술 시스템 자원 관리/통제/보호 기술

가상머신 기초연구 고속 가상머신 기술 가상머신 최적화 기술

블록

체인

디바

이스

기술

응용

개발

HW기반 블록체인 서명 및 데이터 직렬화 기술 블록체인 전용 고속 프로세스 기술

멀티 레벨 인증키

관리 및 복구 기술

블록체인 하드웨어 암호화 모듈(HSM) 기반

키관리 기술

블록체인 하드웨어 암호화 모듈(HSM) 기반

데이터 보안 기술

블록

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응용

개발

클라우드 기반

BaaS 관리 기술

클라우드 기반

SaaS/PaaS 관리 확장 기술

클라우드 기반

IaaS 관리 기술멀티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멀티 블록체인

통합기술

채널/상태 모니터링 및 시스템/

사용자권한 관리 기술멀티 클라우드 블록체인 프로비저닝 기술

멀티 블록체인 플랫폼

통합 관리 기술

블록

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지원 도구멀티 블록체인 통합

개발자동화 도구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도구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블록체인 통합

테스팅 자동화 도구 기술

블록

체인

연동

기술

블록

체인

상호

운영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의

상호 연동 연구

레거시 시스템 상호운용 아키텍처 및 연동

인터페이스 표준 기술

레거시 시스템 통합 상호운용성 보장 및

선택적 원장 데이터 동기화 기술

이종 플랫폼(IoT, 빅데이터, AI)

연동 표준 프로토콜 및 API 기술블록체인-IoT-인공지능 융합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

이종

블록

체인

연계

기술

응용

개발

이종 체인 간 데이터 전송 표준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 간 변환 기술인터체인 간 원장 동기화

크로스체인 트랜잭션

검증 및 관리 기술

블록체인 간 상호 연동

표준 게이트웨이 기술크로스 체인 Adapter 기술

이종 체인 간 스마트 컨트랙트 자동 변환

및 연동 기술

크로스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무결성 및

유효성 검증 기술

Page 12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19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블록

체인

서비스

기술

트랜

잭션

분석

기술

응용

개발

트랜잭션

모니터링 및

분석 연구

블록체인 트랜잭션 수집 및 추적 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이상거래 탐지 및 규제 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검증 기준 연구 블록체인 트랜잭션 가시화 기술

산업

융합

기술

응용

개발

개별 도메인별 응용

플랫폼BaaS 관리 도구

글로벌 무역거래

BaaS 플랫폼

대용량 데이터 유통

BaaS 플랫폼

인공지능

연계 BaaS

플랫폼

IoT 연계 BaaS 플랫폼

다중언어 지원 가능한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산업 도메인별 요구 기반

스마트컨트랙트 자동 생성 기술

가상 실증환경 테스트 플랫폼 컨테이너 연계형 블록체인 기술

신뢰성

검증

기술

응용

개발

블록체인 에뮬레이션

라이브러리

로컬 및 중소규모 시험환경을 위한

블록체인 에뮬레이션 기술대규모 블록체인 테스트넷과 시험자동화 기술

신뢰성 내재화를 위한

블록체인 엔진 모듈화 기술주요 블록체인 엔진 공유 및 재사용 지원 기술

* 2020년은 블록체인 기술개발(R&D) 과제 중심으로 정리

Ⅴ. 기술로드맵

Page 12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120

1. 합의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 성능은 합의 기술에 의해 결정되지만 현재 개발된 합의 기술들은 성능 및 기술적 한계로 활용에 한계로 국가 차원의 블록

체인 핵심 기술 우위 확보 및 기술 선도

블록체인 생태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의 자격 증명 및 악의적인 합의 참여 노드의 제재를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 확보 필요

민간 합의기술을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 또는 자체 플랫폼에 탑재하여 상용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의 신서비스 창출

1 기술개발 전략

다수의 참여자(Node, Peer 등)가 통일된 의사결정을 위한 기술로 위변조와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증명(Proof) 방식을 말하며, 블록체인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알려진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에 따른 의존도가 높아 국내 기술 확보

(탈중앙화 합의기술) 블록체인 핵심 가치인 탈중앙화를 지원하기 위해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의 자격의 공평성을

검증하고, 합의노드를 선정·제어하며, 합의 참여노드의 정보 교환 및 동기화를 통해 대규모 분산 노드 간에

탈중앙화된 합의가 가능한 기술 개발 필요

(합의노드 운영기술) 공평하게 선택된 노드에서 합의 가능한 최소의 노드를 구성하기 위한 합의노드 구성기술과 노드

간 합의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합의 메시지 복잡도 최소화 및 합의 단계를 축약하는 기술 개발 필요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기술) 블록체인의 한계인 처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거래를 분할하여 동시에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다계층 병렬 분산합의 및 지능형 분산합의 기술과 IoT와 같은 사물 네트워크에서도 합의를

가능하게 하는 초경량/저전력 분산합의 기술 개발

기술 확보 전략ICT R&D 기술로드맵 2025Ⅵ

Page 12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21

2 표준 확보 전략

현재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과 합의 기술이 존재하나 특정 플랫폼에는 특정 합의 기술만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로 합의 기술을 다양한 플랫폼에 플러그인 형태로 탑재할 수 있는 합의 기술과 플랫폼 연동 인터페이스 표준화가 필요

합의 기술 자체와 관련한 표준화보다는 ISO/TC 307/WG 1에서 합의 기술을 포함한 일반적인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과 관련하여 가장 근본적이고 기초가 되는 용어 및 참조모델 등의 기술문서를 개발 중

다양한 합의 기술들이 개발 중이나 성능과 활용의 한계로 PoC 수준의 서비스 적용 가능성 시험 단계에 머물고

있으므로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국제 특허 확보를 통해 블록체인 핵심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플랫폼 연동을 위한 합의

기술 인터페이스 표준화 선도 필요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안정적인 블록체인 생태계 운영을 위해서는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자격 검증, 참여 절차, 악의적인 노드들에 대한

패널티 부가 등 합의 기술 외적인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근거 확보 필요

2.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 기술의 빠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제교류와 표준화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기술 변화를 국내에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전문가 활동을 지원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성상(고위험+도전형 기술) 실수 또는 악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컨트랙트 관리체계를 지원

스마트 컨트랙트 테스트 방법론과 시험 플랫폼 구성이 가능한 센터 지정

민간

스마트 컨트랙트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유사 스마트 컨트랙트의 검색과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 연구와 제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가 전문지식 없이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가 이해하는 내용으로 스마트 컨트랙트가

진행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지능형 운영 방법 제공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2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22

1 기술개발 전략

일반 계약 당사자가 이해하는 언어로 기술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동일한 내용으로 블록체인 내에서 작동하도록 만들기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관리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스마트 컨트랙트의 정확한 동작을 검증하는 기술과 물리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정보 일치를 확보하는 방안 제시, 이를 기반으로 지능형 시스템의 자율적 협업이 가능한 지능형 자율 협업 에코시스템 제공

(스마트계약 기반기술) 기존 소프트웨어 공학 기법에 의한 스마트계약 검증 연구는 진행 중이나, 스마트 컨트랙트

고유 문제인 시간 변화에 따른 환경변화의 반영을 고려한 검증 방법은 지능형 분석과 의존성 그래프 분석에 의한

안정성 검증 확보

(스마트계약 외부인터페이스 기술) 블록체인 외부에 있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로 들어오는 블록체인 오라클 기술과,

복잡하고 알기 어려운 계약 내용을 알기 쉽게 보이는 가시화 기술, 유사한 스마트 계약을 분석 관리하여 제공하는

재사용 기술, 신뢰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믿을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과 학습 데이터를 보장하는 AI 연계

기술 확보

(분산앱 기술) 분산앱(Dapp)은 블록체인의 활용 프로그램으로서 실제 블록체인 사고의 대부분이 분산앱과 관련되어

있으며, 현재는 분산앱 통합 관리가 주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자체의 안정화가 시급

2 표준 확보 전략

ISO/AWI TS 23259에서의“블록체인 및 DLT 법적 연계 스마트 계약(Legally binding smart contracts)”에서는 개별 국가의 국내법 실정이 달라 국제 공통으로 받아드릴 수 있는 국제적 기본 합의 형태 표준화만 진행

각 국가별/언어별 계약 당사자가 이해하는 언어로 기술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계약 당사자가 이해와 동일한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작 보장에 관한 표준 제시

환경 변화를 고려한 스마트계약 검증 기술은 각 국가별로 필요한 기술이지만 아직 초보적 단계에 있어 이를 표준화

제안을 통해 선도 가능

스마트계약 오라클, 스마트계약 사용자 가시화, 스마트계약 재사용, 스마트계약 AI 연계 기술 등은 아직 표준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초도의 선취권 획득 가능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스마트 컨트랙트의 법적 효력을 위한 법/제도 연구 집단을 구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가 정상 작동하였으나

계약의 본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법/제도 해석 필요

Page 12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23

3.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의 투명성이라는 장점을 살리고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에 대한 제시를 통해 블록체인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반기술로서

정부주도의 연구 개발이 필요

Credential이나 Presentation의 규격, 상호연동 프로토콜 등의 표준 제정 필요

사용자 주권 기술은 기존의 중앙화된 사용자 인증 기술과 다른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어 현재 중앙화된 기술에 기반한 제도의 개

선 필요

민간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기반기술을 각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하여 개인정보보호 관련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서비스 창출 및

기업성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에서의 투명성을 보장하면서도 개인정보를 노출시키지 않는 기술 및 사용자가 모든 자신의 데이터를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자기 주권 기술 개발

(개인정보처리 기술) 블록체인을 사용할 때 개인정보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거래 발생 여부,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사용자 익명성을 보장하고 트랜잭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믹싱,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 보호를 위한 비밀 분산,

다자간 연산, 영지식증명, 동형암호 기술

* 믹싱(mixing) :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뒤섞어 송수신자 정보를 알 수 없도록 숨기는 기술

* 비밀 분산(secret sharing) : 하나의 비밀(secret)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분산(shares) 저장하고 복원을 위해서 일정한 수 이상의 분산을 통해서 복원하는 기술

* 다자간 연산(MPC; Multi-Party Computation) : 원래의 정보는 알 필요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비밀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함수값을 함께 계산하는 기술

* 영지식 증명(ZKP; Zero-Knowledge Proof) : 거래 상대방에게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은 채, 자신의 해당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기술

*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 :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없이도 연할 수 있는 기술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2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24

(사용자 주권 기술)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증명을 직접 관리하고 공개 대상과 범위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신원정보 관리 기술 개발

- 모든 개인 데이터를 사용자 자신이 소유하고, 인증이 필요한 부분은 발행인(Issuer)의 인증을 받아 소유하고 있다가,

검증인(Verifier)의 요청이 있을 때,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사용자의 서명을 포함하여 검증인에게

제공하며, 검증인은 블록체인에 기록된 검증 정보(퍼블릭키 및 다큐멘트)를 이용하여 제출된 정보를 검증하는 기술

- 분산형 식별자 관리 및 분산인증/신원증명 기술 개발하며, 발행인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데이터 주권을

확립할 수 있도록 선택적 정보 제공, 범위 증명(Range Proof), 세트 멤버쉽 증명(Set-Membership Proof) 기술

- 개인 소유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권한 위임을 통해서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된 안전한 오프체인

데이터 저장소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다양한 자기 주권 플랫폼들의 상호호환성을 위해서 표준화된 규격과 프로토콜을 제정

자격증명(credential) 및 ID 데이터 집합(Presentation) 규격의 표준화, 발행인-사용자-검증인 사이의 신원 인증 및 검증

프로토콜 표준화, Credential 폐기 관련 프로토콜의 표준화 방안 수립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프라이버시는 보호 대상이며, 이는 사회의 제도나 규제와 별도로 생각할 수 없으므로, 블록체인 생태계에 맞는 제도와 규제 개선 필요

현재의 중앙화된 ID와 인증 시스템에 맞춰진 제도 및 규제를 탈중앙화 자기 주권 기술에 맞도록 개선 필요

Page 12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25

4.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現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의 교환 및 제어가 어려움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 유통 및 제어에 근본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미래 블록체인 기술을 주도를 위해서는 정부주도의 개발이

필요함

민간 대용량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분산원장 데이터 처리 기술을 현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여 기업의 新서비스 창출 및 기업

성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블록체인 데이터 분산 관리기술 개발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분산 저장된 블록체인 빅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도록 분산 인덱싱 방법과 병렬

분석 기능 개발

- 블록체인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 시공간, 이벤트, 내용 기반 분석 기술 개발

(대용량 데이터 저장기술) 분산 인메모리 기반으로 대규모 블록체인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블록체인 데이터 저장

용량 및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비잔틴 장애 내성을 갖는 블록체인 데이터 분산 관리, 기가바이트(GB) 이상 대용량 데이터 분산 관리, 블록체인

특성을 고려한 경량 상태 DB,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에 대한 고속 처리 기술을 개발

(데이터 변경 기술) 블록체인 상에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 관리가 가능하도록, 메타 데이터를 표준화 적용기술 개발

- 저장된 데이터의 수정, 변경, 삭제, 및 추가가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경에 대한 권한 부여 및 블록체인 고유의

위변조 방지(tamper-resistant) 기능과 데이터 변경에 대한 상시 감사(audit)가 가능하도록 하는 합의 알고리즘 및 기업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연동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한 자동 트랜잭션 기술 개발

(데이터 최적화 기술)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에 대한 확장성을 담보할 수 있는 관리 기술의 개발

- 노드의 가입, 탈퇴, 재가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및 근접 노트 탐색 및 관리 기능 및 데이터 라우팅 테이블

관리 기능 등 개발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2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26

2 표준 확보 전략

현재 국제 표준화 기구를 통한 블록체인 기반 대규모 데이터 분산 저장 및 분석 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미비함에 따라 표준을 선도할 필요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한 국제 특허확보 및 활발한 산학연 연구 활동 장려를 통한 국내외 학회 등을 통해 연구 결과 확산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에 관한 규제 개선 필요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인 경우 블록체인에 저장된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의 파기의무(개인정보보호법 2조

1항)규정을 충족하지 못할 수도 있음

- 정보의 파기에 대한 해석을 영구 삭제의 개념이 아닌 데이터는 남더라도 내용을 전혀 알아 볼 수 없도록 하면

규정을 충족한 것으로 해석하는 완화 적용 필요

블록체인 기반 대규모 분산 저장 기술은 조직 간, 기관 간의 데이터 연계를 통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로서, 기관별로

획득해야 하는 현재 개인정보 수집을 위한 사전 동의의 의무 및 CPO, CSO 관련 규정 등도 개선 필요

5.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의 성능을 좌우 하는 중요한 요소인 P2P 네트워크 속도 향상을 통해 블록체인의 처리 속도 및 용량을 비약적으로 향상 시

켜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미래 융합 분야에 정부주도의 적용 필요

블록체인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공개된 라이브러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 주도의 표준화 개발 및 산학 협력을 통해 개발된

네트워크 솔루션의 공개 및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

자율주행, 스마트 시티, AI, IoT 등 미래 기술 환경이 요구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실증 환경 조성 및 인프라 투자 필요.

민간 안정성이 강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최적화된 전파 알고리즘에 기반한 분산 원장 기술을 미래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하여 신서비

스 창출 및 세계화 필요

Page 12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27

1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은 블록체인만의 독특한 피어 노드 탐색 및 블록 전파를 최적화하기 위한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하므로, 주요 산업 항목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 환경 변수들을 정의하여 실증 위주의 기술 개발을 추진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이 트랜잭션과 생성된 블록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로, 전파 방식의 효율성 상승은 TPS 상승에 크게 기여하는 요소

- P2P환경에서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중복 트랜잭션 전파를 막는 기술, 효율적인 전파

경로를 찾는 기술, 블록 생성 주기와 블록 크기를 최적화함으로써 개선 가능

- 미래 산업인 AI 등에 블록체인이 활용될 경우 대용량 블록을 전파하고 실시간 트랜잭션을 고성능으로 전파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

(노드 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현재 대부분 블록체인은 프로젝트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처리 속도를

위해 데이터 센터도 지역적으로만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 블록체인의 특성인 탈중앙화를 통한 안정성에 제약사항이

되고 있음

- 순수 P2P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돌리기 위해 필요한 피어 노드 탐색 및 경로 전달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

- 미래 산업인 IoT, 로봇, 자율 주행과 같은 분야에서는 특수한 네트워크 상황이 발생 시 잘 동작하도록 설계된

블록체인은 엣지 컴퓨팅과 함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주요 기술로 활용 기대

2 표준 확보 전략

네트워크 기술들은 표준화 이후에 실제 환경에서의 구현이 매우 까다로우므로, 실제 동작하는 코드를 테스트 베드와 함께 공개하여 표준화 선도 필요

(테스트베드 구축) 주요 P2P 네트워크 환경을 테스트베드로 구축하여, 각 연구실에서 공통 환경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하여 솔루션을 비교할 수 있게 하고, 해당 솔루션을 공개하여 실제 산업에 활용 유도

(블록체인 메인넷 적용) 검증된 네트워크 솔루션은 실제 공개된 메인넷에 적용하여, 오픈 커뮤니티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제도 및 규제를 개선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노드를 위한 인프라 자원 확보 및 P2P 트래픽에 대하여 망중립성을

보장할 수 있는 수단 필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3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28

6. 블록체인 OS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및 효율적인 자원관리 기술은 전 산업에서 블록체인을 적용 및 활성화하는 데 필수적인 핵심기

술이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산업계에서 이루어질 것이므로, 정부는 핵심 기술 수요에 대한 해결, 표준 제시, 융합형 인력 양

성 지원을 통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민간 블록체인 관련 산업의 본격적인 규모 확대를 통한 사회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민간에서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

(dApp) 생태계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임

1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기술, 사용자 중심의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 기술 및 블록체인 가상 머신 기술 개발

(리소스 관리 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분산 인덱스 구축 및 저장, 병렬 처리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 자원 접근제어 및

보호기술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언어) 오픈 OS 또는 기존 OS의 시스템 레벨에서 인터페이스를 위한 시스템 언어를 기반으로 고성능,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

- 자연어로 작성된 사용자 간의 계약 문서를 자동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로 생성하거나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술

-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술적 관점과 법률적 관점을 일치시켜 법적 효력(Legally enforcible)을 가지도록 하는 기술

(블록체인 가상머신) 고속지원이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 가상머신 개발 및 외부 데이터 연동 기능이 정의된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환경 제공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리소스 관리 및 스마트계약 기술은 미래 全 산업 자동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기술로 아직 초기 발전단계이고,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각각 다르게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계약 방식에 대한 통합 표준 필요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실생활에서의 페이퍼 기반 계약서와 같은 법적인 효력을 가질 수 있는 법령 및 제도 개선 필요

Page 13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29

7.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 연산 처리 시 CPU 병목 현상에 의한 속도 저하 문제 해결을 위한 블록체인 디바이스의 선제적 연구 개발을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민간 고성능·고안정성 분산원장 연산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 초고속 블록체인 플랫폼 상용화를 통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블록체

인 시장 확대 으로의 진입 및 기업성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현 블록체인의 처리 속도 저하 문제 및 낮은 신뢰성 문제 해결을 위한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블록 병렬처리 프로세스 및 키 관리 시스템 등 하드웨어 기반 고성능·고안정성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 개발

(블록체인 전용 프로세서) 블록체인 처리성능(TPS) 최적화를 위한 알고리즘 및 데이터 처리 전용 프로세서 기술

- (서명/검증 프로세서) 기존 범용적인 CPU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던 CPU 사용량 증가, 서명/검증 속도 저하를

해결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프로세서

- (데이터 직렬화 프로세서)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요청, 응답 시 필요한 데이터 직렬화 과정에서 발상하는

CPU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빠른 요청 및 응답 처리를 위한 데이터 직렬화 하드웨어 프로세서

- (보안 프로세서) 트랜잭션 처리, 합의, 블록 생성, 데이터 암호화 등에서 블록체인의 보안성 유지를 위한 암호화, 해쉬

알고리즘 처리 프로세서

-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대량의 트랜잭션 발생에 따른 블록체인 데이터 증가로 인한 데이터 처리 성능 저하 문제

해소를 위한 데이터 저장/불러오기에 개입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

(블록 병렬처리 프로세스) 여러 종류의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시 CPU의 부하를 통한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전용 처리 기술 및 다중 체인에서 복수의 거래 분산 처리, 블록 생성 시

트랜잭션 검증 및 데이터 병렬 처리 기술

(키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신뢰환경 구축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보호 및 키 관리와 민감 데이터 기밀성 유지를 위한

데이터 보안 기술

- (스마트 컨트랙트 보호기술) 기존의 신뢰할 수 없는 저장 공간에서 실행되던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위/변조

방지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저장·실행 기술

- (키 보호 기술) 블록체인 서명시 사용되는 비대칭키에 대한 하드웨어 기반 생성, 사용, 삭제 등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기술

- (데이터 보안 기술) 보안 전용 프로세서 기반 노출에 민감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기밀성 유지를 위한 데이터 암호화 기술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3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30

2 표준 확보 전략

정부의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의 표준 확보를 위해 정부중심의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의 요구사항을 우선 정립하여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디바이스 기술에 대한 표준 정립

블록체인 디바이스에 대한 용어, 유즈케이스, 기술참조 모델에 대한 표준 정립

블록체인 디바이스 요소 기술(암호화 알고리즘, 합의 알고리즘, 데이터 통신 등)에 대한 표준 정립

블록체인 디바이스에 대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정립

블록체인 자산 보호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 키 관리 표준 정립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블록체인 하드웨어 개발 시 필요한 반도체 설계자산(IP)들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기술공유, 혹은 기술 지원 등의 정책 필요

8.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現 블록체인의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실증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부의 일관된 블록체인 시스템관리(ADMIN)이 존재하지 않

고 있어, 향후 많은 이슈가 예상됨

블록체인 통합관리 필요성, 블록체인 확장성, 유연성, 다양성, 성능 등을 해결하고, 미래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성을 주도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써 정부 주도의 개발 필요

민간 정부 블록체인 사업 시 정부가 제시한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의 표준 또는 요건에 맞게 블록체인 관리기술을 적응하여 정부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업의 신서비스 창출 및 기업성장 제고

Page 13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31

1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노드별 모니터링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관리 도구(Admin Tool)로써, 운영자가 화면을 통해 피어(peer), 오더러(orderer), 채널(channel)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향후 기술개발을 통해 docker container의 기동, 중지, 자원 모니터링 등의 기능도 통합하여 관리될 수 있는 기술 개발.

그리고 장기적으로 멀티(muli) 블록체인 플랫폼(솔루션)을 통합관리 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채널관리 기술) 채널별 맵이 생성이 되고, 관리될 수 있어야 하고, 생성된 피어(peer)에 대해 배포 및 권한이 자동으로

설정 관리 기술

- 멀티 클라우드/블록체인 내에서 프로비전닝이 가능하도록 기술 개발

(시스템 권한 관리 기술) 각 노드별로 노드의 권한을 설정하고 블록생성의 주기, size, 합의 알고리즘 등에 대한 설정 및

관리 기술

(사용자 계정 및 권한 관리 기술) 참여자의 계정과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Organization, 피어, CA(Certificate

Authority) 서버의 인증키를 생성 및 관리

- 참여자 계정과 권한의 복잡화 될수록 성능의 이슈가 제기되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암호키관리, 모니터링 기술) 블록체인 암호키는 블록체인 운영환경에서 참여자의 활동을 승인·증명하는 수단으로,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시스템은 블록체인 운영설정 및 블록체인 참여자의 블록체인 활동 시작 시 블록체인 암호키

수명주기 관리 정책에 따른 키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생성, 발급, 저장, 백업, 폐기 등)를 실시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기술 필요

2 표준 확보 전략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의 요구사항을 우선 정립하여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 기술에 대한 표준을 정립

블록체인 시스템관리 기술요구사항 정립

블록체인 시스템관리 표준 기술 정립

블록체인 시스템관리 기술 개발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3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32

9.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現 블록체인의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실증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부의 일관된 블록체인 구축 표준이 없어, 다양한 형태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도입/구축되고 있어, 향후 시스템의 확장 시 다양한 이슈가 예상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 시 시스템의 확장성, 유연성, 다양성, 성능 등을 해결하고, 미래 블록체인 정부 플랫폼을 구성을 주도하기 위

한 핵심기술로써 정부주도의 개발 필요

민간 정부 블록체인 사업시 정부가 제시한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의 표준과 가이드에 따라 기업의 신서비스 창출 및 기업성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에 접근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본 아키텍처와 공통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결과물의 기본 품질을 보장하고자 하는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기술) 블록체인 개발에 필요한 개발자 표준, 공통모듈 재사용성, 개발 가이드, 향후 유지보수성,

확장성을 고려하여 개발 기술

- 프레임워크(Framework) 기술을 우선 적용하여 개발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솔루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있도록 기술 개발 필요

- 장기적으로는 모델기반의 소스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지능형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필요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도구 기술) 개발자 표준, 가이드, 재활용성, 유지보수성, 가용성 제공, 커넥션 풀 관리 등이

제공되어야 하고, 향후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 기반의 통합개발환경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블록체인 시스템 테스팅 기술) 통합개발환경을 통해 UI/UX, 외부 연계, 오프체인 API 등을 쉽게 구현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하고, 기능요건에 대한 테스팅이 자동화 될 수 있는 도구 등 개발

- 블록체인이 보편화되어 오프체인 데이터를 온체인 데이터로 전환 시 병행 오픈에 대한 결과도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블록체인 시스템구축기술의 요구사항을 우선 정립하여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구축 기술에 대한 표준 전략을 수립

블록체인 프레임워크가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되기 위하여 메시지 코드/데이터 관리 시 국가코드, 업무 공통 코드,

채널구분을 설정하여 메시지 사용자가 국가별/채널별로 적정한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표준 확립

Page 13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33

10.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블록체인 상호운영기술은 現블록체인의 독립된 형태로 구축되고 네트워크 확장성이 결여된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기술로 국가 또는

여러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공공 블록체인 간의 상호운영 및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기술와의 연계를 통해 블

록체인 기술 기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 필요

민간 격리된 방식의 블록체인 플랫폼이 아닌 상호운영 및 확장 기술을 통해 기존 레거시 서비스 및 블록체인 간 연계로 블록체인 비즈니

스 생태계 구성

1 기술개발 전략

이종산업 및 서비스간 융합을 지원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확장시키는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개발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 서로 다른 이기종 블록체인 간 데이터 거래 호환을 위한 인터체인 기술 표준화 및 기

구축된 블록체인의 기능의 한계를 개선하고 서비스를 확장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계층화 및 사이드 체인,

오프체인 연동 기술 개발

(시스템 연동기술) 블록체인 기술의 활성화 및 산업 적용을 위한 레거시 시스템과 블록체인 간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및 산업 분야별 기존 시스템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위한 중계 체인 및

신뢰성 검증 기술

(타 기술 융합)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고성능·고신뢰 블록체인과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타 기술 융합 및

데이터 연계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의 데이터의 투명성 및 완결성(Finality) 제공

2 표준 확보 전략

블록체인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표준화를 주도하는 민간 및 표준화 기구의 의장 및 에디터 수임을 통한 적극적인 표준화 작업 참여와 국제 영향력 강화

ISO/TC307 블록체인 표준화 기구 -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표준화

인터체인 재단(Interchain Foundation) - 인터체인 표준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3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34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기존 레거시 시스템 및 이종 기술과의 블록체인 상호운영 기술의 적용을 위해서는 법적 제도 및 규제 개선에 대한 선제적 고려 필요

온체인, 오프체인 관리 대상 데이터의 이원화에 따른 상호 데이터 연계시 정보 관리의 권리, 의무에 대한 승계 방안

레거시 시스템 연동 시 서비스 제공사의 미고지 기반 데이터 사용/보호 의무에 대한 운용 관리 방안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계약 실행에 따른 계약 범위와 사용자의 법적 책임 등에 대한 운용 관리 방안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블록체인 활용에 따른 데이터 소유권 및 거래에 따른 데이터 활용 범위와 법적 책임 등에 대한

운용 관리 방안

11. 이종 블록체인 연계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파편화되어 있는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의 연계를 통해 서비스 플랫폼의 다양성 및 공진화(Co-Evolution) 기반 환경을 위한 핵심

기술로써 정부주도의 선제적 개발필요

연계 핵심 요소 기술, 연계 프로세스, 연계 응용 서비스 등을 통해 다양한 민간 플랫폼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환경 조성을 통해 국가

기술력 확보

주요 외산 블록체인에 의한 기술개발 독점을 막고 국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에 기여

민간 국내에서 개발되는 다양한 이종 블록체인 플랫폼의 상호 간 연계를 위한 핵심 기술 공동 개발 및 적용

상호 간 공통 운용 요소에 대한 공동 표준화 및 개발을 통해 연계기술 조기 확보

Page 13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35

1 기술개발 전략

중앙화된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이종 블록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 보장이 가능하며 블록체인 상호 간에 발생하는 데이터의 공유/전달/배포/상호변환을 위한 이종블록체인 연계 기술 개발

(이종 블록체인 트랜잭션 기술) 이종 블록체인 간의 공통 트랜잭션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 및 블록체인 간 트랜잭션

변환 및 전달을 위한 기술, 이종 블록체인 기반 트랜잭션 고속화 기술 개발, 이종 블록체인 간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메커니즘 기술 개발

(이종 블록체인 게이트웨이 기술) 이종 블록체인 간 데이터 관리를 위한 분산형 데이터 관리 기술 및 이종 블록체인

간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과 이종 블록체인 간 연계를 위한 어댑터(adapter) Layer 개발 기술과 다수의 이종 블록체인이

연계된 환경에서의 하이퍼체인 Client/Dapp 연동 기술 개발

(이종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연동기술) 이종 블록체인이 연계되는 환경에서 블록체인 간 스마트계약의 유효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블록체인을 연동하기 위한 이종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표준 기술, 이종 블록체인 스마트계약 연동

기술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적극적인 국제표준(ISO)화 활동 및 국내 표준화를 수행하고 산·학·연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표준을 위한 전문가 양성

대상 표준화 워킹 그룹

-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컨트랙트 상호작용 표준(ISO TC307 WG3)

- 블록체인 및 DLT 시스템에서 발견(Discovery) 상호운용성 표준(ISO TC307 SG7)

- 블록체인 및 DLT 시스템에서 암호자산 상호운용성 표준(ISO TC307 SG7)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다음과 같이 이종 블록체인 간 개인 정보의 전송 및 관리를 위한 법적 제도 및 규제 개선 사항 예상됨

블록체인 간 교환 데이터 중 개인 정보 및 민감 정보 등에 대한 관리의 권리, 의무에 대한 승계 방안

이종 블록체인 간 스마트 계약 실행 시 서비스 제공자 및 사용자의 법적 책임 범위 및 관련 고지 의무에 대한 운용

관리 방안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3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36

12. 트랜잭션 분석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산업 全 분야에서 이용자의 사용하는 목적이 적법하고 투명하게 이루어지도록 트랜잭션의 추적, 가시화 및 검증 연구로 효율적이고

관리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함

민간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들이 개발될 것이므로, 사용자의 적법 사용을 위한 다양한 니즈가 발생할 것이라 판단되며, 정부의 올

바른 생태계 구축을 위한 규제 영역에서 민간에서의 컨설팅 및 관련 솔루션 개발로 수익 창출이 이루어 질 것이라 기대함

1 기술개발 전략

트랜잭션과 블록 데이터 내용 및 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모니터링 연구 및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대한 추적, 규제를 할 수 있는 기술

(블록체인 추적 기술) 블록체인의 익명성을 악용한 불법거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불법거래를 추적하고 대응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정 노드 혹은 트랜잭션 과정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는 기술

(블록체인 규제 기술) 블록체인 내 노드들에게 트랜잭션 검증 규칙(예, 자금 세탁 방지)을 부여하고 규칙 위반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기술

(트랜잭션 검증 기준 연구) 블록체인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도메인을 조사하여 각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랜잭션 검증 기준 연구

(트랜잭션 가시화)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내 트랜잭션들의 발생 빈도, 장소, 노드 등의 연계 분석 및 정보의 흐름을

가시화하는 기술

2 표준 확보 전략

다양한 방면에 적용된 블록체인 기반 추적/규제 시스템 각각에 대한 표준을 제시하고, 모든 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확보 필요

공적표준화 기구 ISO가 블록체인의 표준 개발을 목적으로 신설한 TC 307 중 WG2(블록체인 보안, 프라이버시

표준화) 연계

Page 139: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37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블록체인의 합법적 사용을 위한 법적 제도 및 규제 개선 사항이 필요함

블록체인 트랜잭션의 적법 사용을 위한 추적, 검증을 위한 규칙 제정

규칙 위반 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법적 규제 방안

13. 산업융합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산업과 블록체인 서비스의 매칭 지원, 기술 개발을 위한 플랫폼 제공

산업의 확장이 블록체인과 융합을 위해서는 기존 사업에 법률적·제도적 제약사항을 샌드박스 방식으로 규제 완화 필요

민간 블록체인 기술 발전 및 사업 확산을 위한 고객 니즈 기반의 민간주도 과제 창출 및 지속적 기업성장 제고

1 기술개발 전략

공공/민간 등 다양한 산업융합을 위한 블록체인의 쉬운 구축 및 관리 효율화를 위한 BaaS 공통 플랫폼 개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블록체인 설치, 스마트컨트랙트 설치, 접근 권한 관리, 블록 및 트랜잭션 모니터링/탐색, 각종 통계

등 BaaS 운영, 관리에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

- (융합 인터페이스) 블록/트랜잭션이 기존 산업의 레거시 시스템 연동할 수 있는 보안, 즉시성이 보장된 인터페이스

기술확보(회계, 과제, 트레이딩 등 솔루션과 연계)

- (블록체인 설치) 블록체인 설치 파일 관리를 위한 저장소(Repository) 시스템 구축과 명령 전달체계, 저장소 연계를

통한 다운로드 및 설치 자동화 도구 개발

- (스마트 컨트랙트 설치) 스마트 컨트랙트 저장소 시스템 구축과 저장소 연계를 통한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설치 자동화 도구 개발

- (접근 권한 관리) 관리자/감시자/개발자 등 역할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접근 권한/기능별/서비스 컨트랙트별

권한 관리 기능 개발

- (BaaS 운영 필요 인터페이스) 블록/트랜잭션 실시간 모니터링 및 탐색, 서비스 및 스마트 컨트랙트 호출 및 이용 통계,

VM 리소스 현황,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 운영 현황, 권한 등 블록체인의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 개발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40: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38

(블록체인 플랫폼 솔루션) 블록체인 코어(하이퍼레저,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 운영/관리 시스템(API, 권한, 설치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블록체인 특성을 일반화하여 공동적 운영·관리가 가능한 고확장성 플랫폼 개발

- (융합 개발 플랫폼) 수요자 요청 및 융합정책 과제를 융합 개발 플랫폼에 레거시 환경 세팅 및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개발사(자)가 자유롭게 해당 과제를 수행하고 사업화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을 구축

- (블록체인 코어) 하이퍼레저, 이더리움 등 산업융합에 적합한 블록체인별 연계를 위한 클라이언트/노드 모듈 및

블록체인별 통합 공유 기술 개발

- (블록체인 운영/관리 시스템) 블록체인별 상이한 호출 규격과 데이터를 일반화하여 통일된 명령 체계, 호출 규격,

데이터로 서비스 가능한 블록체인별 연동 모듈 개발

(블록체인 컨테이너 서비스) 클라우드 인프라 결합을 통한 PBaaS, 블록체인 기반 산업융합 사업 연계형 SBaaS,

컨테이너 연계형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산업 적용

- (가상 실증환경 플랫폼) 기존사업(융합대상)에 IT서비스 구성을 가상의 실증환경에 이식하여, 실증 테스트 시

기존산업에 영향이 없도록 하고, Fast Fail를 검증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기반 테스트 환경 구축

- (PBaaS) 다수의 VM에 블록체인 용도/성능을 고려하여 VM/네트워크 자원 할당, 하이퍼레저 등의 블록체인 코어

설치, VM 간 네트워크 연계의 자동화 기술

- (SbaaS) PBaaS와 함께 블록체인 산업 융합 서비스의 구축 자동화 및 서비스 별 계약/라이선스/모듈 관리, 과금

정책에 따른 자동 이행 기술

- (컨테이너 연계형 블록체인 기술) 다양한 블록체인 융합 사업의 안정성 및 운영 효율성을 위하여 단위 서비스별

컨테이너 자동 구성과 부하분산, 장애 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동 컨테이너 변환 및 복구 기술 개발

2 표준 확보 전략

다양한 블록체인 수용과 상호운용 아키텍처를 위한 표준 BaaS 모델 확보

(공인 블록체인) 국가에서 신뢰를 보증하는 BaaS를 구축하여 각 정부부처에서 해당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등), 문서인증(외교부/정보기록원) 등 서비스 연동 개발

(BaaS 표준화) 상호 다른 블록체인 운영/관리를 위한 연동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표준화

산·학·연·정 공동 전문가 그룹 구성을 통한 기술 요소별 표준화 요구사항 분석

(금융, 규제) KYC(Know Your Customer), AML(Anti-Money Laundry) 등의 금융서비스 규제 준수 요구 사항과 개인정보

보호 등의 법적, 시스템적 요구 사항을 분석해 블록체인 관점에서의 기술, 서비스 표준화 아이템을 도출하고 표준화

우선 순위 결정

(시스템연동/기술호환) AI, IoT, Big Data, 이종 블록체인 플랫폼들과의 상호 연동 및 운용에 필요한 레거시 시스템

또는 프로토콜 규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및 분산앱 서비스 기술 표준화 요구사항 정의

Page 141: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39

규제 준수, Legacy 시스템 및 서비스들과의 연계를 고려한 영역별 표준화 모델 수립

(이종 블록체인 연동) 이종 블록체인 간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개발, 이종 블록체인

인터페이스의 연동을 위한 변환 허브 기술

(공통 데이터 모델) 이종 블록체인 데이터(블록, Tx 등)의 호환을 위한 공통 데이터 규격, 모델 정의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한 허브/Gateway 표준 프로토콜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현황) 사업 융합 시 크로스오버로 발생할 수 있는 기존 사업과의 특허 및 영업권 침해 분쟁 소지가 있음

(대안) 융합사업 시 BM을 특허출연 지원, 가이드라인 제시 등을 통해 특허 및 영업권 침해 소지를 사전에 예방하고,

융합기업, 기술 간에 상호경계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사업에 안정성을 강화

(현황) 전자서명법, 전자문서 관리에 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 등 법규제가 블록체인을 고려하여 만들어지지 않았음

(대안) 블록체인 기반 인증, 전자화된 문서에 대한 원본증명 등이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 수립이

필요하며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공유 관련해서도 기존과 차별화된 가이드 마련 필요

14. 신뢰성 검증 기술

정부/민간 역할

정부

(기술개발)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체계의 기반이 되는 검증기준 개발 지원 및 제도화 추진, 대규모 시험환경 구축 지원, 범용 시험도구 개발 지원

(표준) 검증기준 개발 시 국제표준과의 연계성 확보 → 국내 표준화 추진 → 국제표준화 제안의 선순환 구조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및 표준화 활동 지원

(인력양성) 블록체인 고신뢰 검증분야 전문가 확보를 위한 교육서비스 지원

(기반조성)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 활성화를 위한 3대 필수요소인 ①검증기준 개발, ②시험환경 구축, ③ 시험도구 개발을 위한 기반조성 사업 지원

(제도 규제개선) 공공분야 검증 활성화 및 기존 시험인증 제도와의 중복성 해소를 위한 검증제도화 추진

민간

(기술개발) 정부 R&D 사업 참여를 통한 시험도구 개발 수행,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검증을 위한 시험도구 개발, 시험환경 구축 기술 제공

(표준) 정부 전략을 고려한 국내·국제 표준화 활동 강화

(인력양성) 공공·민간 교육서비스에 대한 우수한 강사진 제공

(제도 규제개선) 신뢰성 검증 제도화에 대한 산업계 의견 제시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42: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기술로드맵 2025

ICT R&D

140

1 기술개발 전략

국제 표준화 동향을 반영한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기준과 연계하여 개발자와 시험원이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험검증 기술, 시험환경 구축, 시험도구를 위한 R&D 추진

(블록체인 솔루션 검증 평가 기술) 블록체인 플랫폼 및 서비스가 의도된 기능과 신뢰성(Trustworthiness)*을 보장하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검증기준 및 검증기술 개발

*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만 동작하여 오류가 발생하거나 취약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한 속성의 집합으로서 ISO, ITU, NIST 등 주요 표준화 조직과 학계에서

체계화

- (검증기준) 정보보증 수준의 고신뢰성 검증 달성을 최종 목표로 하되, 산업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 검증이 필요한

보안성·성능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동향에 따라 프라이버시, 상호운용성, 확장성 등으로 연차별 검증기준 확대

- (검증기술) 블록체인 플랫폼 및 시스템, 서비스를 검증대상으로 설정하고, 각 검증대상의 기능계층과 생명주기

전반에 대한 신뢰성 시험수행을 위한 검증방법론 및 절차 개발

(블록체인 시험 기반 기술)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시험 수행 시 시험대상 제품이 설치 및 운영되는 시험환경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 (로컬 시험환경)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의 합의 기술에 대한 라이브러리 및 코어 엔진 모듈화 기술(공유 및 재사용

지원), 로컬 환경용 블록체인 네트워크 에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대규모 시험환경) 블록체인 노드를 물리적 서버에 가상화 방식으로 구동하여 확장성과 재연성을 제공하는

테스트넷과 시험 자동화 기술 개발

(블록체인 시험 서비스 기술) 시험환경에 적용되어 개발자와 시험원이 사용하는 주요 시험도구 및 신뢰성이 내재화된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모듈화 기술 개발

- (성능 및 상호운용성 검증 시스템) 범용 블록체인 플랫폼 성능 측정 시스템, 시험 접근성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시험 시스템 개발

- (스마트컨트랙트 검증 시스템) 블록체인 서비스의 핵심기능의 구현물인 스마트컨트랙트가 의도하지 않은 오작동을

하지 않음을 수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다중언어 지원 정형검증 시스템 개발

- (신뢰성 내재화 서비스) 주요 블록체인 엔진에 대한 사전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내재화하고, 해당 모듈을 공유 및

재사용하여 블록체인 서비스의 신뢰성을 구현단계에서부터 조기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

Page 143: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블록체인 분야

141

2 표준 확보 전략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기준 개발 시“국제표준과의 연계성 확보 → 국내 표준화 추진 → 국제표준화 제안”의 선순환 구조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필요

(추진 전략) 국외 표준개발 동향(제안 및 작성 단계)과 연구개발 진행 현황(기술·기획 및 설계 단계)을 고려하여

“표준 및 R&D 초중기 전략”을 기본 전략으로 설정하여 표준화 기구 및 주요 표준화 항목 선정 후 대응

(표준화 기구) ISO/TC 307, ITU-T SG16 등 국제 공적표준화 기구를 통한 국제 표준화 추진을 최종목표로 설정하고,

인큐베이팅 역할을 수행할 표준화 포럼(개인정보보호표준포럼, DLT 표준포럼 등), 단체표준화 기술위원회(TTA PG502,

PG1006) 선정 후 표준화 추진

(주요 표준화 항목) 평가기준 관련 표준화 항목(블록체인 플랫폼 및 시스템 보안기능요구사항, 블록체인 시스템

성능측정 기준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이 필요하며, 블록체인 주요 서비스별 규격표준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한

시험표준으로 확대 추진

3 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사항

공공/민간 분야에 적합한 블록체인 신뢰성 검증 제도화 추진

(공공분야) 정보화 사업 추진 및 SW 도입에 대한 기존 인증제도(예: 보안적합성검증, CC평가 인증 등)와의 중복성 및

연계성을 고려하여 평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신뢰성 검증 제도 관련 법적 근거* 마련 필요

*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통해 평가기준 법적근거 마련

(민간분야) 공공영역 검증체계에서 정의된 검증대상 및 기준을 적합하게 적용한 민간자율 블록체인 신뢰성 인증제도

추진 필요

(서비스별 맞춤형 규제 개선) DID 서비스 등 블록체인 주요 서비스 중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분야의 신뢰성

검증체계 확보를 위한 맞춤형 규제 개선* 필요

* 예시 : 전자서명법 개정안의“전자서명인증사업자”인정제도에 DID 사업자의 포함 여부 및 평가기준 확립 필요

Ⅵ. 기술 확보 전략

Page 144: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142

기술로드맵 2025

ICT R&D

참여 전문가 명단

블록체인 분야 기술로드맵 위원 명단

기술로드맵 분야 소속 직위(급) 성명 비고

블록체인

IITP PM 김종현 위원장ETRI 센터장 김기영

단국대 교수 박용범아이콘루프 CTO 류혁곤이화여대 교수 채상미

커먼컴퓨터 대표 김민현발카리 대표 현영권LG CNS 총괄 윤창득KETI 단장 김현식KT 센터장 김종철

SPRi 실장 임춘성TTA 책임 권근IITP 책임 이현재

차세대보안 분야 기술로드맵 위원 명단

기술로드맵 분야 소속 직위(급) 성명 비고

차세대보안

IITP PM 정현철 위원장ETRI 본부장 김익균NSR 센터장 권대성ETRI 실장 김건우 ETRI 실장 문대성KISA 팀장 김도원TTA 수석 오흥룡

상명대학교 교수 김환국KAIST 교수 김용대

고려대학교 교수 김휘강서울대학교 교수 이병영

㈜윈스 부사장 조학수아이넷캅 소장 유동훈삼성 SDS 마스터 조지훈 금융보안원 팀장 김영태삼성카드 CISO 홍관희

이스트시큐리티 부사장 김준섭LG유플러스 팀장 문성권인하대학교 교수 김학일

IITP 수석 류승한IITP 수석 박성연

참 고

Page 145: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참고

143

차세대보안·블록체인

주요문의처

블록체인•�김종현 PM / [email protected]

- 이현재 책임 / [email protected]

차세대보안

•�정현철 PM / [email protected] 류승한 수석 / [email protected] 박성연 수석 / [email protected]

Page 146: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age 147: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Page 148: ICT R&D 기술로드맵 2025iitp.kr/resources/file/201217/6... · 2020. 12. 17. · • 미국 ict r&d 프로그램인 nitrd(the networking &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ICT R&D 기술로드맵 2025

차세대보안·블록체인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548 Tel. 042. 612. 8001 www.iit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