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36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of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Page 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학 사학 논문

기억상실형 경도 지 애에

기억 애 양상과 상적 미

아 주 대 학 대 학 원

학과/ 학전공

Page 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기억상실형 경도 지 애에

기억 애 양상과 상적 미

지도 수 문

논문 학 사학 논문 로 제출함.

2014년 2월

아 주 대 학 대 학 원

학과/ 학전공

Page 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Page 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i

- 국 요약 -

억상실 경도인지장애에 억장애 양상과 임상 미

아주 학 학원 학과

이 만 용

(지도 : 소 )

경과 연구 목

이 지 연구에 알 하이 병에 는 내 엽 장애 하여

장장애 억장애가 생하는 면 매에 는 엽 장애

하여 인출장애 억장애가 생하는 것이 보고 었다. 그러나 이러한

억장애 양상이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에 는 어떤 임상 미를

갖는지 뚜 이 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 는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억장애 양상이 어떤 임상 미 후를 갖는지에 해

알아보고자 한다.

노인임상시험연구 에 등 2172 명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상 하 다. 언어 억 평가하는 울언어학습검사 시각

억 평가하는 이복합도 검사를 통해 재인능 평가하여 장장애

억장애군과 인출장애 억장애군 구분하 다. 군 자들

상 인지 능 척도(K-MMSE, KDSQ, CDR-SB, SNSB-D),

일상생 척도(S-IADL), 신경심리 검사, 험인자, 뇌

Page 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ii

자 공명 상에 질 변 도를 하 며 이 함께 매

에 향 미 는 인자에 해 평가 하 다.

결과

장장애 억장애를 보이는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에

하게 나이가 많고 남 이 많았다. 나이 별 보 한 이후 군간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하 장장애 자들이 부분 역에

하 소견 보이고 있었 며 인지 능 척도 일상생 척도 한

장장애 에 하게 하 소견 보 다. 그러나 험인자 평가

하 당뇨, 고 압 여부 군간 뇌 자 공명 상에 찰 는 질

변 도는 큰 차이는 없었다. 매 하 장장애

자에 하게 이 높았 나(35.5% vs 25.3%, p=0.001) 매

진행에 있어 이러한 억장애 양상 자체는 독립 향 미 지 못하 다.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상 장장애 인출장애

억장애 양상에 라 임상양상 하 장장애 자군에

심한 인지 능 하 높 매 보 다. 그러나 군간

험인자 여부 뇌 자 공명 상에 질 변 도는 한

차이가 없었다. 라 본 연구를 통해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에게

찰 는 억장애 양상 차이가 뇌 구조 인 상태나 병태생리를

하 보다는 질병 증도를 한다는 결 얻 있었다.

핵심어: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Retrieval deficit, Retention deficit, Encoding

failure, Memory, Recognition, Progression, Severity

Page 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iii

국 요약 ················································································································ ⅰ

차 ························································································································ ⅱ

그림차 ················································································································ ⅲ

차 ···················································································································· ⅳ

. Ⅰ ···················································································································· 1

. Ⅱ 연구 상 법 ···························································································· 3

A. 연구 상 ········································································································· 4

B. 임상 특징 신경심리학 평가 ···························································· 4

C. 상학 평가 ································································································ 5

D. 통계분 ········································································································· 6

. Ⅲ 결과 ··················································································································· 6

. Ⅳ 고찰 결 ···································································································· 14

참고 헌 ················································································································ 19

ABSTRACT ··········································································································· 26

Page 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iv

그림 차

Fig. 1. 연구 상 름도 ····················································································· 7

Fig. 2. 매 ··················································································· 12

Fig. 3. Kaplan-Meier method for survival analysis····················································· 13

Page 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v

Table 1. 인구학 특징 ·························································································· 8

Table 2. MRI 상 질 고신 병변 ··································································· 9

Table 3. 인지 능 일상생 능 척도 ·········································· 10

Table 4. 신경심리학 검사 ···················································································· 11

Table 5. 매 ··············································································· 12

Table 6.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 14

Page 1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 -

I.

억 뇌에 구조 , 능 복잡하게 상 작용 하며 지 고

있 며 억장애는 알 하이 병 롯한 다양한 뇌 질 에 나타난다. 억

크게 3 단계를 통해 이 는데, 첫째, 보를 등 (Registration) 하고

부 (Encoding) 하는 과 , 째, 장(Storage) 하는 과 , 째, 억 장소

근(Access) 하여 인출(Retrieval) 하는 과 이다. 부 는 감각 통해

처 뇌 들어 보가 학습 고 억 는 첫 과 이며 이를 통해 잠시

장 보는 고 (Consolidation) 과 통해 장 억 다. 이후

장 보를 불러내는 과 인출 이라고 하며 인출에는 회상(Recall) 과

재인(Recognition)이 있다. 회상 경우에는 억 내용 단 없이 식

불러내는 것이며 재인 단 를 통해 떠 리는 것이다. 억 인출 과 에

회상 힘들어도 재인 잘하는 경우 억 부 장 잘 나 인출

장애가 있 시사하게 며 회상과 재인에 모 장애가 있는 경우 억

장단계부 이상이 있 미한다(양동원, 2004).

이러한 억 단계 하여 매 에 라 억 장애 양상이

상이 할 있 에 한 여러 연구가 있었 며, 알 하이 병에 한 매는

내 엽 능 이상과 하여 장장애(Retention-deficit) 억장애가

생하고 매에 는 엽 능 이상과 하여 인출장애(Retrieval-

deficit) 억장애가 생하는 것이 보고 었다(Traykov L 등, 2002). 이

같 결과를 통해 매 에 라 병태 생리 침범 는 해부학

구조가 다름 써 억 장애 양상이 다를 가능 시사 하 다. 그러나

Page 1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 -

장장애 인출장애 구분 는 억장애 이 해부학 구조차이 보다

질병 증도 차이라는 연구도 있었는데,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알 하이 병 자를 상 재인능 평가한 연구에 질병 증도가

심해질 재인 능 하 소견이 찰 었고 즉, 매 자에게 생하는

장장애 억장애는 질병 증도 일 가능 시사 하 다(Lindsay R.

Clark 등, 2012).

그러나 지 지 이러한 억 장애 차이가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에 어떤 임상 미를 갖는지에 해 충분히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 연구에 는 62 명 단일 역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에게 가지 억 장애 에 른 임상 차이를

단면 평가 하 다. 연구에 하면 MRI 소견(내 엽 축, 질 변 ,

열공 뇌경색, 뇌 미 출 )과 인지 능 면(집 , 언어능 , 시공간능 ,

시각 억 엽 능)에 군간 한 차이가 없었 며 다만

험인자 고 압 여부 만이 인출 장애 군에 하게 높 것

인 었다( 등, 2012). 그러나 상군이 고 시각 억 외한

언어 억 만 분 삼 부분 한계 평가 다.

다른 연구에 는 397 명 ADNI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에 등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군 상 가지 억 장애

별 신경심리검사 소견 매 뇌 척 액 생 지 (Biomarker),

매 이행 등 평가 하 다. 이 연구에 는 장장애 억장애 군에

나이가 어리고 낮 간이 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이하

MMSE), 높 임상 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이하 CDR) 등 심한 인지

능 하 소견이 보 며 ApoE4 이 높았고 생 지

Page 1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3 -

상에 낮 뇌척 액 Aβ42, 높 Tau, P-Tau181P 값 보여 주었다. 한

장장애 군에 알 하이 병 이행 이 높 것 인 었 나

통계 독립 인 후 인자 증명 지는 못하 다. 이 연구에 재인

능 하를 보이는 장장애 억장애 자군이 모든 역

인지 능 하가 찰 는 것 고 할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

억 장애 양상 차이는 질병 침범 해부학 구조 차이 보다는 질병

증도가 결과일 가능 에 해 언 하 다(양 등, 2012). 상

연구에 인지 능 면과 함께 뇌 척 액 생 지 향 인 후 면

평가하 나 뇌 자 공명 상 소견 등 구조 인 면 고 하지 않

부분 한 이라고 할 있겠다.

본 연구에 는 경도 인지장애 자들에게 보이는 가지 억장애

양상 차이가 어떤 임상 미를 가지는 지에 해 규명해보고자 하 며

행 연구를 탕 하여 가지 가 웠다. 첫 번째 가 알 하이

매 매에 각각 병태생리 침범 구조 이 다름에 라 에

차이가 나는 것처럼 경도인지장애 단계에 억 장애 차이는 병태 생리

침범 는 뇌 구조 차이 일 가능 이며, 다른 가 는 억장애

차이가 질병 증도 , 즉 장장애 억장애일 욱 심한

억상실 경도 인지 장애일 가능 이다. 상 가 검증하 해

군간 질병 증도 뇌 구조 인 차이에 해 평가를 시행 하 다.

II. 연구 상 법

Page 1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4 -

A. 연구 상

2005 보건복지가족부에 해 립 어 매 신경과, 신과 사

구 임상 연구 그룹인 노인임상시험연구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of South Korea, 이하 CREDOS) 에 2005 12 월부 2011 2 월 지 다

에 등 자들 억상실 경도인지 장애 진단 자를

상 하 다.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진단 1) 본인 이나

보 자에 한 억 하 소, 2) 신경심리검사상 찰 는 인지 능 하 소견

(언어 억검사를 한 울언어학습검사(Seoul Verbal Learning Test, 이하 SVLT) 상

지연회상(Delayed recall) <16%ile 는 시각 억검사를 한

이복합도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이하 RCFT) 상 지연회상(Delayed recall)

<16%ile), 3) 인 인지 능 보존 (한국 간이 신 상태검사,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이하 K-MMSE) ≥16%ile), 4)

일상생 행능 보존, 5) 매가 아님 하 다. 우울증, 부 손상, 약

남용, 갑상 능 이상이나 타 인지 능에 장애를 있는 내과 인

가 있는 경우 외하 다. 언어 는 시각 억 모 평가 하

해 울언어 학습검사 는 이복합도 검사 모 를 평가 척도 하 며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 이

1 편차(Standard deviation)이하인 경우 장장애 억장애군 , 1 편차

이상인 경우 인출장애 억장애 군 규 하 다.

B. 임상 특징 신경심리학 평가

연구 상에 포함 자들 나이, 별, 학 등 개인 보 함께

고 압, 당뇨 등 질병 조사 하 다. 인지 능에 한 신경심리검사 써

Page 1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5 -

울신경심리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이하 SNSB) 를 사용

하 며 하부 인지 역별 살펴보면, 집 자 외우 (Digit span),

언어능 한국 보스 이름 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이하 K-BNT),

시공간능 이복합도 검사 라 그리 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언어 억 과 시각 억 울언어학습검사 이복합도 검사 각각

즉각 회상 (3 회 시도 합산 ), 지연회상 재인검사 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엽 능 알아보 해 는 통 단어 연상

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이하 COWAT) 2 가지(동 , 시장)

미 단어 창 (Semantic word fluency) 각각 3 가지(ㄱ, ㅇ, ㅅ)

소 단어 창 (Phonemic word fluency) 합산 , 그리고 한국 스트룹

검사(Korean-Color Word Stroop Test, 이하 K-CWST) 색 읽 (Color reading)

를 이용하 다. 인 인지 능 평가를 해 는 K-MMSE, CDR, 단축

울신경심리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이하

SNSB-D), 한국 매 별 지(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이하 KDSQ) 등 이용 하 며 일상생 장애 면 평가 하 해

노인일상 동평가(Seoul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이하 S-IADL),

신경 신행동검사 (Neuropsychiatric Inventory, 이하 NPI)이 사용 었다.

C. 상학 평가

억장애 간 뇌 구조 인 차이를 인하 해 상학 검사를

통해 하고자 하 다. 연구 상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군

모든 자들이 뇌 자 공명 상(이하 MRI) 를 시행 하 다. 상학

군간 허 변 면 하 해 질 고신 (White matter

Page 1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6 -

hyperintensities) 병변 평가 상 하 다. FLAIR T2-강조 축 상에

평가하 며 Fazekas 시각척도 Scheltens 시각척도를 변 시킨 CREDOS

시각척도를 이용하 다. 뇌실주 질변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change)과

심부 질변 (deep white matter change) 도를 각각 평가하 는데,

뇌실주변 질변 이 5 mm 미만인 경우를 P1, 5 mm 이상이면 10 mm 미만인

경우를 P2, 10 mm 이상인 경우를 P3 하 고, 심부 질변 이 10 mm 미만인

경우를 D1, 10 mm 이상이면 25 mm 미만인 경우를 D2, 25 mm 이상인 경우를

D3 라고 하 다. 질 고신 병변 종 인 평가를 해 D1 과 P1

D1 과 P2 인 경우를 ‘mild’, D3 P3 인 경우를 ‘severe’, 그리고 나 지는

모 ‘moderate’ 분 하 다.

D. 통계분

억장애 경도인지 장애 자를 상 재인능 에 라 장장애 과

인출장애 군 나 어 나이, 별, 도 등 인구학 특 과 K-

MMSE, KDSQ, CDR-SB, NPI, SNSB-D 등 인지 능, SNSB

신경심리학 특 과 당뇨, 고 압 등 험인자에 해 t 검 ,

카이 곱 검 , 만- 트니 검 시행 하 며 Kaplan-Meier 생존 분 통해

알 하이 병 도를 평가하 다. 통계분 한 프 그램 SPSS

19.0 이용하 고, p<0.05 일 경우 통계 한 것 하 다.

III. 결 과

Page 1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7 -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2172 명 상 울언어학습검사

이복합도 검사에 어느 한 부분에 라도 재인능 이 16%ile 이하 감소

어 있는 경우 장장애 구분하여 1150 명이 해당 었 며, 재인 능 이

보존 어 있는 경우는 인출장애 1022 명이 해당 었다. 체 인 연구

상 름 Figure 1 과 같다.

Figure 1. 연구 상 름도. 2172 명 억상실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nestic MCI) 자들 상

울언어학습검사(SVLT, Seoul Verbal Learning Test) 이복합도 검사(RCFT, Rey

Complex Figure Test) 재인능 도를 평가 하 고 한 역이라도 하가 있는

군이 장장애 1150 명, 하가 없는 인출장애 1022 명 각각

상군 는 슷하 다.

Page 1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8 -

억장애 별 인구학 특징 하 장장애 에

통계 하게 나이가 많고 남 이 많 것이 인 었다. 라 이후에

이루어질 모든 분 에 상 나이 별 보 하 다. 험인자 써

평가하 당뇨 고 압 여부는 군간 큰 차이가 없었다(Table 1).

Table 1. 인구학 특징.

연속변 는 평균 ± 편차 시함.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군간 뇌 구조 인 차이를 인하 해 CREDOS criteria 에 라

질 고신 병변에 해 하 나 통계 한 차이는 없었다(Table

2).

K-MMSE, KDSQ, CDR-SB, SNSB-D 등 부분 인지 능 평가

도구에 는 통계 하게 장장애 자군에 하 것 인 할

Page 1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9 -

있었다. 일상생 장애를 평가하는 S-IADL 에 한 장장애 에

하게 하 어 있었다(Table 3).

Table 2. MRI 상 질 고신 병변.

DWMH: Deep white matter hyperintensity

PVWMH: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y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Table 3. 인지 능 일상생 능 척도.

Page 1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0 -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신경심리학 검사에 는 장장애 자군에 앞 자 (Digit

span forward)를 외하고 언어 재인(16.7 ± 2.9, p < 0.001) 시각 재인(16.1

± 4.0, p < 0.001) 능 포함한 모든 하부 역 인지 능 역에 하

소견 보여 주었다(Table 4).

Table 4. 신경심리학 검사.

Page 2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1 -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K-BNT: Korean-Boston Naming Test

COWA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질병 증도를 하는 다른 지자 써 종 매

하 다. 장장애 경우 1150 명 자 304 명 자가

추 찰 었 며 이 108 명이 매 어 35.5% 보 고

인출 장애 에 는 1022 명 에 229 명 자가 추 찰 었고 이 58 명

자가 매 어 25.3% 보 다(Figure 2). 장장애 에

Page 2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2 -

통계 하게 매 이 높았 며 (35.5% vs 25.3% p=0.001)

상 낮았다(3.6% vs 10.5% p=0.001) (Table 5).

Figure 2. 매 장장애 에 는 1150 명 304 명(26.4%)이

추 찰 었 며 이 108 명이 매 . 면 인출장애 에 는

1022 명 229 명(22.4%)가 추 찰 었 며 이 58 명이 매 .

Table 5. 매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매 에 한 Kaplan-Meier 생존 분 시행 하 평균

간 장장애 자군에 한 른 것 알 있었다. (1.72 vs

Page 2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3 -

2.31 p=0.014) (Figure 3) 그러나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이용한

분 에 억장애 매 에 미 는 독립 인 인자 써

통계 하지 못하 다(Table 6).

Figure 3. Kaplan-Meier method for survival analysis. 통계 하게(p=0.014)

장장애 억장애 자군에 매 에 걸리는 간이 짧 (1.72 vs

2.31 p=0.014). a-MCI: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Page 2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4 -

Table 6.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K-MMS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SVLT: Seoul Verbal Learning Test

IV. 고찰 결

경도 인지장애는 동일 연 에 해 인지 능 하가 생하 나,

생 행하는 능 보존 어 있어 아직 매가 아닌 상태를 미한다.

이러한 경도인지장애는 이질 (Heterogenous)인 스펙트럼 갖고 있어 별

다른 후를 갖는다고 알 있 며 상군과 매 과도 시 써

임상 인 매 진행 가능 에 한 다양한 연구가 있어 다. 이

억상실 경도 인지장애는 알 하이 병 하는 이 상 조군에

해 10 가량 높아 알 하이 병 험인자 써 인 고 있 나( Tierney

MC 등, 1996) 억상실 경도 인지 장애 군 내에 분 억 장애 에

한 연구는 많지 않 실 이다.

Page 2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5 -

본 연구에 는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들 상 재인 억

여부 구분 는 장장애 인출장애 억 장애 이 엽 과

내 엽 억 장애, 나아가 각각 매 알 하이 매를 할

있는 뇌 구조 차이 병태생리를 할 있는지, 아니면 단 히

질병 증도를 하는 척도가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 다.

군간 뇌 구조 차이를 하 해 MRI 상 질 변 도를

한 결과 통계 한 차이가 없어 억장애 이 해부학 침범

구조나 병태 생리 차이가 것이라는 증거는 없었다. 그리고

군간 질병 증도를 하 해 단면 는 인 인지 능 척도,

일상생 도,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하 고 종 는 매

이용하여 한 결과 장장애 억장애 군에 억 역 롯한

인 인지 역에 하 소견 보 며 이 군에 매 한

높 것 인 할 있었다. 즉,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에게 재인

능 도 구분 는 억장애 차이는 침범 해부학 구조나

병태생리 보다는, 질병 질병 증도(Disease severity) 연 이 있 시사

한다고 할 있겠다.

임상 용해 보았 , 억 하를 소하나 일상생 장애가

없는 억상실 경도 인지장애 군 에 장장애 억장애를 보인다면

질병 증도가 심한 상태임 인지하고 짧 경과 찰 간과 조 료

근 고 해야 할 것이며 매 진행 가능 이 높 에 해 경고 해야 할

것이다. 한 억장애 양상이 질병 증도 이라는 결과를 고 한다면

임상 인출장애 억장애가 장장애 억장애 는 경우도

Page 2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6 -

찰할 있 것이며 이에 한 향 인 보 분 시행 하여 본 연구

결과를 뒷 침 할 있는지 여부에 해 추가 연구가 필요 하겠다.

근 알 하이 병에 한 료 근에 있어 병리 명 는

아 이드 과인산 타우를 상 하여 그 양(Burden) 여 써

질병 경과를 시키는 질병조 료(Disease modifying therapy) 에 한 연구가

히 이루어 지고 있다. 아 이드 생 과 (Amyloid cascade)에 작용 하는

다양한 효소 조 (Enzyme modulator) 아 이드에 한 단일클 항체,

능동/ 동 면역 료(Passive/Active immunization)등이 를 며 연구가 진행

었고 알 하이 병 자들 상 뇌 구조 아 이드 양

이는 데 공 하 나 임상 인 과는 연 보이지 않아 아직 지는

뚜 한 과를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아 이드 양 감소시키 한 일

질병 조 료들이 실 를 하게 가장 득 있는 가 는 료 근

시작하는 시 에 한 단이며 라 알 하이 병 진행할 있는

임상 알 하이 병(Preclinical Alzheimer’s Disease)를 별하 는 노 과 매

진행하 에 조 료 근(Early intervention) 등 시도하 는 노 이

이루어 지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고 해 볼 질병 증도가 한 인출장애

경도 인지장애 자 조 심한 질병 증도 평가 는 장장애 경도

인지장애 군에 질병조 료를 진행 하 , 증도가 하고 질병

진행 단계에 있어 평가 는 인출장애 억장애 자들에

료 효과가 좋 것이라는 가 도 울 있겠 며 일 질병

조 료를 시작하는 시 단에 있어 임상 경도 인지장애 자들

Page 2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7 -

억장애 양상에 라 분 하여 아 이드 단일클 항체 등 료

효과에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 평가해 보는 것도 미가 있겠다.

이번 연구 결과에 있어 억장애군 간 질병 증도 차이는 연하게

찰 었 나 뇌 구조 인 차이를 평가함에 있어 MRI 상 질 변 도

이외 다른 구조 차이를 하는 인자가 없는 부분 가장 큰 한계

평가 다. 근 다른 연구에 단일 역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다

역 억상실 경도인지장애 자군 해마 크 를 하

다 역 억상실 경도인지장애에 하게 었다는 보고가 있다(이 경

등, 2013). 이 연구를 통해 질병 증도 해마 뇌 구조 인 차이가

연 이 있 가능 시 하 다. 그러나 앞 언 한 다른 연구( 등,

2012) 에 62 명 단일 역 경도 인지 장애 자들 억 에 라 뇌

구조 인 차이(내 엽 축, 질 변 , 열공 뇌경색, 뇌 미 출 )를

하 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가 있었다. 억 차이가 질병

증도 이라는 본 연구 결과를 고 할 추후 군간 내 엽

크 를 하는 보 연구를 통해 억 장애 양상과 내 엽 크

계를 명 히 할 필요가 있겠다. 한 뇌 질 변 에 한 평가에 있어 재

CREDOS 에 한 분 에 르면 뇌실 주 질 변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change)과 심부 질 변 (Deep white matter change)만 고 고 있어 뇌

역별 질 변 도나 피질 께 차이를 한다면 억 장애군

간 해부학 구조 차이에 해 욱 한 평가가 이루어 질 있겠다.

본 연구는 규모 다 에 시행한 단면 그리고 종 연구 써,

향 매 함께 평가했다는 에 를 가질 있겠다.

한 상학 검사를 통한 해부학 면과 신경심리 검사통한 능 인

Page 2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8 -

면 모 평가 함 써 존 다른 연구를 보 하 다. 본 연구가 억

장애 에 른 해부학 구조 차이를 평가하는 목 이 있었 나 질 변

도 외에 내 엽 축 도를 평가 하지 못한 한계 평가 다.

추후 추가 연구를 통해 내 엽 상학 구조를 포함함 써 군간

해부학 차이에 해 욱 명 한 규명이 필요 하겠다.

Page 2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19 -

참고 헌

1. Asuni AA, Boutajangout A, Quartermain D, Sigurdsson EM: Immunotherapy

targeting pathological tau conformers in a tangle mouse model reduces brain

pathology with associated functional improvements. J Neurosci 27: 9115-9129,

2007

2. Backman L, Jones S, Berger AK, Laukka EJ, Small BJ: Cognitive impairment in

preclinical Alzheimer's disease: a meta-analysis. Neuropsychology 19: 520-531,

2005

3. Ballatore C, Brunden KR, Trojanowski JQ, Lee VM, Smith AB, 3rd, Huryn DM:

Modulation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s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tauopathies. Curr Top Med Chem 11: 317-330, 2011

4. Barber R, Scheltens P, Gholkar A, Ballard C, McKeith I, Ince P, Perry R, O'Brien J:

White matter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dementia with Lewy bodies,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normal aging.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7: 66-72, 1999

5. Bateman RJ, Xiong C, Benzinger TL, Fagan AM, Goate A, Fox NC, Marcus DS,

Cairns NJ, Xie X, Blazey TM, Holtzman DM, Santacruz A, Buckles V, Oliver A,

Moulder K, Aisen PS, Ghetti B, Klunk WE, McDade E, Martins RN, Masters CL,

Page 2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0 -

Mayeux R, Ringman JM, Rossor MN, Schofield PR, Sperling RA, Salloway S,

Morris JC: Clinical and biomarker changes in dominantly inherited Alzheimer's

disease. N Engl J Med 367: 795-804, 2012

6. Bennett IJ, Golob EJ, Parker ES, Starr A: Memory evaluat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recall and recognition tests. J Clin Exp Neuropsychol 28: 1408-

1422, 2006

7. Bruscoli M, Lovestone S: Is MCI really just early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of

conversion studies. Int Psychogeriatr 16: 129-140, 2004

8. Clark LR, Stricker NH, Libon DJ, Delano-Wood L, Salmon DP, Delis DC, Bondi

MW: Yes/no versus forced-choice recognition memor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patterns of impairment and associations with

dementia severity. Clin Neuropsychol 26: 1201-1216, 2012

9. Clegg A, Bryant J, Nicholson T, McIntyre L, De Broe S, Gerard K, Waugh N:

Clinical and cost-effectiveness of donepezil, rivastigmine and galantamine for

Alzheimer's disease: a rapid and systematic review. Health Technol Assess 5: 1-137,

2001

10. Du AT, Schuff N, Kramer JH, Rosen HJ, Gorno-Tempini ML, Rankin K, Miller BL,

Weiner MW: Different regional patterns of cortical thinning in Alzheimer's disease

and frontotemporal dementia. Brain 130: 1159-1166, 2007

Page 3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1 -

11. Fazekas F, Chawluk JB, Alavi A, Hurtig HI, Zimmerman RA: MR signal

abnormalities at 1.5 T in Alzheimer's dementia and normal aging. AJR Am J

Roentgenol 149: 351-356, 1987

12. Hong-Qi Y, Zhi-Kun S, Sheng-Di C: Current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focused on considerations targeting Abeta and tau. Transl

Neurodegener 1: 21, 2012

13. Husain MM, Trevino K, Siddique H, McClintock SM: Present and prospective

clinical therapeutic regimens for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iatr Dis Treat 4:

765-777, 2008

14. Irish M, Lawlor BA, Coen RF, O'Mara SM: Everyday episodic memory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BMC Neurosci 12: 80, 2011

15. Jeong EH, Kim HY, Lee JH: Can We Further Divide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Pattern of Memory Deficit?: A Preliminary Study.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12; 11: 18-24

16. Kayed R: Anti-tau oligomers passive vaccination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

disease. Hum Vaccin 6: 931-935, 2010

17. Kidd PM: Alzheimer's disease,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ge-

associated memory impairment: current understanding and progress toward

integrative prevention. Altern Med Rev 13: 85-115, 2008

Page 3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2 -

18. Lafosse JM, Reed BR, Mungas D, Sterling SB, Wahbeh H, Jagust WJ: Fluency and

memory differences between ischemic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11: 514-522, 1997

19. Lee AY: Neuroanatomy of Memory. Journal of the K. S. C. N. 2000 Vol. 2, No. 2

20. Lee HK, Lee YM, Park JM, Lee BD, Moon ES, Chung YI: Amnestic multiple

cognitive domains impairment and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are

independently predictive factors progression to dementia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 J Geriatr Psychiatry, 2013

21. Morris JC: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43: 2412-2414, 1993

22. Nadel L, Hupbach A, Gomez R, Newman-Smith K: Memory formation,

consolidation and transformation. Neurosci Biobehav Rev 36: 1640-1645, 2012

23. Nadel L, Moscovitch M: Memory consolidation, retrograde amnesia and the

hippocampal complex. Curr Opin Neurobiol 7: 217-227, 1997

24. Park MH, Min JY, Kwon DY, Lee SH, Na HR, Cho ST, Na DL: Vascular risk

factors and the effect of white matter lesions on extrapyramidal signs in Alzheimer's

disease. Int Psychogeriatr 23: 780-787, 2011

Page 3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3 -

25. Petersen RC: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 Intern Med 256:

183-194, 2004

26. Petersen RC: Clinical practice. Mild cognitive impairment. N Engl J Med 364:

2227-2234, 2011

27. Petersen RC, Morris JC: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clinical entity and

treatment target. Arch Neurol 62: 1160-1163; discussion 1167, 2005

28. Querbes O, Aubry F, Pariente J, Lotterie JA, Demonet JF, Duret V, Puel M, Berry I,

Fort JC, Celsis P: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using cortical thickness:

impact of cognitive reserve. Brain 132: 2036-2047, 2009

29. Rabin LA, Pare N, Saykin AJ, Brown MJ, Wishart HA, Flashman LA, Santulli RB:

Differential memory test sensitivity for diagnosing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edicting conversion to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 Dev

Cogn B Aging Neuropsychol Cogn 16: 357-376, 2009

30. Rinne JO, Brooks DJ, Rossor MN, Fox NC, Bullock R, Klunk WE, Mathis CA,

Blennow K, Barakos J, Okello AA, Rodriguez Martinez de Liano S, Liu E, Koller

M, Gregg KM, Schenk D, Black R, Grundman M: 11C-PiB PET assessment of

change in fibrillar amyloid-beta load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treated

with bapineuzumab: a phase 2,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ascending-dose

study. Lancet Neurol 9: 363-372, 2010

Page 3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4 -

31. Roder HM, Hutton ML: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tau as a therapeutic target in

neurodegenerative disease. Expert Opin Ther Targets 11: 435-442, 2007

32. Scheltens P, Barkhof F, Leys D, Pruvo JP, Nauta JJ, Vermersch P, Steinling M,

Valk J: A semiquantative ratin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signal hyperintensiti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J Neurol Sci 114: 7-12, 1993

33. Strittmatter WJ: Medicine. Old drug, new hope for Alzheimer's disease. Science

335: 1447-1448, 2012

34. Tabert MH, Manly JJ, Liu X, Pelton GH, Rosenblum S, Jacobs M, Zamora D,

Goodkind M, Bell K, Stern Y, Devanand DP: Neuropsychological prediction of

conversion to Alzheimer diseas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

Gen Psychiatry 63: 916-924, 2006

35. Tierney MC, Szalai JP, Snow WG, Fisher RH, Nores A, Nadon G, Dunn E, St

George-Hyslop PH: Prediction of probable Alzheimer's disease in memory-

impaired patients: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Neurology 46: 661-665, 1996

36. Traykov L, Baudic S, Raoux N, Latour F, Rieu D, Smagghe A, Rigaud AS: Patterns

of memory impairment and perseverative behavior discriminate early Alzheimer's

disease from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J Neurol Sci 229-230: 75-79, 2005

Page 3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5 -

37. Traykov L, Baudic S, Raoux N, Latour F, Rieu D, Smagghe A, Rigaud AS: Patterns

of memory impairment and perseverative behavior discriminate early Alzheimer's

disease from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J Neurol Sci 229-230: 75-79, 2005

38. Traykov L, Baudic S, Thibaudet MC, Rigaud AS, Smagghe A, Boller F:

Neuropsychological deficit in early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comparison to

Alzheimer'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ord 14: 26-32, 2002

39. Wilson RS, Leurgans SE, Boyle PA, Bennett DA: Cognitive decline in prodromal

Alzheime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 Neurol 68: 351-356, 2011

40 Yang DW: Mechanism of Memory and disorders of Memory.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04; 3: 65-72

41 Yang HD, Yang YS, T.Legesse B, Kim SY: Subtypes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Memory Impairment Pattern and Its Potential Clinical

Significance.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2012; 11: 59-66

42 Yoshita M, Fletcher E, DeCarli C: Current concepts of analysis of cerebral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p Magn Reson Imaging

16: 399-407, 2005

Page 3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6 -

- Abstract -

Clinical Significance of Pattern of Memory Deficits

in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Manyong Lee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Assistance Professor So Young Moon)

Background & Objective :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lzheimer’s disease has

memory loss of retention-deficit type associated with medial temporal dysfunction whereas

vascular dementia has memory loss of retrieval-deficit type associated with frontal

dysfunction. However, clinical implications of these subtypes of memory deficits in patients

with amnestic MCI have not known yet.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mnestic MCI patients according to types of memory

deficits.

Methods : Using the CREDOS(Clinical Research for Dementia of South Korea) database, a

total of 2172 amnestic MCI patients were enrolle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retention-

deficit type memory dysfunction group and retrieval deficit type memory dysfunction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cognition ability in SVLT (Seoul Verbal Learning Test) or

RCFT (Rey Complex Figure Test). We estimated global cognitive function (K-MMSE,

Page 3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0896/1/16457.pdf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들 중 신경심리검사상 재인(Recognition) 능력이

- 27 -

KDSQ, CDR-SB, SNSB-D), activity of daily living(S-IADL), vascular risk factors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n MRI. In addition, we compared conversion rate into

dementia between two groups and analyz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conversion.

Result : Retention-deficit type amnestic MCI patients were significantly older and higher

male to female ratio. In neuropsychological tests, almost domains of cognitive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in retention-deficit group. Global cognitive function (K-

MMSE, KDSQ, CDR-SB, SNSB-D) and activity of daily living(S-IADL) also showed more

impaired performance in retention-deficit group. However, vascular risk factor (e.g.,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intensities on MR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version rate into dementia was higher in retention deficit group(35.5% vs

25.3%, p=0.001). However, retention deficit itself was not significant factor to influence

conversion into dementia.

Conclusions : Retention-deficit type amnestic MCI patients had more impaired cognitive

function and higher conversion rate into dementia than retrieval-deficit group. Considering

that vascular risk factor and hyperintensities on MR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ur study suggested that memory deficit types in amnestic MCI reflect

disease severity in patients rather than brain structural status or underlying

pathophysiology.

Keywords :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Retrieval deficit, Retention deficit,

Encoding failure, Memory, Recognition, Progression, Seve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