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33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Transcript of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Page 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저 시-비 리- 경 지 2.0 한민

는 아래 조건 르는 경 에 한하여 게

l 저 물 복제, 포, 전송, 전시, 공연 송할 수 습니다.

다 과 같 조건 라야 합니다:

l 하는, 저 물 나 포 경 , 저 물에 적 된 허락조건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 터 허가를 면 러한 조건들 적 되지 않습니다.

저 에 른 리는 내 에 하여 향 지 않습니다.

것 허락규약(Legal Code) 해하 쉽게 약한 것 니다.

Disclaimer

저 시. 하는 원저 를 시하여야 합니다.

비 리. 하는 저 물 리 목적 할 수 없습니다.

경 지. 하는 저 물 개 , 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Page 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치의학 석사학 논문

악교정수술 시 골 단 부 의

골 도에 한 골다공증의 향

아주 학교 임상치의학 학원

임상치의학과/구강악안면외과학 공

온 성 운

Page 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악교정수술 시 골 단 부 의

골 도에 한 골다공증의 향

지도교수 송 승 일

이 논문을 치의학 석사학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8월

아주 학교 임상치의학 학원

임상치의학과/구강악안면외과학 공

온 성 운

Page 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온성운의 치의학 석사학 논문을 인 함.

심사 원장 송 승 일 인

심 사 원 이 정 근 인

심 사 원 김 재 훈 인

아주 학교 임상치의학 학원

2016년 6월 17일

Page 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i

- 국 요약 -

악 시 골 단 부 골 도에 골다공증 향

본 연구 목 산 단 (computed tomography, CT)과

이 에 지 사 계 법(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함 써 특 부 골 도를 평가 는데 있어 CT Hounsfield unit

(HU) 용 조사 는 것과 악 시 골 단 부 HU

여 조군과 실험군(골감소증 골다공증) 골 도를 함 써,

골 단 부 에 골다공증 향 평가 는 것이었다.

아주 병원에 facial CT DEXA 를 모 80 명 자가 본

연구에 포함 었다. 악 시 골 단이 이 지는 부 상악골에

3 부 , 악골에 4 부 가 region of interest(ROI) 었다: 상악골

부 (이상구 외 연, 상악골 면 앙부, 상악 결 ), 악골

부 ( 악지 내면, 후구 삼각 외 1/3, 악체 해면골, 악각). 각각

40 명 자들이 상군과 상군 나 어 고 각 ROI HU 가

었다. 모든 상 악골 골 단 부 에 상군과 상군 간에 평균

HU 가 통계 차이가 있었 며, 상군이 상군보다

높 결과를 보 다(P < 0.05). 또 DEXA T 값과 골 단 부 HU 간에

양 상 계가 있었다(P < 0.01). 다 회귀분 통 여, 상군에

속 경우 상악골 1 부 를 외 모든 부 에 게 HU 가 감소 는

것 나타났다. 상 악골 골 도에 평가에 있어 CT HU

Page 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ii

용 있다. 골다공증 악 시 골 단 부 골 도에

향 미 있 며, 골 도가 자나 골다공증 자에 있어

에 골 단 부 HU 를 함 써 unfavorable fracture 나 시

험도를 략 있 것 다.

핵심어: 악 , 골다공증, 산 단 , 골 단, 골 도

Page 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iii

국 요약 ················································································································ ⅰ

차 ························································································································ ⅲ

그림차 ················································································································ ⅳ

차 ······················································································································ v

. Ⅰ ···················································································································· 1

. Ⅱ 연구 상 법 ······························································································ 3

A. 자 ········································································································ 3

B. 사 분 ···························································································· 3

C. 통계 분 ································································································ 5

. Ⅲ 결과 ··················································································································· 7

. Ⅳ 고찰 ················································································································· 15

. Ⅴ 결 ················································································································· 19

참고 헌 ················································································································ 20

ABSTRACT ··········································································································· 23

Page 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iv

그림 차

Fig. 1. ROI selection and HU measurement by PACS. ················································· 4

Fig. 2. The seven osteotomy sites selected as ROI for measurement.···························· 5

Fig. 3. Box plots showing the differences in HU values in the maxillary osteotomy

sites between two groups. ················································································· 8

Fig. 4. Box plots showing the differences of HU in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between two groups. ························································································· 9

Fig. 5. Scatter plots showing correlations between HU values on CT at maxillary

osteotomy sites and the T-scores on DEXA. ···················································· 11

Fig. 6. Scatter plots showing correlations between HU values on CT at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and the T-scores on DEXA. ···················································· 12

Page 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v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osteoporosis/osteopenia and control groups

···················································································································· . 7

Table 2. Comparison of mean Hounsfield units between the osteoporosis/osteopenia

and control groups ····················································································· 10

Table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related Hounsfield unit in the

maxilla ······································································································ 13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related Hounsfield unit in the

mandible ···································································································· 14

Page 1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 -

I.

악 아안면 능 , 심미 해결 있는 료법 ,

십 간 리 용 어 다. 1849 Hullihen 첫 악골 단 시작 ,

1955 Obwegeser 가 획 인 구내 악 골 단 고안해낸 이래

계속 어 고, 재는 다양 법이 사용 고 있다. 그

악골 구내 시상분 골 단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 Le Fort I

골 단 (Le Fort I osteotomy) 각각 악골과 상악골 골격 이동

효과 인 식 여겨지고 있다. 악 시, 골 단 매우 게

이 지며, 자 상당 집 과 풍부 경험이 요구 다. 골 단 이

부 게 시행 경우, 감염, 골편 부골 , 골 지연, 가 증과

같 여러 가지 합병증이 야 있다(Panula 등, 2001). 잘못 분 다양

원인에 해 생 있지만, 소인이 있는 요소들에 일

견 없는 실 이다(Veras 등, 2008).

골다공증 골 미 구조 변 인 골 Integrity 골 도 감소

인해 척추, 퇴골 등 골 험 증가시키는 사 질 이다.

골다공증 진단 해 는 Bone mineral density (BMD) 이 요구 며, BMD

평가를 여러 가지 검사 이 에 지 사 계 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이 가장 리 사용 고 있다. DEXA 는 BMD

에 있어 고 재 이 우 며 낮 사 조사량과 같 장 이

있지만, 상악골과 악골에 평가는 임상 어 다. 몇몇 연구자들

골다공증이 장골뿐만 아니라 개골에도 향 미 있는 것 근에

Page 1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 -

보고 고(von Wowern Kollerup, 1992; Taguchi 등, 1999; White, 2002; Hohlweg-

Majert 등, 2006), 상악골과 악골에도 연 이 있 있 보고 다(Horner

등, 1996; Taguchi 등, 1996; White, 2002). 상악골과 악골 골 도 평가를

해 , 산 단 (computed tomography, CT) Hounsfield unit (HU) 이

임상 근 용이 인해 사용 어 다(Park 등, 2008; Chugh 등, 2013;

Aggarwal 등, 2015). 특히 과용 임 란트 도래 함께, 임 란트 식립

상 악 조골 골 도 평가를 연구 상 악골 조골에

골다공증 향에 연구는 많 나, 악 골 단부 골 도

평가 악 과 골다공증 연 에 연구는 거 없는 실 이다.

본 연구 목 DEXA 를 통 여 진단 실험군(골감소증 골다공증 군)과

조군 HU 를 여, DEXA CT HU 간 연

조사함 써 상 악골 특 부 골 도를 평가 는데 있어 HU

용 조사 는 것과 실험군과 조군 악 시 골 단 부

HU 를 여 평가함 써 골감소증, 골다공증이 악 골

단 시에 미 있는 향 내는 것이었다.

Page 1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3 -

II. 연구 상 법

A. 자

2003 11 월부 2014 7 월 지 Facial CT 를 자 data 목

분 다. 그 에 DEXA Facial CT 를 모 311 명 자들

후향 분 여, 악안면 이 존재 거나 과거 안면부 손상

자를 외 80 명 자를 상군과 상군 분 , 연구에 포함 다.

상군 DEXA L1-3 에 T 값이 -1 미만 만족시키는 경우, 상군

동일 부 에 T 값이 -1 이상인 경우 각각 분 었다. 본 연구에 포함

80 명 자들 에 40 명 상군, 나 지 40 명 상군에 속 다. 이

연구는 아주 병원 연구 리심 원회 규 지침에 라 심 를

거 후 시행 다 (AJIRB-MED-MDB-15-161).

B. 사 분

Facial CT image 는 16 section Multi-detector row CT scanner (SOMATOM Sensation 16,

Siemens Medical Solutions, Erlangen, Germany)과 64 section Multi-detector row CT

scanner (Brilliance 64, Philips Medical systems, Best, the Netherlands)를 통 여

얻어 다. Image parameter 는 다 과 같다: voltage, 120 kV; current, 250 mA; matrix,

512 × 512; and section thickness, 3 mm. 이 상들 bone algorithm (window width of

2000 HU at a window level of 300 HU) 통 여 재구 었고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iview STAR; INFINITT, Seoul, Korea)에 해

시각 었다. CT axial view 상에 마우스를 Drag 후, Pixel size 를

Page 1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4 -

균일 시키는 법 ROI 를 고, 각 ROI 에 HU 를 다 (Fig.

1). 악 Le Fort I 골 단 에 골 단이 이 지는 상악골 3 부

BSSO 에 골 단이 이 지는 악골 4 부 , 7 부 를 각각 ROI

다: 상악골 부 (이상구 외 연 [MX1], 상악골 면 앙부

[MX2], 상악 결 [MX3]), 악골 부 ( 악지 내면 [MN1], 후구 삼각

외 1/3 [MN2], 악체 해면골 [MN3], 악각 [MN4]) (Fig. 2). MX1 과 MX2 는

Le Fort I 골 단 시 상악골 면에 , MX3 는 상악골 후외 에

Cutting 는 부 었다. MN1 BSSO 시 Horizontal cut 이 시작 는 부 ,

MN2 는 Horizontal cut 이 Sagittal cut 이행 는 부 , MN3 는 악

1 구 2 구 사이에 이 지는 Vertical cut 이 시작 는 부 ,

MN4 는 악 후 연에 Split 이 는 부 각각 여 평가 다.

해 Coronal view 나 Sagittal view 를 동시에 찰 면 다.

HU 2 명 Clinicians 에 해 각각 3 회씩 었고 각 부 는

양 었 에 양 평균 값 다.

Page 1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5 -

Fig. 1. ROI selection and HU measurement by PACS. By dragging the mouse on the axial

view of CT and making a consistent white circle, ROIs were selected to uniformize pixel

size, and Hounsfield units were measured at each ROI. White arrow indicates area selected

as an ROI.

Fig. 2. The seven osteotomy sites selected as ROI for measurement. A, Three maxillary

sites where osteotomy is performed in the Le Fort 1 osteotomy. B, Four mandibular sites

where osteotomy is performed in the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C. 통계 분

자 data 에 변 도, 평균, 편차를 평가 해 통계가

사용 었다. 상군과 상군 간 차이는 statistical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chi-square test 를 통 여 산출 었다. 또 T 값과 HU 값 간 골 단 부 에

른 계를 인 고자 상 계 (correlation)를 알아보았다. 마지막 , 연 과

별 조 여 그룹과 골 단 부 (association) 조사 고자

다 회귀분 이 시행 었다. 0.05 이 P 값이 통계 다고

간주 었다. 모든 통계 분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PASW) version 22.0

Page 1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6 -

(SPSS Inc., Chicago, USA)과 R software version 3.2.1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사용 여 행 었다.

Page 1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7 -

III. 결과

A. 상군과 상군 간 자 특

상군과 상군 본 인 특징 Table 1 과 같이 시 었다 (Table 1).

군 간 T 값 차이는 상군보다 상군에 게 낮았다 (-1.94 vs

0.76, P < 0.05) (Table 1). 지만, 군 간 별 평균 연 통계

차이가 없었다.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osteoporosis/osteopenia and control groups

B. 골다공증/골감소증 자군과 조군 간 HU

1120 개 ROI 가 80 명 자에 어 평가 었다. 상악골과

악골 모든 부 에 상군과 상군 간 평균 HU 가 통계

차이가 있었고, 상군이 상군에 해 게 높았다 (P < 0.05).

상악 골 단 부 에 는 MX1, MX3 에 해 MX2 에 군 간 HU 값

차이가 훨씬 컸 며, 낮 보 다 (P < 0.01) (Fig. 3).

악에 는 다른 부 에 해 MN1 에 군 간 차이가 컸 며, 낮

보 다 (P < 0.001) (Fig. 4). 각 군 부 별 평균 HU 편차는

Table 2 같았다 (Table 2).

Page 1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8 -

Fig. 3. Box plot showing the differences of HU in the maxillary osteotomy sites between

two groups (P < 0.05).

Page 1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9 -

Fig. 4. Box plot showing the differences of HU in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between two groups (P < 0.05).

Page 1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0 -

Table 2. Comparison of mean Hounsfield units between the osteoporosis/osteopenia

and control groups.

C. DEXA T 값과 HU 간 연

각각 상 악골 골 단 부 에 DEXA T 값과 HU 간 상 계가

평가 었다. 모든 골 단 부 에 DEXA T 값과 CT HU 사이에

통계 양 상 계가 찰 었다 (P < 0.01). 특히 상악에 는,

MX1 과 MX3 에 해 MX2 에 T 값과 HU 간 강 양 상 계를

보여주었다 (P < 0.001) (Fig. 5). 악에 는 다른 부 들에 해 MN1 에

강 양 상 계를 나타내었다 (Fig. 6).

Page 2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1 -

Fig. 5. Scatter plots showing correlations between HU values on CT at maxillary

osteotomy sites and the T-scores on DEXA.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P < 0.01).

Page 2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2 -

Fig. 6. Scatter plots showing correlations between HU values on CT at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and the T-scores on DEXA.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P < 0.01).

D. Group 과 골 단 부

나이 연 에 조 과 함께 Group 변 골 단 부 에 여

다 회귀분 model 이 행 었다. 상악에 상군 상군에 여

MX2 MX3 에 보 다 (β = -146.86 and -73.4, P = 0.002 and

0.014) (Table 3). 악에 는, 상군 또 모든 악 골 단 부 에

Page 2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3 -

상군에 해 보 다 (Table 4). 특히, 상군 악 골 단

부 에 MN1 과 가장 보 다.

Table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Hounsfield Units in the

Maxilla

Page 2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4 -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Related Hounsfield Unit in the Mandible

MN1 MN2 MN3 MN4

Estimate SE T P Estimate SE T P Estimate SE T P Estimate SE T P

Intercept 633.86 118.79 5.34 <0.001 650.91 115.72 5.63 <0.001 593.01 119.11 4.98 <0.001 333.43 106.14 3.14 0.002

Age -3.69 2.33 -1.58 0.118 -5.99 2.27 -2.64 0.010 -4.11 2.34 -1.76 0.083 0.39 2.08 0.19 0.853

Sex 63.59 45.33 1.40 0.165 104.30 44.16 2.36 0.021 95.59 45.45 2.10 0.039 64.57 40.50 1.59 0.115

Group -190.98 42.74 -4.47 <0.001 -95.29 41.64 -2.29 0.025 -91.22 42.86 -2.13 0.037 -80.39 38.19 -2.11 0.039

MN1, inner surface of the ramus superior to the lingula; MN2, outer third of the retromolar triangle; MN3, sponge bone in the mandibular body; MN4, the mandibular ang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age and sex.

The reference group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the normal group

Page 24: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5 -

IV. 고찰

본 연구를 통해, 자는 상 악골 특 부 골 도 평가를 해 CT

HU 는 것 용 있 며,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악 시

골 단 부 골 도를 감소시킴 써 에 향 미 있다고

단 다. 골 도를 는 DEXA T 값 차이를 보이는 집단 간에

상 악골 골 단부 모든 부 에 HU 값 차이가 있다는 , HU

가 어느 도 골 도를 고 있 시사 다. 또 본 연구에

나타난 T 값과 HU 사이 양 상 계도 이러 추 뒷 침해 다.

그러므 , 자는 감소 골 도를 가진 자를 인 는데 있어 CT 가

사용 있다고 생각 다. 특히, 본 연구에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자들

상 자들에 해 상 악골에 낮 HU 를 보 므 , 이러 자들에

있어 악 시 골 단부 낮 골 도 인해 골 단 시 bad split

또는 unfavorable fracture 험 이 높 것 생각 다.

HU 질 체 소 (voxel)에 감쇠 X 속 도에 며,

압과 도에 증 사 도 (radiodensity)를 0 삼아

감쇠계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를 이용 여 상 다.

히 보 CT scanner 를 사용 경우, CT 상 특 부 는 특 HU

재 있게 부여 있다(Goldman, 2007). 이 연구에 HU

증가는 질 도 증가 상 계 (linear correlation)이 있

보고 고(Schreiber 등, 2011), 또다른 연구에 는 HU 골 도 압축

강도 연 보고 다(Schreiber 등, 2011; Schreiber 등, 2014). 몇몇

Page 25: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6 -

연구들에 골 도 해 HU 를 계 는 법

사용 고(Turkyilmaz 등, 2008; Lee 등, 2013), 본 연구에 도 특 부 골

도 해 균일 ROI 용 통 재 있는 HU 값 계 다.

골다공증 진단 BMD 량 평가에 존 며, DEXA 가 일

리 이용 다. 골다공증 척추, 퇴골뿐만 아니라 안면골에도 향 미

있다. 근 연구에 CT HU DEXA 를 여 안면골 (midfacial

bone)에 골다공증 군과 조군 평균 골 도 차이가 있 고,

골다공증이 accidental fracture 독립 변 가 있다고 다(Lee 등, 2013).

악골에 골다공증 향 조골 상실 미 가속 험 과

여 악골에 있어 낮아진 골 도가 있다(Horner 등, 1996; von Wowern,

2001). 상악 해면골 도가 골다공증 자에 있어 게 낮았다는 연구는

골다공증 상악골에 향 잘 보여주고 있다(Merheb 등, 2014).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상 악골 골 뿐만 아니라 조골에도 향 미

있는데, 연구에 는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이 조골 높이 감소 아

상실과 연 이 있 보고 다(Wactawski-Wende 등, 1996; Wactawski-Wende,

2001). 특히 과 역에 과용 임 란트 등장 이후 상 악골 골 도에

많 연구들이 있었고 골다공증과 과용 임 란트 연 에

연구들도 많이 보고 었다. 골다공증 인 여 골 도가 감소 는 있지만,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 진단이 임 란트 실 험 증가시키지는

않는다고 알 있다(Holahan 등, 2008). 또 골다공증 료를 경구용

스포스포 이트 (oral bisphosphonates) 재를 복용 는 자들에 있어 악골

사 잠재 험 이 존재 지라도, 골다공증 자체가 임 란트 공이나

실 험 인자는 아니라는 연구도 있다(Bornstein 등, 2009). 본 연구에 도

Page 26: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7 -

골감소증 골다공증 자가 상군에 여 골 도가 낮게 나타났고, 이러

결과는 상 악골 골 도에 골다공증이 향 미 있다는 다른 연구들과

일 다.

BSSO 시 bad split 또는 unfavorable fracture 는 0.5~5.4% 생

보이며(Teltzrow 등, 2005; Kriwalsky 등, 2008), 일 악골 근심 골편

buccal plate 원심 골편 posterior aspect 가 가장 는 부 라고 알

있다(Chrcanovic Freire-Maia, 2012). 상악골 이동 Le Fort I

골 단 bad split 에 연구는 알 있지 않다. BSSO 시 bad split

생이 일어나 라도 법 처 가 다면, 장 간 결과에

추어본다면 자들 불만이나 능 는 생 지 않는다는 연구가

있지만(Veras 등, 2008), 만약 에 bad split 이 생 게 면, 시간이

어지게 고 특히 bad split 부 가 과 경부나 훼돌 (coronoid process)에

생 게 다면 후 리가 어 워질 있다. 이러 악골 bad

split 에 험 요소 재 진 것 악 3 구 존재

시 연 이 있다. 맹출 지 않 악 3 구 인해 unfavorable split 이

생 험이 증가 고 근심 골편 또는 원심 골편 골 이 야 있다(Turvey,

1985). 또 BSSO 시 고연 자 경우, bad split 험 이 증가 다고

보고 었다(Kriwalsky 등, 2008). 지만 이러 여러 가지 험 요소들

복합 양상 알 지지 않 상태이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에 추어 보았

, 골다공증 자에 있어 골 단 시행 경우, 상 악골에 split 이

생 는 부 처 에 있어 주 를 울여야 요 이 있 것 보인다.

특히, 다 회귀분 결과를 고 해보았 , 악골 악지 내면 소 돌

상 부 골 단 욱 심 주 를 요 다고 생각 다.

Page 27: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8 -

본 연구는 상 악골 골 도 평가를 해 HU 이용 연구라는

에 , 존 연구들과 사 나, 임 란트 식립 상 악골 조골

골 도를 평가 는 연구나 골 가능 이 큰 부 평가를 안면골에

연구 는 달리, 악 이라는 특 식에 이 지는 골 단

상 부 에 연구라는 에 그 차이가 있다. 또 악 과

골다공증과 연 에 연구는 자가 아는 에 없는 상황이다.

골다공증이 는 연 는 고연 군이지만, 악 이 요 연

또 이 과 다르게 고 가능 이 있다. 특히 폐쇄 면

(obstructive sleep apnea, OSA) 료를 양악 진

(maxillomandibular advancement) 효용 이 고 있 며, OSA

연 를 고 해보면 악 요 는 자 연 이 증가 여지가

있다. 라 악 과 골다공증과 에 연구도 차

요 상황이며, 그러 에 본 연구는 골다공증 자나 골감소증 자에

있어 악 시 주 가 요 있 다고 볼 있다.

본 연구 계 는 악 시에 골 단이 이 지는 부 에 골

도 평가이 에, 악 시 상 인 골 split 이 생 는 부 외에

mal-fracture 가 생 있는 다른 부 에 평가는 미 다고 볼 있다.

이러 mal-fracture 가 생 가능 이 있는 부 는 이

어 워 본 연구에 는 평가 지 않았다. 그리고 CT 상 단면인 axial

plane 에 ROI 를 통 HU 이 이루어진 것이 에 좀 실 인

3 차원 분 이 아니라는 계 도 있다. 여 에 여는 이후 추가 인

연구가 요 것이다

Page 28: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19 -

V. 결

상 악골 특 부 골 도에 평가를 법 CT 를 이용

HU 용 있다.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 악 시 골

단부 골 도에 향 미 있고 그 인해 bad split 가능 이 증가

있다. 악 시 골 단이 이 지는 부 에 여 CT HU 를

함 써 골 도가 자나 골다공증 자를 략 별해낼

있고, 낮아진 골 도 인 bad split 이나 unfavorable fracture 에

험도를 있 것 생각 다.

Page 29: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0 -

참고 헌

1. Aggarwal H, Singh RD, Kumar M, Singh R, Siddhartha R, Jurel SK, Agrawal KK,

Kumar P: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bone density of mandibular

condyle in dentulous and edentulous jaws: an in vivo study. J Clin Densitom 18: 50-

53, 2015

2. Bornstein MM, Cionca N, Mombelli A: Systemic conditions and treatments as risks

for implant therap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4 Suppl: 12-27, 2009

3. Chrcanovic BR, Freire-Maia B: Risk factors and prevention of bad splits during

sagittal split osteotomy. Oral Maxillofac Surg 16: 19-27, 2012

4. Chugh T, Ganeshkar SV, Revankar AV, Jain AK: Quantitative assessment of

interradicular bone density in the maxilla and mandible: implications in clinical

orthodontics. Prog Orthod 14: 38, 2013

5. Goldman LW: Principles of CT and CT technology. J Nucl Med Technol 35: 115-

128; quiz 129-130, 2007

6. Hohlweg-Majert B, Schmelzeisen R, Pfeiffer BM, Schneider E: Significance of

osteoporosis in craniomaxillofacial surge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Osteoporos Int

17: 167-179, 2006

7. Holahan CM, Koka S, Kennel KA, Weaver AL, Assad DA, Regennitter FJ,

Kademani D: Effect of osteoporotic status on the survival of titanium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3: 905-910, 2008

8. Horner K, Devlin H, Alsop CW, Hodgkinson IM, Adams JE: Mandibular bone

mineral density as a predictor of skeletal osteoporosis. Br J Radiol 69: 1019-1025,

1996

9. Kriwalsky MS, Maurer P, Veras RB, Eckert AW, Schubert J: Risk factors for a bad

split during sagittal split osteotomy. Br J Oral Maxillofac Surg 46: 177-179, 2008

10. Lee IJ, Lee JJ, Bae JH, Hwang E, Lee S, Cho M, Kim JH, Kim HJ: Significance of

osteoporosis in facial bone density using computed tomography. J Craniofac Surg

24: 428-431, 2013

11. Lee S, Chung CK, Oh SH, Park SB: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Hounsfield Units Measured

by Diagnostic CT in Lumbar Spine. J Korean Neurosurg Soc 54: 384-389, 2013

12. Merheb J, Temmerman A, Coucke W, Rasmusson L, Kubler A, Thor A, Quirynen M:

Page 30: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1 -

Relation between Spongy Bone Density in the Maxilla and Skeletal Bone Densit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4

13. Panula K, Finne K, Oikarinen K: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problems related to

orthognathic surgery: a review of 655 patients. J Oral Maxillofac Surg 59: 1128-

1136; discussion 1137, 2001

14. Park HS, Lee YJ, Jeong SH, Kwon TG: Density of the alveolar and basal bones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3: 30-37, 2008

15. Schreiber JJ, Anderson PA, Hsu WK: Use of computed tomography for assessing

bone mineral density. Neurosurg Focus 37: E4, 2014

16. Schreiber JJ, Anderson PA, Rosas HG, Buchholz AL, Au AG: Hounsfield units for

assessing bone mineral density and strength: a tool for osteoporosis management. J

Bone Joint Surg Am 93: 1057-1063, 2011

17. Taguchi A, Suei Y, Ohtsuka M, Otani K, Tanimoto K, Hollender LG: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ooth loss in elderly Japanese women.

Dentomaxillofac Radiol 28: 219-223, 1999

18. Taguchi A, Tanimoto K, Suei Y, Ohama K, Wada T: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and lumbar vertebral bone mineral density at different postmenopausal

stages. Dentomaxillofac Radiol 25: 130-135, 1996

19. Teltzrow T, Kramer FJ, Schulze A, Baethge C, Brachvogel P: Perioperative

complications following sagittal split osteotomy of the mandible. J Craniomaxillofac

Surg 33: 307-313, 2005

20. Turkyilmaz I, Ozan O, Yilmaz B, Ersoy AE: Determination of bone quality of 372

implant recipient sites using Hounsfield unit from computerized tomography: a

clinical stud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10: 238-244, 2008

21. Turvey TA: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of sagittal osteotomy of the mandibular

ramus: incidence and management. J Oral Maxillofac Surg 43: 504-509, 1985

22. Veras RB, Kriwalsky MS, Hoffmann S, Maurer P, Schubert J: Functional and

radiographic long-term results after bad split in orthognathic surgery. Int J Oral

Maxillofac Surg 37: 606-611, 2008

23. von Wowern N: General and oral aspects of osteoporosis: a review. Clin Oral

Investig 5: 71-82, 2001

24. von Wowern N, Kollerup G: Symptomatic osteoporosis: a risk factor for residual

ridge reduction of the jaws. J Prosthet Dent 67: 656-660, 1992

25. Wactawski-Wende J: Periodontal diseases and osteoporosis: association and

Page 31: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2 -

mechanisms. Ann Periodontol 6: 197-208, 2001

26. Wactawski-Wende J, Grossi SG, Trevisan M, Genco RJ, Tezal M, Dunford RG, Ho

AW, Hausmann E, Hreshchyshyn MM: The role of osteopenia in oral bone loss and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67: 1076-1084, 1996

27. White SC: Oral radiographic predictors of osteoporosis. Dentomaxillofac Radiol 31:

84-92, 2002

Page 32: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3 -

-ABSTRACT-

Effects of osteoporosis on bone density of osteotomy sites

in orthognathic surgery

Sung Woon On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try

Th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Assistant Professor Seung Il Song)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Hounsfield unit (HU)

measurement of CT in evaluating the bone density of certain sites by comparing bone

density between computed tomography (CT)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steoporosis on osteotomy sites in orthognathic surgery by

measuring HU values and comparing bone density in normal patients versus those with

osteoporosis or osteopenia.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80 patients who had undergone

both facial CT and DEXA at our hospital. Authors selected seven regions of interest (ROI)

from among the osteotomy sites in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three in the maxilla

Page 33: Disclaimer - ajou.ac.krrepository.ajou.ac.kr/bitstream/201003/13114/1/... · 2020. 7. 21. · 하악골 구내 시상분할 골절단술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와

- 24 -

(inferolateral border of the piriform aperture, center of the anterior surface of maxilla, and

maxillary tuberosity) and four in the mandible (inner surface of ramus, outer third of

retromolar triangle, sponge bone in mandibular body, and mandibular angle). The patie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normal (control) group (n=40) or the abnormal group, and HU

values were measured in each ROI.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HU values between two groups at all the osteotomy sites in the maxilla and mandible,

with the normal group showing higher values than the abnormal group (P < 0.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scores obtained with DEXA

and the HU values on CT at the osteotomy sites (P <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bnormal group was mo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ix osteotomy sites

except for one maxillary area, a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Measurement of HU

values on CT can be valuable in assessing bone density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t is

suggested that osteoporosis may affect bone density at the osteotomy sites in orthognathic

surgery. Therefore, the preoperative measurement of HU values at these site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or osteopenia might be useful in predicting unfavorable fracture or the risks

involved in such surgery.

Key Words: Orthognathic surgery, osteoporosis, computed tomography, osteotomy, bone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