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12
112 CASE REPORT 1 서론 상하악 기저골간의 골격적 문제를 동반하지 않는 단순한 I급 부정교합은 상당히 높은 빈도를 보여주고 있다. 1,2 총생의 증가는 인류학적으로 현대인에서 턱 이 작아지고 영구치 배열을 위한 치열궁이 작아짐으 로써 제3대구치의 매복이 빈번해지거나, 또는 현대인 의 식습관의 변화로 거친 음식이 아닌 부드러운 음식 섭취에 의한 치간 마모의 결여로 설명되기도 한다. 한편 유치열 및 혼합치열기 중 치아우식 발생과 이에 대한 공간 관리 소홀로 인한 후천적 부정교합도 많 다. Mathew와 Anthony 3 는 혼합치열기에서 평균적으 로 4-5mm의 총생이 관찰되며 이중 68%는 리웨이 공 간(leeway space)을 보존하는 것만으로도 총생해소 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즉, 제1대구치의 후기근심이 동(late mesial drift)을 억제하면서 영구 견치와 소구 치의 맹출에 맞추어 유구치의 근심면을 삭제하는 방 법(mesial stripping method)을 통해 리웨이 공간을 총생 해소에 활용할 수 있다. 리웨이 공간 외에도 혼 합치열기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협착된 치 열궁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하악궁 확장은 재발이 크 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시각이 많으나 상악궁의 확장 은 상대적으로 재발이 적고 안정적이어서 상악궁의 확장은 많이 시행된다. 4 보통 하악궁의 확장은 상악 궁 협착으로 인한 하악궁의 보상(compensation)적인 협착이 있을 경우 탈보상 (decompensation)을 목적 으로 견치가 직립될 때까지 시행하며 치열궁 길이를 유지하는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5 상악 확장과 공간 재획득(space regaining)을 위해 사용되는 상교 정장치(acitive plate)는 차단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대 표적인 가철식 장치로서 치료 과정이나 사용 방법도 차단교정을 통한 비발치 증례의 기능적 고찰 이협수 / 대전 예미담치과의원 최동순·장인산·차봉근 /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CASE REPORT Dr. 최동순 Dr. 이 협 수 Dr. 장 인 산 Dr. 차 봉 근 이협수, 개원의 / 대전 예미담치과의원 최동순, 부교수 장인산, 조교수 차봉근, 교수 교신저자: 차봉근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강원도 강릉시 지변동 강릉대학로 120,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 전화: 033-640-3192 / 이메일: [email protected]

Transcript of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Page 1: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2 CASE REPORT 1

서론

상하악 기저골간의 골격적 문제를 동반하지 않는

단순한 I급부정교합은상당히높은빈도를보여주고

있다.1,2 총생의 증가는 인류학적으로 현대인에서 턱

이 작아지고 구치 배열을 위한 치열궁이 작아짐으

로써제3대구치의매복이빈번해지거나, 또는현대인

의식습관의변화로거친음식이아닌부드러운음식

섭취에 의한 치간 마모의 결여로 설명되기도 한다.

한편유치열및혼합치열기중치아우식발생과이에

대한 공간 관리 소홀로 인한 후천적 부정교합도 많

다.

Mathew와 Anthony3는 혼합치열기에서 평균적으

로 4-5mm의총생이 관찰되며 이중 68%는리웨이 공

간(leeway space)을 보존하는 것만으로도 총생해소

가 가능하다고 하 다. 즉, 제1대구치의 후기근심이

동(late mesial drift)을 억제하면서 구 견치와 소구

치의 맹출에 맞추어 유구치의 근심면을 삭제하는 방

법(mesial stripping method)을 통해 리웨이 공간을

총생 해소에 활용할 수 있다. 리웨이 공간 외에도 혼

합치열기에공간을확보할수있는방법이협착된치

열궁을확장하는방법이다. 하악궁확장은재발이크

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시각이 많으나 상악궁의 확장

은 상대적으로 재발이 적고 안정적이어서 상악궁의

확장은 많이 시행된다.4 보통 하악궁의 확장은 상악

궁 협착으로 인한 하악궁의 보상(compensation)적인

협착이 있을 경우 탈보상 (decompensation)을 목적

으로 견치가 직립될 때까지 시행하며 치열궁 길이를

유지하는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된다.5 상악 확장과

공간 재획득(space regaining)을 위해 사용되는 상교

정장치(acitive plate)는 차단교정을위해사용되는대

표적인 가철식 장치로서 치료 과정이나 사용 방법도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이협수 / 대전예미담치과의원

최동순·장인산·차봉근/ 강릉원주대학교치과대학치과교정학교실

CASE REPORT

Dr. 최 동순Dr. 이 협수 Dr. 장 인산 Dr. 차 봉근

이협수, 개원의 / 대전예미담치과의원최동순, 부교수장인산, 조교수차봉근, 교수

교신저자: 차봉근강릉원주대학교치과대학치과교정학교실

강원도강릉시지변동강릉대학로 120,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치과교정과

전화: 033-640-3192 / 이메일: [email protected]

Page 2: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3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

그다지복잡하지않다.

그러나차단교정의중요성에도불구하고여전히많

은증례들이치료시기를놓치거나또는상태가악화

되어발치교정에이해치료되는경우가많다. 본증례

보고의 목적은 혼합치열기의 심한 총생 증례를 상교

정장치(acitive plate)를 이용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이

후 비발치에 의해 교정치료를 마무리한 증례로서 치

료전후저작기능의변화와회복에초점을두고차단

교정의의의를다시한번강조하고자함에있다.

상교정장치(active plate)

상교정장치는 일반적으로 순측보우(labial bow),

스프링(spring), 확장스크류(expansion screw), 클래

스프(clasp), 그리고 레진베이스로 구성되며 치료 목

적에 맞게 순측보우의 모양을 변형하거나 확장스크

류의형태와위치를바꾸어디자인을다양하게할수

있다 (그림 1).

구개 확장 장치들은 확장을 빠르게 하느냐 천천히

하느냐에 따라 완속확장(slow expansion)과 급속확

장(rapid expansion)으로 나뉘어지는데 통상적으로

상교정장치는 일주일에 1회(1/4턴) 또는 2회(2/4턴)

의 속도로 확장스크류를 활성화시켜 주당

0.2~0.5mm를 확장시키는 완속확장 장치이다.

Storey6는 급속구개확대는후에미성숙골로채워지

더라도 일차적으로는 봉합부 결체조직이 찢어지고

혈관의 부종 또는 출혈을 일으키는 파괴 과정이라고

언급하 으며, 점진적으로 골이 이개되며 생리적인

성장을 허용하는 완속확장이 재발의 가능성이 적고

보정에있어서유리하다고하 다.

그림 1. 다양한디자인의상교정장치.

Page 3: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4 CASE REPORT 1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

증례

진단

“ 구견치가나올공간이없다”는것을주소로내

원한 10세 3개월의 남자 환자이다. 상악 유견치는 2

년 전 조기탈락 되었고, 특이할 만한 가족력은 없었

다. 그림 2는초진시구내및얼굴사진으로직선적인

측모를보 고, 얼굴정중선에대해전치부정중선이

2mm 가량 좌측으로 변위된 소견이 관찰되었다. 구

내 소견상 상악 견치의 맹출 공간이 부족하고, 특히

좌측 상악 견치의 공간이 매우 부족하 다. 상악 측

절치의 반대 교합이 관찰되었고, 구치부는 1/4 소구

치 폭경만큼 근심교합 상태 다. 파노라마 방사선사

진에서 상악 중절치의 치근단이 짧은 소견이 관찰되

며상악좌측견치는맹출공간이부족하 고어린나

이에도 불구하고 상악동의 함기화(pneumatization)

가 되어 있었다. 측모 두부계측방사선사진 분석에는

ANB 각이 -0.1°로 Class III 경향을 보 으며, 수직적

으로는 FAM각이 21.3°로서수평적인성장경향을보

고, 상하악 전치의 치축은 비교적 양호하 다 (그

림 3, 표 1).

그림 2. 초진시얼굴및구내사진 (10세 3개월).

Page 4: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T-scan II system (Tekscan Co., Boston, MA, USA)

을이용한교합검사에서초기교합시상악우측측절

치 부위에서 강한 조기 접촉이 관찰되었고, 최대 감

합시에는 교합력이 악궁의 중심에 분포되었다 (그림

4). TMJ tomogram (COMMCAT IS-2000, Hatfield, PA,

USA) 상에서 우측 과두에 비해 좌측 과두가 관절

와로부터 약간 더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

다 (그림 5).

115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

그림 3. 초진시파노라마방사선사진및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

그림 4. 초진시교합검사 (T-scan II system) 소견. (A) 초기교합시및 (B) 최대감합시교합접촉상태.

Page 5: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6 CASE REPORT 1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

BioEMG II (BioResearch Associates, Inc.,

Milwaukee, WI)를이용한근활성도검사에서안정시

우측및좌측전측두근(TA), 교근(MM)의근활성도는

각각 1.5 μV, 1.5 μV, 2.0 μV, 4.0 μV로서 측두근과 교

근간, 교근의 좌우측간 부조화를 보이고 있었다. 또

최대감합시교근의근활성도가 25.3 μV, 32.5 μV로서

측두근의 근활성도 79.0 μV, 71.6 μV에 비해 상당히

낮게나타났다 (그림 6).

치료목표및계획

이환자는골격적인문제는크게없으나, 공간부족

으로인해견치의정상적인맹출이어려울것으로예

상되었다. 측절치는 반대교합으로 인해 초기 교합시

우측측절치부위에서조기접촉이있고, 이것과좌측

하악과두의전방위치, 저작근의불균형과관련이있

을것으로생각되었다. 따라서견치의정상적인맹출

유도, 측절치반대교합의개선을통한하악골과근신

그림 5. 초진 시 TMJ tomography에서 관찰한 우측과두 및 좌측과두와 관절와 사이의 거리(mm). 좌측 과두에서 전방간격은 2.0mm이나후방간격는 4.0mm로서과두가관절와에비해약간전방으로위치하고있다.

그림 6. 초진 시 안정시 (A)와 최대감합시 (B)의 근활성도. TA, 전측두근, MM, 교근, SCM, 흉쇄유돌근, DA, 악이복근전복. 단위는 마이크로볼트(μV).

Page 6: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7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

경계의 정상적인 성장 발육을 유도하는 것을 치료목

표로 하여 혼합치열기 중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1차

치료를시행하기로하 다.

좌측상악견치의맹출공간을확보하기위해상교

정장치를 이용하여 상악을 측방으로 확장하기로 하

고, 좌측으로변위된상악중심선을개선하기위해

순측보우 좌우측 끝단이 모두 우측 레진판에 매입되

도록형태를수정하여, 측방확장시상악전치부가우

측으로이동할수있도록디자인하 고, 또 측절치를

순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finger spring을 상교정장

치에 포함시키기로 하 다. 또 하악 견치 부위의 경

미한 총생을 완화시키기 위한 공간감리 (space

supervising)를 계획하 다. 환자가 직선형의 측모이

고상악전치부치근이짧은상태이므로 구치맹출

이 완료 된 후 이차 치료는 비발치로 교정을 하기로

계획하 다.

치료경과및결과

상교정장치를이용하여일주일에 2회 (2/4턴) 완속

으로 총 2.5개월간 확장을 실시하 다. 이 기간동안

상악 전치부를 순측으로 기 위하여 finger spring을

활성화 시켰다 (그림 7A). 환자의 협조도는 매우 좋

았고, 견치 맹출을 위한 공간은 충분히 확보되어 확

장을 중지하고 (그림 7B), 이후 7개월간 공간유지를

목적으로 하루종일 장착하도록 지시하 다. 견치가

맹출되는 이 시기에 상악과 하악 제2유구치의 근심

면삭제(mesial stripping)를 통해리웨이공간도적극

활용하 다. 이 후 4개월간 아무런 장치없이 관찰하

고, 그림 8에서보면, 1차 치료를통해상악견치가

정상 위치로 맹출하 으며 상악 전치 중심선은 얼굴

중심선과잘일치하 다. 그러나하악좌측측절치의

경미한총생과전치의중심선불일치는아직남아있

었다. 파노라마 방서선사진에서 하악 우측 제2대구

치가근심경사되어맹출하는것이관찰되었다. 두부

계측방사선사진 중첩 결과 상악 전치가 약간 순측경

사되고, 하악전치가약간설측경사된것이관찰되었

다 (그림 9, 표 1).

경미한총생해소와더욱정교한교두감합을위해

2차치료를 시작하 고, 제1대구치까지 0.022인치 슬

롯의 MBT prescription 메탈 브라켓을 장착하고, 016

그림 7. Labial bow의디자인을변형시킨midline correction type의 active plate (A) 및상교정장치사용 2.5개월후모습 (B).

Page 7: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8 CASE REPORT 1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

NiTi 와이어, 019*025 NiTi 와이어, 019*025 TMA 와이

어 순으로 교환하며 교합을 맞추어나갔다. 전치부의

중심선을개선하기위해우측에 III급고무줄을 3개월

간착용하 다. 근심으로경사진채로맹출하던하악

우측 제2대구치가 자발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부분

매복되어 이를 직립시키기 위해 제2대구치에 튜브를

접착하고 제1대구치의 보조슬롯과 TMA 부분호선을

이용하여2개월간직립시켰다.

치료기간 중 하악의 왕성한 성장으로 전치부 교합

이매우긴 해지면서상악전치부에공간이자주발

생되었고, 2차 치료는 생각보다 오래 진행되어 총 1

년 5개월이 소요되었다. 2차 치료 종료 후 전치와 구

치에서양호한교합이이루어졌고, 중심선도잘일치

되었다 (그림 10). 두부계측방사선사진 중첩 결과 2

차치료 후 상악 전치부에 약간의 순측경사가 관찰되

었고, ANB 각은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림

11, 표 1).

초진시 TMJ tomogram 상에서 전방 변위되어 있던

좌측하악과두는치료후관절와의중심에위치하고

있었다 (그림 12). 종료후근활성도검사에서안정시

측두근 및 교근의 근활성도는 2.0μV 이내로서 잘 조

화를 이루고 있었고, 최대감합시에서도 우측과 좌측

의측두근및교근의근활성도는각각 61.6 μV, 62.0 μ

V, 55.9 μV, 62.4 μV로서 매우 균형있는 근활성도를

보여주었다 (그림 13).

Page 8: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19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

그림 9. 1차치료전 (붉은색)과 1차치료후 (파란색)의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중첩도 (11세 5개월).

그림 8. 1차치료후의얼굴사진과구내사진및파노라마방사선사진 (11세 5개월).

Page 9: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20 CASE REPORT 1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

그림 10. 2차치료후의얼굴사진과구내사진및파노라마방사선사진 (12세 10개월).

Page 10: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121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

표 1. 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계측치비교

SNA (°) 81.5 81.6 81.0 81.5

SNB (°) 81.6 82.1 81.8 82.2

ANB (°) -0.1 -0.5 -0.8 -0.7

Mandibular plane to FH (°) 21.3 22.4 19.8 17.9

Mx1 to FH (°) 112.6 114.5 117.2 114.8

IMPA (°) 89.6 87.2 93.0 92.2

Overjet (mm) 2.3 3.0 3.6 3.0

Overbite (mm) 1.9 1.4 2.7 3.1

치료전(10세 3개월)

1차치료종료(11세5개월)

2차치료종료(12세 10개월)

종료 1년후(13세 10개월)

그림 11. 초진 (붉은색) 및 2차치료후 (파란색)측모두부계측방사선사진중첩도 (12세 10개월).

그림 13. 2차치료종료후안정시 (A)와최대감합시 (B) 근활성도.

그림 12. 2차치료종료후의 TMJ tomography.

Page 11: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고찰및결론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에서 흔히 관찰되는 공간부

족과상악측절치의반대교합에의하여발생될수있

는 문제들과 치료 후 변화를 교합검사 (T-scan), 근활

성도검사 (EMG), TMJ tomogram을통해다양하게평

가하 다. 상악견치 맹출시기에서 상교정장치를 이

용한 상악궁의 측방 확장은 환자의 협조도가 양호하

여 어렵지 않게 이루어졌고, 치료기간 내내 잘 유지

되었다. 상교정장치에서 순측호선을 변형한 디자인

은 측방확장과 동시에 상악 4전치들을 우측으로 이

동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어서 측방확장이 끝났을

때상악전치중심선도양호한개선이이루어졌다.

본증례초진교합검사에서관찰된것과같이측절

치 부위의 반대교합은 폐구시 상하악간에 조기접촉

을 유발할 수 있다. 하악 폐구시 조기접촉으로 인한

교합간섭은 해당치아와 치주조직에 외상 및 치아마

모 등과 같은 국소적 문제 외에도 교합력이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던지, 근활성도 검사소견상

에서보이는것과같이주변폐구근들사이에부조화

를 일으키고, TMJ-tomogram 상에서 관찰된 바와 같

이 하악 과두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성장기에서

이와같은교합수준에서의구조적이상은하악과두

의 변위를 동반한 기능성 비대칭 (displacement

asymmetry; pseudoasymmetry)을 유발할수있고, 나

아가 새로운 최대감합위로 적응하도록 성장되면서

골격성비대칭으로고착될수있다.7

본 증례는치료종료후교합검사소견상전치부의

조기접촉이 개선되었고, 교합력도 악궁의 중앙에 가

깝게 위치하 다. 교합검사에서 소구치부위의 교합

이 긴 하지 않게 관찰되나, 교정치료 종료 후 교합

접촉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교합

은점진적으로긴 해지는것으로알려져있으므로8

이번 증례도 시간이 지나면서 좀 더 긴 해 질 것으

로예상된다. 근활성도검사소견상안정시교근과측

두근 모두 2.0 μV 이내의 근활성을 보여 안정시에 긴

장이없는것으로보인다. 최대감합시근활성도는치

료전현저하게저활성을보 던교근의근활성이증

122 CASE REPORT 1

차단교정을통한비발치증례의기능적고찰

그림 14. 2차치료종료후의초기교합 (A) 및최대감합 (B) 시교합검사 (T-scan II system) 소견.

Page 12: CASE REPORT 0 ñ ® 8 > à : Ê Ð ùD Ý Þx 4 · 2019-01-15 · ® ä ( f î .buifx ì"ouipoz × ä Ì Ý À ² £ Ð x 5 ý nn d h ¤ i 4 : t i º × ; i @ mffxbz tqbdf 8 Þ ×

가되어 교근과 측두근 간에 조화가 잘 되어 있었다.

두개악안면 역의 근활성도와 부정교합 사이의 관

계에대한이전의연구들이있었고,9,10 이번증례는부

정교합치료후근활성의불균형이개선되는것을보

여준좋은증례이며, 성장기에서악안면근육의조화

는상하악의균형된성장에중요한요소로작용할것

이다.

혼합치열기에 상교정장치를 이용하여 계승 구치

의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상악 견치는 치조정으로

자연스럽게 맹출할 수 있었고 협설측 경사도 양호하

다. 이는이후의브라켓과와이어를이용한고정식

교정치료과정을 보다 수월하게 만들 수 있다. 이 환

자에서는 하악의 차등성장으로 인해 예상보다 2차

치료기간이 길어져서 1년 5개월이 걸렸지만, 치료기

간 단축과 복잡하지 않은 고정식 장치는 치아 탈회,

전치부 치근 흡수 등과 같은 고정식 교정치료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비가역적인 문제를 최소화하는데 도

움이 된다. 두 단계의 교정치료는 종종 기간이 길어

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치료기간과 유지기간을 명확

히구분하는것이필요하고, 1차치료후유지기간동

안에는 내원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환자와 보호자가

지치지않도록관리하는것이중요하다.

참고문헌

1. Yoo YK, Kim NI, Lee HK.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in 2,378 Yonsei university students. Kor J

Orthod 1971;2:35-40.

2. Kang HK, Ryu YK.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malocclusion of Yonsei university students in 1991. Kor

J Ortho 1992;22:691-701.

3. Mathew M, Anthony A. The use of the lingual arch in

the mixed dentition to resolve incisor crowd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0;117:81-85.

4. Schwarze CW. Expansion and relapse in long term

follow-up studies. Trans Europ Orthod Soc 1972;275-

284.

5. McNamara Jr. JA, Bruden WL. Orthodontic and

Orthopedic treatment in the mixed dentition. Needham

Press, 1996.

6. Storey E. Tissue response to the movement of bon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73;64:229.

7. Mongini F, Schmid W, Tempia G, Improvement of

masticatory func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wo

case report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4;105:297-303.

8. Sultana MH, Yamada K, Hanada K. Changes i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after active orthodontic

treatment: a pilot study using pressure-sensitive sheets.

J Oral Rehabil 2002;29:484-491.

9. Jimenez ID. Electromyography of masticatory muscles

in three jaw registration position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89;95:282-8.

10. Cha BK, Kim CH, Baek SH. Skeletal sagittal and vertical

facial types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masticatory muscle. Angle Orthod 2007;77:463-470.

123대한치과교정학회 임상저널

이협수·최동순·장인산·차봉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