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문화시대 - t1.daumcdn.net

77
2. 문화시대 (1) 1) ①> >>- ’는‘>>’,‘>kafa,kaha>kava,>’,‘>>의 과정 을 거친‘’가 있다. 어느 경우이든 ‘,-’로 귀착되기 때문에, ‘’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그 사용 지역도 매우 넓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검색창:Kai 의 내용 을 참고하면 된다. ②> 18,000년 전의 대혹한이 지나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는 봄소리 (Kha)로 변 하였다. 이에 따라 신ㆍ천ㆍ지ㆍ인ㆍ만물의 이름과 그것에서 유래된 지도자 명칭ㆍ부족명 ㆍ지역명 등은 ‘(Kha)’음으로 발음되었다. 새로운 봄 하늘이 처음으로 입을 벌리고 우 주 삼라만상을 뱉어 내는 순간을 나타내는 말이 이고, 이것이 종교신화적으로 좀 더 다듬어진 것이 그리스 신화의 chaos(,Χάος), 이집트 종교 신화의 ‘ㆍ바ㆍ앙크’의 카(Ka, Koi), 산스크리트 어 ‘kha([:])(呿ㆍ竭ㆍ渴)/일체법등허공불가득(一切法等虛空不可得)’ 일 것으로 고려된다. >’와 관계되는 것을 찾아본다면, 남아프리카의 양대 고유 토착어 중의 하나인 Kx'a 어가 있다. 이 언어는 Ju–ǂHoan 어로도 불린다. 또 다른 고유 토착 언어는 Taa[ˈ t ɑː ], Tsasi 또는 !Xóõ (!Khong, ǃXoon – pronounced/kǃxóŋ/,English/ ˈ k oʊ /)인데, !Xóõ에서도 (Kha)의 발음을 볼 수 있다. 부족명이기도 한 Kx'a는 를, kǃxóŋ은 ん을 음역한 것이다. 남아프리카의 코이코이 족(Khoikhoi (/ ˈ k ɔɪ ˌ k ɔɪ /; "people people" or "real people") or Khoi, spelled Khoekhoe)의 Khoi, BC 32세기 이집트 선왕조 시대의 파라오 Ka와 BC 14세기 파라오 Kha의 칭호 의 의미는 아시리아 인들의 새해맞이 봄 축제 Kha b' (Nisan or Ha b' Nisin, also Ha b' Nison, "First of April", Resha d'Sheta;, "Head of the year")의 (Kha)와 같다. 아시리아의 Kha는 ‘첫째(the First, Head)’ ‘최 고’라는 뜻이다. (Kaha)라는 지명은 아제르바이잔ㆍ이란ㆍ필리핀ㆍ뉴질랜드ㆍ이집트 등의 지역에 보인다.

Transcript of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2 문화시대 (1) 1) ①gt gtgt-

lsquorsquo는lsquogtgtrsquolsquogtkafakahagtkavaㅸgtrsquolsquogtgt의 과정

을 거친lsquorsquo가 있다 어느 경우이든 lsquo-rsquo로 귀착되기 때문에 lsquorsquo는 매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그 사용 지역도 매우 넓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검색창Kai 의 내용

을 참고하면 된다

②gt

18000년 전의 대혹한이 지나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lsquorsquo는 봄소리 (Kha)로 변

하였다 이에 따라 신ㆍ천ㆍ지ㆍ인ㆍ만물의 이름과 그것에서 유래된 지도자 명칭ㆍ부족명

ㆍ지역명 등은 lsquo(Kha)rsquo음으로 발음되었다 새로운 봄 하늘이 처음으로 입을 벌리고 우

주 삼라만상을 뱉어 내는 순간을 나타내는 말이 이고 이것이 종교신화적으로 좀 더

다듬어진 것이 그리스 신화의 chaos(Χάος) 이집트 종교 신화의 lsquo카ㆍ바ㆍ앙크rsquo의 카(Ka

Koi) 산스크리트 어 lsquokha([카])(呿ㆍ竭ㆍ渴)일체법등허공불가득(一切法等虛空不可得)rsquo

일 것으로 고려된다

lsquo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찾아본다면 남아프리카의 양대 고유 토착어 중의 하나인

Kxa 어가 있다 이 언어는 JundashǂHoan 어로도 불린다 또 다른 고유 토착 언어는 Taa[ˈ t ɑː ] Tsasi 또는 Xoacuteotilde (Khong ǃXoon ndash pronouncedkǃxoacuteŋEnglish ˈ k oʊ )인데

Xoacuteotilde에서도 (Kha)의 발음을 볼 수 있다 부족명이기도 한 Kxa는 를 kǃxoacuteŋ은 ん을 음역한 것이다

남아프리카의 코이코이 족(Khoikhoi ( ˈ k ɔɪ ˌ k ɔɪ people people or real

people) or Khoi spelled Khoekhoe)의 Khoi BC 32세기 이집트 선왕조 시대의 파라오

Ka와 BC 14세기 파라오 Kha의 칭호 의 의미는 아시리아 인들의 새해맞이 봄 축제

Kha b (Nisan or Ha b Nisin also Ha b Nison First of April Resha dSheta

Head of the year)의 (Kha)와 같다 아시리아의 Kha는 lsquo첫째(the First Head)rsquo lsquo최

고rsquo라는 뜻이다

(Kaha)라는 지명은 아제르바이잔ㆍ이란ㆍ필리핀ㆍ뉴질랜드ㆍ이집트 등의 지역에

보인다

2 문화시대 2

2)ん

ん는 lsquo rsquo로 발음된다 또한 ん는lsquoんgtんgtん-rsquo으로도

발음되어 lsquoん-rsquo의 형태로 남는다 lsquoん-rsquo은 lsquo-rsquo lsquo-rsquo lsquo-rsquo으로 발음된다

인도 중부 마디아프라데시 주 중동부에 만들라(Mandla) 시가 있고 근교에 칸하 국립공

원(Kanha Tiger Reserve Kanha National Park)이 있다 이란의 Mahmoud

Afshartous(ca 1908minus1953 in Tehran)의 아들 KhanminusKhanha 인도의 Kanha (or

Krishna) (207minus189 BC) Kanha or Kanhapad(Odia and Bengali 문학의 Charjapad 시

인들 중의 한 사람) 미국 야구선수 Mark D Canha Mark Canha (1989sim)가 있다

선사시대 연골 어류 이름 Kamha 캐나다 야구 리그 이름 캄하(KAMHA)가 있다

④んgtんgt-

lsquoんgtgt-rsquo의 대표적인 예로는 300만 년 전부터 아프리카 인류의 천주(天柱)이

었던 케냐(Kenyaˈkɛnjə locally [ˈkɛɲa]) 산을 들 수 있다 lsquo케냐rsquo는lsquoんgtんgtん

gtgt-gtKenyarsquo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계된 인명으로 Wakatsuki

Kenya ( 若月健矢 1995 minus 일본야구선수)ㆍ Hara Kenya(어原 研哉 1958 minus 일본 그래

픽 디자이너)ㆍ Kenya (Robinson)(1977sim 독일 출생 미국 멀티미디어 예술가) 등이 있

⑤んgtんgt-

아프리카에 케냐 산이 있다면 아시아에는 히말라야 산맥(Himalaya Himalayas

Himalaya Mountains)이 있다 히말라야는 Himmaleh로도 표기되기도 하였는데 보통

산스크리트 어 Himā-laya ( Abode of Snow) = himaacute ( cold winter frost) +

ā-laya ( receptacle dwelling) 에서 유래된 것으로 설명된다 네팔 어 Himālaya 힌

디 어 Himālay 티베트 어 Himalaya 우르두 어 Hamaleh 중국어 Ximalaya 산맥(喜馬拉

雅山脈 Xǐmǎlāyǎ Shānmagravei)는 모두 산스크리트 어 Himā-laya와 연관된 이름으로 볼 수

있다

히말라야 이름의 주제어는 himaacute인데 보통 산은 신의 거주처로 신을 대신하기 때문에

산의 이름 himaacute는 신의 이름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신의 이름은 보통 국명이나 왕도의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고유명사 himaacute를 찾아보면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것

은 없고 고대 예멘 지역에 비슷한 음의 국명으로 불리어진 왕국 The Ḥimyarite Kingdom

or Ḥimyar (Arabicمملكة حمير Mamlakat Ḥimyar)(BC 110minusAD 520s 에 번영)이 있었다 이

나라를 고대 그리스 인들과 로마인들은 the Homerite Kingdom으로 불렀다 에티오피아

의 일부 역사가들은 에티오피아의 주요 지명 암하라(Amhara)와 이 나라의 이름 Ḥimyar은

서로 관계있을 것으로 보기도 하였다

에티오피아와 에멘 지역 일대에 ん(Ḥim) 문화가 성행하였던 적이 있었고 하늘을 뜻

하는 독일어 Himmel 아이슬란드 어 Himinn을 고려하면 ん(Ḥim)에서 유래된 Ḥimyar

은 천국(天國)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Ḥimyar 왕국의 인접 지역인 에티오피아 북

부와 에리트레아 지역의 Habesha 인들이 인도 데칸 지역 족장들의 용병으로 고용되어진

적이 있었다는 것을 참고하면 ん(Ḥim) 문화의 연장으로 히말라야

(HimalayaHimmaleh)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늘을 뜻하는 ん(Ḥim)의 음에 가까운 단어로 히말라야 산록 저지대 라오스

어 Khaom(하늘天)이 있다 lsquoん(Ḥim)gtん(Khaom)rsquo의 음변화가 있을 뿐 동일한 어원에

서 파생된 단어임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히말라야(Himalaya)의 이름은 Emily Dickenson의 시와 Henry David

Thoreau의 에세이에 기록된 Himmaleh를 주목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Himmaleh은

Him + maleh로 나누어 볼 수 있고 Him은 ん(Ḥim) maleh은 라오스 인접국가 말

레이(Malay)의 국명과 관계있을 것이다 (maleh은 male-로 장음 발음한다)

Malay는 말레이 어 melaju =me동사형접두사 + laju (to accelerate)에서 유래

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maleh는 이슬람 문화권 남자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중

동 지역에서 Malik Melik Malka Malek or Melekh은 왕(king)을 뜻하고 일반적인 뜻

은 지도자ㆍ통치자이다 그리고 말레이시아가 이슬람 문화권에 속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maleh은 (ma위대한) + 하느님을 뜻하는 Allahal-lāh(the deity or the

God)의 lāh (from the verbal root lyh with the meaning of lofty or hidden) 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maleh는 lsquo위대한 신rsquo또는 (me 위대한)+(laju raja 왕) 정도로 이해

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Himmaleh은 lsquo하늘의 위대한 신 天帝大神rsquo 정도로 번역된다 히

말라야는 lsquo천제대신이 좌정하고 있는 곳rsquo이고 그의 상징은 백설(白雪)로 덮여 있는 산봉우

리이니 이를 번안하면 백두산(白頭山)이 된다

한반도의 백두산 아래에 한국의 지붕으로 불리는 개마고원(蓋馬高原)이 있는데 이곳에

기원전후의 시기에 개마국(蓋馬國)이 있었다 lsquo개마rsquo의 어원은 lsquoん(Ḥim)gtん(Khaom)rsquo

에서 찾을 수 있으니 lsquo개마rsquo는 봄소리 기후시대가 되면서 lsquoんgtんgtgtgtrsquo로 발음변이를 한 예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즉 lsquoん(Ḥim)gtん(Khaom)rsquo는

lsquo해모(解慕)ㆍ개마(蓋馬)ㆍ건마(乾馬)ㆍ금마(金馬)ㆍ검(儉)ㆍ금(錦)ㆍ금(今)ㆍ흑(黑)ㆍ웅

(熊)rsquo등으로 차자(借字)되어 있고 일본어 Kamiかみ(神上髪)로 사용되고 있다

ん(Ḥim) 문화는 아시아에서 발달하여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 사해

2 문화시대 4

(Dead sea)의 둑에 있는 Khiamian 문화(10000-9500 BC 또는 10200-8800 BC)의

지명 Khiamian은 lsquorsquo 문화가 중동지역으로 전파된 예이다 이곳을 지나 아프리카로 진

출한 lsquorsquo는 서아프리카의 Ghana 제국(750minus1076) 제국 소닌케 족의 제일 하층민

komo 서아프리카 카메룬 북서 지역에 있는 Kom 족의 족명에서 볼 수 있다

Cameroon의 Kom 족은 Tikari 지방의 Mbam 강 상류 지역에서 발흥하였는데 농경지

를 찾아 이주하여 현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남성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사회조직

을 갖추고 있는데 묘하게도 모계상속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다른 부족들과는 다른

풍습이고 석기시대 모계사회 시절부터 내려온 제도일 터이니 이들의 연원은 매우 오래되

었을 것이다

국명 Cameroon에서도 lsquorsquo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일본어 kami かみ(髪)(1머리2머리

(털)3리모양 かみ(神)1신 2하느님 3(민속적인) 신 4(화복의) 신 5(일본신화의) 신かみ(上)1위 2う

え의 예스러운 말 3(기간의) 앞부분 4천자(天子) 5관청)와 같은 의미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를 통해 서아프리카 카메룬의 족은 최소 15000년 전 일본 주변의 (かみ) 문화

족과 연관을 맺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lsquoCameroon과 Komrsquo은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가 아프

리카로 전해진 대표적인 예이다

그들의 추장 또는 왕의 명칭 Fon은 Bamenda grass fields (the Northwest and West

provinces) 지역의 Widikum Tikar and Bamileacutekeacute 인들에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를 보

면 카메룬의 기존 인종은 (Fon) 문화족이었는데 외부의 앞선 농경문화를 수용한 (Kom) 족이 카메룬의 서북 지역으로 진출하여 정착한 것으로 정리된다

⑥んgtんgt-

lsquoんgtgt-(-)rsquo으로 발음되는 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남아프리카 카라하리 사

막 지대에 살고 있는 Kung 족이 있다 영어로는 ǃXũ로 표기되는데 Juǀʼhoansi 족으로도

불린다 이들에게서 주목할 것은 Kung 또는 ǃXũ라는 이름이다 ǃXũ는 남아프리카 부시먼

의 주신(主神)인데 자비롭고 전지전능하며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천당을 주관하는 신이

다 그는 비를 내리고 병든 자를 치료하기도 하는 힘을 주술사에게 부여한다 ǃXu를 발음하

기 위해서는 혀를 차는 듯이 lsquo쯧rsquo 또는 lsquo째rsquo를 입 안에서 한 번 내고( 표시) Xu를 발음한

다 ǃXũ는 단전에서 올라오는 소리로 lsquorsquo를 내는 것이어서 상황에 따라 lsquoㆍㆍrsquo로 들

릴 수 있는데 (kung)은 ǃXũ 가 lsquorsquo로 들린 것의 존어 표현(ん)이다

그리고 (Xũ)에서 파생된 이름은 일차적으로 ǃHu ǃKhung ǃKu Kung Qxuuml ǃXo

Xucirc ǃXucirc Xun ǃXung ǃXũũXuunXunǃung으로 채록 표기되었고 이는 lsquorsquo와 lsquoん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차적으로 채록된 JumiddotDzumiddotJuumiddotZhu 등은 lsquogtgtlsquo로 변음된 후기

의 이름이다 ǃXũ 족의 다른 이름 Juǀʼhoansi는 Juǀʼhoansi=Juǀ+ʼhoan+si=+ん+

로 분석되니 이들에게서 대략 25000년 전 이후 남아프리카로 전파된 lsquoんrsquo 문화를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부시먼의 주신(主神)이면서 종족의 이름lsquo(ǃXũ)rsquo는 봄소리 기후가 되면서

lsquorsquo로 발음되었고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으로 되기도 하고 lsquorsquo와 같이 어미

가 붙기도 한다 부족의 이름 Kung은 이란 서부 Kermanshah 주의 Keng 동부 페르시아

만의 도시 Kung(Kong Gong) 티베트의 강(羌) 족 중국 신화에 나오는 공공(Kung-kung

共工) 중국 한자어 궁(宮) 성씨 공(孔[kong]) 북아메리카 캐나다 서해안 Haida 족의 중

요한 마을 이름 Kung 스위스의 Hans Kuumlng ([ˈhans ˈkʏŋ]1928 출생) 스웨덴의 Andres

Kuumlng (1945minus2002)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중 Kung 족은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여러 소수 수렵 채집 원주민 중의 극히

일부이고 이들을 통틀어 Khoisan ( ˈ k ɔɪ s ɑː n Khoesaan Khoesan 또는 Khoendash

San)으로 부른다 이들은 통상 수렵으로 살아가는 San 또는 Bushmen과 농경 생활로 살아

가는 Khoi 또는 Khoikhoi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의 최고신은 Cagn ( Kaang 또는

Kaggen)이고 그의 부인은 Coti이다 Cagn은 んgt 이고 Coti는 이다 그리

고 이들의 Heitsi-Eibib 신은 보통 문화의 주인공인데 역할은 유동적이고 lsquo생-사-재생rsquo

을 주관하면서 스스로 무수히 생사를 반복한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Heitsi-eibib는 사냥꾼

이자 전사이며 주술사이다

그의 이름 Heitsi는 Hadze에서 비롯되었고 eibib(=e+ibib)는 ib이 중첩된 것으로 (ibi) 신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Hadze 문화와 (ibi) 문화가 이들의 문화적 뿌리임을

알 수 있다 언어 연대 상으로는 이 문화족(Heitsi-eibib)들 다음에 Cagn과 Coti 문화족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또 다른 신 Utixo(=U+tixo) 또는 Tiqua는 천상에 살면서 비를 내리고 천둥을

울리고 있는 자비로운 신이다 이 신의 이름에 보이는 (Tiqua)를 통해 문화 다음에

남아프리카에도 () 신앙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4)ん

ん은lsquorsquo으로 발음되는데 은 히브리 어 Kohen (or Kohain

Hebrew ןהכ priest pl םינהכ Kohanim)과 아랍 어 كاهن kāhin(soothsayer예언자

augur점쟁이 or priest성직자)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지도자 칭호 가한(可汗[keke][ha nha n])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왕들의 왕(Khan of KhansKing of Kings)을 뜻하는 Kha Khan or Khagan or

Qagan (Mongolian хаан Khaan)은 몽골 제국의 황제 또는 그 정도 위치의 통치자를 부

르는 칭호였는데 나중에 투르크 족들에 의해 지배층의 타이틀(kaɣan Kağan)로 채택되었

다 현대 몽골어와 투르크 어에서는 lsquo-g--ğ-rsquo가 묵음화되어 Khaan으로 발음 표기된다

이것이 한자로는 간(干) 가한(可寒 later as 可汗)으로 표기되었다 그래서 신라와 가야의

관직명에 사용된 한자어 간(干)은 또는 에서 유래된 말로 보인다

은 인도 동북 방글라데시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 Tripuri (Tipra or Tipperah) 인

의 말 kaham-good에서 볼 수 있고 은 이란의 지명 KahangKohangkahang에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에서도 Kahang을 볼 수 있다

5)ん농경문화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2 문화시대 2

2)ん

ん는 lsquo rsquo로 발음된다 또한 ん는lsquoんgtんgtん-rsquo으로도

발음되어 lsquoん-rsquo의 형태로 남는다 lsquoん-rsquo은 lsquo-rsquo lsquo-rsquo lsquo-rsquo으로 발음된다

인도 중부 마디아프라데시 주 중동부에 만들라(Mandla) 시가 있고 근교에 칸하 국립공

원(Kanha Tiger Reserve Kanha National Park)이 있다 이란의 Mahmoud

Afshartous(ca 1908minus1953 in Tehran)의 아들 KhanminusKhanha 인도의 Kanha (or

Krishna) (207minus189 BC) Kanha or Kanhapad(Odia and Bengali 문학의 Charjapad 시

인들 중의 한 사람) 미국 야구선수 Mark D Canha Mark Canha (1989sim)가 있다

선사시대 연골 어류 이름 Kamha 캐나다 야구 리그 이름 캄하(KAMHA)가 있다

④んgtんgt-

lsquoんgtgt-rsquo의 대표적인 예로는 300만 년 전부터 아프리카 인류의 천주(天柱)이

었던 케냐(Kenyaˈkɛnjə locally [ˈkɛɲa]) 산을 들 수 있다 lsquo케냐rsquo는lsquoんgtんgtん

gtgt-gtKenyarsquo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계된 인명으로 Wakatsuki

Kenya ( 若月健矢 1995 minus 일본야구선수)ㆍ Hara Kenya(어原 研哉 1958 minus 일본 그래

픽 디자이너)ㆍ Kenya (Robinson)(1977sim 독일 출생 미국 멀티미디어 예술가) 등이 있

⑤んgtんgt-

아프리카에 케냐 산이 있다면 아시아에는 히말라야 산맥(Himalaya Himalayas

Himalaya Mountains)이 있다 히말라야는 Himmaleh로도 표기되기도 하였는데 보통

산스크리트 어 Himā-laya ( Abode of Snow) = himaacute ( cold winter frost) +

ā-laya ( receptacle dwelling) 에서 유래된 것으로 설명된다 네팔 어 Himālaya 힌

디 어 Himālay 티베트 어 Himalaya 우르두 어 Hamaleh 중국어 Ximalaya 산맥(喜馬拉

雅山脈 Xǐmǎlāyǎ Shānmagravei)는 모두 산스크리트 어 Himā-laya와 연관된 이름으로 볼 수

있다

히말라야 이름의 주제어는 himaacute인데 보통 산은 신의 거주처로 신을 대신하기 때문에

산의 이름 himaacute는 신의 이름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신의 이름은 보통 국명이나 왕도의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고유명사 himaacute를 찾아보면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것

은 없고 고대 예멘 지역에 비슷한 음의 국명으로 불리어진 왕국 The Ḥimyarite Kingdom

or Ḥimyar (Arabicمملكة حمير Mamlakat Ḥimyar)(BC 110minusAD 520s 에 번영)이 있었다 이

나라를 고대 그리스 인들과 로마인들은 the Homerite Kingdom으로 불렀다 에티오피아

의 일부 역사가들은 에티오피아의 주요 지명 암하라(Amhara)와 이 나라의 이름 Ḥimyar은

서로 관계있을 것으로 보기도 하였다

에티오피아와 에멘 지역 일대에 ん(Ḥim) 문화가 성행하였던 적이 있었고 하늘을 뜻

하는 독일어 Himmel 아이슬란드 어 Himinn을 고려하면 ん(Ḥim)에서 유래된 Ḥimyar

은 천국(天國)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Ḥimyar 왕국의 인접 지역인 에티오피아 북

부와 에리트레아 지역의 Habesha 인들이 인도 데칸 지역 족장들의 용병으로 고용되어진

적이 있었다는 것을 참고하면 ん(Ḥim) 문화의 연장으로 히말라야

(HimalayaHimmaleh)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늘을 뜻하는 ん(Ḥim)의 음에 가까운 단어로 히말라야 산록 저지대 라오스

어 Khaom(하늘天)이 있다 lsquoん(Ḥim)gtん(Khaom)rsquo의 음변화가 있을 뿐 동일한 어원에

서 파생된 단어임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히말라야(Himalaya)의 이름은 Emily Dickenson의 시와 Henry David

Thoreau의 에세이에 기록된 Himmaleh를 주목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Himmaleh은

Him + maleh로 나누어 볼 수 있고 Him은 ん(Ḥim) maleh은 라오스 인접국가 말

레이(Malay)의 국명과 관계있을 것이다 (maleh은 male-로 장음 발음한다)

Malay는 말레이 어 melaju =me동사형접두사 + laju (to accelerate)에서 유래

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maleh는 이슬람 문화권 남자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중

동 지역에서 Malik Melik Malka Malek or Melekh은 왕(king)을 뜻하고 일반적인 뜻

은 지도자ㆍ통치자이다 그리고 말레이시아가 이슬람 문화권에 속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maleh은 (ma위대한) + 하느님을 뜻하는 Allahal-lāh(the deity or the

God)의 lāh (from the verbal root lyh with the meaning of lofty or hidden) 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maleh는 lsquo위대한 신rsquo또는 (me 위대한)+(laju raja 왕) 정도로 이해

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Himmaleh은 lsquo하늘의 위대한 신 天帝大神rsquo 정도로 번역된다 히

말라야는 lsquo천제대신이 좌정하고 있는 곳rsquo이고 그의 상징은 백설(白雪)로 덮여 있는 산봉우

리이니 이를 번안하면 백두산(白頭山)이 된다

한반도의 백두산 아래에 한국의 지붕으로 불리는 개마고원(蓋馬高原)이 있는데 이곳에

기원전후의 시기에 개마국(蓋馬國)이 있었다 lsquo개마rsquo의 어원은 lsquoん(Ḥim)gtん(Khaom)rsquo

에서 찾을 수 있으니 lsquo개마rsquo는 봄소리 기후시대가 되면서 lsquoんgtんgtgtgtrsquo로 발음변이를 한 예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즉 lsquoん(Ḥim)gtん(Khaom)rsquo는

lsquo해모(解慕)ㆍ개마(蓋馬)ㆍ건마(乾馬)ㆍ금마(金馬)ㆍ검(儉)ㆍ금(錦)ㆍ금(今)ㆍ흑(黑)ㆍ웅

(熊)rsquo등으로 차자(借字)되어 있고 일본어 Kamiかみ(神上髪)로 사용되고 있다

ん(Ḥim) 문화는 아시아에서 발달하여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 사해

2 문화시대 4

(Dead sea)의 둑에 있는 Khiamian 문화(10000-9500 BC 또는 10200-8800 BC)의

지명 Khiamian은 lsquorsquo 문화가 중동지역으로 전파된 예이다 이곳을 지나 아프리카로 진

출한 lsquorsquo는 서아프리카의 Ghana 제국(750minus1076) 제국 소닌케 족의 제일 하층민

komo 서아프리카 카메룬 북서 지역에 있는 Kom 족의 족명에서 볼 수 있다

Cameroon의 Kom 족은 Tikari 지방의 Mbam 강 상류 지역에서 발흥하였는데 농경지

를 찾아 이주하여 현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남성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사회조직

을 갖추고 있는데 묘하게도 모계상속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다른 부족들과는 다른

풍습이고 석기시대 모계사회 시절부터 내려온 제도일 터이니 이들의 연원은 매우 오래되

었을 것이다

국명 Cameroon에서도 lsquorsquo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일본어 kami かみ(髪)(1머리2머리

(털)3리모양 かみ(神)1신 2하느님 3(민속적인) 신 4(화복의) 신 5(일본신화의) 신かみ(上)1위 2う

え의 예스러운 말 3(기간의) 앞부분 4천자(天子) 5관청)와 같은 의미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를 통해 서아프리카 카메룬의 족은 최소 15000년 전 일본 주변의 (かみ) 문화

족과 연관을 맺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lsquoCameroon과 Komrsquo은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가 아프

리카로 전해진 대표적인 예이다

그들의 추장 또는 왕의 명칭 Fon은 Bamenda grass fields (the Northwest and West

provinces) 지역의 Widikum Tikar and Bamileacutekeacute 인들에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를 보

면 카메룬의 기존 인종은 (Fon) 문화족이었는데 외부의 앞선 농경문화를 수용한 (Kom) 족이 카메룬의 서북 지역으로 진출하여 정착한 것으로 정리된다

⑥んgtんgt-

lsquoんgtgt-(-)rsquo으로 발음되는 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남아프리카 카라하리 사

막 지대에 살고 있는 Kung 족이 있다 영어로는 ǃXũ로 표기되는데 Juǀʼhoansi 족으로도

불린다 이들에게서 주목할 것은 Kung 또는 ǃXũ라는 이름이다 ǃXũ는 남아프리카 부시먼

의 주신(主神)인데 자비롭고 전지전능하며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천당을 주관하는 신이

다 그는 비를 내리고 병든 자를 치료하기도 하는 힘을 주술사에게 부여한다 ǃXu를 발음하

기 위해서는 혀를 차는 듯이 lsquo쯧rsquo 또는 lsquo째rsquo를 입 안에서 한 번 내고( 표시) Xu를 발음한

다 ǃXũ는 단전에서 올라오는 소리로 lsquorsquo를 내는 것이어서 상황에 따라 lsquoㆍㆍrsquo로 들

릴 수 있는데 (kung)은 ǃXũ 가 lsquorsquo로 들린 것의 존어 표현(ん)이다

그리고 (Xũ)에서 파생된 이름은 일차적으로 ǃHu ǃKhung ǃKu Kung Qxuuml ǃXo

Xucirc ǃXucirc Xun ǃXung ǃXũũXuunXunǃung으로 채록 표기되었고 이는 lsquorsquo와 lsquoん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차적으로 채록된 JumiddotDzumiddotJuumiddotZhu 등은 lsquogtgtlsquo로 변음된 후기

의 이름이다 ǃXũ 족의 다른 이름 Juǀʼhoansi는 Juǀʼhoansi=Juǀ+ʼhoan+si=+ん+

로 분석되니 이들에게서 대략 25000년 전 이후 남아프리카로 전파된 lsquoんrsquo 문화를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부시먼의 주신(主神)이면서 종족의 이름lsquo(ǃXũ)rsquo는 봄소리 기후가 되면서

lsquorsquo로 발음되었고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으로 되기도 하고 lsquorsquo와 같이 어미

가 붙기도 한다 부족의 이름 Kung은 이란 서부 Kermanshah 주의 Keng 동부 페르시아

만의 도시 Kung(Kong Gong) 티베트의 강(羌) 족 중국 신화에 나오는 공공(Kung-kung

共工) 중국 한자어 궁(宮) 성씨 공(孔[kong]) 북아메리카 캐나다 서해안 Haida 족의 중

요한 마을 이름 Kung 스위스의 Hans Kuumlng ([ˈhans ˈkʏŋ]1928 출생) 스웨덴의 Andres

Kuumlng (1945minus2002)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중 Kung 족은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여러 소수 수렵 채집 원주민 중의 극히

일부이고 이들을 통틀어 Khoisan ( ˈ k ɔɪ s ɑː n Khoesaan Khoesan 또는 Khoendash

San)으로 부른다 이들은 통상 수렵으로 살아가는 San 또는 Bushmen과 농경 생활로 살아

가는 Khoi 또는 Khoikhoi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의 최고신은 Cagn ( Kaang 또는

Kaggen)이고 그의 부인은 Coti이다 Cagn은 んgt 이고 Coti는 이다 그리

고 이들의 Heitsi-Eibib 신은 보통 문화의 주인공인데 역할은 유동적이고 lsquo생-사-재생rsquo

을 주관하면서 스스로 무수히 생사를 반복한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Heitsi-eibib는 사냥꾼

이자 전사이며 주술사이다

그의 이름 Heitsi는 Hadze에서 비롯되었고 eibib(=e+ibib)는 ib이 중첩된 것으로 (ibi) 신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Hadze 문화와 (ibi) 문화가 이들의 문화적 뿌리임을

알 수 있다 언어 연대 상으로는 이 문화족(Heitsi-eibib)들 다음에 Cagn과 Coti 문화족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또 다른 신 Utixo(=U+tixo) 또는 Tiqua는 천상에 살면서 비를 내리고 천둥을

울리고 있는 자비로운 신이다 이 신의 이름에 보이는 (Tiqua)를 통해 문화 다음에

남아프리카에도 () 신앙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4)ん

ん은lsquorsquo으로 발음되는데 은 히브리 어 Kohen (or Kohain

Hebrew ןהכ priest pl םינהכ Kohanim)과 아랍 어 كاهن kāhin(soothsayer예언자

augur점쟁이 or priest성직자)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지도자 칭호 가한(可汗[keke][ha nha n])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왕들의 왕(Khan of KhansKing of Kings)을 뜻하는 Kha Khan or Khagan or

Qagan (Mongolian хаан Khaan)은 몽골 제국의 황제 또는 그 정도 위치의 통치자를 부

르는 칭호였는데 나중에 투르크 족들에 의해 지배층의 타이틀(kaɣan Kağan)로 채택되었

다 현대 몽골어와 투르크 어에서는 lsquo-g--ğ-rsquo가 묵음화되어 Khaan으로 발음 표기된다

이것이 한자로는 간(干) 가한(可寒 later as 可汗)으로 표기되었다 그래서 신라와 가야의

관직명에 사용된 한자어 간(干)은 또는 에서 유래된 말로 보인다

은 인도 동북 방글라데시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 Tripuri (Tipra or Tipperah) 인

의 말 kaham-good에서 볼 수 있고 은 이란의 지명 KahangKohangkahang에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에서도 Kahang을 볼 수 있다

5)ん농경문화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역사적 고유명사 himaacute를 찾아보면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것

은 없고 고대 예멘 지역에 비슷한 음의 국명으로 불리어진 왕국 The Ḥimyarite Kingdom

or Ḥimyar (Arabicمملكة حمير Mamlakat Ḥimyar)(BC 110minusAD 520s 에 번영)이 있었다 이

나라를 고대 그리스 인들과 로마인들은 the Homerite Kingdom으로 불렀다 에티오피아

의 일부 역사가들은 에티오피아의 주요 지명 암하라(Amhara)와 이 나라의 이름 Ḥimyar은

서로 관계있을 것으로 보기도 하였다

에티오피아와 에멘 지역 일대에 ん(Ḥim) 문화가 성행하였던 적이 있었고 하늘을 뜻

하는 독일어 Himmel 아이슬란드 어 Himinn을 고려하면 ん(Ḥim)에서 유래된 Ḥimyar

은 천국(天國)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그리고 Ḥimyar 왕국의 인접 지역인 에티오피아 북

부와 에리트레아 지역의 Habesha 인들이 인도 데칸 지역 족장들의 용병으로 고용되어진

적이 있었다는 것을 참고하면 ん(Ḥim) 문화의 연장으로 히말라야

(HimalayaHimmaleh)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늘을 뜻하는 ん(Ḥim)의 음에 가까운 단어로 히말라야 산록 저지대 라오스

어 Khaom(하늘天)이 있다 lsquoん(Ḥim)gtん(Khaom)rsquo의 음변화가 있을 뿐 동일한 어원에

서 파생된 단어임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히말라야(Himalaya)의 이름은 Emily Dickenson의 시와 Henry David

Thoreau의 에세이에 기록된 Himmaleh를 주목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Himmaleh은

Him + maleh로 나누어 볼 수 있고 Him은 ん(Ḥim) maleh은 라오스 인접국가 말

레이(Malay)의 국명과 관계있을 것이다 (maleh은 male-로 장음 발음한다)

Malay는 말레이 어 melaju =me동사형접두사 + laju (to accelerate)에서 유래

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maleh는 이슬람 문화권 남자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중

동 지역에서 Malik Melik Malka Malek or Melekh은 왕(king)을 뜻하고 일반적인 뜻

은 지도자ㆍ통치자이다 그리고 말레이시아가 이슬람 문화권에 속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maleh은 (ma위대한) + 하느님을 뜻하는 Allahal-lāh(the deity or the

God)의 lāh (from the verbal root lyh with the meaning of lofty or hidden) 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maleh는 lsquo위대한 신rsquo또는 (me 위대한)+(laju raja 왕) 정도로 이해

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Himmaleh은 lsquo하늘의 위대한 신 天帝大神rsquo 정도로 번역된다 히

말라야는 lsquo천제대신이 좌정하고 있는 곳rsquo이고 그의 상징은 백설(白雪)로 덮여 있는 산봉우

리이니 이를 번안하면 백두산(白頭山)이 된다

한반도의 백두산 아래에 한국의 지붕으로 불리는 개마고원(蓋馬高原)이 있는데 이곳에

기원전후의 시기에 개마국(蓋馬國)이 있었다 lsquo개마rsquo의 어원은 lsquoん(Ḥim)gtん(Khaom)rsquo

에서 찾을 수 있으니 lsquo개마rsquo는 봄소리 기후시대가 되면서 lsquoんgtんgtgtgtrsquo로 발음변이를 한 예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즉 lsquoん(Ḥim)gtん(Khaom)rsquo는

lsquo해모(解慕)ㆍ개마(蓋馬)ㆍ건마(乾馬)ㆍ금마(金馬)ㆍ검(儉)ㆍ금(錦)ㆍ금(今)ㆍ흑(黑)ㆍ웅

(熊)rsquo등으로 차자(借字)되어 있고 일본어 Kamiかみ(神上髪)로 사용되고 있다

ん(Ḥim) 문화는 아시아에서 발달하여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 사해

2 문화시대 4

(Dead sea)의 둑에 있는 Khiamian 문화(10000-9500 BC 또는 10200-8800 BC)의

지명 Khiamian은 lsquorsquo 문화가 중동지역으로 전파된 예이다 이곳을 지나 아프리카로 진

출한 lsquorsquo는 서아프리카의 Ghana 제국(750minus1076) 제국 소닌케 족의 제일 하층민

komo 서아프리카 카메룬 북서 지역에 있는 Kom 족의 족명에서 볼 수 있다

Cameroon의 Kom 족은 Tikari 지방의 Mbam 강 상류 지역에서 발흥하였는데 농경지

를 찾아 이주하여 현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남성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사회조직

을 갖추고 있는데 묘하게도 모계상속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다른 부족들과는 다른

풍습이고 석기시대 모계사회 시절부터 내려온 제도일 터이니 이들의 연원은 매우 오래되

었을 것이다

국명 Cameroon에서도 lsquorsquo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일본어 kami かみ(髪)(1머리2머리

(털)3리모양 かみ(神)1신 2하느님 3(민속적인) 신 4(화복의) 신 5(일본신화의) 신かみ(上)1위 2う

え의 예스러운 말 3(기간의) 앞부분 4천자(天子) 5관청)와 같은 의미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를 통해 서아프리카 카메룬의 족은 최소 15000년 전 일본 주변의 (かみ) 문화

족과 연관을 맺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lsquoCameroon과 Komrsquo은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가 아프

리카로 전해진 대표적인 예이다

그들의 추장 또는 왕의 명칭 Fon은 Bamenda grass fields (the Northwest and West

provinces) 지역의 Widikum Tikar and Bamileacutekeacute 인들에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를 보

면 카메룬의 기존 인종은 (Fon) 문화족이었는데 외부의 앞선 농경문화를 수용한 (Kom) 족이 카메룬의 서북 지역으로 진출하여 정착한 것으로 정리된다

⑥んgtんgt-

lsquoんgtgt-(-)rsquo으로 발음되는 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남아프리카 카라하리 사

막 지대에 살고 있는 Kung 족이 있다 영어로는 ǃXũ로 표기되는데 Juǀʼhoansi 족으로도

불린다 이들에게서 주목할 것은 Kung 또는 ǃXũ라는 이름이다 ǃXũ는 남아프리카 부시먼

의 주신(主神)인데 자비롭고 전지전능하며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천당을 주관하는 신이

다 그는 비를 내리고 병든 자를 치료하기도 하는 힘을 주술사에게 부여한다 ǃXu를 발음하

기 위해서는 혀를 차는 듯이 lsquo쯧rsquo 또는 lsquo째rsquo를 입 안에서 한 번 내고( 표시) Xu를 발음한

다 ǃXũ는 단전에서 올라오는 소리로 lsquorsquo를 내는 것이어서 상황에 따라 lsquoㆍㆍrsquo로 들

릴 수 있는데 (kung)은 ǃXũ 가 lsquorsquo로 들린 것의 존어 표현(ん)이다

그리고 (Xũ)에서 파생된 이름은 일차적으로 ǃHu ǃKhung ǃKu Kung Qxuuml ǃXo

Xucirc ǃXucirc Xun ǃXung ǃXũũXuunXunǃung으로 채록 표기되었고 이는 lsquorsquo와 lsquoん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차적으로 채록된 JumiddotDzumiddotJuumiddotZhu 등은 lsquogtgtlsquo로 변음된 후기

의 이름이다 ǃXũ 족의 다른 이름 Juǀʼhoansi는 Juǀʼhoansi=Juǀ+ʼhoan+si=+ん+

로 분석되니 이들에게서 대략 25000년 전 이후 남아프리카로 전파된 lsquoんrsquo 문화를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부시먼의 주신(主神)이면서 종족의 이름lsquo(ǃXũ)rsquo는 봄소리 기후가 되면서

lsquorsquo로 발음되었고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으로 되기도 하고 lsquorsquo와 같이 어미

가 붙기도 한다 부족의 이름 Kung은 이란 서부 Kermanshah 주의 Keng 동부 페르시아

만의 도시 Kung(Kong Gong) 티베트의 강(羌) 족 중국 신화에 나오는 공공(Kung-kung

共工) 중국 한자어 궁(宮) 성씨 공(孔[kong]) 북아메리카 캐나다 서해안 Haida 족의 중

요한 마을 이름 Kung 스위스의 Hans Kuumlng ([ˈhans ˈkʏŋ]1928 출생) 스웨덴의 Andres

Kuumlng (1945minus2002)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중 Kung 족은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여러 소수 수렵 채집 원주민 중의 극히

일부이고 이들을 통틀어 Khoisan ( ˈ k ɔɪ s ɑː n Khoesaan Khoesan 또는 Khoendash

San)으로 부른다 이들은 통상 수렵으로 살아가는 San 또는 Bushmen과 농경 생활로 살아

가는 Khoi 또는 Khoikhoi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의 최고신은 Cagn ( Kaang 또는

Kaggen)이고 그의 부인은 Coti이다 Cagn은 んgt 이고 Coti는 이다 그리

고 이들의 Heitsi-Eibib 신은 보통 문화의 주인공인데 역할은 유동적이고 lsquo생-사-재생rsquo

을 주관하면서 스스로 무수히 생사를 반복한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Heitsi-eibib는 사냥꾼

이자 전사이며 주술사이다

그의 이름 Heitsi는 Hadze에서 비롯되었고 eibib(=e+ibib)는 ib이 중첩된 것으로 (ibi) 신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Hadze 문화와 (ibi) 문화가 이들의 문화적 뿌리임을

알 수 있다 언어 연대 상으로는 이 문화족(Heitsi-eibib)들 다음에 Cagn과 Coti 문화족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또 다른 신 Utixo(=U+tixo) 또는 Tiqua는 천상에 살면서 비를 내리고 천둥을

울리고 있는 자비로운 신이다 이 신의 이름에 보이는 (Tiqua)를 통해 문화 다음에

남아프리카에도 () 신앙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4)ん

ん은lsquorsquo으로 발음되는데 은 히브리 어 Kohen (or Kohain

Hebrew ןהכ priest pl םינהכ Kohanim)과 아랍 어 كاهن kāhin(soothsayer예언자

augur점쟁이 or priest성직자)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지도자 칭호 가한(可汗[keke][ha nha n])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왕들의 왕(Khan of KhansKing of Kings)을 뜻하는 Kha Khan or Khagan or

Qagan (Mongolian хаан Khaan)은 몽골 제국의 황제 또는 그 정도 위치의 통치자를 부

르는 칭호였는데 나중에 투르크 족들에 의해 지배층의 타이틀(kaɣan Kağan)로 채택되었

다 현대 몽골어와 투르크 어에서는 lsquo-g--ğ-rsquo가 묵음화되어 Khaan으로 발음 표기된다

이것이 한자로는 간(干) 가한(可寒 later as 可汗)으로 표기되었다 그래서 신라와 가야의

관직명에 사용된 한자어 간(干)은 또는 에서 유래된 말로 보인다

은 인도 동북 방글라데시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 Tripuri (Tipra or Tipperah) 인

의 말 kaham-good에서 볼 수 있고 은 이란의 지명 KahangKohangkahang에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에서도 Kahang을 볼 수 있다

5)ん농경문화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2 문화시대 4

(Dead sea)의 둑에 있는 Khiamian 문화(10000-9500 BC 또는 10200-8800 BC)의

지명 Khiamian은 lsquorsquo 문화가 중동지역으로 전파된 예이다 이곳을 지나 아프리카로 진

출한 lsquorsquo는 서아프리카의 Ghana 제국(750minus1076) 제국 소닌케 족의 제일 하층민

komo 서아프리카 카메룬 북서 지역에 있는 Kom 족의 족명에서 볼 수 있다

Cameroon의 Kom 족은 Tikari 지방의 Mbam 강 상류 지역에서 발흥하였는데 농경지

를 찾아 이주하여 현재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남성이 모든 것을 장악하는 사회조직

을 갖추고 있는데 묘하게도 모계상속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다른 부족들과는 다른

풍습이고 석기시대 모계사회 시절부터 내려온 제도일 터이니 이들의 연원은 매우 오래되

었을 것이다

국명 Cameroon에서도 lsquorsquo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일본어 kami かみ(髪)(1머리2머리

(털)3리모양 かみ(神)1신 2하느님 3(민속적인) 신 4(화복의) 신 5(일본신화의) 신かみ(上)1위 2う

え의 예스러운 말 3(기간의) 앞부분 4천자(天子) 5관청)와 같은 의미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를 통해 서아프리카 카메룬의 족은 최소 15000년 전 일본 주변의 (かみ) 문화

족과 연관을 맺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lsquoCameroon과 Komrsquo은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가 아프

리카로 전해진 대표적인 예이다

그들의 추장 또는 왕의 명칭 Fon은 Bamenda grass fields (the Northwest and West

provinces) 지역의 Widikum Tikar and Bamileacutekeacute 인들에서 두드러지게 보인다 이를 보

면 카메룬의 기존 인종은 (Fon) 문화족이었는데 외부의 앞선 농경문화를 수용한 (Kom) 족이 카메룬의 서북 지역으로 진출하여 정착한 것으로 정리된다

⑥んgtんgt-

lsquoんgtgt-(-)rsquo으로 발음되는 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남아프리카 카라하리 사

막 지대에 살고 있는 Kung 족이 있다 영어로는 ǃXũ로 표기되는데 Juǀʼhoansi 족으로도

불린다 이들에게서 주목할 것은 Kung 또는 ǃXũ라는 이름이다 ǃXũ는 남아프리카 부시먼

의 주신(主神)인데 자비롭고 전지전능하며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천당을 주관하는 신이

다 그는 비를 내리고 병든 자를 치료하기도 하는 힘을 주술사에게 부여한다 ǃXu를 발음하

기 위해서는 혀를 차는 듯이 lsquo쯧rsquo 또는 lsquo째rsquo를 입 안에서 한 번 내고( 표시) Xu를 발음한

다 ǃXũ는 단전에서 올라오는 소리로 lsquorsquo를 내는 것이어서 상황에 따라 lsquoㆍㆍrsquo로 들

릴 수 있는데 (kung)은 ǃXũ 가 lsquorsquo로 들린 것의 존어 표현(ん)이다

그리고 (Xũ)에서 파생된 이름은 일차적으로 ǃHu ǃKhung ǃKu Kung Qxuuml ǃXo

Xucirc ǃXucirc Xun ǃXung ǃXũũXuunXunǃung으로 채록 표기되었고 이는 lsquorsquo와 lsquoん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차적으로 채록된 JumiddotDzumiddotJuumiddotZhu 등은 lsquogtgtlsquo로 변음된 후기

의 이름이다 ǃXũ 족의 다른 이름 Juǀʼhoansi는 Juǀʼhoansi=Juǀ+ʼhoan+si=+ん+

로 분석되니 이들에게서 대략 25000년 전 이후 남아프리카로 전파된 lsquoんrsquo 문화를 볼

수 있다

남아프리카 부시먼의 주신(主神)이면서 종족의 이름lsquo(ǃXũ)rsquo는 봄소리 기후가 되면서

lsquorsquo로 발음되었고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으로 되기도 하고 lsquorsquo와 같이 어미

가 붙기도 한다 부족의 이름 Kung은 이란 서부 Kermanshah 주의 Keng 동부 페르시아

만의 도시 Kung(Kong Gong) 티베트의 강(羌) 족 중국 신화에 나오는 공공(Kung-kung

共工) 중국 한자어 궁(宮) 성씨 공(孔[kong]) 북아메리카 캐나다 서해안 Haida 족의 중

요한 마을 이름 Kung 스위스의 Hans Kuumlng ([ˈhans ˈkʏŋ]1928 출생) 스웨덴의 Andres

Kuumlng (1945minus2002)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중 Kung 족은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여러 소수 수렵 채집 원주민 중의 극히

일부이고 이들을 통틀어 Khoisan ( ˈ k ɔɪ s ɑː n Khoesaan Khoesan 또는 Khoendash

San)으로 부른다 이들은 통상 수렵으로 살아가는 San 또는 Bushmen과 농경 생활로 살아

가는 Khoi 또는 Khoikhoi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의 최고신은 Cagn ( Kaang 또는

Kaggen)이고 그의 부인은 Coti이다 Cagn은 んgt 이고 Coti는 이다 그리

고 이들의 Heitsi-Eibib 신은 보통 문화의 주인공인데 역할은 유동적이고 lsquo생-사-재생rsquo

을 주관하면서 스스로 무수히 생사를 반복한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Heitsi-eibib는 사냥꾼

이자 전사이며 주술사이다

그의 이름 Heitsi는 Hadze에서 비롯되었고 eibib(=e+ibib)는 ib이 중첩된 것으로 (ibi) 신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Hadze 문화와 (ibi) 문화가 이들의 문화적 뿌리임을

알 수 있다 언어 연대 상으로는 이 문화족(Heitsi-eibib)들 다음에 Cagn과 Coti 문화족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또 다른 신 Utixo(=U+tixo) 또는 Tiqua는 천상에 살면서 비를 내리고 천둥을

울리고 있는 자비로운 신이다 이 신의 이름에 보이는 (Tiqua)를 통해 문화 다음에

남아프리카에도 () 신앙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4)ん

ん은lsquorsquo으로 발음되는데 은 히브리 어 Kohen (or Kohain

Hebrew ןהכ priest pl םינהכ Kohanim)과 아랍 어 كاهن kāhin(soothsayer예언자

augur점쟁이 or priest성직자)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지도자 칭호 가한(可汗[keke][ha nha n])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왕들의 왕(Khan of KhansKing of Kings)을 뜻하는 Kha Khan or Khagan or

Qagan (Mongolian хаан Khaan)은 몽골 제국의 황제 또는 그 정도 위치의 통치자를 부

르는 칭호였는데 나중에 투르크 족들에 의해 지배층의 타이틀(kaɣan Kağan)로 채택되었

다 현대 몽골어와 투르크 어에서는 lsquo-g--ğ-rsquo가 묵음화되어 Khaan으로 발음 표기된다

이것이 한자로는 간(干) 가한(可寒 later as 可汗)으로 표기되었다 그래서 신라와 가야의

관직명에 사용된 한자어 간(干)은 또는 에서 유래된 말로 보인다

은 인도 동북 방글라데시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 Tripuri (Tipra or Tipperah) 인

의 말 kaham-good에서 볼 수 있고 은 이란의 지명 KahangKohangkahang에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에서도 Kahang을 볼 수 있다

5)ん농경문화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만의 도시 Kung(Kong Gong) 티베트의 강(羌) 족 중국 신화에 나오는 공공(Kung-kung

共工) 중국 한자어 궁(宮) 성씨 공(孔[kong]) 북아메리카 캐나다 서해안 Haida 족의 중

요한 마을 이름 Kung 스위스의 Hans Kuumlng ([ˈhans ˈkʏŋ]1928 출생) 스웨덴의 Andres

Kuumlng (1945minus2002)에서도 볼 수 있다

이들 중 Kung 족은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여러 소수 수렵 채집 원주민 중의 극히

일부이고 이들을 통틀어 Khoisan ( ˈ k ɔɪ s ɑː n Khoesaan Khoesan 또는 Khoendash

San)으로 부른다 이들은 통상 수렵으로 살아가는 San 또는 Bushmen과 농경 생활로 살아

가는 Khoi 또는 Khoikhoi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의 최고신은 Cagn ( Kaang 또는

Kaggen)이고 그의 부인은 Coti이다 Cagn은 んgt 이고 Coti는 이다 그리

고 이들의 Heitsi-Eibib 신은 보통 문화의 주인공인데 역할은 유동적이고 lsquo생-사-재생rsquo

을 주관하면서 스스로 무수히 생사를 반복한다 일상생활 속에서의 Heitsi-eibib는 사냥꾼

이자 전사이며 주술사이다

그의 이름 Heitsi는 Hadze에서 비롯되었고 eibib(=e+ibib)는 ib이 중첩된 것으로 (ibi) 신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Hadze 문화와 (ibi) 문화가 이들의 문화적 뿌리임을

알 수 있다 언어 연대 상으로는 이 문화족(Heitsi-eibib)들 다음에 Cagn과 Coti 문화족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또 다른 신 Utixo(=U+tixo) 또는 Tiqua는 천상에 살면서 비를 내리고 천둥을

울리고 있는 자비로운 신이다 이 신의 이름에 보이는 (Tiqua)를 통해 문화 다음에

남아프리카에도 () 신앙이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4)ん

ん은lsquorsquo으로 발음되는데 은 히브리 어 Kohen (or Kohain

Hebrew ןהכ priest pl םינהכ Kohanim)과 아랍 어 كاهن kāhin(soothsayer예언자

augur점쟁이 or priest성직자)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지도자 칭호 가한(可汗[keke][ha nha n])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왕들의 왕(Khan of KhansKing of Kings)을 뜻하는 Kha Khan or Khagan or

Qagan (Mongolian хаан Khaan)은 몽골 제국의 황제 또는 그 정도 위치의 통치자를 부

르는 칭호였는데 나중에 투르크 족들에 의해 지배층의 타이틀(kaɣan Kağan)로 채택되었

다 현대 몽골어와 투르크 어에서는 lsquo-g--ğ-rsquo가 묵음화되어 Khaan으로 발음 표기된다

이것이 한자로는 간(干) 가한(可寒 later as 可汗)으로 표기되었다 그래서 신라와 가야의

관직명에 사용된 한자어 간(干)은 또는 에서 유래된 말로 보인다

은 인도 동북 방글라데시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 Tripuri (Tipra or Tipperah) 인

의 말 kaham-good에서 볼 수 있고 은 이란의 지명 KahangKohangkahang에서 볼

수 있는데 말레이시아에서도 Kahang을 볼 수 있다

5)ん농경문화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2 문화시대 6

18000minus25000년 전 대혹한 시기에lsquoんrsquo의 발음이 널리 통용되었다 그 후 기온이 상

승하면서 lsquoんrsquo 발음 대신 봄 소리로 시작되는 lsquoんrsquo이 언어문화의 주류를 이루었었다

15000년 전 쯤 채집경제의 ん 문화에서 생산경제의 ん 문화로의 대전환이 전개되었

는데 당시의 상황은 농작물과 관련된 것에 그대로 남아 있다

①Ohalo II

이스라엘 갈리리(Galilee) 해 근처에 19400 BP의 연대치를 보이는 Ohalo II 고고유적

지가 있다 언어 문화적으로 Ohalo(=O+halo)는 문화권이었다 1989minus1992년 1999

minus2000년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곳은 전형적인 Khebaran 문화 유적지로 겨우 몇 세대 기

간 동안 살았던 것 같은데 마을은 불에 타 땅에 파묻혔고 이어 갈릴리 해의 물이 넘쳐 물속

에 잠겨버렸다 그 위로 고운 진흙이 쌓여 유물이 매우 양호하게 보존되었다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10만 알이 넘는 농작물의 씨앗들이 나왔는데 야생 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emmer wheats 사료 작물로 재배) 등등 100종류가 넘는 것이었다 이것들이 갈

돌 주변에 U 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당시 갈돌을 이용한 가공법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야생 알몬드(Amygdalus communis) 야생 올리브 야생 pistachio

그리고 야생 포도 등 13종의 과일류도 발굴되었다

이스라엘 Ohalo 유적지의 농경문화는 사르탄 빙기가 시작되면서 혹한으로 식량이 부

족해진 상황을 극복하는 과정에 나타났는데 이와 관련하여 살펴볼 자료는 한반도 남부 해

안 지역인 전남 장흥 신북리 일대의 약 18500minus25500년 전( 유적의 중심 연대 약

22000년 전)의 연대를 보이는 후기 구석기 유적지 유물이다

이곳에서는 밀개ㆍ새기개ㆍ슴베찌르개 등 3만 여점의 타제 석기와 간돌 자귀 2점 갈

돌 1점 둥근 홈석기 5점등 간석기 20여점 화덕자리 6개가 조선대하교 박물관 관장 이기

길 조사단에 의해 발굴되었다(경향신문 동아일보 2004년 5월 13일) 한반도 남부 지역에

서는 Ohalo II 유적지의 것과 같은 다양한 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갈돌은 농경과 관련된 식품가공도구이고 홈석기는 돌의 위나 아랫부분 또는

테두리 부분이 홈처럼 파여진 것인데 이는 식재료를 빻고 곱게 가는 데 사용된 일종의

확 또는 절구와 같은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곳에서는 곡물을 빻거나 갈아 화덕

에서 요리를 하였을 것이다 이는 정착 농경민의 생활 모습이니 이것들은 지금은 바다로

변해버린 18500minus25500년 전 제주도 한라() 산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 사이의 평원

에서 농사를 지었을 것이라는 유물적 증거이다

제주도 산과 Ohalo의 지명은 우연한 일치가 아니고 두 지역 일대에서 같은 농경문화가 전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당시 곡물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Ohalo II 유적지 일대에서 재배하였던 야생보리 참새귀리 기장 에머밀 등등의 당시 이름

이 무엇이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산ㆍOhalo라는 지명과 기장(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 하우사 어 gero 헝가리 어 koumlles 몽골어 shar budaa 캄보디아어 srauv mi

ye) 귀리(네덜란드어 haver 노르웨이어 havre핀란드 어 kaura 아이슬란드어 coirce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그루지야어 shvriis 소말리아어 sareeen)의 이름을 통해 당시 lsquoㄹ()gt() ()

()rsquo로 부르는 작물을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lsquo활(秮[huo])rsquo은 후기구석기 시대 이름()이고 lsquo조rsquo는 신석기 시대 lsquorsquo문화시절에 형성된

말로 보인다

조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sim15m이고 가늘고 긴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가을에 15sim20cm의 이삭이 나오는데 작은 꽃이 많이 핀다 동부 아시아 원산으로

유럽 아시아 각 지역에서 재배한다《daum 사전조》

좁쌀 일본어 Awa(粟) 한자어 속(粟[su]조 오곡의 총칭 벼 찧지 아니한 곡식) 영어

millet이다 일본어 Awa(=A+wa)는 Igbo 족의 신 Chukwu의 지상 현신(現身)을 나타내는

말 uwa(=u+wa)와 음이 일치한다 이를 보면 인류의 초기 농작물 중에 좁쌀이 상당히 중요

한 자리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고 좁쌀의 Awa와 한자어 왜(倭[wo]왜국 왜순한 모양

위) 예(濊[huigravehuowe i]깊을 예물 많은 모양 회 막힐 활)의 음은 비슷하다 예

([huigravehuo])의 사성음 huo와 활(秮[huo])의 사성음은 같다 이를 보면 왜(倭)족과 예(穢

濊)족은 대단히 오래된 좁쌀 농경 족이었다 아마도 이들의 조상들은 인류 초기 농경문화를

발달시킨 주역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활(秮[huo]알찬 조)과 구(臼[jiu ]절구 확 절구질하다 허물(咎))의 훈 확을 보

면 약 2만 년 전에 확에 활(秮)을 넣고 가공하여 먹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활(秮)의 음 lsquo활rsquo

을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장을 칭하는 말( 스웨덴 어 hirs 노르웨이어 hirse핀란드 어

hirssi)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동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농경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

이고 그 중간 지역에 Ohalo 유적지가 있다

②ん(식량)

시베리아 사르탄 빙기(약 11000minus25000년 전) 중에서도 약 18000년 전이 가장 기온

이 낮았다 당시 기존의 생활 방식으로는 도저히 생존하기 힘들게 되자 야생 곡물을 재배하

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작물 중의 하나가 쌀이다 약 40000년 전의 어린 아이 유골이

발견된 충북 청원 두루봉 동굴에서 비교적 가까운 금강 유역 소로리 고고유적지에서

16250minus17320년 전의 유사벼가 발굴되었다 당시 기온은 11 정도였다 소로리 일대의

사람들은 그런 조건 속에서 야생벼를 재배벼로 바꾸려는 노력을 하였고 마침내 13000minus

15000년 전 쯤에는 재배벼로 불릴 수 있는 수준의 벼를 재배하였었다

14750년 전 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의 바닥이 완전히 마를 정도로 지구는 고온이었는데

아마 그 시기에 완성된 형태의 재배벼가 논에서 자랐을 것이다 이것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의 산물이었다 일반적으로 rachis [reacuteikis](꽃대 잎대 깃털대) 식물을 재배할 수 있

도록 길들이는 데 대략 3000년이 걸린다고 하는데 유사벼와 재배벼의 시간적 간격

(17320 ndash 15000minus13000년 전)은 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즉 소로리 재배벼는 몇 년

정도 집중하여 개발한 것이 아니라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겪으면서 3000년의 공을 들

여 15000년 전에 완성한 재배작물이다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2 문화시대 8

바로 이 시기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략 15000년 전 무렵부터 원예작물재배가 시작된 것

으로 보이는데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의 후쿠리쿠에서는 약

10000minus11000년 전의 벼과식물 화분(花粉)이 발견되었으며 중국 옥섬암 유적지에서도

약 10000년 전의 볍씨가 발견되었다 이것들은 대홍수가 일어나고 난 후의 것이다 이를

보면 벼농사에 관한한 한반도가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었고 이는 이른바 농경을 통한 생

산경제체제의 신석기 혁명 선도 지역이 한반도 남부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현재 고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대략 11000 ~ 15000년 전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분

류된다 그렇지만 농업혁명을 기준으로 본다면 중석기시대는 신석기초기시대로 분류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그러면 15000년 전의 원예작물 중에서 재배볍씨가 아니면서도 볍씨에서 생산된 것과

같은 유사 쌀을 생산하는 농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것을 통해 한반도 소로리 볍씨의 의미

가 왜 진정한 신석기 혁명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거의 순전한 자연 원예작물

나무에서 쌀과 같은 전분을 채취하여 먹는 것 다음에 인공 원예작물 쌀나무에서 유사쌀을

생산하여 먹는 것을 소개한다

끼니

완전한 식량을 나무에서 조달하였던 적이 있었고 이는 지금도 파푸아 뉴기니와 몰루카

의 저지대 사람들의 생활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saksak rabia and sagu로 불리는 열대

야자수(특히 Metroxylon sagu)의 속에 들어 있는 녹말 성분을 채취하여 가공한 Sago(ˈseɪɡoʊ)를 식량으로 먹는다

Sago를 만들기 위해 일차적으로 Sagu가 자라는 밀림 속으로 가서 적당하게 자란 나무

를 잘라 개울가의 작업장으로 옮긴 다음 도끼로 나무속을 잘게 부수고 이를 통나무 물통

에 넣어 물속에서 밟고 손으로 짜서 건더기는 건져내고 남은 나무속질 우려 낸 물을 나무

껍질로 만든 긴 관에 흘려보내 큰 물통에 받아두고 고형 성분을 가라앉혀 삭힌다 반나절

정도 시간이 지나면 녹말 성분의 흰 반죽 덩어리 sago가 추출된다(이 과정은 도토리로 묵

을 만드는 것과 거의 같다) 이것을 불로 가공하면 마치 한국의 인절미처럼 대단히 점착성

이 높은 식품이 된다

이를 그대로 먹기도 하고 불에 가래떡 굽듯이 더 바싹 구어 비스킷 형태로 먹기도 한

다 이렇게 나무에서 추출한 sago로 만든lsquo흰 인절미rsquo와 불에 구운 lsquo비스킷 사구rsquo가 아마도

곡물농사를 짓기 이전 시절에 먹었던 완전한 녹말 성분의lsquo사구 빵(밥)식(食)rsquo일 것이다

그래서lsquo사구rsquo는lsquo나무로 만든 흰 쌀rsquo로 볼 수 있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lsquo화(禾[he

]벼 곡물 곡식의 줄기)rsquo이다 화(禾) = 丿 + 木는 나무(木)에다 삐침 별(丿[pie ] 삐침

상우(上右)에서 하좌(下左)로 굽게 삐친 획)을 합친 것인데 이는 sagu 나무에 도끼질을 하

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lsquo禾rsquo는 lsquo사구rsquo를 만드는 첫 번째 작업을 나타낸 것인데 화(禾[he])

의 음이 lsquorsquo인 것으로 미루어 이러한 음식물 채집은 후기구석기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단어로는 나무를 뜻하는 독일어 Holz와 네덜란드 어 hout

한자어 禾가 있다

이렇게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먹는 것을 좀 더 개량한 것이 사구야자수를 농

장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식 원예농법에 가깝다 현재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에서

하는 sago 생산 방식으로 나무가 꽃을 피우기 전에 원줄기 속에 든 영양 물질을 채취하여

sago를 생산한다 이것은 열매를 맺기 전에 줄기에서 쌀을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무가 경

제적으로 충분히 자라는데 10~12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생산 기간이 길다 동남아시아에

서 15000년 전의 볍씨는 발견되지 않지만 쌀이 생산된 것은 바로 이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보다 기후조건이 추운 11의 한반도에서 이를 개량한 것이 1년 주기로 줄기를

잘라 열매를 채취하여 쌀을 생산한 유사벼 그것을 더 개량한 재배벼이다

유사벼와 재배벼를 가장 먼저 재배하였던 곳 중의 한 지역이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

로리(小魯里)인데 식량 중에 lsquo소로rsquo의 지명 이름과 관계되는 것을 찾아보면

桫 사라나무(桫欏木) 이름 곤륜산에서 자라는데(出) 나무는 광랑(桄榔)나무와 비슷하다 국수(麵)를 뽑

을 수 있다(出) 또 娑라고도 쓰는데 사라(娑羅)는 아미산 가운데에 자라며(生) 비파(枇杷)나무와 비슷

하다 桫 桫欏木名 出崑崙山 木似桄榔 出麵 又作娑 娑羅生峨眉山中 類枇杷 《강희자전(康熙字典)》사

(桫[suo ]) 사라나무 사 사라나무 열대 지방에 나는 은화식물

사라(桫欏)는 광랑(桄榔)과 비슷하지만 품종이 다른 sagusago 나무이고 전분을 추출하여

국수를 뽑아낼 수 있다 한자 사용권에서는 sagusago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고 인도의

사라수(Shorearobusta)를 보면 사람에게 귀중한 나무를 lsquorsquo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lsquo소로리rsquo는 사람에게 귀중한 식물 lsquorsquo가 자라는 곳임을 나타낸 지명이다

즉 소로리 사람들이 lsquorsquo를 재배하였던 것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sagusago 나무가

자랐었고 그런 문화 속에 살았기 때문에 기후가 변하여 추워지자 키가 너무 크고 수확

주기가 너무 긴 sagusago 나무를 대신하는 1년 생 키가 작은 벼나무를 개발하면 되겠다

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은 부(斧[fu ]도끼 베다 도끼로 베다)와 별(丿[pie])별(莂[bie]모종내다 씨뿌리기 볍씨를 모판에 뿌리다 부절(符節))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들의 관계는 lsquo자연 속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사구rsquo와 농장에서 재배된 풀줄기

형태의 나무에서 생산된 흰 쌀rsquo로 볼 수 있다

sagusago와 비슷한 광랑에 대하여 살펴본다 검색창Sago

광랑(桄榔)(学名Arenga pinnata)又稱 사탕야자(砂糖椰子) 南宋 赵汝适《诸蕃志》中有ldquo渤泥国(Brunei)helliphellip有尾巴树(nipa palm)加蒙树椰子树以树心取汁为酒rdquoldquo加蒙树rdquo即桄榔为当地语言对音Basa Sunda 어Kawung Wikang Tagalog 어kaong이다

가몽수(加蒙[jia ][mengmeng]樹)가 곧 광랑나무이다 이를 통해 가몽수광랑의 원(原)

한국어 이름은 lsquoんrsquo이었고 이는 신(神)을 뜻하는 (kamiかみ 1신 2머리 3위)의

존어이니 얼마나 대단한 것인 줄 알 수 있다 이 나무를 광랑나무(榔)로 한 것은 훨씬 후대

ん 문화시대의 용어이고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의 고랑(古桹)이 원래 말일 것이다

고랑은 ん이고 이것은 lsquo구람rsquo(lsquo굴밤rsquo의 방언(충북)(방언) lsquo도토리rsquo의 방언(강원)(방

언))으로도 발음된다

고랑(古桹)을 통해 고랑국(古桹國)에서는 고랑(골짜기의 방언(전북 충남)(방언))에 가

2 문화시대 10

나무를 뜻하는 말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 네덜란드 어 hout

베트남 어 gỗ 일본어 Ki 요루바 어 igi 아제르바이잔 어 ağac 라트비아 어 koks 아랍 어

khushub 순다 어(인도네시아 어 자바 어) kayu 네팔 어(벵골 어) Kāṭha 타갈로그 어

kahoy 크메르 어 chheu

태국어 Neụxmị몽어 ntoo 쿠르드 어 text 쇼나 어 danda 우즈베크 어 otin 영어 tree 덴마크 어 Traelig

러시아 어 derevo 루마니아 어 lemn(林) 하와이 어 laau 힌디 어 lakadee 마

나무를 나타내는 말

라티 어 Lākūḍa 라오어 mai 중국한자어 木[Mugrave] 몽골 어 mod 포르투갈 어 madeira 타밀

어 Maram 리투아니아 어 mediena 프리지아 어 puu(뿌리) 헝가리 어 faipari 프랑스 어

bois 스와힐리어 mbao 라틴 어 Wood 줄루어 Wood 노르웨이 어 Wood 구자라트 어 Vuḍa 아르메니아 어 prsquoayt 에스토니아 어 puit 몰타 어 Injam(인절미) 암하라 어

yersquoinichrsquoeti 코사 어 iinkuni 히브리어 ʻz아일랜드 어 Adhmad 터키 어 ahşap

미얀마 어 saitsarr sait(새로운 새뜻한)sarr(아들)(한국어 살붙이 자식과 비교됨)

몽수(광랑)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고 삼한 시절 고랑국의 특산물이 이것이다 현재 이

나무는 동남아시아ㆍ남중국ㆍ 뉴기니아ㆍ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곳이 원산

지로 알려져 있는데 고랑국과 청양읍의 백제시대 지명 고량부리현(古良夫里縣)을 통해 삼

한 시절 한반도에서도 재배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검색창Arenga

언어표17⦗나무⦘

현재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나무를 농장에서 벼농사 짓듯이 재배하는데 sugar palm

arenga palm areng palm black-fiber palm gomuti palm aren enau irok and

kaong로 불린다 20m 정도 자라고 열매는 약간 찌그러진 공 모양인데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gomuti palm가몽수(加蒙[jia][mengme ng]樹) 의 검은 열매와

이것으로 만든 설탕도 커피색의 검은 빛이고 나무껍질로 만든 섬유도 검다 이 나무의 이

름 lsquogomuti가몽rsquo은 한국어 lsquo거무데데하다거무티티하다(黑darkish)rsquo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액을 가공하여 만든 설탕을 인도에서는 gur 인도네시아에서는 gula aren이라 하는

데 gur은 한국어 lsquo꿀rsquo이다 열매는 널리 소비되는데 필리핀에서는 Kaong 인도네시아에서

는 buah kolang-kaling or buah tap이라 한다 섬유질 껍질을 인도에서는 doh 인도네시

아에서는 ijuk이라 하는데 doh는 lsquo대rsquo ijuk(=i+juk)는 lsquo죽rsquo(竹[zhu ])이다 lsquo대죽rsquo은 한반도

남부 지방 담양이 유명한데 고랑국은 어쩌면 담양 부근일 수도 있다

나무 이름과 관계있는 삼한의 아림국(兒林[erniacute][liacuten]國)aren 노람국(怒藍[nu ][lan]

國다 자란 나뭇가지가 뻗쳐 있는 모습)enau 고원국(古爰國)kaong이 있다 삼한시절은

우휴모록국(優休牟淥國)의 이름처럼 먹는 것에서는 근심을 쉬어도 되는 현재의 동남아시

아 기후였던 것이다

이 나무를 Arenga Pinnata로 부르는데 Arenga와 관계있는 것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에

서 기원한 Calon Arang 민담이 있다 Arang은 흑마술을 하는 힘 있는 과부로 딸이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되자 어린 아이들을 납치하고 질병을 일으키고 농작물을 말라죽게 한다 이

여신이 악마의 여왕 Rangda로 나오는 민담도 있는데 Rangda는 자바 고대어로 과부를 뜻

한다 Arang(=A+Rang) Rangda(=Rang+da)이니 이것은 ん 문화 시절의 이야기이고

랑(桹)은 이 시대에 나타난 용어이다

인도네시아의 자바에는 발리 민담과 비슷한 Wewe Gombel로 불리는 초월적인 여성 또

는 요괴가 있다 그녀는 Arenga pinnata 야자수에 살면서 아이들을 납치하여 키운다 그녀

의 모습은 길게 늘어져 있는 유방이 특징이다 현실적으로 Wewe 노파는 Arenga 야자수를

지키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아이들이 놀러 와서 나무가 상하도록 장난을 치니 요괴처럼

겁을 주는 것이다

그리고 천문학자 박창범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일식을 분석하였더니 필리핀에서

남중국해상이 사이 지역이 관측 최적지였고 상대 신라의 일식 최적 관측지는 남중국이었

다《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 이는 왜와 삼한의 위치가 그 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의 역사적 기록과는 맞지 않는다 일식 기록이 다 왜곡되지 않았다면 이는

역사서의 일식 기록이 대홍수 이전 12000 ~ 15000년 전 일식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당시에는 그곳이 살기 좋은 육지였고 그곳 오키나와의 바다 밑에

는 대단한 신전의 건물이 잠겨 있다 이 신전을 중심으로 살았던 사람들이 주변 지역으로

흩어져 현재 상태가 되지 않았을까한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에 전하는 노파의 이름 Wewe는 한자로 왜(倭[wo])왜국 왜순

한 모양 위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倭=人+禾+女로 위(委[weiwe i]맡기다 버리

다 내버려두다 막히다 메이다 밀리다)의 음훈 그대로 버려진 아이들을 야자수 나무 아

래로 데려와 키워주는 신모(神母) 노파가 Wewe이다 이는 필리핀의 Alipin과 함께 대홍수

이전 시대의 문화유산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Sagu와 관계되는 음식문화 lsquorsquo

파푸아 뉴기니와 일본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안으로 연결되는 지역이어서 두 지역의

문화는 거의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lsquo사구rsquo와 음훈이 거의 같은 것으로 일본어 Sakeさ

け[酒]가 있다 일본 언어학의 연구에 따르면 Saさ는 접두어(接頭語)이고 keけ는 「kaカ

(香)」와 같은 어원이라 하니 keけ는 kiき(木樹)의 동의어이고 koこ(木)와 이것의 파생

어 Koこ(粉)(가루 분말) koこ(戸)(문 집 주량(酒量) koこ(個)(1개 2물건의 수를 세

는 말)와 관련 있다 사구를 말려 가루 분말로 만든 것이 koこ(粉)이고 이를 삭혀 술로

만든 것이 Sakeさけ(酒)이다

이 과정을 다시 보면 komeこめ(쌀米)로 밥을 짓고 이것에 누룩을 섞어 그대로 두었

다가 거르면 막걸리가 되고 그대로 계속 두면 원료가 폭삭 삭아서 초가 된다 그래서 일본

어 Sakeさけ(酒)는 lsquo(穀 木ki)를 삭힌 것rsquo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를 참고하면 lsquo사

구rsquo의 lsquo사rsquo 또한 Sake의 Sa(さ)와 같은 접두사이니 사Sa(さ)는 lsquogtrsquo에서 유래한

말로 일본어 접두사 고goご(御)ぞんじ와 같다

그리고 이는 lsquo삭은 것rsquo을 일컫는 한국어 식혜(食醯)[시켸시케](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

린 물을 부어 천천히 삭힌 뒤에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 주로 차게 해서 마신다 ) 식해

2 문화시대 12

(食醢)(생선을 토막 내어 소금과 흰밥 고춧가루 무 따위를 넣고 버무려 삭힌 음식)와 관계

있다 이들 단어와 아이누 어(語) Sakipe(サキペ 여름의 음식)를 보면 lsquo식혜식해rsquo는

Sakipe(サキペ)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파퓨아 뉴기니의 사구와 연결되는 지역의 말 제주 방언 lsquo사케rsquo(제사)와 일

본어 사케루さけるrsquo멀리하다 꺼리다(개입하기 싫은 것을) 피하다(장애가 되는 것을)

피하다 삼가다 한자어 lsquo식겁rsquo(食怯[shiacutesigraveyigrave][qie]겁내다 무서워하다 약하다 비겁하

다 피하다 회피하다)하다 (강원 경상도 방언)lsquo씨겁하다rsquo를 참고하면 한국의 식혜와 식

해(食醢)일본의 사케さけ(鮭鮏) 사케さけ(酒) 아이누 족의 Sakipe(サキペ)는 (죽은)사

람이 폭삭 삭은 것을 다시 장례지내는 세골장 의식 사케(제사)에 필요한 것이다 lsquo

사구rsquo는 세골장이차장 장례문화권 지역에서 발달한 음식이다

이것이 언제 어디서 시작되었을 가를 짐작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아이누어(語)

Sakipe(サキペ)이다 아이누 족은 주로 Y-Haplogroup D-M55에 속하고 Y-DNA

haplogroup D2는 오키나와를 포함하는 일본열도에 빈번하다

그리고 Haplogroup D는 티베트와 안다만 제도에 흔하다 또한 아이누 족 남자의 약

18(125)은 시베리아와 몽골의 토착 원주민에서 가장 흔한 Haplogroup C-M217에 속

한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아이누 족의 조상들은 티베트를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지역

에 살다가 후기구석기 시대의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와 몽골 지역까지 진출하면서

Haplogroup C-M217과 혼혈을 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Haplogroup D-M174는 대략

60000년 전 아시아에서 출현하였고 Haplogroup C-M217는 대략 11900 plusmn 4800년 전

(7100minus16700년 전)에 동아시아 혹은 중앙아시아에서 출현하였는데 이것의 가장 가까

운 친족들로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남아시아ㆍ동아시아ㆍ오세아니아에 흔하고 이들이 사는

지역은 대체로 Metroxylon sagu (true sago palm)이 자라는 원산지 지역과 거의 일치한

다 Indonesia (western New Guinea and the Moluccas) Papua New Guinea Malaysia (both

Peninsular Malaysia and Sarawak) and possibly also the Philippines (though may have been

introduced there) It is also naturalised in Thailand in the Indonesian islands of Java Kalimantan

Sumatra and in the Solomon Islands

검색창Haplogroup D-M174 검색창Haplogroup C-M 217 검색창Haplogroup D

16700년 전은 한반도 소로리 일대에서 재배벼의 초기 형태가 나타난 시기이다 아마도

16700년 전 이전의 사람들은 나무에서 사구를 채취하여 식량을 해결하였을 것인데

16700년 전 Haplogroup C-M217이 나타나면서 나무가 아닌 풀줄기에서 녹말 성분을 채

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농법이 개발된 것이다

그리고 11900년 전은 대홍수로 한반도와 일본이 중국 지역과 분리되는 시기이다 중국

남부와 일본에서는 이 시기를 지나고 난 다음부터 벼농사가 시작되었다는 유물이 나타난

다 대홍수를 겪고 나서 소로리의 벼농사 재배법이 확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7100년 전은

나무(태국어 Neụxmị)에서 끼니를 의존하던 시대에서 거의 완전히 벗어나 동남아시아와 중

국 남부 지역에 벼농사가 활발하게 발달하기 시작한 때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여전히 sagu

나무에서 sago를 채취하여 사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대략 1만 년 이상 된 가장 원시

자연 농경 생활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kanin(타갈로그 어 rice) kĥāw(태국어 rice) tn kĥāw(태국어 벼 rice

plant)는 대홍수 이전 나무에서 lsquo끼니rsquo를 해결하던 시절의 단어 lsquoんrsquo 또는 소로리의

재배벼 단계의 lsquo코메rsquo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대홍수를 겪고 기온이 상승하면서(아마도 대

략 7100년 전) 문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이에lsquo나락rsquo(벼의 경상전라 방언) 문화와 lsquo나

무rsquo(태국어 Neụxmị)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어 lsquo나

락rsquo과 가까운 발음의 것으로 벼를 뜻하는 자바 어 nenandur와 한자어 니(秜[niacutenigrave]돌벼 자

생한 벼 밀 올벼 일찍 익는 벼)가 있다 아마도 자바와 태국 사이에 살던 사람들이 중국

남부와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대홍수 이전의 lsquorsquo문화와 다른 lsquorsquo문화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줄루 어 irayisi(=i+rayisi) 요루바 어 iresi(=i+resi) 영어 rice 한자어 도(稻)미(米

[mǐ]쌀 껍질을 벗긴 조ㆍ수수ㆍ보리ㆍ옥수수 등도 이른다) 산스크리트 어 vrihi-s(

rice) 이러한 단어들은 lsquo나락rsquo보다 훨씬 나중에 생긴 말이다

그러면 일본인 학자가 작성한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한국상고사의 쟁점》(천

관우 편P114)를 참고하여 당시 소로리 재배벼의 이름을 추적해보기로 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동남아시아 태국 부근의 lsquo코메ㆍ가오ㆍ카오rsquo 인도

네시아 셀레베스 부근의 lsquo아네rsquo 할마헤라 부근의 lsquo이노rsquo 필리핀 루손 섬 부근의 lsquo비가스rsquo

오키나와 부근의 lsquo쿠미ㆍ이니rsquo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이다 한국과 가까운 일본에서는 쌀을

코메(こめ)라고 하는데 lsquo(こめ)rsquo의 음이 들어간 한국어는 lsquo올개미rsquo이다 이것은 햅쌀을

쪄서 말린 것으로 lsquo올개미 쌀rsquo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lsquo개미rsquo는 일본어 lsquo코메rsquo 오키나와 어

lsquo쿠미rsquo와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lsquorsquo은 신(神)을 뜻하는 말이니 신에게 받칠 최고

의 공양물은 lsquorsquo으로 불리었을 것이고 그 말의 흔적이 일본어 코메(こめ)와 한국어 lsquo올개

미rsquo로 남아 있는 것이다

ん 음으로 된 농작물

개갈(稭 jie) 짚고갱이 개갈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버린 짚

갈(秸 jie) 볏짚 갈볏짚 짚고갱이 겉잎을 추려 낸 것 (뻐꾸기길)

갈(鞂 he) 볏짚 새꽤기 갈 볏짚의 새꽤기

광(穬 guangkuang) 까끄라기 있는 곡식 광 까끄라기 있는 곡식 아직 익지 아니한 벼

강(糠 ka ng) 겨 강 겨 쌀겨 매우 작은 것의 비유

강(穅 ka ng) 겨 강 겨 비가 속이 비다

갱(秔[ge ngjīng]) 메벼 갱 메벼

갈(猲 ge xie) 개 갈 개 주둥이가 짧은 개 큰 이리(猲) 으르다(喝 애)

곡(穀 gu )[곡식 곡] 곡식 양식 착하다 기르다 살다

깨 콩 기장 귀리

쌀미(米)를 일본어로 음독하면(베이ベイmiddot마이マイ) 훈독하면 코메(こめ)이고 이것은 오키나와쿠

미 크메르(캄보디아) 코메ㆍ가오 태국 북서부ㆍ미얀마 남부카오 로 불리어진다

언어표18⦗ん 음으로 된 농작물⦘

2 문화시대 14

개 문화의 전파로는 북경 근처를 중심으로 표

시되어 있는데 이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 일

단 극동아시아에서 개와 농경문화가 가장 먼

저 발생하였다는 것만 이해하면 된다

도표9⦗쌀의 이름과 전파로⦘ 도표10⦗개의 전파로⦘

그리고 Ohalo II 유적지의 지명과 lsquo소로리rsquo라는 지명을 고려할 때 17320년 전의 유사

벼의 이름은 lsquoㄹ()gt()()()rsquo이었을 것인데 한국어 lsquo흰 쌀밥rsquo을 볼 적에 동

남아시아의 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는 lsquoㄴgtrsquo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즉 최초

의 유사벼 이름은 lsquoㄴrsquo이었고 이것이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lsquoㄹgt(쌀)gt소로리rsquo로 되

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일본의 lsquo코메ㆍ이네rsquo를 볼 적에 15000년 전 재배벼의 이름은 ん

()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는 lsquoんgtんrsquo문화의 대전환이 일어난 때이다

그리고 lsquo코메rsquolsquo카오ㆍ가오rsquolsquo아노ㆍ이네ㆍ이니ㆍ이노rsquo의 이름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 주

로 구석기 시대의 해안 지대였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제까지 알려진 것처럼 lsquo벼rsquo가 서쪽에

서 동쪽 한반도 지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은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 15000년 전에 한반

도 남부 금강 유역 소로리 지방에서lsquoㄹgt(쌀)rsquo 또는 lsquorsquo로 불리는 벼가 재배되었는

데 이것이 따뜻한 남쪽 해안 지대를 따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어 갔었고 나중에

약 6000minus8000년 전을 전후한 기온 상승기에 좀 더 개량된 벼 품종과 재배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한반도 지역으로 이주해왔었던 것이다

재배벼의 등장은 인류의 생존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꾼 대발명인데 이러한 농업혁명은

작물의 품종개발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이리(늑대)를 길들여 기른lsquo개rsquo를 활용한 농법까

지 포함된 엄청난 것이었다lsquo견(畎[quan])rsquo자의 뜻풀이 밭도랑 견 밭도랑 물대다 통하

다 산골짜기를 참고하면 개와 농경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측

을 하자면 소나 말이 쟁기를 끌고 짐수레를 끌 듯이 개가 쟁기를 끌고 썰매수레를 끌기

시작한 것이 아마 15000년 전 쯤이 아니었을까 한다

당시 한반도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생존의 새로운 농법을 개발한 lsquoんrsquo문화

인은 개와 함께 다른 지역으로 떠났는데 그 노선은 도표10⦗가축화된 (농경) 개의 전파로

⦘를 참고하면 된다 당시에는 무엇이든지lsquorsquo로 불렀다 사람도 먹을 것도 이었다 lsquoん(구람)rsquo을 갈아 가루를 내어 걸쭉한 먹거리 묵을 만들어 먹는다 가공과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최고 식품은 아니다 lsquoんrsquo중에 가장 중요한 작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알

려주는 것이 삼한의 고랑국(古桹國)이고 그런 작물을 재배 관리하는 기술을 총감독하였을

곳을 짐작하게 하는 지명이 고령(古寧)이다 고랑Arenga와 관련하여 녕寧을 굳이 식물과

관련 짓는다면 Nipa palm(Nipa fruticans)이 있다

고령은 고령가야(古寜伽倻)에서 나온 말인데 여기서 가야는 lsquo나라ㆍ대지rsquo라는 뜻이다

이는 영어식 표기 Turkey(터키)의 중세 라틴 어 Turchia ( ldquoLand of the Turksrdquo) 이것의

터키 어 표현 Tuumlrkiye 그리고 러시아 어 지명의 러시아 어 접미사 ndashskaya( Pobuzhskay

Seminskaya)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고령가야는 고령국(古寜國)이 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인데 이 단어를 통해 고령가야는 터키 또는 아나톨리아 고원과 접한 러시아 지역에서

이주해온 사람들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령의 현대 지명 상주시(낙동면 신상리)는 신석기 움집이 발견된 곳이고 개명된 지명

은 함녕군(咸寧郡)ㆍ함창(咸昌)에서 보듯이 후기구석기 시대 ん 문화의 흔적이 강하다

당시의 새로운 농법은 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의 존어 ん(고령)은 구로국

(狗盧國[gou][lu ][guo])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구로([gou][lu])국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에 있었던 백제의 고량부리현(古良

夫里縣)으로 간주되고 있다 구로의 존어 표현이 고량이다 고량부리에서 상주시 고령(古

寧)으로 연결하는 선을 그어 보면 거의 수평이고 중간에 후기구석기 유적으로 유명한 청원

두루봉 동굴과 15000년 전 벼농사를 지었던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小魯里)가 있

다 그리고 남한강 상류 구석기 유적지에서 상류 지역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경상북도 봉화

군 춘양면 소로리가 되는데 이곳은 상주시에서 그렇게 멀지 않다 lsquo고량부리현 소로리 고

령 소로리rsquo로 연결되는 곳 안에 한반도 남부 지방 후기구석기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고 벼

농사를 지었던 곳이다 바로 이 지역에서 새로운 농법이 개발되고 그 기술이 세계로 전파

되었던 것이다

lsquo개와 선진농업기술rsquo의 새로운 문화의 물결은 10000minus15000년 전 전 세계로 퍼져나

갔고 이 문화가 보급된 지역에서는 원(原)한국어를 선진 문화 공용어로 받아들이게 되었

다 그 결과 원(原)한국어에 바탕을 둔 소위 노스트라틱 어로 불리는 세계 공용어가 형성되

었다 언어학자들은 원(原)노스트라틱 어(Proto-Nostratic)가 15000minus12000 BC에 형성

되었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한반도 소로리에서는 유사벼(16250minus17320 년 전)와 재배벼

(13000minus15000 년 전)가 재배되었다

원(原)한국어가 노스트라틱 어의 세계 공용어가 되었던 것은 이 시기에 한반도 남부 지

방을 중심으로 후기구석기 시대의 lsquo농업혁명rsquo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이 세계로 확장되면서 21세기 현재 영어(英語)를 세계 공용어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의 어원을 따지다 더 이상 알 수 없는 한계점에

맞닥뜨렸을 때 한국어를 적용시켜 풀면 어원불명의 단어 유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Kim

크메르 인의 조상은 북방의 시노-티베트 인들에게 밀려 현재의 메콩 강 하류 저지대로

2 문화시대 16

이동하여 정착하였는데 그 시기는 BC 3000년 이전으로 본다 이들의 이름 크메르 크롬

(크메르어 កមពជាករោម 크마에 끄라옴 베트남 어 Khơ Me Crộm 커매 끄롬)에서 크롬은

저지대라는 뜻이니 lsquo크마에 끄라옴rsquo은 lsquo저지대에 사는 크마에rsquo이고 크마에와 커매는 lsquoんgtrsquo에서 유래된 이름이고 문화인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베트남과 크메르에서도 (Kim) 씨를 볼 수 있다

유럽에는 ん에서 유래되었을 성씨로 kimberly가 있다 여성의 경우 kimberly는

kim으로 줄여 표기되는데 북유럽에서 kim은 lsquo신의 아들 또는 추장의 아들(Son of God

or Son of Chief)rsquo을 뜻하며 남성형으로 사용된다 신의 아들이라는 북유럽의 Kim은 lsquoんrsquo

문화 시절 지배층의 후손들로 볼 수 있고 네덜란드와 불가리아에도 (Kim) 씨가 있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유럽의 kim 씨는 그 뿌리를 khimerian이라 불리는 코카서스 스키타이

족으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신의 아들 kim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

이들이 아프리카에 갔었다면 그곳에도 (Kim) 문화가 있을 것인데 서아프리카 카메

룬에는 농경문화인 Kom 족이 있다 고대 이집트의 이름 중 하나였던 Kemet (kmt)은 아

마도 크마에와 커매와 같이 ん(Kim)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곱트 시대의 고대

이집트 어 kēme와 kēmə 그리스 어 Khēmiacutea은 나일 강의 범람으로 비옥한 흑토를 나타내

는 말이었다 이렇게 ん(kim)의 단어가 보이는 곳은 대체로 강 하류 흑토 지대이다

이는 이주자들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곳을 찾아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kim의 이

동은 15000년 전 새로운 농법과 개를 데리고 새로운 흑토 지대를 찾아 이동한 족과 관련

이 있다 어쩌면 그들이 한반도 ん(kim) 씨의 원조(原祖)일 수도 있으니 삼한의 lsquoん

gt 감해국(感奚國[gan][xī][guo])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感奚卑離國)rsquo지역은 이들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온 지역일 수도 있다 감해국의 ldquo위치는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

면의 옛 이름인 대감개면(大甘介面)의 lsquo감개(甘介)rsquo에 비정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감

해국》되는데 감개면은 lsquo소로리rsquo에서 그렇게 먼 곳은 아니다

③ん(그릇)

자연산 그릇

ん( 코메 rice)을 추수하여 담아 보관할 수 있는 그릇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것과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있다 자연산 그릇으로 현재에도 사용되는 것은 보통

줄기를 담장이나 지붕에 올려 재배하는 lsquo박rsquo(Lagenaria leucantha)으로 불리는 식물의 열

매로 만드는lsquo바가지rsquo이다 박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가운데가 잘록한 것을 열매가 열리

는 것을 표주박 또는 호리병박(Calabash)이라 하는데 이것의 열매로도 작은 그릇을 만들

수 있다 이것 외에 나뭇가지에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열매가 달리는 호리병박나무

(Crescentia calabash tree huingo krabasi or kalebas)가 있다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적도권 지역( southern North America the Caribbean

Central America and northern South America)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인도의 귀화식

물이다 나무줄기에 꿀풀목 능소화과(Bignoniaceae the bignonias)로 분류되는 꽃을 피우

며 6종이 있다 보통 10m 정도 자라며 직경 50cm의 둥근 열매가 달리는데 겉은 얇고 딱

호리병박나무 나뭇가지에 달리는 박

Crescentia cujete commonly known as the Calabash Tree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It is naturalized in India

It is also known as Calabacero (Spain) Cuiteacute (Brazil) Totumo (Panama Colombia

Venezuela and Peru) Tutumo (Bolivia) Taparo (Venezuela) Mate (Ecuador) Huinga

(Peru) Pate (Peru) Cuyabra (Colombia) Jiacutecaro (Mexico) Morro (Guatemala) Guumlira

(Cuba) Cujete (Spain Philippines) Miracle Fruit (Philippines) Kalbas (Dominica and

St Lucia) Higuera (Puerto Rico) and Rum tree (Sri Lanka)

The fruit called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or Huacal in Mexico is used to

make small vessels for serving or drinking

The tree shares its common name with that of the vine calabash or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 wikipedia crescentia cujete》

딱하며 속은 부드러운 펄프 질이다 이것을 파내고 말려 그릇으로 사용한다 멕시코에서는

이 열매를 Jiacutecara Bule Tecomate Guaje Morro 또는 Huacal로 부르고 음료수나 기타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한다

영어로 calabash로 불리는 호리병박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아메리카

에서는 bototo 콜롬비아와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bangantildea 서인도제도에서는 guumlira로도

부른다 멕시코에서는 bule 또는 guaje로 불리는 물을 운반하는 호리병박 도구와 jiacutecara로

불리는 호리병박을 반으로 잘라 만든 컵과 흙으로 만든 컵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그릇을

한국어로 lsquo바가지rsquo라 하고 식용재료와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것은 lsquo박표주박호리병박rsquo

식용재료로만 활용되는 것은 보통 lsquo호박rsquo이라 하는데 호박은 박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성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gourd(1박과 열매의 총칭 2호리병박 열매 3호리병박 식

물의 총칭)는 식용보다는 물그릇용기로 재배된 최초의 경작 식물들 중의 하나이다

언어표 19⦗호리병박나무⦘

그리고 조롱박(L siceraria)의 DNA 연구(2005년)에 따르면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된 두 종의 품종이 있다 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

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

에 아시아에서 발생된 것과 4000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이 있다 아메리카에서 발견

된 것은 아시아 품종인데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는 13000minus11000 BC의 것이 발견되었

고 태국의 것은 11000minus6000 BC의 것이다

아시아에서 가축개가 아메리카로 전해졌듯이 후기구석기 빙하기 말에 gourds도 아메

리카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유전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아메리

카의 고고학적인 gourds 유물들은 아프리카 야생종과 가장 가까운데 이것들은 10000년

전 정도부터 몇 번에 걸쳐 바다를 표류하여 전해진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이것은 인류의

이동과 관계없이 바다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전해진 품종이 있다는 것이다

호리병박에 관한 것 중 주목할 것은 이것은 식용보다는 물의 저장과 운반 용기용으로

먼저 가식화(家植化 domesticated) 재배되었다는 것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페루의 고

2 문화시대 18

고 유적지에서 나온 13000minus11000 BC의 것을 통해 최초로 재배화된 식물 종으로서의

조롱박이 아시아에서 재배된 시기를 추측한다면 15000minus14000년 전 한반도 금강 유역

의 소로리 지역에서 인류 역사 최초로 벼가 재배되었다는 것과 관계있을 것이다

최초의 조롱박은 13000minus12000 BC 시기에 추수한 곡물의 보관 용기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재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코메rice 가 당시의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전

파되었듯이 조롱박 품종 또한 태국 지역으로 인도로 아프리카로 그리고 가축화된 개와

같이 아메리카로 전해진 것이다 그리고 태국에서 11000minus6000 BC의 것이 발견되는 것

은 아마도 15000년 전의 고온기에 아메리카로 이주하였던 사람들이 조롱박 품종을 가지

고 페루 지역까지 이주하였다는 것을 뜻한다

호리병박(calabash)을 부르는 말

igula (줄루 어) qara(아랍 어) kura (아람 어) kalyan (러시아 어) hulu (남중국 葫蘆

huacutelu or 葫子 huacutezi) lauka (네팔파키스탄) yakaelign durā (싱할라 어) igba (요루바 어)

kibuyu (스와힐리 어) calapaccia (pre-Roman Iberian)

In India it is known as lauki (लौकी લૌકી) laau (लाऊ) dudhi (ददी દદી) or ghiya (घीया ઘીયા) in HindiUrduGujaratiBengaliMarathi Laau (লাউ) (ଲାଉ) in Odia aal (आल) in Marwari churakka (ചരകക) in Malayalam jatilao in Assamese sorakaaya (సర కయ) or

anapakaya in Telugu dudhi-Bhopala (दधी भोपळा) in Marathi sorekayi (ಸೋರಕಾಯ) in

Kannada sajmain in Maithili and Labu (ලබ) in Sinhalese and suraikkaai (சுரைககாய colloquilly sorakkay) in Tamil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 wikipedia calabash》

언어표20⦗호리병박 calabash⦘

그래서 아마도 아메리카로 조롱박을 가지고 간 사람들은 한반도의 소로리 지역과 관계

있을 것이다 윷놀이를 하는 뉴멕시코멕시코 지역의 원주민 lsquo소노로 족(The Sonoro

Indians)rsquo ldquo조롱박은 멕시코 북부와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daum 백과사전》rdquo 금강

유역 lsquo소로리rsquo 이들의 관계는 좀 더 연구할 자료이다 어쩌면 소로리 지역의 사람들이 아메

리카로 이주하면서 호리병박나무와 유사한 어떤 품종을 가지고 가서 현재의 품종으로 남겼

는지도 모른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아무래도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에서

유래하였을 것인데 이는 페루의 고고 유적지에서 13000minus11000 BC의 것으로 밝혀진 아

시아 유전인자의 조롱박과 관련 있을 것이다 (도표2 12000minus15000 BP 표시의 굵은 선

참고)

이 시기 아시아인의 아메리카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squash가 있다 이는 한국어로 보

통 호박으로 불리는 것인데 1640년대에 북아메리카의 Narraganset(Algonquian) 어

askutasquash를 줄여 사용하는 말이다 이는 문자적으로 날로 먹는 것으로 이 단어는

askut(green raw uncooked) + asquash(eaten)에서 유래되었는데 여기서

askutasquas이란 단어는 한국어 아싹아싹(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조금

세게 자꾸 베어 물 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아마도 Huinga와

함께 전해진 말이 askutasquas(아싹아싹)이 아닐까 한다

호리병박의 이름 중에 주목을 끄는 것은 lsquorsquo에서 유래한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sorakaaya

sorekayisuraikkaai)rsquo이다 남중국에서는 lsquorsquo 중근동지역에는 lsquorsquo 인도 지역에는

lsquorsquo음의 이름이 많다 후기구석기 시절 호리병박(calabash) 넝쿨이나 호리병박나뭇가지

에 달려 있는 것을 채취하여 날 것으로 아싹아싹 그대로 먹을 수 있는 먹거리를 lsquorsquo로

불렀고 현재 이것이 지역에 따라 lsquorsquo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는 lsquoんrsquo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메리카 원산으로 알

려진 호리병박나무 또한 아시아의 어느 지역에서 비슷한 품종으로 자라고 있었다는 것이

다 그런 점에서 인도의 귀화식물로 알려진 호리병박나무는 아메리카의 것보다 더 이전의

것일 수도 있다

Crescentia(호리병박나무)는 crescent(초승달)라는 단어와 관련 있을 것인데

crescent의 어원은 PIE root ker- (3) (to grow) (source also of Latin Ceres

goddess of agriculture creare to bring forth create produce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이다

ker-Ceresserem을 참고하면 호리병박나무의 원어원은 lsquogtんgtㄴgtㄹrsquo로 추정

되고 ㄹ과 가까운 발음으로 나무를 나타내는 그리스 어 xyacutelo 독일어 Holz가 있다

나무(xyacutelo Holz)를 lsquorsquo에서 유래한 호리병박의 이름 lsquo(hulu 葫蘆)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rsquo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호리병

박나무가 나무를 대표하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호리병박을 lsquorsquo로 부

르듯이 호리병박나무의 이름 또한 (그루)였을 것이고 한국어lsquo그루나무의 수를 세

는 단위 나무나 곡식 따위의 줄기의 아래 부분rsquo는 호리병박나무 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음식을 칭하는 말로 국물소스를 뜻하는 타밀 어 kari (கறி) 스리랑카의 코코넛

우유 kiri 그리고 한국어 lsquo거리rsquo(음식 따위를 만드는 데 주로 쓰이는 재료)를 살펴보면 이

들은 모두 lsquo(먹)거리rsquo를 칭하는 말이고 음의 단어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igula qara kura kalyan calabash calabaza Kharbuz 등등 )를 칭하는 말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을 로 불렀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식품 와 그것을 담는 (그릇)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호

리병박(Calabash)과 호리병박나무(Crescentia)이다 이것의 열매는 식용 (먹거리)

로 먹을 수 있고 껍질은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이 Greek

kouros(boy) kore (girl) Armenian serem (bring forth serim be born) 를 가

지면 그가 태어나서 먹고 사용할 를 심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lsquo아프리카의 것에는 서로 연관이 없이 가식화된(家植化

domesticated) 최소 두 종의 것이 있는데 고고학적 유물로 8000minus9000년 전에 아시아

에서 발생된 것rsquo이라는 점을 참고하면 높이 10m의 호리병박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해야하

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호리병박 넝쿨에서 호리병박나무열매와 같은 것이 열리도록 연

2 문화시대 20

구를 한 사람들은 아마도 세계 최초로 재배벼를 개발한 선진농업인들이 아닐까한다 아마

재배벼를 개발하면서 호리병박나무의 열매를 호리병박의 열매로 개발하는 작업도 같이 하

였을 것인데 그것은 호리병박의 최초 재배 목적이 식용보다는 물건보관 용기였고 용기를

한국어로 lsquo그릇rsquo이라 하는 것을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그리고 호리병박(Calabash)의 다른 이름 upo (필리핀) bầu (opo squash) bầu canh

or bầu nậm (베트남) ipu (하와이 어) 박(한국어) bototobangantildea(아메리카) 는 아프리

카 문화 용어로 볼 수 있고 이는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에 의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lsquo4000 년 전 이집트에서 발생된 것rsquo이 있다는 것과 바로 이 시기에

인도로 아프리카 식물의 품종 씨앗이 많이 전해졌다는 것을 참고할 때 아마 4000년 전에

아프리카 품종의 Calabash가 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쌀이 한반

도에서 처음 개발되었지만 나중에 한반도로 전해진 더 개량된 lsquo벼rsquo품종이 기존의 lsquo코메ん(rice)rsquo을 대신하여 식량의 주류를 차지하면서 lsquo밥rsquo이라는 말이 널리 통용되었듯이 (먹)거리그릇을 대신하여 밥박바가지가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인공그릇

바구니를 대신하는 바가지를 만들 수 있는 박은 매우 좋은 작물임에는 틀림없지만 문

제는 박 그릇이 깨지기 쉽고 불로 가공하는 음식을 다루기에 불편하고 젓갈이나 식초에

절인 음식을 담아 삭혀서 오랫동안 보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후기구석기시대 사

람들은 lsquo바가지rsquo가 아닌 lsquo그릇rsquo을 연구를 하였고 마침내 lsquo인공그릇rsquo이 만들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의 최초 작품은 소쿠리 또는 바구니 위에 흙을 덧붙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개

량하여 흙 자체에 점착제 풀을 넣어 바구니 모양으로 만들었고 이것이 좀 더 개량되어 마

침내 흙으로만 된 그릇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ldquo홋카이도(北海道)와 후쿠이현(福井県)의 유적에서 출토된 1만 1천 〜 1만 5천 년 전의 조몬(縄文)식토기

의 탄 흔적에 연어 등 생선찌개를 조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방질이 포함된 사실을 일본과 영국 등 연구팀

이 발견해 영국 과학지 네이처 전자판 11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리에 사용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토기라고 했다 연구에 참가한 종합지구환경학 연구소(교토시=京都市)의 우치야마 준조(内山純蔵) 객

원준교수(경관학고학=景観考古学)는 이 시대의 토기 양은 두드러지게 적으며 꼭 조리하고 일상적으로

먹었다고 말할 수 없다 의식에 사용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교도통신】130411)

일본 혼슈(本州)의 동해와 와카사 만에 면한 후쿠이현(福井県)의 동굴 유적의 제3문화

층에서 얇은 나뭇가지를 혼입하여 제작한 방사성탄소연대 BC 12700의 토기가 출토되었

다 제주도에서는 BC 10000을 전후한 시기의 고산리유적지에서 태토에 풀줄기를 넣어 제

작한 토기가 출토되었고 아무르 강 하류 가샤ㆍ훔미ㆍ곤챠르까 등 유적지에서는 11000minus

10000 BC에 풀과 같은 보강제를 넣어 제작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토기의 유물 연대로만

따지면 일본 후쿠이 유적지에서 토기 제작이 먼저 시작되었고 이 기법이 제주도와 아무르

강 유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사용은 농경문화와 밀접한데 현재까지 발견된 최고(最古)로 오래된 토기는 BC

12700년에 일본 후쿠이현(福井県)에서 제작된 것이고 이것의 제작 연대는 한반도 금강

소로리 유역에서 재배벼가 개발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이 점과 전남 신북리 유적지에서

약 20000minus22000년 전 갈돌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어

느 지역에는 일본 후쿠이 토기와 비슷한 연대 또는 그보다 이른 시기의 고(古)토기가 묻혀

있을 것이다

남아메리카의 호리병박나무(Crescentia cujete)의 다른 이름 Huinga(Peru) Higuera

(Puerto Rico)와 후기구석기 시절 아시아의lsquoんrsquo문화를 고려할 때 이 토기의 당시 이름

은 아마도 lsquoんgtんgtんgt항(缸[gang])아리rsquo가 아니었을까 한다 ん에서

유래된 것으로 물건을 담는 그릇으로 항(缸) 이 외에 함(函[han])이 있는데 이것은 나무나

바구니를 만드는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것에 흙을 바른 것이 최초의 항(缸) 강(瓨[jia nghong]) 항아리 강 항아리 목이 긴 항아리 단지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에 lsquoんgtgtrsquo에서 유래된 lsquoㆍ 그릇rsquo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어 lsquo그릇rsquo의 음은 영어 (clay[klei]진흙 점토)에 그대로 남아 있다 볼가

강 중류의 토기는 바이칼 호 주변에서 먼저 만들어진 토기 제작기법이 도입되어진 것 그리

고 이 토기 문화는 8200년 전에 흑해 연안 Bug-Dniestr 문화에 나타난다는 것 핀란드

지역에 Comb 토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BC 5200년이라는 것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그릇 문화의 전파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는 농경문화의 이동과 같이 진행되

었을 것이다

이것을 통해서도 원(原)한국어 문화권에서 인도유럽어 문화권 지역으로 lsquoㆍrsquo문화

가 전파되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고 lsquo그릇rsquo에 담아 보관하였던 것의 대표적 식재료

는 아마도 lsquo젓갈rsquo이었을 것이고 젓갈을 뜻하는 태국어 Khĕm을 보면 lsquoんgtんrsquo 문화 시

절에 lsquo코메쌀rsquo와 함께 젓갈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물은 완두콩

(grakhgorokhgrašak)과 광(穬)갱(秔)으로 불리었던 쌀(んgtㄴgtㄹgtgt쌀)

그리고 활(秮)이었을 것이다

완두콩을 뜻하는 체코 어 hraacutešek 에스토니아 어 herned( 완두 hernes 콩 oad) 핀란

드 어 herneet(콩pavut)은 인류 농경문화 초기 용어이고 이는 한국어 lsquo훑다rsquo le마경下83

ge (사람이 식물의 줄기를)알갱이 따위를 떼어 내기 위해 다른 물건의 틈에 끼워 잡아당기

다와 관계있고 이 말은 곰(bear)의 원(原)인도유럽어원 h₂ŕtḱos와 어근이 같다 이를 통

해 후기구석기 시절 자연에서 손으로 훑어 채취하던 대표적 식물이 완두콩 종류임을 알 수

있고 이것을 재배콩으로 개발하여 퍼뜨린 것이 완두콩을 뜻하는 불가리아 어 grakh 러시

아 어 gorokh(완두 gorokh 콩 fasol) 크로아티아 어 grašak 세르비아 어 grašak이다

그리고 이 말(gorokh)은 한국어 lsquo고르다rsquo lsquo가리다rsquo (사람이 음식을)좋아하는 것만 골라

서 먹다 (사람이 곡식이나 땔나무 따위를)단으로 쌓아 더미를 짓다 lsquo기르다rsquo와 기본음이

같으니 자연에서 훑어온 것을 쌓아 놓고 먹을 수 있는 것을 골라 가려 낸 것이

grakhgorokhgrašak(완두콩) 이고 나중에 이것을 기르는 법(재배법)을 개발하였을 것이

다 이를 통해 인류 초기의 농작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재배 작물이 되었는지 대략 짐작할

수 있는데 재배벼가 나오기 전에 자연완두콩(hraacutešekherned herneet)을 먼저 먹었고 나

2 문화시대 22

중에 재배(완두)콩(gorokh)이 개발되었고 이 기술을 바탕으로 활(秮)과 재배벼 (쌀)을

개발한 것으로 정리된다

재배벼의 가장 초기 연대가 대략 17320년 전의 것으로 측정되는 것을 볼 적에 이러한

농업혁명은 25000년 전 사르탄 빙기의 시작과 함께 시도되었고 18000년 전의 대혹한을

계기로 유사벼 수준으로 발전을 하였고 15000년 전에는 재배벼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신

북리 유적지 유물과lsquo소로리의 볍씨rsquo를 볼 적에 그러한 변화를 선도하였던 곳은 한반도 남부

를 중심으로 한 지역 아마도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오키나

와 일본 후쿠이 동굴 유적지에 이르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BC 12700년 후쿠이

현의 그릇에 담긴 작물은 아마도 완두콩 또는 활(秮)이었을 것인데 완두콩을 뜻하는 일본

어는 Endō mame이고 캄보디아어는 kar peas(완두 peareang 콩 sa nte k)이다 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에서 15000년 전에 원예작물로 처음 재배한 것은 kar peas로 불리는 완

두콩 종류였을 것이다

그리고 완두콩을 칭하는 러시아 어 goroh(완두콩 pea)의 어원에 대하여 ldquo인도유럽어

도 아니고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도 아니rdquo라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따르

면 goroh는 농경문화선진국이었던 원(原)한국어 지역에서 전파된 것 확실하다 이와 관련

해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한국어 le월석1044ge이다 의 현대어는 가루(분(粉)이

고 이것의 일본어는 konaこな(粉)이다

kona의 음은 lsquo흰죽(-粥)rsquo의 제주 방언 lsquo곤죽rsquo에서 볼 수 있다 일본어 komeこめ(米)를

참고하면 곤죽은 흰 쌀죽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Kona와 Kome의 음은 ん 으로

표기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콩(豆)으로 읽힌다 곤죽은 쌀로만 쑤는 것이 아니라 콩을

갈아서 만든 콩가루로도 쑨다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면 완두콩을 갈아서 콩죽을 먼저 먹었

고 다음에 komeこめ(米)를 갈아서 만든 lsquo곤죽rsquo을 먹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것이 인도의 Kheer이다 Kheer은 끓인 쌀죽 소맥 가루 타피오카 또는

우유와 설탕을 곁들인 베르미첼리 milk rice ghee sugarjaggery Khoya로 만든 남아시

아 쌀 푸딩이다 이는 힌두교의 많은 축제나 축하연에 필수적으로 제공되고 인도의 기독교

신자들은 크리스마스 정찬에 디저트로 제공된다 걸쭉한 죽인 Kheer의 이름

(kṣīrakhīrKhirikheer)을 참고하면 이것의 원래 이름은 lsquoㄹrsquo이고 이를 통해 후기

구석기 시절부터 자연에서 훑어온 콩이나 귀리를 곤죽으로 만든 것이 최초의 (kṣīrakhīrKhirikheer)의 시작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곤죽은 죽(Kheer)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이 사실과 lsquo그릇rsquo

lsquoClay(점토)rsquo lsquo(밭을)갈다(경작耕作)rsquo lsquo갈다(grind 마(磨))rsquo 등의 단어에 공통적으로 들어있

는 lsquo ghrei- to rubrsquo을 참고하면 Kheer은 lsquo농경 토기 사용rsquo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앞

섰던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영어 cereal은 곡물(穀物)곡식(穀食)을 생산하는 풀(grass) 종류를 나타내는데

어원은 ker- kerē-to grow이고 grow의 어원은 ghrō-to grow이고 grass는 여기에

서 파생된 것이다 grow의 어원 ker- kerē-은 원(原)한국어 lsquo갈다rsquo lsquo기르다rsquo라는 말을 그

대로 음역한 것이다 이렇게 한국어와 영어의 어원이 일치하는 것은 10000minus15000년 전

에 lsquo원(原)한국어문화권rsquo에서 서쪽 지역으로 당시의 새마을 지도자들이 개와 곡식 씨앗을

가지고 유럽의 서쪽 끝 아프리카의 서쪽 끝까지 갔었기 때문이다 당시 이주자들은 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였는데 그 노선 상에 lsquoんrsquo으로 불리는 작물 이름 lsquo코메쿠미카오

(rice)rsquo가 있다

(2) 1)

는 Kaka KiKi Koko Kuku Caca Coco Cucu 등으로 표기되었는데 가장 풍부

한 자료가 담겨있는 Kuku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KukuCuacutecu)가 무엇과 관련 있는 것인지는 로마의 카쿠스와 카카(Cacus Caca)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Cacus는 Vulcan의 아들이며 불을 내뿜는(fire-breathing) 거인이

고 Caca는 그의 누이 동생이다 이를 통해 는 화산을 신격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인류가 화산 지대에서 살았던 시절 최고로 강력한 화산 신을 lsquorsquo로 불렀던 것인데 그

흔적은 스코틀랜드 어 (Kai fire )와 북(北)게르만 어 Kai(keeper of the keys

earth)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화산은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데 그것을 장

악하고 있는 막강한 열쇠지기가 였던 것이다

문화의 전파를 찾아보면 Kiki(Iran의 마을폴란드 Łask군과 Poddębice군의 마

을) Ki Ki( 남 오스트레일리아 마을) Kuku(이란 Kermanshah주의 마을에스토니아 마

을) Kuumlkuuml(아제르바이잔 마을) Kuku YulanjiKuku Nyungkal(오스트레일리아 북 퀸즈랜

드의 원주민) kuku(서아프리카 음악) coco( 서아프리카 앙골라 출신 흑인노예들이 전한

브라질 민속음악) Kuku Lau(폴리네시아 신화에 나오는 신기루의 여신) kākā (마오리 어

parrot 앵무새 lt 마오리어 kā to screech) 페루의 Titiqaqa(Teteqaqa Teteqaqa)

등등이 있다

그리고 lsquo와 ()rsquo의 음과 닭(몽골어 takhiany makh)을 뜻하는 이그보 어

ọkụkọ(=ọ+kụkọ) 스와힐리 어 Kuku 힌디 어 Cikana 타밀 어 Kōḻikkuntildecu 베트남어 gagrave

태국어 Kị 몽어 Nqaij qaib(=N+qaij qaib) 라오어 kai 영어 cock 한자어 계(鷄)등을 고

려할 때 를 상징하는 동물은 Ku Ku(鷄)였고 독일어 Himmel(天) 아이슬란드어

himinn(天) 영어 hen(암탉) 독일어 Haumlhnchen(닭hen) 핀란드 어 kana(鷄) 등을 보면 닭

은 ん 문화 시절부터 천신의 상징 동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문화에서 이와 관련된 것을 살펴보면

ldquo천축인(天竺人 인도인)이 해동(海東)을 일컬어 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라고 하는데 구구타(矩

矩吒)는 닭(雞)을 말하고 예설라(䃜說羅)는 귀(貴)를 말함이다《삼국유사》rdquo는 기록이 있다

ldquo【범】 Kukkua 구구타(矩矩吒)라고도 씀 계(鷄)라 번역 [2] 계윤부(雞胤部)의 범명(梵名) rArr계윤부(雞

胤部)rdquoldquo屈屈吒阿濫摩(굴굴타아람마)범】 Kukkua-ārāma 계원(雞園)이라 번역 계작사(雞雀寺)ㆍ계두말

사(雞頭末寺)ㆍ계사(雞寺)라고도 한다 인도 마갈타국에 있던 절 이름 아육왕(Bca 3세기 경) 창건 당시

의 명승이 이 절에 많이 있었다rdquo《불교용어사전》(동국역경원)

2 문화시대 24

구구타[鳩鳩吒]에 대한 설명을 보면 lsquo구구타rsquo는 산스크리트 어 Kukkua를 번역한 것인

데 Kukkua에는 타(吒[zha zha]꾸짖다 슬프다 뿜다 咤의 本字)의 음이 빠져 있다 그래

서 -ta타(吒)를 붙여보면 Kukkuata 가 되는데 인도의 기록에는 Kukkuata 보다는

Kukkuta 가 보인다 보통 산스크리트 어 Kukkuta는 닭(Cock also called Rooster)으로

번역되니 《삼국유사》에 나오는 lsquo구구타rsquo는 Kukkuta를 번역한 것이고 계(鷄)를 뜻한다

그리고 인도 문화에 많은 영향을 준 조로아스터교의 교리에 가금류의 새들 중에서 수

탉(cock)은 가장 신성한 동물로 광명과 악에 대항하는 선의 상징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

러한 문화는 2000minus700 BC 경의 전설적 왕조(Kayanian also Kays or Kayanids or

Kaianids or kiani)에서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터키어 goumlk(天) 아제르바이잔 어 goumly((天) 산스크리트 어 Kukkuta를 보면 아

나톨리아 고원 일대에서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 문화가 성행

하였음을 알 수 있고 이 문화는 인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타밀 지방의

Kukkutarma(Kukkua-ārāma 계원(雞園) the ruined city of the cock)를 거쳐 한반도 지

역으로 전파되었었고 Kukkutarma를 신라어로 번역한 것이 lsquo계림(鷄林)rsquo으로 보인다

ldquo탈해 니사금 때(AD 65《삼국유사》에는 AD 60)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

고 확인시켜보니 금궤(金櫃)가 걸려 있는 나무 아래에 흰 닭이 있었다 궤를 열어보자 용모

가 단정한 아이가 있었는데 이가 김알지(金閼智)이다 탈해 니사금은 시림을 계림(鷄林)이

라 고치고 그것을 국호로 삼았다rdquo는 것을 참고하면 이 문화(구구타예설라)는 타밀 지방

Kukkutarma를 거쳐 한반도로 온 김알지 집단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국호 계림(鷄林)은 탈해니사금(재위 57minus80)이 정한 것이고 307년 기림이사금(基臨尼

師今(재위 298minus310)이 lsquo신라(新羅)rsquo로 다시 정하였다 이를 참고하면 신라의 구구타예설

라 문화는 탈해 니사금 시절 흰 닭을 상징으로 하는 김알지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어 307년

까지 성행하였던 문화로 볼 수 있고 이 시기에 lsquo김알지rsquo 집단은 구구타예설라로 자부하였

을 것이다

그리고 당시 구구타 문화족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

였는데 이는 lsquo예설라(䃜說羅)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삼국유사》에는 lsquo예설라(䃜說羅[shuo

shuigraveyue ][luo])rsquo를 lsquo귀(貴[guigraveguǐ]귀하다 신분이 높다 값이 비싸다 소중하다 빼어나

다 우수하다 귀히 여기다 귀하게 되다)rsquo의 뜻이라고 하였는데 사성음을 고려하면lsquo예설라

([shuoshuigraveyue][luo])rsquo는 lsquorsquo로 표기할 수 있고 이 발음과 유사한 단어는 스와힐리

어 halisi 아랍 어 أصيلة[Asilah] 말레이시아 어ㆍ인도네시아 어 sahih 자바 어 asli가 있

는데 lsquo정통authenticrsquo이란 뜻이다 이 중에서 아랍 어와 자바 어가 lsquo예설라rsquo의 음에 근접

한데 이를 참고하면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는 lsquo진정한 구구타 정통 구구타rsquo로 해석

할 수 있고 이는 lsquo귀(貴)한 구구타rsquo와 통한다

그리고 lsquo구구타예설라(矩矩吒䃜說羅)rsquo와 같은 어법으로 된 단어로 말레이시아 어 Orang

Asli가 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가장 오래된 18부족의 원주민을 부르는 말이다 Orang은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로 lsquo사람(person)rsquo을 뜻하고 Asli는 lsquo본래의(original

natural)rsquo이란 뜻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자바어 asli authenticlsquo예설라rsquo와 같은 의미로 보

면 된다 말레이시아 어middot인도네시아 어 Asli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이 예설라(䃜說羅)이다

그리고 ldquo남동부 습지에 자리 잡은 에리두 근처의 도시 쿠아르의 신이다 정화를 위한 마술 의식에서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신 엔키(아카드 어로는 에아)와 함께 활동한다 사람을 흠뻑 적시는 아살이라는

이름이 암시하는 대로 원래는 뇌우(雷雨)의 신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다른 수메르의 신 이슈쿠르나 니누

르타와 대등한 신이었을 것이다 주문(呪文)에서는 대개 천둥구름으로 가장하고 세상을 둘러본 뒤 가장

먼저 엔키에게 세상에 존재하는 악들에 관심을 돌리게 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훗날 바빌로니아의 신 마르

두크와 동일시되었다rdquo《브리태니커아살루에 Asalluhe]》

는 내용을 참고하면 lsquo예설라rsquo는 아살루에(Asalluhe)와 관계있을 것 같기도 하다 뇌우의 신

Asalluhe가 온 세상을 울리는 우레의 소리가 lsquo우르르 쾅쾅rsquo이라면 Asalluhe 마냥 어둠의

밤을 젖히고 광명의 새벽을 알리는 닭 울음소리 lsquo꼬끼오 꼬꼬덱 꼬꼬rsquo는 하늘의 뜻을 알

리는 신성한 외침이다 이 점에서 닭이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자연스러운 문화 현상이

메소포타미아 지역 고(古) 바빌로니아의 부조로 추정되는 여신상이 있다 여신은 등 뒤

에 (닭의) 날개를 달고 닭의 발을 하고 손에 pasa(올가미) 또는 이집트의 Horus 신의 두

손에 쥐여 있는 둥근 고리(shen ring 으로 불리는데 이집트 어 shen은 encircle 이라는

뜻)를 쥐고 있다 이 여신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풍요

ㆍ전쟁ㆍ사랑ㆍ성애(sexuality)의 여신인 Ishtar의 손에 올가미가 쥐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닭의 발 장식을 한 여신 또한 아마도 Ishtar 여신이 아닐까 추측되어지고

있지만 밤의 여왕으로 불리는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흥미로운 것은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여신이 닭의 발을 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닭을 신의 대리자 또는 상징동물로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닭의 발을 고려하면 이 신은

lsquo구구타rsquo와 관계있을 것이니 이 여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일 수도 있다 아마

도 이 문화가 인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lsquo구구타예설라rsquo로 정착되었고 신라 지역에까지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올가미를 쥐고 있는 Ishtar 여신 부조(좌)

lsquo밤의 여왕rsquo으로 불리는 고(古)바빌로니아

시대 여신 부조(중) 여신의 손에 올가미가

있는 것으로 보아 Ishtar 여신상과도 관계있

다 날개를 달고 있는 여왕의 좌우에 지혜를

상징하는 올빼미가 두 마리 서 있고 사자 두

마리가 닭발로 묘사된 두 발 받침대로 앉아

있다(우)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신은 아살루에(Asalluhe)일 가능성이 많다

ltIshtargtlt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gt

도표11⦗Ishtar 여신상과 닭발 밤의 여왕⦘《wikipediaIshtarBurney Relief 또는

Queen of the Night Relief 》

문화는 나중에 (Bari) 문화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수단 남부에는 Bari 족 집단의 일부분인 Kuku 부족이 있는데 그들은 중앙 적도 주(州)

2 문화시대 26

의 Kajo Keji 군에 있는 농업 지대에서 혼합농업을 하며 살고 있다 그들은 Bari 방언을

사용하는데 Bari 방언은 Kuku 어로도 불리어진다 이는 수단 남부에서 Kuku 문화와 Bari

문화가 만나 공존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메리카 콜롬비아의 북동 지역에 있는 Norte

de Santander 주의 주도 Cuacutecuta(Spanish [ˈkukuta]) 지역의 원주민이 Bariacute(people)

족이다 콜롬비아의 Cuacutecuta는 Bari 족의 언어로 lsquo악귀의 집rsquo(The House of Goblins)을

뜻하는데 이는 악귀처럼 괴롭히는 지배자의 집이라는 뜻이다 보통 어미의 ndashta는 존칭접미

사 또는 장소(땅地[digravede di])를 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uacutecu는 문화시절 신 또는

신인통치자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렇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문화와 Bari 문화가 같이 있다면 아시아 지역에

서도 그러했을 것인데 이 둘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도 볼 수 있다 인도의 Bari 족은

Rajput와 Kshatriya 계급의 하위 계층(caste)이고 인도에 Kukkuta( Kukkua) 문화가

있었다 한국의 무속에는 lsquo바리데기(宅) 공주rsquo로 등장하는데 인도인은 신라를 구구타예설

라로 부른 적이 있었다

2)ん

의 존어 ん(ん)는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서 사용되는 전통의

상 lsquokanga (or khanga)rsquo와 탄자니아 Chunya 지구에 있는 Kanga 마을의 이름에서 볼 수

있다 이 지역의 북쪽 수단 북부 Nuba 산맥에 소수 부족 Kanga가 살고 이들은

Nilo-Saharan 어에 속하는 Kadu()어의 서부 지역 방언인 Kanga 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동부 대호수 지역의 ん 문화인이 중앙ㆍ서아프리카 지역으로 진출하여 남

긴 것이 Congo 강과 Congo 왕국 Congo 인의 이름이다 ん(Congo) 문화는 동부 대

호수 지역에서 콩고 강이 흘러내리는 중앙아프리카 지역을 거쳐 서아프리카 해안에 이르는

아프리카 중심부의 광대한 지역에 퍼져 있다 이곳의 Kongo 왕국에는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 계층이 있다 nganga는 N+ganga(ん+ん)에서 유래된 말인데

이들은 콩고 분지의 반투 족들 사이에 신봉되는 ん(Nkisi (aka Nkishi) (plural

varies minkisi zinkisi or nkisi [concords with mi-] according to dialect)신을 모시고

있는 무사(巫師)집단이다 (N+kisi) 신의 어근은 -kitį- 이고 하위 신으로 Nkondi

(plural minkondi zinkondi or nkondi with mi-concords according to dialect)가 있다

-konda( 사냥하다to hunt) nkondi(사냥꾼hunter)를 보면 이들은 수렵생활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아프리카 다음으로 lsquoん-rsquo문화가 사회에 널리 영향을 끼친 것은 인도 주변 지역인데

아프리카의 콩고 강에 해당하는 인도 동부의 갠지스 강(The Ganges ( ˈ ɡ aelig n dʒ iː

z GAN-jeez) also Ganga([ˈɡəŋɡaː] GUNG-ga)에 큰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강은 히말

라야 산맥의 강고트리(Gangotri) 빙하와 우타라칸드 주에서 발원하여 인도 북부를 흘러 벵

골 만으로 흘러드는데 강가(Gaṇgā)는 갠지스 강을 인격화한 여신의 이름이고 《마하바라

타》에 나오는 북인도 Kuru 왕국의 신의 이름이기도 하다

Kuru 왕국이 있었던 Bikaner 주에는 Punjabi와 Bagri 문화가 지배적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이 지역 대부분의 사람들이 Hindu 교도와 Sikh 교도이지만 Ramdevji와 Gogaji와

같은 민간 신앙이 있고 그들의 사원인 khanghahs를 방문한다 Bagri 여성들의 전통 의상

은 긴 셔츠와 긴 덧옷 형태의 ghaghro이다 이들의 사원인 Khanghahs (حسینیه)는 이란 내

수피들의 이슬람 사원을 칭하는 말이기도 한데 حسینیه는 아랍 어 발음으로 Ḥsynyh 영어식

으로는 Hosseinie로 발음된다 Khanghahs는 ん 신을 모셨던 그들의 사원을 칭하는

말이고 신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lsquoGaṇgā Gogaji ghaghro 그리고 갠지스(Ganges) 강

의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왕조의 이름이 인도의 마이소르 주(강가바디)를 다스

린 서(西)강가(Ganga) 왕조(250minus1004경)와 칼링가 지역을 다스린 동(東)강가 왕조(1028

minus1434sim35)이다 인도의 ん 문화인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여 남긴 것이 말레이시아

Perak 주의 Gangga Negara이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로 lsquo갠지스 강가의 도시rsquo를 의미하는

데 Gangga Negara의 역사는 Kambuja 인들이 살았던 인도 서북 라자스탄 주의 최북단에

있는 Ganganagar에서 찾아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인도 북부 강고트리 지역 너머 지금의 우즈베키스탄 일대(the Talas basin Tashkent

and Sogdiana)에 강거(康居)가 있었다 이 나라는 소그디아나의 북쪽에서 타슈켄트를 수

도로 삼고 전한(前漢)시절부터 당대까지 존속했었다 이와 한자의 음이 같은 남 흉노의 선

우 강거(羌渠 minus188)가 있었다 나라 이름과 왕의 이름은 신의 이름과 일치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lsquo강거rsquo는 ん(강가(Gaṇgā) 신(神)과 관련이 있고 이는 중앙아시아 초원지대

에 ん(ん) 문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던 흔적이다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에 강

강수월래가 있다 이는 lsquoんんん(ん)rsquo신을 술래(수라)로 모시고 행하는 의식

에서 비롯된 것이다

(3) 1)

gt (hūta Hada) (ǥuđaacuten ǵʰu-toacute-m God) (Sata Santa Satan)

에서 유래된 신의 명칭lsquo rsquo는 한 지역에서도 서로 뒤섞여 나타나기 때문에

정리하기가 힘든데 일단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단어 God을 중심으로 를 살펴본

독일어 계통의 어원학에서는 God 이라는 단어를 ǵʰeu- to pour libate 헌주(獻酒)

제주(祭酒)를 올리다 또는 ǵʰau- (ǵʰeuh2-) to call to invoke고(告)하다 기원하다

gt 원(原) 독일어 ǥuđaacuten 원 인도유럽어 ǵʰu-toacute-m gt God 으로 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ǵʰau - (ǵʰeu h2-)는 한자어 고(告[ga o]알리다 묻다 안부를 묻다 가르치다

깨우쳐 주다)로 적을 수 있으니 God이라는 말은 lsquo하늘에 제주(祭酒)를 올리면서 인간의

소망을 고(告)하는 의식rsquo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늘의 God에게 드리는 제사에는 희생(犧牲)이 필요한데 산스크리트 어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rsquo와 한

자어 희생의 희(犧[xī])와 신(God)을 뜻하는 ǵʰu-toacute-m과 페르시아 어 kẖdạ의 발음을 보

면 God의 원(原)어원은 lsquo()gt()rsquo인데 이것은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 잘

2 문화시대 28

정리되어 있다

ldquo그루지야 어에서 hati는 lsquo성스러운 신령한 성소rsquo를 의미하며 옛날에는lsquo신rsquo을 뜻하였다 그런데 그루지야

어의 hati에는 lsquo십자가rsquo라는 뜻도 있다 십자가는 초기 신석기 시대 종교에서 지신의 징표였다하티아

어의 katte는 lsquo신rsquo을 뜻한다 아드게이 인들의 바다신은 kodes 인데 그 말은 lsquo성스러운rsquo을 의미하였다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아프리카-중ㆍ근동

Koteka와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ん 문화를 살펴보면서 Kadu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고 있음은 보았다 (Kadu)는 다음 시대 여름 기후조건에서 형성된 문

화어이다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Koteka=Kote+ka)가 있다 Koteka는 아

프리카 적도대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 뉴기니아파푸아 서부 고원 지역의 원주민이 착용하

는 자지보호기구인데 보통 호리병박(Lagenaria siceraria)으로 만들지만 Nepenthes

mirabilis으로 만들기도 한다 이것의 모양은 자지에 콘돔을 끼운 것처럼 생겼다 이것을

horinm이라고도 하는데 horinm은 lsquoんrsquo을 음역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고 ん은

( Holy)의 존어 표현이며 horin의 형태로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다 이를 통해 lsquoㄹgtrsquo 문화시절부터 horinm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호리병박을 horinm

과 음이 비슷한 호로(葫蘆 huacutelu) 또는 호자(葫子 huacutezi)로 불렀는데 건강의 상징이었고

고대 의사들은 이 속에 약품을 넣어 다녔다 의학적으로 이것에는 쿠쿠르비타신

(cucurbitacin)으로 불리는 스테로이드의 일종 성분( cytotoxic)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쓴

맛이 난다 아마도 호리병박으로 자지보호기구인 Koteka를 만든 것은 이러한 의학적 성분

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파키스탄의 우루두 어로 녹색의 어린 호리병박을 Lauki 늙은 노란 호박을 kaddu 라고

하는 것과 god(신)을 페르시아 어로 kẖdạ 타밀 어로 Kaṭavuḷ이라 하는 것을 볼 적에

Koteka는 처음에 신의 대리자인 신성한 신인들이 착용하는 것이었는데 차츰 차츰 일반화

된 것이다 Koteka를 착용한 성인은 부족을 보호하는 책임과 그에 따른 권위를 부여받는

힌두교의 자나이(Janai)와 음이 비슷하면서 Koteka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단어로는

일본어 자네(ざね근본이 되는 물건 원물의 뜻을 나타낸다 정말 그것이라는 뜻을 나타낸

다 그 사람 자신)와 한국어 자네(나이가 많은 말을 건네는 사람이 나이가 어린 사람을 높

이어 부를 때 쓰는 2인칭 대명사対等middot目下の相手を指す語 君 お前)가 있다 종합하자면

lsquo자네rsquo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씨앗을 담고 있는 근본이 되는 물건을 Koteka 용기 속에 잘

보관하고 있는 신의 부름을 받은 사람으로 존중하여 대해야 할 사람을 부르는 말이다

그리고 호리병박으로 만드는 Koteka와 늙은 호박 Kaddu 이외에 의 음이 들어가는

식물로는 칡(갈(葛[ge ge ]kuduz)이 있다 칡뿌리는 식량으로 매우 좋은 재료이고 lsquo오한

발열 몸살근육통 두통 감기rsquo증상에 좋은 치료재인데 이것을 주로 하여 처방한 것이 갈근탕

이다 모기가 옮기는 무서운 질병인 학질(malaria paludism ague)을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찾기 쉬운 재료가 칡이다 그래서 lsquo칡rsquo에는 생명을 뜻하는 Chi 음이 들어가고 이를 신의

선물로 여겨 Kuduz(gt + 존칭접미사)로 부르는 것이다

이를 통해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Koteka는 모기로부터 생명의 씨앗을 보호하기 위한 기구이고 Kuduzu 칡(넝쿨)은 비상 의

약품이었던 것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는 원시 사회의 주술사이면서 의사였던 지도자들은

사람들에게 각종 질병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도록 예방과 치료의 성능이 있는 식물넝쿨을

몸에 걸어주었을 것인데 이는 신의 축복을 내리는 것과 같다 이렇게 생명의 보존을 위해

파리(cheche)나 모기가 달라 들지 못하도록 향신료 줄기를 몸에 감싸고 다녔던 문화는 이

슬람 문화권의 여성이 외출 시에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chador lt Kuduz)에 남아 있다

Koteka와 칡넝쿨(kudzu vine)은 lsquorsquo 문화시절부터 내려왔고 이것을 세련되게 풍

속화한 것이 생일ㆍ결혼ㆍ장례식ㆍ손님의 환영과 환송 그 외 공적인 여러 가지 행사에 사

용되는 티베트의 카딱(Katag)이다 이를 몽골어로 [xɑtk] 중국어로 하다(哈達[ha ha ha

][data ])라고 하는데 lsquorsquo가 원어(原語)이다 티베트의 카딱은 비단 천을 이용해서 만드

는데 색깔은 하얀색(구름) 파란색(하늘) 녹색과 빨강 (강과 불법을 관장하는 신) 노란색

(땅)의 다섯 가지이다

티베트 문화를 수용한 몽골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푸른색을 주로 사용하는데 사람뿐만

아니라 일종의 돌무덤 서낭당인 어보(ovoos) 불탑(stupas) 또는 특별한 나무(당산나무)

그리고 바위에도 이것을 감아서 장식한다 그리고 중앙아시아시베리아에서는lsquo뀌이라rsquo로

불리는 푸른색 천을 감아 장식하기도 한다 북아프리카 투아레그 족은 푸른 천으로 머리부

터 몸을 감아 장식하는데 이를 Tagelmust라고 한다

물병 (청동기시대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lsquorsquo음과 관련된 것을 찾아보면 서아프리카 Niger 강이 흐르는 지역

의 베넹 공화국에 Ketu로 불리는 역사적 지명이 있다 Ketu는 Oyo 족의 신화적 역사에

나오는 일곱 왕국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Yoruba Oyo 족들의 일부분이

었던 Gbe 사람들의 역사상 중심 지역이었다 그래서 Ketu는 인류의 고향(originhome of

humanity)이라는 의미의 아메조페(Amedzofe)로도 불린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동아프리카의 Kadu 어 사용자들이 사는 곳에서 서아프리카의

Ketu 지역 사이에 아프리카의 문화가 성행한 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슬

람 신앙과 문화에 대항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서아프리카 카메룬 일대의 여러 원주민

부족들(The Bata Fali Fata Gemjek Guidar Giziga Hurza Kapsiki Mada Mafa

Massa Matakam Mofou Mora Mousgoum Muyang Ouldeme Podoko Toupouri

Vame Zulgo)은 모두 lsquoKirdirsquo로 간주된다

이는 1826년 Denham이 무하마드의 신앙을 결코 수용하지 않는 흑인들(Negroes)을

Kerdies (gtgtKirdi)라는 말로 번역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원래 무슬림이었던

Kanuri 족이 이교도를 칭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무하마드와 알라가 아닌 신( God)을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이슬람이 아닌 모든 아프리카 전통신앙을 통칭하여

lsquorsquo로 부른 것이니 이를 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얼마나 큰 문화적 영향을 끼

2 문화시대 30

쳤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lsquo물rsquo과 관련된 단어를 찾아보면 lsquo물병

물 컵 물그릇rsquo의 뜻이 있는 단어는 주로 lsquo(=+존칭접미사)rsquo로 되어 있고 이것의

발음은 God God의 어원 ǵʰau- ǵʰeuh2- ǵʰu-toacute-m 음과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를 통해lsquo생명수의 물병을 쥐고 있는 존재rsquo를 로 불렀음을 알 수 있는데 원(原)인도유럽

어 어근 kad- (to lay out fall or make fall yield break up)의 동종어가 산스크리트

어 sad- (to fall down)라는 것을 통해 천둥번개를 일으키고 비를 내리게 하는 자를 lsquogt rsquo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로 불리는 물병 관련어

Proto-Semitic kad-ah- vessel Arabic kadah drinking bowl cup goblet glass

tumbler Sabaean m-kdh(mn) cup Ethiopic Geez kadho vessel gourd ma-kdeht

jar jug bucket Lowland East Cushitic kadad- vessel gourd Oromo kodaa

vessel gourd Egyptian qd pot Lowland East Kushitic kod- receptical Oromo

kodaa receptacle West Chadic kwad- calabash Dangla koda pot gives

Proto-Afro-Asiatic kud-kod- Vessel pot《WikipediaAfro-Asiatic languages》

언어표21⦗물병 ⦘

다시 정리하자면 (God)는 하늘에서 지상으로 물을 내려주는lsquo물병을 쥔 존재rsquolsquo번개

를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자rsquo인데 그가 지상에 내려와 호수와 강물 속에 들어가 있으니

물과 관련된 신은 로 불리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우제를 지내고 강과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지도자를 로 불렀고 이와 관련된lsquorsquo 본연의 소박한 의미는 아프가니

스탄 동부와 파키스탄 북부에서 파슈툰( Pashto )족들이 사용하는 말 Khuda( 또는 Khoda

guide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는 부족의 생존을 위해 안내해주는 자였는데 나중에 사산조 페르시아 시기에 씨족

의 족장이란 의미로 인도 서북부 지역에 널리 사용되었던 Khuda라는 말로 되었고 더 나중

에 Khuda는 lsquo안내자rsquo에서 lsquo주(主 Lord) 또는 하느님rsquo(영어 God 페르시아 어 kẖdạ)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그리하여 Khuda Hafiz (주는 너의 보호자이시리니)라는 말은 페르시

아 우르두 쿠르드 파키스탄 아프간 이란에서 통상 사용되는 말이다 (Middle Iranian

xvatay xwadag meaning lord ruler master (written as Parthian kwdy Middle Persian kwdy

Sogdian kwdy etca)

그리고 에서 파생된 신의 이름 를 부족명으로 한 것이 Gutians (ˈɡuːtiənz

also Guteans Guti Quti Qurtie Qurti and Kurdu)이다 수메르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쿠르디스탄으로 불리는 자그로스 산맥 중앙( 바빌론 동부ㆍ엘람 북부) Gutium or

Qutium (수메르 표기 Gu-tu-umki or Gu-ti-umki) 지역에서 온 신을 공경할 줄도 모르는

야만스럽고 게걸스러운 lsquo촌놈rsquo들이었다 이들이 세운 Gutian 왕조는 2150 BC 경(Ur-Utu

(or Lugal-melem) of Uruk 말기)에 아카드를 무찌르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패권을 잡았

으며 2050 BC에 막을 내렸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없고 언어도 기존 사람들(Sumerian

Akkadian Hurrian Hittite and Elamite)과 달랐다 이들이 누구인가는 Imta or Nibia 로

불리는 왕(ca 2138minus2135 BC)의 이름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Imta(=Im+ta)는 lsquorsquo

로 아프리카 탄자니아 계곡의 문화와 관계있고 Nibia는 lsquorsquo로 나일강 상류의 누비아

지역과 수단의 Nuba 산맥 South Kordofan 주에 살고 있는 누바 문화인과 관계있다

Nuba Hills에 자리 잡고 있는 Kaduqli( 고을)이 Kordofan 주의 주도이다 이를 종

합하면 쿠르디스탄의 Gutians은 동부아프리카에서 자그로스 산맥 지역으로 이주하였던 사

람들의 후손으로 볼 수 있고 청동기 시대 문화시기에 세력을 떨쳤었다

인도

신(god)을 뜻하는 페르시아 어 kẖdạ 타밀 어 Kaṭavuḷ를 보면 문화인은 페르시아

지역에서 인도로 내려간 것을 알 수 있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 가 있다 Kannada kadu

(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

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 집단의 구성원은

현재 Andhra Pradesh Karnataka Maharashtra and Tamil Nadu 등지에 살고 있는데

Dhangar Hatkar and Telwar Lingayat로도 불리어 진다 이 중에서 Hatkar (구식이름은

HattiKara or Barhatta BaraHatti)은 양을 치며 살아가는 전사 부족인데 Maharashtra

Madhya Pradesh Gujarat Karnataka and Andhra Pradesh 주에서 주로 살고 있다

HattiKara( 겨레)는 이들이 문화족의 후예라는 것을 의미하고 Kadu

Kuruba는 이들이 문화족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들의 주된 생업이 양치기라는 것은

이들의 뿌리가 아프리카 동부 고원의 영양 kudu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에 있

는 이들은 후기구석기 시절에 유목민 방식으로 양을 치면서 이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생

활방식을 완고하게 지켜오고 있는 lsquogtrsquo문화족으로 볼 수 있다

타밀 나두의 Coimbatore 도시의 Vellalur 지역에 KaduKuttai라는 작은 곳이 있는데

lsquo사막 연못rsquo이라는 뜻이다 이것에는 호수의 물을 관리하는 자가 (Kadu)이라는 매우 오

래된 lsquorsquo 본래의 의미가 남아 있다 이곳 역시 아프리카 사람이 남긴 지명으로 볼 수 있

다 이곳에는 매우 엄청난 양의 금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 연못에서 금을 채취했을

수도 있다

인도 동북부와 방글라데시의 문다 어에 속하는 Koda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데 이

는 이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족이 점점 없어진다는 것이다 Kadu people (Kado)은

미얀마와 중국 서남부 윈난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집단인데 그들은 Hani 족에 속하고

Kadu 어는 티베트-버마 어에 속한다 이렇게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이동한 문화인은 중국 서남부와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아시아에 정착하였다

동남아시아minus시베리아

중국 서남부와 동남아시아 북부 지역에는 Kadai 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의 일부분인 동남아시아의 Kra 어 집단(Chinese Gēyāng 仡央 short for Klaacuteondash

2 문화시대 32

Bouxyaeŋz)에 속하는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류큐(오키나와)의

명예스러운 타이틀 Uchina-gudhi( one who is slightly ahead)와 한국어 꼭두각시 발

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는 기온 상승기에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극동아시아 북부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이들이 한국 지

역에 남긴 lsquo꼭두rsquo[명사] [북한어] 1 정수리나 꼭대기2 물체의 제일 윗부분rdquo는 원래 지도

자 왕(the man)의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lsquo꼭두각시rsquo의 의미로 격하되었을 것이다

이들 문화인은 한반도를 지나 싱안링(興安嶺) 산맥 줄기의 초원지대에 정착하면서 문화를 남겼을 것인데 그들의 후손이 키탄(거란契丹 Khitan Qigravedān Khitai Kitan 또는

Kidan)이다 그들을 한국어로는 lsquo거란rsquo이라고 하는데 이는 언어적으로 lsquot-d-r-srsquo법칙이 적

용된 것으로lsquogtgtんrsquo의 과정을 거쳤고 한자음 중에 lsquo목단(牧丹)gt모란rsquo과 같이

음절의 초성 ㄷ이 ㄹ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키탄(거란)과 발해의 가독부 고구

려 대무신왕에게 항복한 구다국(句茶國)을 통해 한반도 북부 전 지역에 문화가 퍼진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가 있었던 지역은 대체로 요동반도 다롄(大連)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기차노선의 오

른 쪽 지역 흑룡강 이남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읍루 숙신 물길 말갈 여진 만주족으로 불렸

던 사람들이 살았던 지역이었고 부여ㆍ고구려ㆍ옥저가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곳에는 대체

로 약 6000년 전 기온이 상승하였을 때 남방 지역에서 이곳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의 후손

이 많이 살고 있는데 원래 이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은 더 북쪽으로 올라가 오늘날의 바이

칼 호 부근과 캄차카 반도 캐나다 북부 사이에 이르는 고위도 고원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

았다

이들 중 주목을 끄는 것은 바이칼 호 서쪽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 사이의 Ket 강을 중심

으로 살고 있는 Ket(러시아 어로는 Kety) 족이다 ldquoKetrdquo는 사람(man)을 뜻하고 복수형

은 deng (men people)이다 이들의 DNA 유전자는 티베트ㆍ미얀마와 그 부근의 사람들

과 가깝다 동남아시아의 Haplogroup N 사람들은 바이칼 호 주변으로 이주하여 현재 Ket

족으로 남았다 이들이 살고 있는 예니세이 강 주변에는 예니세이 어군으로 분류되는 lsquo케트

어ㆍ코트 어ㆍ아린 어ㆍ아산 어rsquo가 있었는데 현재는 케트 어만이 사용되며(사용자 약

1000명 정도) 이들의 언어는 시베리아에서는 고립어이면서 북아메리카의 알래스카와 캐

나다 서북부 일대에 널리 퍼져 있는 Na-Dene ( Nadene Na-Deneacute AthabaskanndashEyakndash

Tlingit TlinandashDene) 어와 매우 밀접하면서 베트남 어에 더 가깝다 시베리아의 ket 족

거주지의 서쪽 지역에는 Khanti(Hanti 또는 Khande Kantek Khanty) 족과 Kantotildek으로

불리는 족이 살고 있는데 태국 북부 치앙마이 지역의 전통음식을 칸똑(Khantok)이라 한

이것은 이들의 조상이 티베트와 베트남 사이 즉 미얀마 북부의 샨 고원을 중심으로 생

활하다가 북쪽으로 이주하면서 바이칼 호 서쪽으로 가서 정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리고 베링 해를 건너 아메리카로 이주한 사람들은 이전과 생활 조건이 비슷한 중앙아메리

카 지역에 많이 정착하였는데 그 중에 마야 문명인의 후예로 불리는 사람들이 과테말라

(Guatemala)를 중심으로 많이 살고 있다 ( 검색창Haplogroup N 도표2⦗mtDNA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와 도표3⦗Y-DNA Haplogroups에 의거한 인류이동로⦘의 지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에서 바이칼 호로 이동하는 표시 참조)

그리고 (the man)가 처음에는 God의 의미가 있는 신인(神人)의 명칭이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반 사람도 (Ket man)로 불렀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중

앙아시아 유목민의 지도자 명칭 lsquo탱리호도선우(撑犂孤塗單于)rsquo에서도 볼 수 있다 《한서》

lt흉노전gt에 ldquo 그 나라에서는 (지도자를) 탱리호도선우라 칭한다 흉노에서는 하늘을 lsquo탱리rsquo

라 하고 그 아들을 lsquo호도rsquo라 부른다 lsquo선우rsquo란 광대하다는 의미로 그 모양이 하늘같이 광대

하다는 것을 말한다rdquo고 적혀 있다

Tengri는 초원지대 유목민의 최고신을 지칭하는 말로 lsquo하늘rsquo을 뜻하는데 호도(孤塗

gūtu)에 대해서는 퉁구스 어lsquoquto 아들rsquo로 보는 의견이 있고 튀르크 어 qut idiqut(행복

신성)으로 보기도 한다 선우(單于)(chaacutenyuacuteShanyu 또는 Shanuy)는 유연(柔然 5sim6세기

몽골고원을 지배한 유목민족)의 사륜(社崙)이 군주의 존호로서 가한(可汗Khan)을 사용하

기 전(AD 402)에 약 8세기 동안 사용했던 군주의 칭호였는데 어원은 lsquoㄴgt

gtrsquo이다 이 말은 무당을 칭하는 한국어 lsquo이rsquo로 남아 있다

그리고 호도(孤塗 gūtu)를 (gūtu)로 발음한 것을 고려하면 lsquo호도rsquo는 ǵʰau- (ǵʰeu h2-) 또는 hu(희생 sacrifice)와 hūta(lsquo(신에게) 희생의 제물로 봉헌되어진(having

been sacrificed)에서 원래 의미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하느님께 받치는 번제(燔祭)

의 희생의식을 치르고 신에게 바쳐진 독생자가 lsquo호도rsquo인 것이다 그는 하느님을 대신하여

모든 사람을 다스리는 lsquo제정일치의 황제제사장 선우rsquo이다

흉노의 선우는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를 임명하여 국정을 운영하였

는데 ldquo골도후는 선우의 측근 가운데 최고의 역직으로 선우의 사절 자격으로 한나라 등과

의 외교 교섭을 맞는 한편 국내의 모든 씨족 및 부족의 동향을 감찰하고 재판 등에도 관여

하였고 군사지휘권을 가지고 있었다rdquo《흉노》(사와다 이사오 2007 p166) 그런데 골도

후(骨都侯[gugu][dudou][houhou])의 음이 호도(gūtu)와 같은 것을 볼 적에 골도후는

선우의 아들이나 가까운 친척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선우는 제사를 담당하면서 국정 전반

을 이끌었는데 이는 God에 해당하고 호도(골도후)는 정치군사를 담당하였는데 이는 god

에 해당한다

골도후(骨都侯[gugu][dudou][houhou])와 음이 비슷한 말로 발해의 왕을 칭하는 말

가독부(可毒夫[keke][du][fu])가 있는데 한자표기가 매우 다른 것은 시대 상황이 달랐기

때문이다 한자 뜻풀이를 참고하면 가독부는 lsquo병을 고칠 수 있는 사람rsquo lsquo죽일 수 있는 사람rsquo

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이는 제정일치시대의 지도자 의무(醫巫) 샤먼을 의미한다 가독부

에서 lsquo부(夫)rsquo는 골도후(骨都侯)의 lsquo후rsquo에 해당하는데 lsquo가독(可毒 [keke ][du]rsquo과 호도(孤塗

[gūtu]) 골도(骨都 [gu gu][du dou] )는 사성음이 lsquorsquo로 같다 뿐만 아니라 이는

하티아 어 Katte 또는 Kodes와 음이 같다 이로써 카스피 해 지역에서 연해주 지역까지

()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북유럽

lsquorsquo 문화인이 중동과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에 정착하였던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는

데 이들이 북유럽까지 갔던 흔적은 달을 쫒아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북유럽 신화의 Hati

2 문화시대 34

Hroacuteethvitnisson (first name meaning He Who Hates Enemy)의 Hati를 통해 알 수 있

다 그의 짝인 늑대 Skoumlll은 낮 동안 태양을 쫓아간다 Hati의 어머니는 거인 여성이고

Jaacuternviethr (Ironwood)의 숲속에 있는 Midgard의 동쪽에 살고 있다 이들의 자손이 스칸디

나비아 반도 남부 스웨덴 지역에 뿌리를 둔 고트 족으로 이들은 Gautar (Geats) Gutans

(Goths) and Gutes (Gotlanders) Gutaniz Geat로도 불렀는데 이 말은 Gautoz(Gautaz)

에서 유래되었다

Gutaniz와 Gautoz는 원(原)게르만 어 geutan(to pour )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의

인도 유럽어 어원은 gheu-d-( pour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어원은 Vaumlnern 호(湖)에

서 Kattegat 지역으로 물이 빠지면서 만들어진 Vaumlstergoumltland 지역의 괴타 엘브(Goumlta aumllv)

강의 이름과도 관련 있다고 한다 강의 이름은 인류 문화의 가장 근본적인 뿌리이기 때문

에 고트 족의 이름은 신(God)과 그의 상징인 물병을 의미하는 단어 lsquoǥuđ- rsquo에서 유

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역 부족 이름의 해석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Gautoz and Gutaniz를 lsquo금속

의 제련자 또는 인간을 창조한 대장장이rsquo라는 의미라고 한 Andersson (1996)의 견해이다

그에 따르면 고트 족의 조상은 제철 산업의 재료를 찾아 Jaacuternviethr (Ironwood)로 이주해

온 사람들인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는 엄청난 양의 제철원료가 매장되어 있다 고대에는

철을 다루는 자들이 지배층이었다는 점에서 그들은 철기 문화 시절의 신관이면서 제철 기

술자들이었다

아메리카

인도 유럽어 어원 gheu-d-( pour ) 북유럽의 Gutaniz의 단어와 관련이 있어 보이

는 것으로 북아메리카 컬럼비아 강 상류의 지류인 Kootenai 강(in Idaho Montana and

British Columbia)이 있다 그리고 이 강의 이름을 따서 Kootenai 인으로 불리는 원주민

들은 목재와 진흙으로 만든 옥수수 모양의 집에 살면서 수렵-채집과 연어잡이를 주로 하며

산다 이들은 Ktunaxa(영어 발음tʌˈnɑːhɑː) 또는 Kutenai (Englishˈkuːtᵊneɪ -ni)

Kootenai(미국 표기철자)Kootenay(캐나다 표기철자)로 불리는데 원주민(kutenai) 발음

tun-AH-hah([ktunʌχɑ])을 참고하면 lsquo(高)+ん--rsquo로 표기되는 ん 문화인으로

보이고 Na-Dene 인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아메리카의 문화인은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Guatemala(ˌɡwɑːtᵻˈmɑːləˌɡwaelig-ˌɡɑː-GWAH-tə-MAH-ləGWAT-ə-MAH-lə or GAH-tə-MAH-lə

Spanish [gwateˈmal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지역에 사람이 이주하여 정착한 연대는

BC 18000 BC 12000 BC 6500 BC 3500 으로 조사되어있다 BC 18000와 BC

12000에 이주 정착한 사람들이 아마도 동남아시아에서 출발하였던 Haplogroup N 집단

일 것이다

국명 Guatemala의 Guate는 lsquorsquo를 나타낸 말로 18000minus12000 BC 시기의

중국남부 Buyang (Chinese 布央语)어 qaethugrave (head)와 관계있을 것이고 BC 6500 시기

에 이주한 사람들은 북아메리카의 Na-Dene 문화인과 같은 시기부터 활동하였는데 이들

과 관계있는 것이 북아메리카의 tun-AH-hah([ktunʌχɑ])와 멕시코엘살바도르 일대에 주

로 살고 있는 Nahuas(ˈnɑːwɑːz)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mala는 -에서 유

래된 말로 3500 BC 시기에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문화이다 이들이 마야 문명의 직접적

조상이 된다

2)ん아프리카

()의 존어 ん(ん んんん)는 주로 KondaKunda 등으로 표

기되어 남아 있으며 이와 관계있는 스와힐리 어 lsquokonzi konde ngumi(=n+gumi)rsquo는 lsquo주

먹rsquo이란 뜻인데 콩고 분지 반투 어 Konda( to hunt)와 Nkondi(hunter)를 보면 ん

는 최고의 사냥꾼 대장을 칭하는 말이다 lsquo주먹대장rsquo 의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의 주인공 쿤타

킨테이고 그는 서북아프리카 감비아 출신이다 이 근처 모리타니아ㆍ말리ㆍ니제르ㆍ남

(南)알제리에 거주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유목민 집단 Kunta 족이 있으니 쿤타 킨테는 족의 킨테(주먹대장 지휘자)이다 이곳에서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가봉

의 Ogooueacute-Lolo 주에 Konda 마을이 있고 카메룬 북서 지역 Momo 지구에 Konda 마을

이 있고 앙골라 Cuanza Sul 주에 Conda 마을과 자치체가 있다 대체로 서아프리카 해안

지역 농경이 편리한 지역에 마을이 있다 동아프리카 잠비아ㆍ짐바브웨ㆍ모잠비크에

Kunda 부족이 있는데 대부분 Mwazamtanda 강 근처에 살고 있다

이렇게 아프리카의 해안을 연하고 있는 지역에 Kunda 문화가 있다는 것은 아프리카의

문화는 외부에서 전해진 것임을 뜻하는데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파된 것

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일단 지역별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북유럽

이 문화가 언제 유행하여 널리 전파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발트 해 숲 지역에서 라트비

아 러시아 북부 지역에 퍼졌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Kunda 문화 유적지가 있는 곳은 lsquoPulli 주거유적지rsquo이다 이곳

은 Paumlrnu 강의 오른 쪽 둑에 위치하고 있는데 11000년 전 1차 대홍수의 온난기가 끝나고

한랭 기후가 진행되었던 BC 9000년대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이 정착하였고 가축으로서의

개의 이빨이 발견된 곳이다

그리고 Kunda 문화의 사제를 칭하였던 말은 고대 북유럽 어(Old Norse)에서 사제 겸

추장(a priest and chieftain)을 칭하는 말 goethi 또는 gothi (복수 goethar)에서 볼 수 있다

goethi의 존칭어 Gyethja는 여사제(priestess)를 의미하는 말인데 어미의 -ja는 존칭접미사로

현재 힌디 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Wulfila의 고트어 성경에는 gudja가 사제

(priest)를 뜻하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다 그렇지만 고대 북유럽 어에서는 여성형 명사

gyethja만이 완전한 고트어 형태와 일치한다

이를 통해 고대 북유럽 최초의 사제는 여성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gyethja와 같은 의

미의 명칭이 (Kunda)이고 이것은 현재 에스토니아 Laumlaumlne-Viru 군(County)의 마을과

강의 이름으로 남아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를 Kunda 문화로 부른다

2 문화시대 36

Kunda 문화의 핵심이 무엇이었는지는 인도 베다 종교 시절부터 내려온 신을 찬양하는

yajntildea ( yagya yaga or yadnya or yagam) 의식에 사용되는 불을 담아 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구덩이나 불항아리(agni-kuṇḍa fire-pit)를 통해 알 수 있다 신에게 올리는 신

성한 불을 담아 두는 그릇은 Kunda 또는 yajna-kund로 불리는데 Kunda 족은 이것을 지

켜오던 사제 집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북유럽의 Kunda 문화(8000minus5000 BC) 또한 불을 피운 항아리 또는 제단을 관

리하는 로 불리는 여성신관 집단을 중심으로 이어온 것인데 이는 Kunda가 체코와

슬로바키아 어의 속어로 출산의 상징인 여자의 성기(vagina)를 뜻한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산의식의 진행을 담당하였던 그녀들은 lsquorsquo신을 모시고 살았었다

중동-러시아 초원

Mansa는 AD 13minus15세기에 서아프리카를 지배하였던 말리 제국의 Keita 왕조에서 사

용하였던 lsquo왕 중의 왕 또는 황제rsquo를 뜻하는 말인데 이것은 러시아의 Mansi 족-Khanty(

Khanti Khande Kantek )족과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18세기 중반까지 독립

상태를 유지하여왔던 러시아 서부 지역 Mansi 족 자치구의 이름이 Kondia 또는 Konda이

그리고 아프리카와 러시아의 Khanty-Mansi 지역 중간이 중동의 아랍인데 이곳에 BC

2세기부터 있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Kindah 부족(정식 이름 Kindat al-Muluk)이 있었고

고대 남(南) 아라비아 비문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앙 지역인 Najd에 Kdt로 불리는 부족

이 정착하고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들은 5세기 말엽에 Kindah 왕국을 세웠다 비잔틴

제국의 사절단 대표였던 Nonnosos는 그들을 Khindynoi (Greek Χινδηνοι Arabic

Kindah)로 불렀었다 이를 보면 아프리카에서 아랍을 거쳐 러시아 지역으로 연결되는 인류

이동로에 ん 족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러시아 출신의 미술가 바실리 칸딘스키(러시아

어Василий Кандинский 1866-1944)는 이 문화 집단의 후손으로 볼 수 있다

인도

인도 북부 우다라 프라데쉬(Uttar Pradesh) 주의 pratapgarh 지역에 Kunda 마을이 있

었고 이 부근에 석가모니에게 공양(Sukar-maddava)을 올린 금공예장인(the goldsmith)

춘다(Chunda)가 있었다 그는 아마도 문화를 이어온 집단의 후손일 것이다 그의 음

식을 먹고 탈이 난 석가모니는 열반을 하게 되고 Kakuttha 강(현재 Kuku 강) 강변에서

목욕을 마치고 장례의식을 치렀다

Kakuttha(=Ka+kuttha=(高 巨) ) 강은 석가모니 당시 인도 북부의 16대 도시국

가 중의 하나였던 Malla mahajanapada를 둘로 나누며 관통하여 흘렀고 바로 인근에 석가

모니가 주로 활동하였던 Magadha 국이 있었다 이 지역 일대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이어

서 문화는 이 일대에서 번성하였던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의 불교가 미얀마로 전파

되었듯이 문화도 전파되어 미얀마 샨(Shan) 주의 Pindaya 마을에 정착촌 Kunda가

있다

이곳을 지나면 동남아시아의 카타이 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있고 lsquo인도-인도네시아 동

쪽-뉴기니아 서부 지역rsquo에서 사용되는 Konda 어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의 Kunda 공원

등이 있다 이들 지명을 연결해보면 문화가 전파된 길을 알 수 있다

lsquoん(ん)rsquo문화 집단은 인도에 많이 남아 있는데 이들은 한반도 가야사와 관련

이 있으므로 Konda 또는 Konda-Dora로 알려져 있는 이들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인도 북부 지방의 드라비다 어족은 BC 1500경 아리안이 인더스 강변으로 진출해오면

서 남부로 이동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남부로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주로 데칸 고

원 남부 지금의 Telugu 어 사용지역과 타밀 어 사용지역에 집중적으로 몰려 살면서 드라

비다 문화를 이어오고 있는데 당시 이동하였던 사람들 중에lsquoんrsquo문화족인 Gondi 족이

있었다 Gondi(Gōndi 또는 Gond) 인은 현재 인도 중앙부 지역 Madhya Pradesh

Maharashtra (Vidarbha) 동부 Chhattisgarh Andhra Pradesh 북부 그리고 Odisha 서

부 (majhi 또는 gan community)에 퍼져 살고 있는데 4백만이 넘는 중앙 인도 최대 부족

(tribe)이다

이들은 원래 인도 북부에 살았기 때문에 Uttar Pradesh (UP) 주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

고 있다 UP 주의 Gond들은 Dev Gond Dholi Kolan Kailabhut Mudipal Padal 그리고

Raj Gond의 일곱 하위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수 부족 정비 계획(Scheduled caste)

에 따라 일반인이 아닌 자신들만의 소수 계층(caste)으로 남았다 그럴 경우 소수자 배려에

의한 사회적 진출과 세금 등의 여러 이익이 있다 때로는 UP 주의 Gond는 Dhuriya

Nayak Ojha Pathari 그리고 Rajgond의 하위 다섯 계층(caste)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Dhuriya Gond의 인구수가 다른 Gond 부족보다 많다 이들 씨족들은 족외혼을 하고 있다

UP 주의 Gonda들은 대부분 땅을 소유하고 정착하여 농경생활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Raj Gond 족이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Gond 족이 사는 지역의 여

러 주에서 지배자들이었다 Raj Gond라는 말은 1950년대에는 넓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소멸되어졌는데 아마도 산업화와 인도 정부의 정책적 고려에 의한 Gond Rajas 씨족

의 정치적 권위의 실추 때문일 것이다 UP 주에 살고 있는 Gond 부족과 인도 중앙부 동남

부에 살고 있는 Gond 족들의 뿌리는 간다라 지방의 Gondophares 왕조와 연결이 되지 않

을까 한다

그리고 인도 북부의 lsquoん(ん)rsquo문화인으로 주목할 것은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는 아르메니아 어로 Gastaphar이고 동부 이란 Sistani 지방에서는

Gundaparnah라는 이름이 두드러지게 많다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파시툰

(Pashtoons) 족 사이에서 Gandapur는 성씨로 사용되고 어떤 확실한 부족의 혈통을 나타

낸다 이는 이 지역에 ん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Gondophare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어 Vindafarna(lsquo왕에게 영광이 있으소서rsquo

May he find glory Holder of Glory)에서 유래된 그리스 어 ΥΝΔΟΦΕΡΡΗΣ

(YNDOFERRIS)의 라틴 어 표기라고 하는데 탁실라(Taxila)가 있는 지역의 고대 도시국가

간다라(Gandhara Gandharan)와 아프가니스탄의 Kandahar 시의 이름이 Gondophares와

관련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산스크리트 어 gandha와 연결 짓는 것이 더 타당할 듯하다

2 문화시대 38

gandha는 향연(香煙)을 의미하는데 이는 종교의식을 치르면서 Kunda 또는 yajna-kund

에 향초(香草)를 넣어 태우면서 피워 올리는 것이다

gandha는 이때 사용하는 향신료와 허브 향 약초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장국왕의 권위와 부(富)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애초 lsquo신관-통치자rsquo가 제사를

드리는 향연의 재료였기에 신(神)을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Gondophares는

lsquogandha를 소유한 자 하느님의 영광을 받은 자(Holder of Glory)rsquo라는 의미로 이해하

는 것을 좋을 듯하다 gandha를 장악하였던 사람이 ん(Konda 또는 Gond Gondi

Gondo Gandha)였고 그가 머무는 지역이 간다라(Gandhara Gandharan)이고 간다라에

도읍을 정한 왕이 Gondophares이다

Gondophares I가 처음 도읍을 정한 간다라 지방의 탁실라는 lsquo동부 인도에서 오는 길

서아시아에서 오는 길 카슈미르와 중앙아시아에서 오는 길rsquo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였다

당시 탁실라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였고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 gandha였을 것이다

Gondophares I는 탁실라를 장악함으로써 경제의 중심지를 차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Gondopharid 왕조 발전의 초석을 다졌던 것이다 나중에 인도 북부 지방에 있던 이들의

조상은 외부 세력의 침략에 밀려 인도 남쪽으로 이주하게 되었고 그 결과 Pandya 왕국과

스리랑카에서는 Konda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인도의 ん(ん) 문화는 Kaundinya를 통해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는데 크메르의

민간전설과 비문기록에는 Funan(扶南)왕조의 기원을 인도 남부의 Pallavas 왕조에다 두는

것이 있다 AD 180경 크메르 문명의 Kaundinya-Gunavarman 가계혈통은 브라만이면서

Ashwatthama의 숭배자인 왕자 Kaundinya와 Naga 부족의 여왕 Somadevi의 결혼을 지

지하는 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리랑카에는 Pandyan 왕국 초창기 다섯 드라비다인(the

Five Dravidians)이 통치하던 시기에 Eelam의 Somadevi 여왕이 어떻게 해서 나중에 타

밀 왕(Tamilakkam)이 된 타밀의 한 추장의 아내로 되었는지를 전하는 전설이 있다

Somadevi는 나중에 왕이 된 Chora-Naga를 출생하였다

3세기 중국 사절단 Kang Tai는 Kaundinya가 배를 타고 Funan에 도착했을 때 그

지방의 공주가 그를 사로잡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두 세력은 전쟁

을 할 수 밖에 없었는데 마침내 둘이 결혼함으로써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657년 참파국(The Cham)의 왕 Prakasadharma (Vikrantavarman I) 역시 비문(碑文)에

그의 조상은 Kaundinya와 관련 있음을 남겼다 즉 Kaundinya가 어떤 지역에 그의 창을

던져 박았고 나가 족의 딸(여왕) Somadevi를 그의 아내로 취하여 가족이 되었고 그리하

여 최초의 부남 왕조(Funan dynasty)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여러 이

야기를 종합하면 Kaundinya는 인도에서 온 선진국의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문화 집단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이야기의 가장 큰 주제는 왕조의 혈통은 인도 남부의 Pallaya 왕

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도에서 온 Kaundinya와 현지 토착 부족의 딸(또는

여왕) Somadevi의 결혼으로 두 세력의 갈등은 없어지고 새로운 세력으로 발전하여 부남

왕국 또는 크메르 제국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이를 당시 문화 선진국이었던 인도의 입장에서 정리하면 인도 Pallava 왕가는

Rudravarman I 통치하의 말레이시아 반도의 Kedah 고왕국 Bhavavarman I 통치하의

Chenla 왕국 Bhadravarman I 통치하의 Champa 왕국 캄보디아 부남 왕조의

Kaundinya-Gunavarman 왕실혈통을 이루는 데 관여하였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왕족은

그들이 Kaundinya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통해 lsquo천손rsquo임을 자부하면서 왕실의 권위를 높였

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와 파르티아의 상인들이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진출하

였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는 페르시아 어 ( kẖdạnd)에 매우 익숙하다 그래서 동

남아시아의 KaundinyaKondantildentildea는 페르시아 문화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한반도 주변

한반도에 이러한 문화가 전해진 것은 가락국 2대왕인 거등왕(居登王 재위 199sim

253)과 신라 김알지의 5세손 구도(俱道 또는 仇刀) 고구려 동명왕과 대무신왕 때의 대신

구도(仇都)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등왕은 도왕(道王)으로 한역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도(俱道)와 통하는 점이 있고 lsquo하늘의 뜻(道)rsquo을 실현한 이들이다 lsquo거등rsquo은 kẖdạnd

Kaundinya를 음역한 것이고 구도(俱道)는 이를 음의역한 것이다

그러면 ん 문화의 원천적 의미를 되새겨보는 의미에서 동부아프리카 스와힐리 어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와 한국어 lsquo곤지곤지rsquo 백제의 일반인들이 불렀던 왕의

칭호 lsquo건길지(鞬吉支)rsquo를 살펴보기로 한다 lsquokonziㆍkondeㆍngumi(=n+gumi)rsquo는 lsquo주먹rsquo이

란 뜻인데 lsquoKon+ziKon+dersquo으로 분석하면 lsquoKonrsquo이 핵심어이다 Kon은 한자어 권(拳

[quan]주먹 주먹을 쥐다 힘)으로 표기되고 lsquo주먹권(拳)rsquo은 권력(權力)을 뜻하니 이는 번

개가 하늘에서 땅으로 꽂히는 것을 나타낸 lsquo곤(丨[gun]뚫다 셈대 세우다 위아래로 통하

다 나아가다)rsquo과 관련 있다 lsquokonziㆍkondersquo는 번개같이 빠르고 강력한 주먹을 휘두르는

자를 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의미의 Konzi는 한국어 곤지곤지에서 볼 수 있는데 곤지곤지①젖먹이가 왼손 손

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②젖먹이에게 왼손 손바닥에 오른손 집게손가락 끝을

댔다 뗐다 하라는 뜻으로 하는 말

는 손바닥에 손가락을 댔다 뗐다하는 동작 곤(丨[gun])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번개가 지상에 꽂히는 것을 나타낸 동작이라는 것은 곤지곤지의 강원ㆍ함북 방

언 lsquo송고송고rsquo 강원 방언 lsquo송구송구rsquo를 통해 알 수 있다 송고송고와 송구송구는 lsquorsquo를

반복한 것인데 이렇게 단어 중복하는 어법은 아프리카 반투어에서 흔하다 아프리카의 는 나이지리아 요루바(Yoruba)족의 천둥 번개의 신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ん 항목에서 다루게 된다

Shango or Jakuta (God of thunder lightening fire and justice who manifests as a king always

wielding a double-edged axe which conveys his Ashe or divine authority amppower) Shango

(known as Changoacute or Xangocirc in Latin America and also known as Jakuta)(from =shan to strike)

2 문화시대 40

is an Orisha《WikipediaShango》

이 신의 이름 Changoacute Xangocirc Jakuta는 한국어 곤지곤지의 강원 방언 징개징개징

기징기와 충청방언 지껑지껑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단어는 lsquoんgtんんん

rsquo의 음변환 형태이다 ん는 이미 앞에서 충분히 살펴보았는데 한국문화에서는 가야

의 지도자를 칭하는 lsquo한기(旱岐[ha n][qiacute]かんきぎ)rsquo가 이에 해당한다

ん는 Kongo 왕국 nganga로 불리는 주술사 겸 치료사(N+gangaltん+ん)

와 스와힐리어 konzi 백제의 일반인들이 그들의 지도자를 칭하는 말 건길지(鞬吉支)와 곤

지곤지에서 볼 수 있다 ん는 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의 shango와 한국어 송고송고가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살펴보면 아프리카 문화와 한반도 문화는 거의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는 두 지

역에 동일한 문화가 있었다는 것이고 두 지역의 공통문화어는 lsquoんrsquo이다 이 문화 시절

에 두 지역으로 전파된 문화가 있었고 각 지역에서 나름대로 발전한 것인지 어느 한 지역

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더라도 동일 문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4) 1)

lsquorsquo음은 늦여름 기후소리의 대표음이기 때문에 늦여름 기후 시절의 신(神)과 천주(天

柱)를 뜻하는 말은 lsquorsquo보다 lsquorsquo가 널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①천주(天柱)

석기시대에 lsquorsquo음으로 된 지상 최고의 신(神)이자 천주(天柱)는 화산이고 이것이 폭

발하면 용암이 쏟아져 나오고 많은 바위와 돌들이 새로 생겨나게 되는데 이것들은 화산

신 의 분신들이다 그래서 대체로 돌(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Nostratic

languages)는 lsquogtㅸgtrsquo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돌산과 돌(바위)에는 신의 영

(靈)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숭배의 대상이었다

석기시대에 대지는 지모(地母)로 숭배되었고 돌은 어머니의 뼈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돌

로 만들어진 산은 어머니의 뼈로 산을 이룬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돌산은 지모신 의

신체(身體)로 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돌산은 숭배의 대상이었고 이것과 유사한 모양

의 자연 지형 또한 lsquorsquo로 불리고 숭배되었다 죽어서 이러한 산에 무덤을 만들고 묻히는

것은 어머니의 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고 그리고 어머니의 자궁을 통해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과 부활을 의미한다 그래서 석기시대에는 어머니의 생식기 모양으로 무덤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사원과 무덤은 이러한 문화의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문화의식을 잘 보여주는 유물의 하나로 짐바브웨 지역의lsquo(Kopje

koppie)rsquo가 있다 lsquoKopjekoppie([kάpi][kɔpi])rsquo는 현지에서lsquo작은 언덕rsquo이라는 의미로 사용

되지만 원래는 lsquorsquo신을 모시는 신전으로 사용된 작은 언덕을 가리키는 말로 신을 영접

하는 우주산 또는 대지의 lsquo배꼽rsquo이다 이것을 인공으로 만든 스코틀랜드 북쪽 셔틀랜드 제

도의 무사에 있는 원뿔 깔때기를 엎어놓은 듯한 구조의 원탑은 하늘로 통하는 lsquo화산-굴뚝rsquo

의 모습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증산(甑山)의 lsquo증(甑시루)rsquo이 들어가

는 지명으로 남아 있고 lsquo증(甑시루)산rsquo과 같은 모양으로 된 대표적 인공신전은lsquo짐바브웨rsquo

로 불리는 원뿔형 사원(탑)이다

lsquo짐바브웨rsquo와 증산 전방후원(前方後圓) 구조의 신전을 종합하여 만들어진 것이 경

주 토함산 정상에 있는 석굴암이다 토함산(吐토하다 털어놓다 드러내다 버리다含머금

다 넣다 품다 무궁주山뫼 산 산신(山神) 무덤)의 이름에 들어있는 한자 훈에는 lsquo화산과

지모산신rsquo 그 산 정상의 석굴암 구조는 전형적인 전방후원이니 이는 어머니의 생식기 자

궁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후기구석기시대부터 내려온 문화였는데 신라 시대에 불

교식으로 의미부여를 하여 석굴암의 실내에 석가모니 본존상과 10대 제자의 모습을 새겨

놓았다

노스트라틱 어 (lsquostonersquo) 관련어

kiwaeligsimkiwesimkiwi stone(Proto-Nostratic)

kw- stone(Afro-Asiatic Proto-Chadic)

kwa- stone(Proto-Kartvelian)

kiwe- kiwe- stone(Proto-Uralic)

xəvxəstone(Proto-Chukotko-Kamchatkan)kβal koβ stone(Kamchadal)

kew- stone(Proto-Eskimo-Aleut)

kwastone(Proto-Dravidian)

언어표22⦗(lsquostonersquo)⦘《WikipediaNostratic languages》

②신전(神殿)

신전 중에 최고의 신전은 땅위의 모든 것을 덮고 있는 하늘(heaven)이고 이는 신(神)

그 자체이기도 하다 그래서 천ㆍ신(天ㆍ神)의 명칭 lsquoんgtんgtkem-rsquo은 heaven의 원

(原)인도유럽어 어근 kem- to cover이기도 하다 그리고 하늘을 닮은 자연의 동굴이나

이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신전 동굴은 신의 거주처이어서 굴은 신을 뜻하는 신전

lsquo(covercave)rsquo로 불리었다

Cave 의 어원은 kew(e)- kewā- kū to vault(둥근 천장으로 덮다)인데 이는 돌

(stone)을 뜻하는 노스트라틱 어와 같다 돌로 된 굴이 이고 이 말은lsquogtgtㅸ

gtkewā-gtkew(e)-gtkūgt窟[ku ]gt굴rsquo의 과정을 거쳐 한자어 굴(窟[ku])로 남아 있다 굴(窟)

은 원래 신전이었고 굴 이전에는 혈(穴[xue]구멍 움 구덩이 맞뚫린 구멍 소굴 동굴

샘 오목한 곳 혈 뚫다 옆 곁)이 신전 lsquogtㅸgt[xue]rsquo이었다

이러한 신전은 동굴 이외에 lsquo(Kopje koppie)rsquo와 같이 언덕을 이용하여 만들

2 문화시대 42

기도 하고 짐바브웨의 (Kopje)처럼 자연 암벽과 인공 성채를 적절히 배합하기도 하

고 인체 모양의 모신(母神)의 무덤신전을 만들기도 하고 고인돌과 같이 만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여건이 여의치 않았을 경우에는 동굴과 같은 구조를 갖춘 분지 지형 가운데에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번제(燔祭)의 제단케파(반석 라틴 어베드로)rsquo이다

그리고 Home과 House가 신전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lsquo집 rsquo을 뜻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

되었듯이 원래 신전을 뜻하던 (Cave)는 동굴(중고대 게르만 어 Kobe cave hole)

고방(庫房 제주도에서는 고팡) 작은 방(고대 영어 cofa chamber) 오두막(고대 노르만

어 Kofi hut)등과 같이 집의 일부를 뜻하는 보통 명사로 사용되었다

③신인(神人) ㆍ

(a)

인도 베다 교의 사제들 중 의식에 정통하게 잘 훈련된 사람들은 ṛtvij

(regularly-sacrificing)로 불렸고 이들은 vipra (sage 賢人) 또는 kavi (seer 先覺者

)로 알려져 있었다 인도의 Kavi를 통해 lsquorsquo는 원래 하느님을 칭하는 말이었지만 그를

상징하는 lsquorsquo사원의 신인(神人) 또는 사제를 칭하는 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avi에 해당하는 말을 한국어에서 찾는다면 lsquo도깨비rsquo가 있다 한국의 도깨비에 관한 설

화에는 하룻밤 사이에 다리를 만들고 보(洑)나 둑을 쌓아 사람들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깨비가 사회의 지도자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지면서 이들의 좋은

이미지는 퇴색되고 요괴(妖怪)스런 것으로 변질되었는데 도깨비의 고어는lsquo돗가비니rsquo《월

인석보 月印釋譜》(1458)이고 이는lsquo돗+가비+니rsquo로 lsquo돗rsquo은 존칭접두사로 영어 THE 또는

디어(dear)에 해당하고 lsquo가비rsquo는 lsquoKavirsquo lsquo니rsquo는 lsquo비구니(比丘尼)rsquo의 lsquo니rsquo와 같은 인칭접미사

이다

kavi와 lsquo돗+가비+니rsquo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Kappa(河童 川太郎 川子 등으로 한자 표

기됨)이다 이것의 이름은 80여 가지나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Kappa이고 그 외에

komahiki (駒引 horse puller) or kawako (川子 river-child) kawatarō (川太

郎 river-boy) kawappa gawappa kōgo mizushi mizuchi enkō kawaso

suitengu 그리고 dangame 등등이 있고 onitengu와 함께 일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요괴

()이다

이들은 시대가 변하여 요괴로 남게 되었지만 한 때는 선각자(seer 先覺者)였다 그래

서 Kappa(kawappa)는 lsquo(Kapa gt ㅸ(kawa)rsquo + lsquoappa(아빠)rsquo= 신부(神父)로 해석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가 열 살 정도의 어린 아이 크기라는 것은 그 정도 크기의 사람

들이 살았던 시절에 활동하였던 신부라는 것을 의미한다

lsquoKappa(kawappa)신부rsquo와 같은 크기 정도의 사람에 관한 것을 찾아본다면 ldquo(일본의)

여왕국에서 바다를 건너 동쪽으로 1천여 리를 가면 거기에 또 나라가 하나 있는데 이것도

모두 왜의 종족이다 또 주유국(侏儒國)이란 나라가 그 남쪽에 있는데 그곳 사람들은 키가

3sim4척(90sim120cm)이다 《삼국지》lt동이전 왜인gtrdquo는 기록과

ldquo 2004년 10월 과학자들이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중간에 위치한 한 열대 섬에서 어른의 키가 1m

정도 밖에 안 되는 종족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이 플로렌스 인(Floresian)이라 명명한

이 난쟁이 종족은 발리 섬에서 동쪽으로 600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플로레스 섬의 한 동굴에서 살았

다 우리와는 약간 다른 이 인류 종족은 그곳에서 약 13000년 전까지 살았다고 한다《세계의 모든 신

화》(p630)rdquo

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侏儒)라는 단어를 통해 이들은 흑인이 아니라 홍갈색의 키가 작은 니그리

토 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비슷한 족이 아티 족으로 불리는 필리핀의 니그리토이다 아티

족ㆍ주유국 사람ㆍ플로렌스 인이 일본의 Kappa(kawappa)와 관계가 있다는 기록은 찾기

힘들지만 《산해경》lt해외동경gt에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 부근에 모민(毛民)의 나라가 있

고 그 북쪽에 노민(勞民) 또는 교민(敎民)이 있는데 이들은 얼굴ㆍ눈ㆍ팔ㆍ다리가 모두

검다고 기록된 것이 있다 이들은 말 그대로 흑인이다

이들과 고대 일본인과 오키나와 주민들의 키가 아프리카 피그미 족의 평균 키 120sim

150cm 정도에 가깝다는 것을 고려하면 흑인 노민과 교민은 아프리카에서 이주해온 사람

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프리카 인류의 이동연대를 고려하면 이들은 아마

도 대략 3만sim 6만 년 전에 해안을 따라 일본 열도 주변으로 이주 정착하였던 아프리카

인류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태평양 하와이 섬의 주요 신들의 이름과 체계를 보면 태평양에 문화가 전

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bull the four gods (ka hā) ndash Kū Kāne Lono Kanaloa

bull the four gods or akua Kū Kāne Lono Kanaloa

bull many lesser gods or kupua each associated with certain professions

bull guardian spirits ʻaumakua associated with particular families

《Wikipedia Hawaiian religion》

하와이 사람들은 Kū 신을 전쟁을 하는 동안 숭배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Kū 는 군신(軍

神)의 성격이 강하다 이는 아나톨리아 고원 Hurrians의 주신(主神) Kumarbi에서 볼 수 있

는 Ku 신에서 비롯되었는데 철기 시대에 군신(軍神)으로 널리 전파된 상당히 후기의 신

이름이다 그에 비하여 akua(=a + kua) kupua ʻaumakua(= ʻauma + kua)에 보이는 신의

이름은 lsquogtㅸgtgtkuarsquo로 된 것이다

이를 통해 태평양에는 후기구석기의 lsquogtgtkapu kupuagtkuarsquo문화가 있었고 그

종교 문화체계를 Kapu라고 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제가 입었던 옷은 kapa라고 하였다 나

중에 기독교가 성립된 이후 성 마르티누스의 캅파(cappa)를 보관해둔 성소가 나중에 예배

당(chapel)이 되었다고 하는데 cappa는 원래 신인 의 의례복이었고 유럽의 고블린

(goblin) 등은 옛 사제를 칭하는 말이 파생된 것이다

2 문화시대 44

(b)

아프리카

lsquorsquo에 인칭접미사 lsquo-rsquo를 붙인 lsquorsquolsquo(Khepri Khepera Kheper Chepri

Khepra)rsquo역시 신과 신인의 명칭 지명 등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Khepri (

Khepera Kheper Chepri Khepra)는 밤새도록 어둠을 몰아내는 태양을 상징하는 쇠똥구

리(kheper)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고 보통 태양신을 의미한다 lsquorsquo가 종교적으로 체

계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Kaffir([kǽfər])이다

Kaffir은 ldquo①이슬람 교도가 아닌 자 ②남아프리카 반투 인종들 중에 가장 지적인 집단

의 구성원rdquo으로 반투 인종들의 종교지도자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kaffir의 어원

lsquoK-F-R to coverrsquo은 이슬람 이전의 용어로 lsquo농사꾼이 씨를 뿌리고 흙으로 덮다 rsquo는 뜻이

라고 한다 그래서 이슬람 용어 kāfir에는 lsquo이슬람 신앙을 거부하고 자신의 신앙과 문화를

가리고 숨기고 있는 자rsquo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Kaffir은 남아프리카 전통 종교 문화 의 사제집단인데 이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자료는 kaffir과 관계있는 아람 어 kĕpher와 kappĕr이 있다 이 단어는 lsquo씻어

버리다(wash away)ㆍ닦아 지우다(wipe off)ㆍ(허물을)덮어주다(cover)ㆍ죄를 속죄하다

(expiate)rsquo라는 뜻이다 이 단어에서 중동 지방의 많은 유사한 말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아랍 어 kaacutefara(he covered hid) ghaacutefara(he covered he forgave) aacutefā(he covered he

wiped out he forgave) 등이 있고 아르메니아 어 kappēr 이스라엘 어 Kippur(속죄) 등

이 있다

그래서lsquorsquo는 lsquo참회와 용서rsquo의 종교적 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을 나타내는 말이고 남아

프리카의 Kaffir 집단은 그곳에서 바로 그것을 이끌었던 정신적 지도자들이었다 즉 Kaffir

은 lsquogtgt kĕpherㆍ kappĕrgtkaffirrsquo의 과정을 거친 단어로 하느님의 대리자 사제를

의미한다

15세기에 아프리카의 노예무역에 참가하였던 포르투갈 인은 이들을 cafre로 표기하였

다 다음으로 이 말을 확실하게 사용한 사람들은 이슬람 노예상인들이었다 그들은 Kafir을

이슬람을 믿지 않는 이교도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아랍 어에 남아 있는 Kafir의

뜻에는 lsquo이슬람을 믿지 않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자신들의 신앙과 문화를 따르는 자rsquo라는

뜻이 있다 아프리카를 지배하려던 상인들은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도자인 이들을 무너뜨려

야 했었고 그 과정에 많은 kaffir들이 몰락되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영어권 지역의 유럽인과 관계된 Kaffir은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원주민 특히 서

부와 남부 해안 지역의 아프리카 인을 지칭하는 낡은 영어식 표현인데 1589년 남부 아프

리카 특히 짐바브웨ㆍ남아프리카ㆍ모잠비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Caffar 이

란 단어가 거의 처음 사용되었다 그 후로 16minus20세기에 영국인과 네덜란드 인들이 남아프

리카의 흑인들을 총괄적으로 말할 때 사용되었고 지금은 흑인(negro)을 경멸하는 뜻으로

부를 때 사용된다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가브리엘(Gabriel)은 보통 천사장(天使長)으로 번역되는데 줄여서 Gabi로

불리는 사람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브리 어 가브리( Hebrew לאירבג (Gavriersquol

ldquoman of Godrdquo) from רבג (geacutever ldquomanrdquo) and לא (el ldquoGodrdquo))를 참고하면 가브리엘은

한자어 신인(神人)으로 번역할 수 있고 이는 한국어 lsquo돗가비니rsquo 영어 lsquo엔젤(angel)rsquo에 해당

한다

성경의 유태이즘에 따르면 가브리엘은 소리(the voice)를 통하여 노아에게 대홍수 이

전에 동물들을 모으라 하였다는데 유태인들이 의 천사장 가브리엘을 제대로 접한 것

은 바빌론 유수(BC 598 or 597년과 BC 587 or 586년) 사건 때였다(다니엘 서 815-17)

당시의 체험이 반영된 탈무드에는 가브리엘이 파괴자이면서 시리아 어와 칼데 어(Syriac

and Chaldee)를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브리엘이 바빌로니아 제

국의 신관이면서 유태인의 지배자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탈무드에는 페르시아의 천사

장인 Dobiel이 가브리엘의 대리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페르시아도

가브리엘 문화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에 Gabr(gabrak gawr gaur gyaur gabre)이 있었다 이것이

가브리엘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고 어원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사람(man)이

라는 뜻의 아람어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니 이것의 기원은 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때는

조로아스터교의 사제자 마기(mog magus)와 같은 사회적 위치에 있었지만 사산 왕조 페

르시아 제국(AD 226-651) 때는 메소포타미아의 자유인 농부를 의미하였다 조로아스터교

인(Zonrdoshti)이라는 말이 일반화되고 나서는 Gabr은 경멸적인 의미로 격하되었으며 시

간이 더 흘러 이슬람교가 퍼지면서 이슬람 신앙인이 아닌 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Kaffir로 불리는 족이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산악지대 카피리스탄에 살고 있는

데 이들은 아프리카 종족이 아니고 인도-이란인의 원(原)집단에서 분리된 독립집단이다

이들은 애니미즘을 믿고 있었으나 1896minus96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였고 누리스탄

(Nuristan)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와 관계없는데 특이하게 Kaffir

를 종족명으로 사용하였으니 생존을 위하여 시대에 따라 문화(Kaffir) 문화

(Nuristan) 이슬람 문화를 수용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인도

문화가 인도에 전해졌던 것은 쿠베라(Kubera)를 통해 알 수 있다 Kubera의 고

향은 인도의 북부와 남부의 경계선이 되는 Narmada 강이라고도 하는데 그들 집안은 아마

이 강에서 생산되는 자원을 장악하면서 발전하였기 때문에 lsquo물의 정령 또는 사람rsquo으로 보기

도 한다 산 속의 호수ㆍ계곡ㆍ강가ㆍ나무뿌리에서 금은보석과 같은 중요한 광물을 채취하

고 재물을 관리하던 집단의 총 관리자가 Kuvera 이었다 이들은 신관통치자 집단이었고

재물과 관련이 있는 신이면서 왕으로 존숭 받고 있으며 반신(半神 semi-divine)인

Yakshas 의 주(主)이고 현재는 힌두교의 성지 카일라사 산 근처에서 재물의 수호신으로

2 문화시대 46

있다

인도화된 쿠베라는 Artha (wealth prosperity glory)와 Arthashastras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부(富)의 상징이다 종종 배가 엄청 나오고 키가 작으며 다리는 셋 이는 여덟

개 눈은 하나인데 보석으로 장식하고 커다란 자루나 항아리에 돈을 넣어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집트 Hapi(h-p- h-p-ii- Hapy)의 모습과 거의 일치한다 힌두 신

화에서는 27(또는 28)의 Yakṣa 장군을 거느린 총사령관 Pantildecika와 같은 것으로 취급되기

도 하고 Bhutesha (Lord of spirits) Rajaraja (king of the whole world king of

kings) Yaksharajan (king of Yakshas) 등등으로 불리었다 이는 Kubera와 Yakṣa 집

단이 어느 시기엔가 사회의 지배집단이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주로 주요한 광물을 관리하

였기 때문에 재물과 관련된 신으로 전하여 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

와 관련된 것을 한국문화에서 찾아본다면 ldquo《북사》의 백제국에 대한 설명 가운

데 백제의 왕은 동ㆍ서 양성(兩城)에서 사는데 하나는 거발성(居拔城)이고 또 하나는 고마

성(古麻城)rdquo《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백제2경》이라 한 것이 있고 《환단고기三聖紀全

下篇》lt神市歷代記gt에 lsquo거발환(居發桓)(3898minus3804 BC) 거불리(居佛理)(3804minus3718

BC) 거불단(居弗檀)(2381minus2333 BC)rsquo이 있다 lsquo거불환거불리rsquo의 활동 연대는 신석기 시

대 기온 상승기였다 이때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북방으로 이주하였는

데 당시lsquorsquo 문화인이 이주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백제의 왕이 살았던 lsquo거발

성rsquo을 통해 왕의 칭호를 lsquo거발rsquo로 하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은 확인할 수 있다

④ 문화의 전파

lsquorsquo는 존어 lsquoんrsquo( )로도 널리 불리었는데 lsquorsquo를 때로는 lsquorsquo

로 발음하기도 하였다 이들을 발음 별로 다 살펴보는 것은 복잡하기 때문에 lsquo와 ん

rsquo를 같이 살펴보는데 일단 아프리카 지역에서부터 찾아본다

아프리카

하늘 높이 솟아 있는 천주(天柱) 산은 lsquo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rsquo인데 후대에

이것을 의인화하여 두 팔을 벌리고 치켜 올린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이 모습 그대로 파라오

의 신상을 만든 것도 있다 이집트 상형문자 lsquo(Ka 또는 Koi)rsquo는 이것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산 중의 산은 봉우리 셋으로 이루어진 산(山)이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

자로 산은 lsquo키보(Kibo) 화산(5895m)ㆍ마웬시 화산(5254m)ㆍ시라 산(3778m)rsquo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lsquo키보rsquo를 통해 이 일대는 아프리카 문화의 중심지였을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곳

에서 멀지 않은 투르카나 호 일대에 약 180minus200만 년 전의 인류 유골이 발견된 쿠비 포라

(Koobi Fora)가 있다 쿠비 포라는 유목민 가브라(Gabbra) 족이 살고 있는 투르카나 호수

동쪽 기슭의 산 능선에 있는 한 지역인데 이곳 근처에 살고 있는 가브라 족의 말로 lsquo몰약

(沒藥 commiphora)과 미라(myrrh 몰약 수렴 방부 항염증 항균 피부 보호효과가 있고 달콤하며

깊은 향이 나는 정유 또는 그 식물 이집트 미라를 만드는 방부제로 사용됨)를 채취하는 나무가 자라

는 곳rsquo이다

이곳의 지명lsquo쿠비 포라rsquo(Fora Forum의 복수형(때로 the Forum) 포럼 공공 광장 고

대 로마시의 포럼 법정 재판소 공개 토론의 장)는 lsquo rsquo로 적을 수 있는데 이를

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후대 그리스 시대의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곳은 lsquo 폴리스rsquo로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와 같은 곳이고 한국사의 용어로 말하면 환웅이 하늘에서 강림

하여 신정정치를 주관한 lsquo신불(神巿)rsquo이다 불(巿[fu])의 풀이ldquo슬갑 불 앞치마 무성하다

초목이 무성한 모양rdquo을 참고하면 가비불(神巿)은 lsquo쿠비 포라rsquo를 한자어로 번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곳은 몰약을 이용한 치료와 신탁이 이루어졌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

죽으면 의식을 치르고 그대로 묻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은 유골이 있는 것이다

180sim200만 년 전에도 lsquorsquo라는 말을 사용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에도 몰약이 생

산되는 곳임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lsquorsquo를 통하여 고(古)인류와 현(現)인류를 바로 연결시킨다는 것은 무리가 있

기 때문에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유전인자를 잘 간직하고 있는 나미비아와 보츠와나

앙골라의 소수 원주민 부족인 산(San) 족을 통해 중ㆍ남 아프리카 문화의 초기 모습

을 살펴보기로 한다

ldquo산족에는 쿵(Kung)과 그위(Gwi)라는 두 종교집단이 있는데 이들 모두 각각 초월적 존재를 믿는다

는 점에서 비슷하다 초월적 존재 중 하나는 세계와 만물의 창조자이며 다른 하나는 권능이 덜하지만 주로

질병과 죽음을 주관하는 신이다 또 두 집단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믿지만 반투족처럼 조상숭배를 행하지

는 않는다rdquo《브리태니커산(San) 족》

는 것을 참고하면 (Kung) 족은 산 족 중에서 쿵 종교 집단으로 보인다 발음상 lsquorsquo은

lsquoんrsquo lsquo그위rsquo는 lsquogtgtgtGwirsquo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을 통해 San 족의 그위

(Gwi) 집단은 lsquorsquo를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신과 부족의 이름이었던 lsquo ん Gwirsquo는 지명에서도 볼 수 있는데 모

든 생명체의 젖줄인 강의 이름에서 찾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잠비아의 동부 지역을 흐르는

카푸에(Kafue) 강과 서부 지역을 흐르는 카붐포(Kabumpo) 강 앙골라에서 내려오는 쿠방

고(Cubango)강은 오카방고(Okavango) 습지로 흘러 들어가는데 lsquo쿠방고rsquo와 lsquo오카방고(=

오 + ん)rsquo는 나미비아의 오카방고 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인데 의 존칭어이다

에티오피아에는 키푸티르(Kiptir)ㆍ쿠비 포라ㆍ고바(Goba)ㆍ케파(카바) 등 lsquorsquo와 관

계되는 지명이 있다 이 중에서 케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위치한 주의 이름인데 이 일

대는 시다모(Sidamo Sidama) 족이 1400년경 케파 왕국을 세웠던 곳이고 에티오피아 커

피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문화는 나일 강을 따라 이집트로도 전파되었었다

Egypt는 크레타 섬의 선문자 B로 a-ku-pi-ti-yo로 기록되어 있다 a-는 ん의 축약형

존칭접두사이니 a-ku-pi-ti-yo는 lsquoa()+kupi()+tiyo( 땅)rsquo으로 재분석되고

2 문화시대 48

(大神國)로 번역된다

그리고 이집트 파라오 중에 기자의 대(大)피라미드를 세운 (Kufu 2589ndash2566

BC Khufu (ˈkuːfuː koo-foo) originally Khnum-Khufu (ˈknuːmˈkuːfuː

knoom-koo-foo) ん)가 있었다 그리고 Kaba(기니아) Kabala(시에라리온)

Kabalo(자이르) Kabara(말리) Kabba(나이지리아) 등의 지명을 통해 서아프리카 지역으

로도 문화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동

Kafzeh 또는 Qafzeh로 표기되는 이스라엘 나사렛 남쪽 바위동굴 유적지에서는 95minus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지역 사람들은 7minus8만 년 전

멸종되었거나 아프리카로 되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아마 인도네시아 Toba 화

산 폭발 사건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는 45minus6만 년 전의 인류 화석

뼈도 발견되었다

이스라엘 지명 Kafzeh가 언제부터 그렇게 불리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지명으로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의 lsquo카프카스rsquo산맥 몽골의 lsquo고비rsquo사막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 등이 있고 이들 지명이 있는 지역으로

35000년 전 중동에서 소(cow)와 인류의 이동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원(原) 문화는

최소한 30000년 전 이전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30000년 전에 이동하였던 사람들은 대체로 시나이 반도와 이스라엘을

통과하여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가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데 그 과정에 이

들이 중동 지역에 남겼던 문화는 Khomusan문화minusHalfan문화(18000minus15000 BC)minus

Kebaran 문화(18000minus10500 BC)minusNatufian 문화(14500minus11500년 전)minusZarzian 문화

(대략 18000minus8000 BC)minus전(前)Harappan 문화 로 이어졌고 이들 지명에는 ㄹ

(HarappaHalfa) (Khomusa) (kabara) ( Natufa) 문화의 흐름이 들어 있다

청동기 시대 이후 중근동 지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에 터키와 메소포타미아의 중간 지대를 장악하면서 발전하였던

Hurrians의 문화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설형문자판에 남아 있는 기록으로 Hurrians

은 BC 2300경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역으로 진출하였고 비옥한 농경지가 있는 카불

(Khabur) 강 계곡에서 자그로스(Zargros) 산맥 사이 지역을 점령하여 약 천 년 동안 살았

는데 BC 1000경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언어는 이웃한 셈 어계와 인도-유럽 어와는 달리 북동 코카서스 어에 속하는데 그들의

고향에서 가장 큰 산줄기가 카프카스 산맥이다 lsquo카프카스rsquo는 노아의 셋째 아들 야벳의 손

자 lsquo카우카스rsquo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lsquo카프+카gt+gt+존칭접

미사)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아야 하니 카프카스 산맥은 신전이었다

이곳에 뿌리를 둔 Hurrians의 신앙을 통해 중근동 지방에 있었던 문화의 뿌리를

살펴보기로 한다 Hurrian 어로 어머니를 뜻하는 hannah에서 유래한 Hurrians 인의 모신

(母神) Hannahannah의 이름 중 하나인 Hebat(Kheba Khebat 또는 Hkhepat

Hepat Hepa Heba으로도 표기)은 고대 근동의 전 지역에서 숭배되었는데 살아 있는 모

든 것의 어머니이고 운명의 여신 (Arm)의 딸이자 Teshub의 배우자이다 이를 통해 문화의 뿌리는 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Hurrians 신들은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같은 특별한

사원을 가지지 않은 것이 특징인데 이것은 산이나 강과 같은 자연물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주로 강의 이름에 lsquorsquo 또는 lsquorsquo의 이름이 많이 보이

는데 이것은 대형 건축물 신전이 세워진 청동기 시대의 그 이전의 lsquoん()ㆍㆍ

rsquo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청동기 시대 이전의 문화는

구(舊) 청동기 시대 이후의 것은 신(新) 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수도

있는데 구(舊)는 Hebat(Kheba)에 바탕을 두고 있는 lsquorsquo로 신(新)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lsquorsquo로 표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중동 지역에 있어 lsquorsquo가 뚜렷이 보이는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이다 수메르 문명 키

시(Kish) 제3왕조(2500minus2330 BC)의 시조 여왕이었던 Kubau가 있었다 Kubau(Kubaba

Kybebe)라는 여왕의 이름은 당시 중동과 근동 지역에 유행하고 있었던 신앙을 나타

낸 것이다 Kubaba는 그리스 인들에게는 키벨레(Kybele)로 알려졌는데 대지모(大地母)

신이었고 키벨레(Cybele ˈsɪbəliː (Phrygian Matar KubileyaKubeleya Kubeleyan

Mother perhaps Mountain Mother Lydian Kuvava Greek Κυβέλη Kybele Κυβή

βη Kybebe Κύβελις Kybelis)는 터키의 이다 산(Mount Ida Turkey)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중근동 지방의 는 언어적으로 lsquogt Khebagt Khevagt Chavvah(Hebrew 어)gt

Hawwah(아르메니아 어)gt Hawwa(아랍 어)gt Eversquo의 과정을 거쳐서 아담의 배우자 lsquo이브rsquo

로 불리고 있는데 이브(Eve)는 lsquoEva Ava Evita Eviersquo로도 불리고 있다

《wikipediaEve》

그리고 다음의 발음으로 된 명칭은 lsquorsquo시절의 것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남아 있다

(Hebrew הוח Ḥawwāh Arabic حواء Hawwa Geez ሕይዋን Hiywan living one or source of

life related to ḥāyacirc to live ultimately from the Semitic root ḥyw Greek Εὕα heuacuteā)

유럽

그리스의 키벨레와 유럽의 민담에 등장하는 고블린(goblin)을 통해 문화가 있었음

을 알 수 있는데 유럽에는lsquorsquo의 흔적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지만 중동 지역 아람 어 케

파(Kefa Keipha)에서 비롯된 그리스 어 케파스(Kephas Cephas 반석(盤石) Petros 베

드로)가 있고 lsquo코페르니쿠스rsquo 가문의 조상들은 lsquorsquo문화의 사제집단이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산록 주변

대홍수 이전에 오늘날의 파키스탄 인더스 강변은 사막이었다 그래서 아프리카 사막 더

2 문화시대 50

위를 피해 온 사람들은 이란 고원을 거쳐 파키스탄 북쪽의 카이버(khyber)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으로 들어가게 된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람이 살았던 고고학적인 증거는 BC

50000년의 유물이 있는데 도시 문화가 발달하였던 것은 3000minus2000경 BC부터였다 이

곳의 카불 강가에 자리 잡은 카불 시는 2000minus1500 BC 사이에 세워진 것 같고 《리그베

다》에는 kabul이 Kubhā로 나오고 고전 작품 속에는 Kophes 또는 Kophene로 나오며

산스크리트 어로는 Kamboj로 표기되어 있다 Kubhā와 Kophes는 lsquorsquo

Kamboj(=Kambo+j)는 의 존어 lsquoんrsquo를 나타낸 것이다

힌두교의《마하바라타》에는 현대 타지키스탄의 대부분이 고대 Kamboja와 Parama

Kamboja들이 이룬 왕국들의 땅이었고 《젠드아베스타》에는 타지키스탄의 조상들은 순

수한 아리안 족(Aryans)이었다고 되어 있는데 이들을 kambojas로 보기도 한다 이는 아

리안 족 가운데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고 생활화하였던 사람들이 타지키스탄

Kamboja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lsquoんgtんgtKamborsquo를 믿었던 고대 kambojas

들은 언어학적으로 원래 어족(the Ghalcha-speaking)에 속했다 이는 문화인이

어느 시기엔가 ん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타지키스탄을 지나면 바로 티베트이다 이 지역은 히말라야 산맥 줄기를 바탕으로 하여

아시아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데 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 나무와 풀이 잘 자라고

농사를 지을 수 있다 티베트에서는 살기 좋은 동부 지역을 lsquo캄rsquo 이곳 사람을 lsquo캄파rsquo로 부르

는데 캄파는 lsquoんgtんgtKamborsquo와 같은 말이다

티베트의 건국 설화에는 라마 불교 이전의 (Boumln) 교에 전하는 (Ganpo) 산(ri)의

(Sinmo)와 하늘에서 내려온 원숭이 형상의 첸레지(Chenrezi)(천수관음보살)와 결혼하

여 여섯 자식을 두었다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의 천주산은 (Ganpori = ん+)이고 이들 신앙의 중심이 ん였던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 사원을 곰파

(Gompa ん)라 하는데 이는 ん 문화 시절부터 내려온 명칭이다

티베트를 지나면 중앙아시아 신장 지구를 지나 몽골로 가게 된다 몽골에는 lsquo고비(몽골

어 Govi 또는 Gov 영어Gobi 중국어 戈壁 Gēbi) 사막과 lsquo오보(Ovoo)rsquo로 불리는 돌을 모아

만든 제단이 있다 현재 몽골 사람들은 오보에 버드 나뭇가지를 꽂아 제단으로 꾸미고 주

로 푸른 색 천(때로는 오색 천)을 제물(祭物)로 바치고 기도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kavi (seer 先覺者)와 쿠베라를 통해 언급하였는데 다른 지역보

다 lsquorsquo문화의 흔적이 많지는 않다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걸으면 미얀마를 거

쳐 가게 되는데 미얀마에는 Chin Kachin Karen Burma 등 여러 부족들이 있다 Chin

족은 lsquoPat Hianㆍ Khuavang ㆍ Khuanursquo의 삼신을 믿는다 Pat은 아버지 Hian(ん)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Khuavang(gtgtㅸん)은 lsquo인간사의 원인과 결과를 다스리는

님rsquo으로 특히 아기의 출산에 관여한다 그래서 어린 아이의 몽고반점을 Khuavang이 찍

은 도장 자국(Khuavang Chhinchhiah)이라 한다 Khuanu는 Pat Hian을 여성화하여 부르

는 이름이다

태국에는 영화 lsquo콰이 강의 다리rsquo로 널리 알려진 콰이 강이 있다 이 강은 Khwae Noi

강 또는 Khwae Yai 강으로도 불리는데 여기서 khwae는 lsquogtgtㅸgt(Khwae)rsquo의 과정을 거친 말이다 미얀마와 태국의 lsquogtrsquo문화 지역을 지나 구석기시

대 해안이었던 인도네시아로 가면 보르네오 섬 서북부 카프야스(Kapjas Hulu Ra) 산맥이

있다 필리핀 루손 섬 북단의 산악 지방에 살고 있는 이고로트(Igorot)라는 원주민이고 아

메리카 인디언과 모습이 비슷하다 그들의 최고신은 Kafunian인데 이들은 크다는 뜻의

han을 사용한다

Khuavang과 Kafunian은 lsquoㅸん gt んrsquo으로 표기되고 이를 통해 동남아시아에는

ん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 lsquo꺼벙이rsquo에는 변화된 시대에 적응하지 못하는

구시대 ん 문화 지배층의 모습이 남아 있다 한국사에 있어 문화의 흔적은 돗가비

니 신라의 가배(嘉俳) 백제의 도읍이었던 거발성(居拔城[ju][ba])에서 볼 수 있고 거발성

은 고마성(固麻城)이라고도 하였다

2)ん

후기구석기 시대 이후 인류이동을 고려하면 아프리카의 lsquogtrsquo 문화인이 어느 시

기엔가 아프리카를 떠나 인도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것인데 그 후손들은 그들의 원뿌

리가 무엇인지도 잊어버리고 그냥 토착 세력이 되어 살았었다 그러다가 금속문명이 보급

되면서 새로이 흥기한 ん 문화가 왕성하게 일어나자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ん문화인 Kambo(=Kamboj Kamboh)의 구성원이 되어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크샤트리아

계층이 되어 활동하였다는 것과 사카 족의 왕족이었던 것처럼 보이는 내용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들은 5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좀 더 확대되어 82씨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도 서북부의 새로운 문화 집단이 된 Kamboja는 lsquoKambo + ja존칭접미사rsquo로 분석되

고 Kambo라는 말 자체는 lsquoんgtんrsquo에서 유래되었다 Kamboja의 조상은 청동기 시

대 말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힌두쿠시 산맥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캐시미르 지역에

서 펀잡 지방으로 내려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상론(詳論)한다 인

도 서북부의 16대도시 국가 중의 하나였던 Kamboja는 ん 문화인이 세운 나라이다

그리고 조기(早期) 쿠샨 왕조 시기에 일부 인도-스키타이 인의 침입으로 Kambojas는 BC

2세기에서 5세기에 걸쳐 벵갈 스리랑카 그리고 캄보디아 지역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들 중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ん 문화의 흔적은 서북아프리카

Gambia ( 전에는 Gambra으로 알려짐) 강 이 강 주변의 현대 국가 감비아(Gambia) 그리

고 동아프리카 케냐 산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Kikuyu Embu Mbeere and Meru 족과 긴

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Kamba 족에서 볼 수 있다 Kamba or Wakamba 인은 반투 족 집

단에 속하면서 케냐의 동부 지역에 살고 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반투 족의 팽창에 따라 이주해온 것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못

하고들 있는데 Kamba 족의 말 Musumbi (king) Mutongoi (leader)

Musili(judge) Muthui(the rich one) Ngumbau(=N+gumbau hero the brave

one) 를 보면 이들은 일단 중앙아시아ㆍ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퍼져 있었던 (mu) 문화와

ん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고 그 뒤에 인도 서북부 일대의 ん 문화를 수용하여 아

프리카로 진출한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 듯하다(아프리카의 ん konziㆍkonde 문화

2 문화시대 52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들의 말 ん(gumbau)는 lsquo영웅 용사rsquo를 칭하는

말인데 Kamba 족의 지배층 전사들을 칭하는 말이었을 수도 있고 이 말은 인도의 크샤트

리아로서의 Kamboja와 의미가 통한다

인도 북부 지역의 Kambojas는 어느 시기엔가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로 이주하였

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브라질에는 계통이 분류되지 않는 멸종 언어로 Kamba(Camba)가

있다 이는 볼리비아에서 이주해온 약 2000명의 부족이 사용하는데 그들은 Tupi 족이었

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페루와 Acre Brazil 주의 우림지대에 외부 문화에 대해 적대적

이고 매우 호전적인 Ashaacuteninka or Ashaacuteninca 족이 살고 있는데 잉카인들은 이들을 Anti

or Campa(Kampa)로 불렀다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은 Juniacuten Pasco Huaacutenuco의 삼

림지대와 Ucayali에 일부 있다 확실한 자료는 없지만 브라질과 페루의 ん(Kamba

Campa)는 아시아 Kambojas가 이주한 잔재일 수도 있다

(5) 1)

아프리카

어느 지역이든지 신화의 첫 장면은 대체로 혼돈(混沌) 카오스(χάος Chaos khaos)로

부터 시작한다 Chaos의 동사형은 chaiacuteno(χαίνω 입을 크게 벌리다 gape be wide open

etca)이고 이 말의 어원은 원(原)인도 유럽어 ghen- to gape이다 그리고 ghen-과

chaiacuteno는 ん으로 표기할 수 있으니 lsquo카오스rsquo 신화는 lsquoんrsquo문화 시대에서 lsquoんrsquo문화 시

대로 전환되면서 전개되었던 새로운 시대의 창세기로 볼 수 있다

lsquo카오스Chaos (Greek χάος khaos)rsquo와 음훈이 가장 비슷한 것을 아프리카에서 찾는다

면 반투 어족에 속하는 Xitsonga 어 lsquohasahasarsquo(카오스)가 있다 이 단어는 lsquogt(hasa)rsquo의 hasa를 중첩하여 카오스의 개념으로 사용한 것이다 lsquogtrsquo의

lsquorsquo를 족명으로 한 것이 남아프리카의 코사 Xhosa(k ɔː s ə or ˈ k oʊ s ə Xhosa [kǁʰɔːsa] ) 족이다 Xosa로도 표기되는데 KaffirKafir(아랍 어 이교도)로도

불리어진 적이 있다 이들은 원래 아프리카 동부 고원 대호수 지역에 살았지만 서서히 남

아프리카 지역으로 이주하여 토착민이었던 Khoisan 수렵인을 밀어내고 정착하였다

Xhosa 족의 명칭은 전설적 지도자 uXhosa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Xhosa는 일부

San 어에서 lsquo무시무시한(fierce or angry)rsquo의 뜻으로 사용된다 이는 정복자로서의

uXhosa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데 아마도 원래 의미는 천둥을 울리고 번개를 던

질 수 있는 무서운 하느님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lsquogtrsquo는 하늘이 입

을 크게 벌리고 천둥 번개를 쏟아내는 장면을 묘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Xhosa 인은 서로 뚜렷이 다른 문화권의 여러 부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들 스스로는

amaXhosa로 칭하고 그들의 언어는 isiXhosa로 불리어진다 주요 부족은 Mpondo

Mpondomise Bomvana Xesibe and Thembu 등이고 Bhaca 족과 Mfengu 족은 Xhosa

어를 그들의 언어로 채택한 부족이다 이는 Xhosa 문화를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maXhosa와 isiXhosa는 Xhosa 족의 조상들이 후기구석기 시대 동부 고원 대호수 지

역 탄자니아 일대의 (ama) 문화와 (isi) 문화를 수용한 적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

는데 전통적인 Xhosa 문화에는 amagqirha로 알려진 특수한 집단(巫師)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5년 이상의 수련기간을 보낸 여성들이었는데 amaxhwele로 불리는 약초채집전문

가들 izanuse로 불리는 예언가들 그리고 inyanga로 불리는 치료사들로 구성되어있었다

후기구석기 시대 인류이동을 참고하여 amagqirha에 보이는 ama를 일본어 amaあま

(여승 계집 尼 비 雨 하늘 天)와 비교해보면 이들 조상의 역사는 최소 3만년은 된다 그

리고 일본어 isiいし(石) いし(美し) いしい(石井) 암석을 뚫어 만든 우물 또는 돌로 둘

러싼 우물 성씨의 하나)를 보면 (isi)는 마을의 우물을 관리하던 집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amaXhosa와 isiXhosa는 기우제를 지내고 물의 사용권을 장악하였던 시기가 다른

(ama)와 (isi)의 두 문화 집단이 Xhosa 문화를 매개로 하나로 된 것이다

Xhosa 족의 조상들이 살았던 동부 대호수 지역인 케냐 남서부 Nyanza 주의 Kisii와

Nyamira 군(郡)에는 Kisii ( 자칭 AbaGusii) 족으로 불리는 반투 인들이 살고 있다 Gusii

어( Kisii 어 또는 Ekegusii 어로도 알려짐)를 사용하는 이들은 오래된 기록에 Kosova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koso) 신앙인 집단체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의 문화적 뿌

리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기가 힘들지만 (aba)와 (Eke) 문화족이 문화를 수

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카스피 해 주변 지역에서 멀지 않은 발칸 반도에는 코소보(Kosovo)공화국이 있

다 Kosovo는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의 중성 소유격 형용사이고 blackbird

는 지빠귓과의 명금(鳴禽)으로 신조(神鳥)이다 발칸 반도의 코소보(Kosovo)와 아프리카

의 코소바(Kosova)는 모두 양국의 접경지대 교통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지역이

라는 점에서 이 두 지역은 문화를 믿는 (상인)집단이 이룬 공동체 마을이었을 수도

있다 어쩌면 두 지역의 중간 정도 되는 위치에 있는 카스피 해 일대의 문화인이 길을

나누어 이동한 것일 수도 있는데 Xhosa와 음이 비슷한 Hausa 족이 주목된다 이들의 조

상들 중에는 카스피 해에서 북아프리카 차드 호 일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은데 그 중의

일부가 아프리카 동부 대호수 지역으로 진출하였을 수도 있다

그러면 남아프리카의 (Kosova)와 발칸 반도 (Kosovo)를 참고하여 두 지

역의 중간 지역에 해당하는 에티오피아의 케페우스(Cepheus)왕과 왕비 카시오페이아

(Cassiopeia)를 잠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카시오페이아(Kassiope

Kassiopeia Kassiepeia)는 그리스 어로 lsquo언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rsquo라는 의미다 신의 말씀을 전하면서 지상의 질서유지에 필요한 지시를 내릴 수 있

는 신녀(神女)를 lsquo()rsquo라고 불렀던 것이다

그리고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는 원래 나이지리아의 왕이었는데 에티오피아의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하여 안드로메다를 낳았다고 한다 케페우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남

자이고 카시오페이아는 에티오피아의 토착 집단 또는 카스피 해 일대에서 이주해온 집단

의 여자이다 lsquo케페우스rsquo의 어원은 lsquorsquo이고 카시오페이아의 어원은 lsquorsquo이니 에티오피

아에서 lsquorsquo 문화족과 lsquorsquo 문화족이 결혼을 통하여 하나로 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문화시대 54

중ㆍ근동

중동 지역의 lsquorsquo 문화는 수메르 문명 지역부터 먼저 살펴보는데 후대의 발음상 ()는 ndashr-(-ㄹ-)음이 첨가된 lsquo rsquo의 형태로 남아있는 것도 있다 이곳에

서 매우 오래된 지역 Girsu는 Ubaid 기(5300minus4800 BC)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조사되

고 초기 왕조(2900minus2335 BC) 시기에 현저한 수준의 사람의 활동이 있었던 곳이다 BC

3100에 이곳의 인근 지역에 Kish 국이 세워졌었다 이 나라를 연 Kish의 초대 왕 Gishur(

다른 이름 lsquoJushur Jucur Gushur Ngushur Gaurrsquo)는 약 9000minus10000년 전부터 신이

되어버린 전설적 지도자의 이름 Gishur(Ĝirsu Girsu Gursu Girsu)를 자신의 이름으로

삼으면서 신정정치를 펼쳤었다

언어와 기후 유적지의 관계를 고려하면 Kish 국의 Gishur(Gushur)과 Girsu 국의

Ningirsu(=Nin+girsuthe lord of Girsu)라는 이름은 대홍수 직후부터 lsquo()rsquo라는

발음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이를 통해 lsquorsquo문화는 대홍수 직후 혼돈

된 상태에서 시작되었고 카오스 신화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문자 기록상으로 Kish(수메르 어 Kiš 아카드 어 kiššatu) 왕조는 3100minus2900 BC 경에

시작하였고 이때는 청동기 문화의 초기였다 Kish의 뜻을 찾아보면 히브리 어 Kish (שיק qish Kis Keis bow power)는 활 권력이란 뜻이고 스와힐리 어 kisu와 헝가리

어 keacutes는 칼이란 뜻이다 이는 청동기 시대 이후의 사회적 환경이 많이 반영된 것이고 언

변이 탁월한 여자(she whose words excel)lsquorsquo와 가스(gas)의 어원이 카오스와 관계

있다는 것을 참고하면 는 가스가 나오는 동굴에서 신탁을 내리던 신녀(神女)를 칭하던

말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gas 1650s from Dutch gas probably from Greek

khaos empty space (see chaos)

그리고 ()의 존어 ん을 나타낸 것이 수메르 어 gašan인데 이는 女主의

뜻인 nin의 수메르 문자를 방언 gašangashan으로 읽은 것이다 한국어 lsquo가시나가시네rsquo는

수메르 어 gašangashan과 관련 있다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Kash Kush Cosh lsquogašangashan KAKSHKASH

각시가시rsquo) 문화는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내려가 Kisurra(BC 2700에 세워짐) 지역을 지

나 당시 강의 하구 Kuara(Kisiga로도 알려짐 Kuara는 현재 Tell al-Lahm site Dhi

Qar Governorate Iraq) 포구에서 해외로 이동하였다 이곳은 현재는 내륙지방이지만 도

시가 세워진 BC 2500에는 바닷가의 포구로 페르시아 만으로 가는 항구였고 당시 무역의

중심지 Dilmun 항과 교역하였던 곳이다

문화족은 페르시아 만을 거쳐 또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줄기를 따라 자

그로스 산맥 내부로 이동하여 오늘날 이란의 Lorestan 지역을 중심으로 Hurrian이 살고

있었던 지역에 뿌리내렸다 이곳의 사람들을 Kassites라 하는데 이들의 정확한 기원은 잘

모르고 언어가 Hurrian 어와 관계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고 인도유럽 어나 셈 어와는 관

계없다 그래서 인종적으로는 Hurrian의 후손으로 볼 수 있는데 아나톨리아 고원으로 진

출한 아시리아 인(1945-1740 BC)으로부터 문화를 수용하였을 수는 있다

나중에 히타이트 족이 아나톨리아 고원 일대를 점령하면서 그들의 일부는 히타이트 문

화인으로 되어갔고 나머지 일부는 (Kish) 문화의 Kassites 인으로 남게 되었는데 이

들은 Hammurabi 왕의 아들 Samsu-iluna (1749minus1712 BC) 시절에 바빌로니아를 공격하

면서 연대기에 등장하였고 그 후 고대 바빌로니아에 이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하였

다가 Elamites 족이 바빌로니아를 점령하면서 막을 내렸다(1531minus1155 BC) 그 후 짧은

기간(1025minus1004 BC) 동안 왕조가 재건되었지만 이내 Aramean 왕조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이렇게 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막을 내렸지만 그들의 고향인 자그로스 산맥 지

대에서는 그 후에도 매우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갔는데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시절에

는 메디아의 동쪽 산맥에 살면서 여러 산악 부족과 연합하여 페르시아로부터 정기적으로

공납을 받았다 페르시아는 Kassites를 Kossaei로 언급하였다 이들은 BC 331년 페르

시아와 함께 알렉산더 군대와 싸웠는데 당시 기록에는 lsquo코사이언 산맥 거주자들

(inhabitants of the Cossaean mountains)rsquo로 묘사되어있고 이들은 알렉산더 군대의 공

격을 받아 공납을 받아내는 것을 포기하였다

메소포타미아의 Susa를 중심으로 당시 국제사회를 주도하였던 국가로 오랫동안 기억되

었었다 헤로도토스와 다른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때때로 Susa를 Kassite의 다른 이름인

Cissia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는 BC 492 그리스를 침입하였던 Kassites를 Asiatic

Ethiopians으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그가 에티오피아의 다른 이름 Cush로 Kassites를 묘

사하는데 적용한 경우이다 트로이 전쟁의 영웅 Memnon도 때때로 Kassites를 Cissian

으로 기술하였는데 Susa의 건설자 Cissian을 에티오피아 인으로 적기도 하였다

Kassites를 Cush 또는 유사한 음 Cissia로 기술한 것은 고대 그리스 인들이 지중해 건

너 동방 전체를 (Cush Cissia Kish 등등)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Kush(에티오피아)를 메소포타미아의 Susa의 건설자로 알았다는 것

은 그만큼 Kush의 영향력이 컸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세기 로마 시대의 학자 프톨레미

(AD 83경minus168경)는 Elymeans 근처 Susa 지역에 Kossaei 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기술

하였는데 이는 당시까지 문화인이 Susa에 살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BC

3100 Kish 시국이 세워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 지역 일대에서

문화는 계속 이어져 온 것이다

그리고 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동부 히타이트 제국의 핵심지역에서 흑해 사이

의 산맥 지대에 있었던 족들에게도 전해졌는데 그 지역의 사람을 Kaska( Kaška 나중에

는 Tabalian Kasku로 됨)라고 하였다 히타이트 기도문에 Kaska가 처음 나오는 것은 BC

1450이다 이들의 무력은 막강하여 히타이트도 이들을 함부로 대할 수 없었는데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BC 1200)의 한 요인이었다

히타이트가 무너지자 이들은 아나톨리아 동부 지대로 침투하였고 이어 남쪽으로도 진

출하여 아시리아와 마주하게 되었다 BC 12세기 말 아시리아의 왕 Tiglath-Pileser I는

Kaska 족과 Mushki 족의 연합인 들이 Hatti의 중심지역에서 활동하였다고 기록하였고 그

가 그들을 격파한 후 Kaska 족은 모든 역사의 기록에서 사라졌다 아마 아시리아의 재팽창

에 Kaska 족의 일부는 북동 지역 Caucasus 족이 있는 곳으로 이주하여 원(原)Colchian

2 문화시대 56

또는 Lazo-Zan 원주민과 혼혈하여 Qulhi 족이 되었고 나중에 그리스의 Colchi 족이 되었

을 것이다 또 다른 일파는 카파도키아에 그들 자신의 국가를 세웠고 BC 8세기에 아시리

아의 제후국이 되었다

이를 보면 아나톨리아 고원의 Hatti 족이 Kaska의 조상들이었을 것이고 Hurrian 족은

Kassites의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Kassites는 지역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인

접하여있었기 때문에 문화를 수용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점령한 적도 있었다 그

리고 이들이 무너지면서 아프리카에 Kush 왕국이 나타나 AD 350까지 발전하였는데 이들

은 독자적 철기문화로도 유명하였다 그런데 Kassites의 역사와 Kush 왕국의 역사를 연결

해보면 아프리카 Kush 왕국의 독자적 철기문화는 아나톨리아 고원의 Kassite 족이 그곳

에 전한 것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원주민과 연합하여 아프리카 (Kush)왕국을 세웠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문화를 가진 집단의 아프리카 망명 그리고 원자재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원주민과의 연합 정권의 성립 이후 Kush 왕국으로의 발전 이것이 아

마 Kish 문화의 아프리카 전파 과정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앞에서 살펴본 아프리카 문화는 중동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인도ㆍ중앙아시아

BC 2000을 전후한 시기에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장 무역거래를 많이 하였던 곳이 인

더스 강 계곡 지역이었는데 인더스 강을 따라 전개되는 Quetta 주의 Pakistani 시에 Kasi

족이 많이 보이고 그 외에 이란ㆍ팔레스타인ㆍ이라크ㆍ아프가니스탄에도 Pashtun 어를

사용하는 Kasi 족이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사이의 Durand Line 아래 Baloch 인

들의 영역에 Kush (Persian کش Balochi کش happy or merry) 산이 있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Kushi 산이 있다

Haplogroup R1b 집단과 관련이 있는 이란 고원과 우크라이나 폴란드에서는 Kush

Kash Kosh and Kesh이 산맥과 고산군(高山群)을 뜻하는데 특히 Kurdi (Sorjani) 어와

이란 어에서는 Kash가 사용된다 그리고 KushKacircsh는 이웃한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쿠

샨 제국(Kushan Empire)과 힌두쿠시(Hindukush) 산맥에 살고 있는 인종의 이름으로도 사

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Kish) 문화인이다

인더스 강변으로 전해진 Kish 문화는 인도 메갈라야 주의 카시middot자인티아 구릉 지대에

사는 Khasi 족에서도 볼 수 있다 그들은 막내딸이 집안의 유산이나 부족의 공직을 물려받

는데 실제적인 업무와 재산관리는 여자들이 지명한 남자들이 처리한다 이를 보면 문화권의 사람들은 막내딸이 여사제로 대를 이어갔었음을 알 수 있고 그녀가 lsquo카시오피아rsquo

이다

이들의 문화는 인더스 강변에 정착하였던 아리안 족의 이동을 따라 BC 10세기 경 갠지

스 강변으로 전파되었고 그곳에 최대의 문화시국 Kasi 또는 Kashi(光州 the luminous

one)를 세웠는데 이곳은 현재 보통 Varanasi ([ʋaːˈraːɳəsi]) 또는 Benares Banaras

(Banāras [bəˈnaːrəs])로 불리어지고 있다 리그베다에 전하는 Kasi 시국은 BC 6세기를

전후하여 인도 중북부의 16강대국(Solasa (sixteen) Mahajanapadas) 중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도 가장 경제와 문화가 빛나는 곳이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지상천국 kasi를 가장

거룩한 곳 중의 하나로 여기고 있고 이곳을 흐르는 갠지스 강에 화장한 재를 뿌리는 것이

인도 힌두교인의 소원이다

인도에서 화려하게 꽃핀 (KasiKashi)문화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로

완성되었다 Kakshpa(=Kaksh + pa)는 Kaksh를 신앙으로 하는 파(派[pa igravepa pa i])라는

뜻이다 인도 북부 Haryana 주에는 군인과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작은 마을 Kosli가 있

는데 이곳에는 kaksh 씨족(gotra)이 세운 Thakur(비시누 신의 8번째 화신인 Krishana 신

의 다른 이름) 사원이 있다 kaksh 씨족의 이름에 보이는 kaksh가 들어가는 말은 Uttar

Pradesh 주 주지사의 공관으로 사용되는 Raj Bhavan의 부속 건물 이름 JAN KAKSH (일

반 대기실) 그리고 KALA KAKSH (선물보관의 작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KAKSH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 각시(閣氏)이다

한국어 각시(閣氏[ge ga o][shigravezhī]) ldquo이 말은 《석보상절》(1447 312)에 lsquo각시rsquo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lsquo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rsquo를 가리키던 고유어 lsquo가시rsquo를 이두식

한자로 쓰던 것이 굳은 말이다 한자로는 lsquo閣氏rsquo로 쓰지만 한글 표기법으로는 lsquo각시rsquo로 쓰며

lsquo각씨rsquo는 잘못이다rdquo《daum 국어사전》 《석보상절》에 보이는 lsquo각시rsquo는 lsquo가시rsquo에 음의 명

확성을 위해 k(ㄱ)음이 첨가된 것이다 한국어 lsquo각시rsquo는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

와 관계있다 그래서 lsquo각시rsquo는 원래 왕궁이나 공관에서 업무를 보는 lsquo여성지도자rsquo를 지칭하

던 말이었고 KAKSH 이전 시대의 말은 KASH 이었고 이것과 근접한 음이 KishKush이

다 이를 통해 힌두교 비시누 신의 두 번째 화신 Kakshpa는 수메르 Kish 시국의 여주(女

主) NIN gašan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연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말라야 산록의 카시미르를 넘어 중앙아시아로 전해진 는 현재 신장으로 불리는

중앙아시아 위구르 족의 중심도시 카스카르( 喀什噶爾 Kāshiacutegeacutersquoěr) 喀什 (Kāshiacute)에 그 흔

적이 남아 있다 프톨레미(Ptolemy AD 90-168)는 카스카르(Kashgar)를 Kasia로 언급

하였다 그리고 Kashgar의 gar은 Pashto 어 garghar(mountain)에서 보듯이 산 또는

산맥을 뜻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수메르 어 kur이다 이를 통해 수메르 문명 지역의 (Kish) 문화인이 인도 북부의 산맥 지대를 통과하여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음을 알 수 있

카스(카르)를 지나 중국 돈황으로 가는 길 딱 중간 지점에 쿠차가 있다 이곳은 타클라

마칸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 무자트(Muzart Muzat)의 남쪽이다 지리적으로 이곳은 모여

서 쉬었다가는 곳이어서 문화도 이곳에서 꽃을 피웠었고 불교도 그러했었다 고대

불교 왕국 구자국(龜玆國)으로 불렸던 이곳은 Kucha Kuche Kuccedilar Kuchar Qiuzi

Qiuci Chiu-tzu Kiu-che Kuei-tzu(屈支 屈茨 龜玆 龟兹 丘玆 庫車)산스크리트어

K u c i n a K u t s a h i y u i K u s K u s a n K o s K u c h a

KujarKuumlchiumlGuzanKuumlsanKuumlsaumlnGuumlsaumlnKuxianQuxianKuumlshaumln Kushan 등으로 음

역되어 불렸었다 이곳의 지명을 통해 카스카르를 통과한 문화가 이곳에서 꽃피운 적

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사막을 따라 돈황으로 가기도 하고 북쪽 초원지대로 가기도 하여 중앙아

시아 전역으로 문화가 퍼져나갔는데 중국 측 기록에는 거수(渠帥[qu ][shuai])라는

2 문화시대 58

말로 널리 사용되었다 거수(渠帥[qu][shuai])는 장수(長帥)라고도 하는데 거수(渠帥)의

풀이를 통해 수메르의 Kish 시국은 읍(邑) 정도의 규모였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ldquo중국의 역사서에 주변 종족의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였다 《삼국지》 lt위지 동이전gt에 수록

된 우리 고대 종족사회의 경우 소국의 수장을 가리키는 군장(君長)보다는 다소 격이 낮은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를 가리킬 때 쓰였다《브리태니커거수》rdquo

극동아시아

인도의 문화는 갠지스 강 유역 쿠시나가라를 거쳐 해상으로 이동하여 일본의 큐

슈 진도읍 북서쪽으로 약 21km 해상에 있는 가사도(袈裟島)를 거쳐 한반도의 고대 제철

산업으로 유명하였던 금관가야 구지봉으로 연결된다 한반도 남부 삼한의 구소국(狗素

[gou][su]國)과 구해국(狗奚[gou][xī]國) 구사한국(狗邪[gou][xieye ]韓國) 구지봉(龜

旨峰[guījunqiu][zhǐ]) 창원시의 옛 지명 굴자군(屈自[qu ][zigrave]郡) 또는 구사군(仇史郡)

등은 () 문화인이 배를 타고 한반도 남해안 지역으로 이주하여 왔다는 것이고

이들 국명은 (Kish)를 음사하면서 신앙의 중심이 구(狗) 또는 거붑(龜)에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그리고 신라 시조 혁거세를 거서간(居西干)이라하는데 진한(辰韓)에서는 왕 또는 귀인

을 거서간이라 하였고 거슬한(居瑟邯)으로도 적었다 신라 거서간(거슬한)의 lsquo거서거슬rsquo

과 백제 구수왕(仇首王 재위 214minus234) 근구수왕(近仇首王 재위 375minus384)의 lsquo구수rsquo는

lsquorsquo에서 유래하였다

한반도를 지나 만주 지역으로 올라가면 부여 대소(帶素) 왕의 막내 동생 갈사왕이 압록

곡(鴨淥谷)을 흐르는 갈사수(曷思水) 가에 세운 갈사국(曷思國 AD 22minus68)을 만나게 된다

강의 이름은 문화의 정체성을 끝까지 보존하는 성격이 강한데 lsquo갈사rsquo(曷思[he ][sīsai])의

한국어 한자음은 lsquo갈사rsquo 중국어 사성음은 [he ][sīsai]이니 이것의 원어(原語)는 lsquorsquo이

고 lsquo갈사rsquo는 lsquoㆍ(Kish Ĝirsu)rsquo에서 비롯된 단어로 보면 된다

유럽

아나톨리아 고원을 지나 초원 지대로 올라가면 미케네와 중앙아시아 중간 지점에 카스

피 해(Caspian Sea)가 있다 이곳 주변의 초원지대는 인도 유럽 어족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인데 lsquo카스피rsquo라는 말은 카스피 해의 남쪽과 남서 해안 지역에 살던 사람을 부르는 말

Caspiane에서 유래하였다 이들을 원(原)인도 유럽어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Ernst

Herzfeld에 의해 어느 곳의 말과도 연관성이 없는 고립어를 사용하였던 Kassites 족과 같

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논란이 아직 끊이지 않고 있다 Caspiane을 간단

히 생각하면 lsquo +rsquo이고 이들은 문화인이다 이곳의 문화는 카스피 해 일대

의 드니프로 강과 볼가 강을 따라 퍼져 나갔을 것인데 그 흔적은 러시아 제3의 수도로 불

리는 카잔 그곳을 흐르는 Kazanka 강 그리고 카자크(우크라이나 어 козаки 러시아 어

каза ки 폴란드 어 Kozacy)로 불리는 군사집단의 이름으로 남아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는데 이를 통해 는 전사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었음을 알 수 있다

khasaq 수레를 타고 다녔던 전사 집단의 먼 조상 중에 하나가 인도의 크샤트리아

(Kshatriya) 계층인데 인도의 아리안은 러시아 안드로노보 문화권 지역에서 1700minus1500

BC 시기에 인더스 강변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문화적 기반은 러시아의

기층문화와 겹치게 되어 있다 즉 우크라이나의 코사크와 인도의 크샤트리아는 초원 지대

에서 lsquorsquo로 불리던 전사 집단에서 분리된 것이다

이러한 집단 중의 하나인 로마의 lsquo케사르rsquo( Lucius Julius Caesar Gaius

CaesarGermanicus Caesar Drusus Caesar 씨저)는 미케네 섬에서 사용되었던 통치자

칭호 qa-si-re-u에서 유래된 집단의 성씨로 볼 수 있고 이 말의 어원은 와 수메르

Kish의 초대왕 Jushur의 다른 이름 Jucur Gushur Ngushur Gishur Gaur 에서 찾을

수 있다

를 상징하는 동물을 찾아보면 먼저 세르비아 어 kos(кос)(blackbird)를 생각해

볼 수 있다 kos는 문자적으로 흑조(黑鳥)로 번역되는데 한자어로는 보통 현조(玄鳥)로 표

기되었다 blackbird는 지빠귀 과의 명금(鳴禽)으로 까마귀ㆍ까치ㆍ제비 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kos는 발칸 반도 코소보(Kosovo) 공화국과 가까운 동유럽 각국의 오리를 뜻하

는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비슷하고 이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애칭 lsquo카챠(Катя까챠까쨔)rsquo와 음이 같다 이들 단어는 gtgt차gt고추(고구려 고추가) 로 발음 표기된 신인(神人) 지도자의

명칭과 같은 것으로 보면 된다

오리를 신조(神鳥)로 믿었던 문화는 지중해ㆍ흑해 연안에서 중국과 한반도에 전해졌는

데 가야에서는 오리 토기가 제례용 토기로 많이 제작되었었다 가야에서는 당시 오리를

무엇이라 불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오리를 뜻하는 일본어 Kamoかも[鴨

鳧]Ahiru(집오리) 터키 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몽어 os

라틴 어 Duck 타밀 어 Ṭak 신할라 어 tārā 벵골 어 Hāmsa 힌디 어 batakh 태국 어

Pĕd 그리스 어 paacutepia 등을 볼 적에 lsquo오리rsquo는 터키아제르바이잔 지역의 말과 관련이 있

다 가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에서 신조(神鳥)는 Kamoかも[鴨鳧] 집오리는 Ahiru

로 부르는데 일본어 ori오리おり는 짐승의 우리(檻)상자를 뜻하는 말이다 터키어

Oumlrdek 아제르바이잔 어 oumlrdək 쿠르드 어 werdek 라틴어 Duck 타밀 어 Ṭak을 참고할

적에 가야에서는 아마도 오리를 lsquo올바르다rsquo의 lsquo올rsquo에 해당하는 Oumlr의 음과 타밀어 Ṭak을

합친 lsquo올Oumlrdekoumlrdəkrsquo으로 불렀을 듯하다

그리고 우크라이나 지역의 스키타이가 막을 내릴 무렵(ca BC 100) 신라 지역에 거서

간이 나타났고(BC 57) lsquo거서간rsquo의 명칭이 신조 오리 벨로루시아 어 kačka 슬로바키아

어 kačica 폴란드 어 kaczka 우크라이나 어 kachka 이디시 어 qʼatşqʻ 체코 어 kachna

헝가리 어 kacsa 와 같고 이는 khasaq로 부르는 수레를 타고 다녔던 우크라이나와 러시

2 문화시대 60

아 남부에 있었던 군사 집단 카자크 또는 코사크의 명칭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신조

오리를 모시고 신라 지역으로 이동해온 전사 지배층 또는 그와 관련이 있는 문화집

단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신라 거서간의 문화적 뿌리는 흑해 연안 서쪽에 자리

잡고 있었던 동유럽 특히 우크라이나(kachka)에서 찾아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지중해에서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를 통과하여 중국 지역으로 전해진 오리 문화의 전

파로와 솟대 위에 신조를 모시는 풍습이 초원 지대에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 집단은

북방 초원을 통해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주해온 듯한데 그런 무리 외에 인도를 거쳐 한

반도로 이주하였던 사람들도 있었다 그 흔적은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14관등이었던 길사

(吉士)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lsquo계지(稽知[jīqigrave][zhī])ㆍ길차(吉次[jiacute][cigrave])ㆍ당(幢)rsquo이라

고도 하였다 사두품 이상의 신분이면 받을 수 있으며 공복(公服)의 빛깔은 황색이었다

길차(吉次)와 음이 같은 것은 산스크리트 어 ktya 팔리 어 kicca를 음역한 lsquo길자(吉蔗)

ㆍ길률자(吉栗蔗)ㆍ흘률저(訖栗著)rsquo의 lsquo길자(吉蔗)길차(吉遮)rsquo를 들 수 있고 ktya kicca

는 lsquo소작(所作)ㆍ조(造)ㆍ사(事)rsquo로 훈역되었으며 악귀(惡鬼)의 이름이라고 하였다 악귀라

고 하는 것은 탐관오리를 뜻하는 말이다 산스크리트 어 lsquoktyarsquo팔리 어 lsquokiccarsquo는 인도의

토착화된 lsquorsquo였고 이것이 신라로 전해져 lsquo길사(吉士)길차(吉次)계지(稽知)rsquo로 남은 듯

하다

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Bahamas Greater Antilles and the northern Lesser Antilles에 살고

있는 Taiacuteno 족은 이 지역으로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살아온 원주민들인데 그들은

Hispaniola(Dominican Republic and Haiti) 에 있는 신성한 산의 동굴에서 출생하였다고

믿고 있다 Taiacuteno 족의 사회는 lsquo평민과 귀족rsquo naborias (commoners) and nitaiacutenos

(nobles)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치적인 질서는 Taiacuteno 어로 lsquo집을 지키다rsquo(to keep

house)라는 뜻에서 유래한 cacique(s)(Spanish [kaˈθike kaˈsike] Portuguese

[kɐˈsikɨ kaˈsiki] feminine form cacica)로 불리는 추장(들)이 통치한다 검색창cacique

이들 외에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중북부와 조지아 주 남동 지역에 Timucua로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인디언이 살았는데 약 35개의 추장국(chiefdoms)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스페인 인들이 1601년 기록한 것에 따르면 50명 정도의 caciques들이 있었다

Cacique라는 말은 Taiacuteno 어 kassiquan(to keep house)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

kassiquan은 신라의 lsquo거서간rsquo을 그대로 음역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lsquoCaciquersquo 용어는 아

무래도 유라시아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이고 이 말은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의 열대적도권

사이 지역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참새목과의 새의 이름이기도 하다 새의 털색과 모양은

한국의 까치 또는 갈까마귀와 거의 같고 까치의 흰색 털 대신 노란색 털이 박혀 있다

이 새가 분포하고 있는 지역과 정치 지도자 Cacique의 분포 지역은 일치하고 북아메리

카 북부 지방과 남아메리카 남부 지방에는 이 용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아메리카의

Cacique는 신라 지역에서 동한난류를 타고 일본 열도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 다음 캘리

포니아 앞 바다로 이주한 사람들이 전한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거서간 칭호 집단이 태평양을 건너 아메리카 지역으로 갔듯이 고구려의 lsquo소노

부rsquo와 관계되는 집단도 배를 타고 태평양을 건넜는데 lt발해해상항로 학술뗏목대탐사대 발

해 1300호 항해를 통한 발해의 동해해상항로연구gt(해군사관학교 29회 해양학술세미나 발

표자료(2008529)를 참고하여 당시 항해로를 추정하여 정리한다

신라 영일현(迎日縣)에서 배를 타면 동한난류를 타고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다가 울진주

문진양양 근처에서 울릉도를 돌아 일본 외해분지 지역으로 와서 대마난류(4対馬暖流)를

타고 일본 연해안으로 갈 수 있다 이사부가 우산국을 점령하고 연오랑과 세오녀(延烏郞minus

細烏女)가 아달라왕 4년(AD 157)에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은 이 항로다

일단 일본 서쪽 연해안을 따라 홋카이도 까지 가면 진경난류(5津軽暖流)를 타고 태평

양으로 나갈 수 있다 (조선시대 통신사가 일본 에도로 갔던 길을 따라 부산에서 큐슈로

가서 태평양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아메리카로 간 사람들은 이 길을 활용하지 않은 듯하

다)

lt日本列島近海の海流gt

1黒潮 2黒潮続流 3黒潮再循環流

4対馬暖流 5津軽暖流 6宗谷暖流

7親潮(千島海流)Oyashio

8リマン寒流 《wikipedia黒潮》

《wikipediaOcean current》

도표12⦗한반도 동해안minus아메리카 서해안 항해ㆍ해류이동로⦘

이렇게 해류를 타고 이동할 경우 신라에서는 동남풍이 불어오는 5월 즈음에 출발하여

울릉도를 돌아 8월 말 또는 북서풍이 불어오기 시작하는 10월 초 즈음에는 일본 연안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태풍이 지나간 후 8월 초에 출발하여 10월 초까지는

도착해야 한다 고구려발해 지역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북서풍이 부는 10월 10일경 출발하

여 리만 해류(8リマン寒流)를 타고 동해 가운데로 나간 다음 동한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2월에서 3월에는 일본에 도착해야 한다

시간을 단축하려면 1월 말에 출발하여 3월 초에는 도착해야 한다 3sim4월이 되면 봄바

람이 종잡을 수 없이 불어 위험하다 마찬가지로 8월 말sim10월 초에는 동남풍이 북서풍으

로 바뀌는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이 기간에는 배를 띠우지 않고 기다

2 문화시대 62

린다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고려할 때 신라와 고구려에서 동시에 떠날 수 있는 기간은 2월

인데 현재 배의 성능으로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 기간이 어쩌면 항해에 가장 좋을

수 있지만 고대에는 곧 3월 봄바람이 부는 철이 되기 때문에 위험하여 항해 기록이 거의

없다 이 때 부는 바람을 이월바람(二月바람) 또는 연등 대왕(燃燈大王) 영등신(靈登神)

영등할머니(靈登---)라 하고 음력2월 초하루 영등 날 왔다가 20일 후에 다시 하늘로 올라

간다고 한다

일단 일본을 벗어나면 북태평양 해류와 캘리포니아 해류를 타고 아메리카 텍사스ㆍ애

리조나 지역ㆍ바하 캘리포니아 반도(Baja California Peninsula)ㆍ중앙아메리카ㆍ남아메

리카 북부에 도착하게 된다 이 중에 가장 좋아했던 곳은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였다 일단

태평양의 먼 항해를 끝내고 북적도 난류를 타고 캘리포니아 만으로 들어가 안전하게 육지

를 향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지역의 지명에 아시아의 lsquorsquo 문화어가 많이 보이고 멕시코

의 Sonora 주가 있다 Sonora는 흉노(匈奴[xiong][nu])ㆍ고구려 소노부(消奴[xiao][nu ]部)와 관계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뒤에서 다시 언급한다

2)ん

ん(ん)는 중동 지역의 남자 이름 Muhammad Qansu 투르크계 여성 이름

Cansu로 사용된다 힌두교 기록에는 마투라 지역에 도읍지를 둔 Vrishni 왕국의 포악한

통치자 Kaṁsa (कस)(Kansa)가 있다 방글라데시 남서부 지역에 Kansa Bangladesh 마

을이 있다 미국 캔자스 주 중부 지역에 Kansa(Kanza) 족이 살고 있는데 Kaw 족으로도

불린다

남미 콜롬비아 남부에 있는 Sibundoy 계곡에 주로 살고 있는 원주민 Kameumlntsaacute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Camsaacute Cameumlntseumlaacute Coche Kamemtxa Kamsa Kamse

Sibundoy Sibundoy-Gacheacute 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콜롬비아에

서도 고립어인 것으로 보아 ん 문화를 지켜온 소수 원주민으로 보인다

(6) 1)

lsquogt gtrsquo 문화는 lsquo rsquo의 형태로도 나타났는데 연대 상으

로 문화가 먼저고 문화가 뒤다 lsquo()()rsquo의 뜻은 일단 그리스 어

Kyrios(rulerlord)로 이해하면 된다

아프리카(1)

나이지리아ㆍ카메룬과 연접하고 있는 가나(Ghana)를 중심으로 남부 기니아 만(灣) 일

대의 여러 지역에 살고 있는 아칸 족은 Onyame(God)로부터 Kra를 받는다고 믿는데

Kra는 사람의 영혼을 뜻하고 lsquo생명rsquo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하느님의 대리자인 황새가 아

이를 태어나게 하는 생명을 가져다준다고 하는 문화를 고려할 때 Kra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Horus) Ḥāru( falcon the distant one or one who is above over)와 관계

있다

그리고 생명탄생은 여성(girl)과 관계있다는 점에서 Kra는 girl과 관계있을 것이다

girl의 어원을 조사해보면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고 하면서 소년 소녀와 같이 작은 아이를

뜻하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girl이 네팔의 쿠마리와 같이 월경을 시

작하기 전의 신녀(神女)를 부르는 말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고 이 사실은 girl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 어 gadis(lt 신을 뜻하는 말 lsquorsquo)와 소말리아 어 gabadh(ltlsquo+ rsquo)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하느님()의 정기를 받아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 동정녀

가 girl이고 이러한 신녀(神女)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진행하는 데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런 점과 아프리카 내부의 인류 이동을 참고할 때 Kra와 ḥr는 남아프리카 ǃKung 족의

여성 이름 Kxaru와 관계있을 듯하고 이 말은 lsquogt(Ḥāru)gtKxarugtKragtgirlrsquo에서 유

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Old English gyrele from Proto-Germanic gurwilon- diminutive of gurwjoz (apparently

also represented by Low German gaeligre boy girl Norwegian dialectal gorre Swedish

dialectal gurre small child though the exact relationship if any between all these is

obscure) from PIE ghwrgh- also found in Greek parthenos virgin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girl》

인도(1)

인도는 아프리카 문화와 북방 초원 문화가 혼합되어 있는 곳이어서 다소 복잡한데 먼

저 아프리카 문화요소 lsquogtgtrsquo와 관계되는 것을 살펴본다

인도 서북부 Delhi Haryana Uttarakhand와 Uttar Pradesh 주의 서부 지역에 살면서

베다를 믿는 부족이 연합하여 세운 Kuru 왕국(대략 1200minus800 BC)이 있었다 Kuru는

인도 북동부 Kangleipak (Manipur) 지역의 7씨족들로 구성된 MeeteiMeitei 족의 최고신

Atiya Kuru Shidaba를 부르는 이름이다 그 외 여러 부족들(kuki paite hamar zou

tangkhul chiru 등)도 이 말을 사용한다 Atiya Kuru Shidaba (Atiya 광대무변의 우주

Kuru 반원구의 천체 Shidaba 영원함)의 의미 풀이를 참고하면 Kuru는 우주계를 뜻하는

말인데 이는 고대 이집트 어 ḥr Ḥāru와 관계있다 그래서 Atiya Kuru Shidaba를 아프

리카 신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우주를 뜻하는 Kuru와 관계있는 것이 검은 피부색을 가진 자 또는 파괴의 여신으로

해석된 자애로운 어머니 여신(Mother goddess) 우주의 영원한 에너지와 관계있는 여신

Kali이다 힌두교에 정리된 Kālī (ˈkɑːli[kɑːliː] Kālikā)는 유(有)를 있게 하는 근원인

태허(太虛)의 무(無)(annihilation still)를 상징하는 말인데 빛 그 자체보다 먼저 있었던

최초의 창조적 실재 상태를 의미하는 캄캄한 밤과 같은 어두움(black)과 시간도 없는 블

랙 홀 상태의 시간(time)을 의미한다 산스크리트 어 Kāla와 kālam (black dark

2 문화시대 64

coloured)은 이 상태(太虛의 無)를 나타내는 말이고 Kālī(the black one)는 이것의 여

성형이다 이것에서 삼라만상이 생성되어 나오기 때문에 후대 힌두교의 Kālī는 shakti와

관계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체계화된 인도의 문화를 계승한 Kaurava는《마하바라타(Mahābhārata)》

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왕 Kuru의 직계후손 넓게는 Kuru 왕국에 속했던 사람들의 후손들

전체를 칭하는 말이다 남인도 고트 산맥(Ghats)에 있는 Nagarahole and Kakanakote 숲

속에 살고 있는 원주민 Kadu Kuruba가 있다 Kannada kadu(forest)와 Kuruba

(Kuruma Kurumbar 또는 Kuruba Gowda)의 합성어인데 Kuruba는 양을 치고 농사를

지으면서 살아온 힌두 계급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인도 북부의 Kuru 신앙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와 정착한 경우이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의 kra(human)는 사람(man)을 뜻하는 아이누 어 Kur(man) 산스크리

트 어 guru(스승) 산스크리트 어 gri(to invoke or to praise) gur(to raise lift up

or to make an effort) 원(原)인도유럽어근 gʷerə- gʷr ə-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본다

이는 다분히 종교적 의미가 강한데 gʷerə- gʷrə-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을 찾는다면

영어 girl과 서아프리카 아소칸 족의 Kra가 있다 종합하면 (생명을 주신 신 또는 광

명을 대상으로)기도하는 사람 찬양하는 사람이 신인(神人) guru(스승)이고 Kur(man)

이고 kra (human)이고 그리스 어 kyrios(ruler lord)이다

kra(human) 문화는 말레이시아 반도 Kra 해협에 있는 태국과 미얀마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 Kraburi 강의 이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이 강의 입구 태국 남부에 있는 마을

이 Krabi이다 이 이름은 태국어 krabi( 曲劍 sword)에서 취한 것이라 하는데 칼은

지배층이 착용하는 것이니 krabi는 지배층을 칭하는 말이다

이들의 후손은 동남아시아의 Kra 어(KlaacuteondashBouxyaeŋz의 줄임말 중국어 흘앙仡央

[Gēyāng])사용자로 남아 있는데 Benedict (1942)는 lsquo 어와 어rsquo(the Kra and

Hlai languages)를 합쳐 KrandashDai로 표기 사용하였고 Kadai 또는 Kradai라는 용어는

Tai-Kadai 어족 전체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그리고 lsquo 어와 어rsquo 사용자들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로 중국 서남부 귀주(貴州)

의 흘로족(仡佬[ge ge ][la o]族)이 있다 고대 흘로 족의 인구는 많아서 중국의 서남부와

중남부에 널리 퍼져 있었다 lsquo흘로(仡佬)rsquo는 당송(唐宋) 시대의 역사서에 처음으로 갈료

(葛僚[ge ge lia o])ㆍ흘료(仡僚)ㆍ길료(佶僚)ㆍ혁로(革老[ge lao ji lao])ㆍ흘로(仡佬)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였는데 이들의 족명은 lsquoㄹgt gtHlai Kra 사람rsquo에

서 유래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니 실제 그 이전부터 있어 왔었다고 보아야 한다 현재는

금사(金沙)주변 20여 개 현(縣)에 26000여 명(1978년)광서 장족 자치구의 륭림(隆林) 각

족(各族)의 자치현과 운남성 문산 장족 묘족 자치주의 광암 문산 부녕 등에 소수가 기타

민족과 섞여 잡거하고 있다 흘로어(仡佬語)는 한장어계(漢藏語系---시노 티베트 어계)에

속하는데 인구가 적고 여러 지역에 흩어져 살다보니 지역마다 흘로어의 차별이 매우 크

그리고 흘로([ge ge lia o])족의 근처 운남성 서쌍판납 징홍(景洪) 현을 중심으로 약 1

만 명 정도(1978)의 기락(基落) 족이 살고 있다 족명은 아마 기락산과 관련이 있을 듯한

데 역사서에는 유락(攸樂)으로 번역되어 있다 기락 족의 시조 남자 마흑(瑪黑)과 여자 마

뉴(瑪紐)는 대홍수 때 선인(仙人)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는데( Manu는 힌두교에 전하는 대

홍수 후 인류시조이다) 그들이 결혼하여 퍼뜨린 후손이 지금의 기락 족이다 기락 족이 살

고 있는 곳에 뒤이어 한(漢) 태(傣) 합니 족이 와서 각각 낙토(樂土)를 이루었다고 한다

여기서 lsquo한(漢)rsquo은 현재 중국의 주종족인 lsquo한족rsquo이 아니고 lsquoㄴrsquo의 음역으로서의 lsquo한rsquo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주 이른 시기의 다른 전설에 따르면 lsquo걸탁(杰卓)rsquo산에 살고 있는 한 과부가 칠

남칠녀를 낳았는데 이들이 서로 결혼하여 종족이 번성하게 되었고 기락 족은 기락산에

정착하기 전에 걸탁산에서 살았기 때문에 본래 족원(族源)이 걸탁산의 종족과 동일시조의

혈연관계에 있다고 한다 징홍 현 지역에 탁(杰卓) 족과 (基落)족 카다(佧多) 족의

이름이 보이는데 lsquo탁rsquo과 lsquo카다rsquo는 lsquo(God)rsquo를 음역한 것이고 탁 산은 신(God )

이 강림해 있는 산이다 (소수민족관련내용은 《中國小數民族人民出版社1981》참고)

중국의 흘로(仡佬)족과 같이 족명이 lsquo흘로ㆍ갈료rsquo로 발음되는 경우는 ldquo다게스탄에 Heli

또는 Gheli라는 종족이 있고 Gheli Huli Heli 등의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rdquo는 아리엘

골란의 연구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lsquoㄹgt(Heli)(Gheli)rsquo에서 유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후기구석기 시대에는 lsquoㄹrsquo 문화가 여러 지역에서 성행하였기 때문에 중국 지역

과 다게스탄에서 동일한 문화 흔적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후기구석기 시대 lsquoㄹrsquo 문화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제주도 한

라산(ㄹ 산) 주변 지역의 문화족은 대홍수를 겪으면서 바다가 형성되자 일부는

타이완 주변의 Hlai 족으로 남았고 일부는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lsquo 어와 어족rsquo

으로 남았고 일부는 중국 서남부 고산 지역으로 이주하여 lsquo흘로ㆍ갈료rsquo 문화족이 되었고

또 일부는 한반도 지역을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한반도에는lsquo계림rsquo을 비롯한lsquorsquo계열의 무수한 지명이 있고 만주 지역으로 가면 lsquo길림rsquo

이 있고 역사서에 길리미(吉里迷)ㆍ길렬미(吉烈迷)ㆍ걸리미(乞里迷)ㆍ걸렬미(乞烈迷)

등으로 기록된 lsquo길랴크rsquo 족이 있다 이들은 만주 전 지역에 퍼져 있었으나 현재는 흑룡강

하구와 사할린 섬에 소수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들의 족명에 붙는 lsquo미(迷)rsquo

의 뜻은 lsquo전념하다ㆍ열중하여 빠지다rsquo인데 이는 lsquo rsquo라는 종교에 빠져있는 사람을

지칭한 것이다

lsquo길리미ㆍ길랴크rsquo로 칭해지는 사람들은 바로 이 종교 문화인을 말하는 것이고 시대가

달라지자 그들 중 일부는 길랴크라는 이름 대신 lsquo니구픈 니비히(사람이라는 뜻) 니비키rsquo로

자칭하고 있다 이는 lsquorsquo 문화인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약 100년 전 이들을

조사하였던 도리이 류조의 연구(《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 통치》 서경문화사)를 보면

그들의 모습은 ldquo신장은 그리 크지 않고 신체 강장ㆍ가슴 발달ㆍ어깨 넓고 궁둥이 발달ㆍ손

발은 짧고 두발 직모ㆍ머리 모양 중두(中頭)ㆍ광대뼈에 열굴 모양 편평ㆍ눈 가늘고 경사지

고ㆍ입은 크고 코는 낮으며 콧수염이 많다rdquo

2 문화시대 66

이들에 대하여 인근의 오롯꼬 사람은 그들을 lsquo꾸기rsquo 아이누 족은 lsquo수메렌 구루rsquo라 하고

러시아 인은 lsquo길랴크rsquo 퉁구스 족은 lsquoKilㆍGilㆍKillekkorsquo로 부르고 있다 이들의 언어는 한

반도 지역의 언어에서 갈라져 나간 지파(支派)어이고 문화도 매우 비슷하다는 연구《한국

어계통론》(강길운 1988)가 있다 이는 그들이 한반도를 거쳐 만주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는 것을 의미하니 이들의 원래 근거지는 후기구석기 시대 제주도 산 주변 일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북시베리아

18000년 전의 대혹한과 14750년 전의 지구 대가뭄으로 모두가 굶주림에 직면하였을

때 땅을 갈아 씨를 뿌려 생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대변화가 일어났고 이 새로운 문화의

핵심이lsquoㆍrsquo신앙이다 농경문화와 토기의 발달을 볼 때 이 문화가 세계에서 가장 먼

저 발생한 곳은 약 15000minus20000년 전 제주도의 산을 중심으로 한 오키나와ㆍ한반

도 남부ㆍ일본 후쿠이의 중간 지역이다 이곳이 lsquoㆍrsquo문화의 원래 중심지였는데 대홍

수로 바다로 변하면서 이 지역의 사람들은 일본 큐슈 지역과 동남아시아에서 중국 서남부

지역 한반도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한반도 사이의 대평원이 바다로 변하는 대홍수의 사건이 전개될

적에 동북시베리아의 오호츠크 해 일대도 해안의 대평원에서 바다로 변하게 되었다 지금

의 사할린 섬 일대에서 이곳에 이르는 지역은 Haplogroup C 계열의 사람들이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육지로 올라가는 곳이었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동북 시베리아 캄챠카 반도

일대에 살고 있는 고아시아 족인 코랴크(Koryak) 족 케렉(Kerek) 족이다 이들을 통해 동

북아시아 지역에는 고아시아 족이 형성될 시절부터 ㆍ 문화가 있었든지 그들이

이 문화를 수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동남아시아의 Kra 어족 중국 서남부의 기

락족 만주의 길랴크 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케렉 족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동북시베리

아에 이르는 지역에는 후기 구석기 시대에 lsquoㆍㆍㆍrsquo의 동일 문화권이 형성되

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대홍수 이후 제주도 주변이 바다로 변하고 난 다음 동북시베리아 지역의 lsquoㆍㆍㆍrsquo 문화의 근원지는 어디였을까 이를 알 수 있는 자료로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에 있는 성층 화산 켈(Kell) 산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 그리고

이곳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입술장식원판을 들 수 있다 Kell 화산의 가장 깊숙한 곳의

칼데라는 플라이스토세 후기 또는 타란토절(Tarantian)(126000 plusmn 5000 년 전minus9700

BC)에 생성된 것으로 간주되고 전(前)빙하기에 화산활동이 멈춘 것으로 보인다 George

Carr Frison의 연구에 따르면 고(古)들소(Bison occidentalis and Bison antiquus) 종은

11000minus12000년 전에 활동하였었고 그 후 현재의 작은 들소(bison) 종으로 살아남았다

이를 보면 Kell 화산의 활동이 종료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11000minus12000년 전의 대홍

수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는 생태계의 대변화와 그에 따른 생존방식이 매우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이 시기에 캄차카 반도 지역에서 접시모양의 입술장식원판이 제작되었는데

이 유물을 지역별 연대순으로 나열해보면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ㆍ

Balkans (5000 BC)ㆍSudan (3700 BC)ㆍMesoamerica (1500 BC)ㆍ Coastal Ecuador

(500 BC)이다

유물 상으로는 대홍수 직후에 캄차카 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가장 오래되었고 유라시

아의 동쪽 끝에서 서쪽 동유럽ㆍ아프리카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는 Haplogroup C3

사람들의 이동방향과 일치한다 입술에 장식원판을 끼우는 풍습이 있는 지역의 사람들을

찾아보면 에티오피아의 Mursi 족과 Surma(Suri) 여인들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여인

들 탄자니아와 모잠비크의 Makonde 족 북부 캐나다의 Aleut Inuit와 다른 원주민들 브

라질의 Suyaacute 남자들 브라질 해안 지방의 Botocudo 족 등이 있었는데 지금은 에티오피아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캄챠카 반도의 입술장식원판은 아마도 이 지역의 신관통치자가 처음 착용하였을 것이

고 시간이 흐르면서 대중화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이 지역의 천주산이었을 lsquo켈(Kell)rsquo 산

과 이 산을 중심으로 살아왔던 코랴크 족 케렉 족의 족명을 볼 적에 이것의 명칭은 lsquogtんらgtㄴgtㄹgt gt rsquo이었을 것인데 일본어 사라(さら皿)를

보면 입술장식원판의 당시 이름은 아마도 lsquogt그릇rsquo또는 lsquogtrsquo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입술장식원판을 착용하는 에티오피아의 Surma (Suri) 족과 북아프리카 차드의 Sara 족을

참고하면 청동기 시대 이후 기온이 가을기후 정도로 내려가면서 입술장식원판은 lsquogtᄉrsquo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를 입에 착용한 사람이 sormiddotcermiddoter([sɔːrsərər])샤먼살만(薩滿[sa][man])이고 제

주도의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설문대할망(선문대할망 설명두할망 설명뒤할망 세명뒤할

망 세명주할망 설만두고(雪慢頭姑))이다 그리고 lsquo혀설(舌[she])rsquo을 볼 적에 입술장식원

판은 신관통치자의lsquo장광설(長廣舌)rsquo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입술장식원판의 전파 연대 Kamchatka (8700 BC)ㆍIran (6400 BC)를 보면 대홍수 후

기온변화에 따라 캄차카 반도에서 이란 고원으로 이동하는 무리가 있었다 이들의 이동로

로 가장 적합한 곳은 내몽골의 황토고원을 따라 오르도스 고원으로 갔다가 사막 실크로드

를 따라 이란 고원으로 가는 길이다 그래서 캄챠카 반도 다음으로 문화가 꽃핀 지역

은 내몽골 황토 고원이 되는데 농경문화가 발달하면서 지금의 츠펑(赤峰)을 중심으로 하는

내몽골 황토지대에서 이른바 홍산문화로 불리는 신석기문화의 화려한 꽃이 피었었다

그리하여 홍산 문화 지역이 lsquoㆍrsquo 문화의 중흥지로 부상하였고 이곳에서 다시 세

계로 lsquoㆍrsquo 신앙이 퍼져나갔는데 그 이동과정은 Halplogroup C3 계열 사람의 이동로

에 잘 남아 있다 당시 사용되었던 lsquoㆍrsquo 문화의 공용어가 바로 원시한국어였고 이것

에서 파생된 언어가 알타이 어로 분류되는 투르크 어다

그러면 Halplogroup C3 계열 사람들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였던 것을 따라 가보

기로 한다 코랴크 족이 살고 있는 캄차카 반도의 서쪽 아래에 만주의 길랴크 족이 있고

다음으로 내몽골 황토고원에 카라(喀喇) 마을이 있고 몽골인의 이동식 주택을 lsquo겔rsquo이라 한

다 몽골인은 북부의 수풀이 무성한 삼림-초원은 Khangai라 하고 이곳과 남부 고비 사막

사이의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을 Kheer 또는 Tal이라 부르는데 스텝(steppe)은 tal

kheeriin으로 번역된다 몽골의 서쪽 지역 남시베리아 사얀 middot알타이 산악지역 및 오비강

(江) 상류에는 몽골의 케렉수르(무덤)와 같은 구조의 무덤이 1개소에 100기(基) 이상 집

2 문화시대 68

중되어 있는 청동기시대 말(1200 minus700 BC) 카라수크 문화가 있었다 이란 계 스키타

이 유물이 출토된 흑토지대에는 kara-kas kara-kalpa 등 계 지명이 많다 흑해 연안

에도 lsquo쿠르간(무덤)rsquo의 고분이 있고 발칸 반도 남쪽 끝 이스탄불 서쪽 편에 갈라(Gala)호

(湖)가 있고 그 옆 몰타 섬에 칼라(Qala)가 있다 그 인근에 그리스(Greece Greek)가 있

고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국경지대에 있는lsquo골란rsquo고원 이집트의 카이로와 카라(Qara) 나이

지리아의 공골라(gong-gola) 니제르의 간가라(Gan-gara)이 있다

그리고 종교문화와 관계있는 lsquo뀌이라rsquo는 시베리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성

한 나무에 걸어두고 소원을 비는 폭 3sim5cm 길이 120cm 정도의 물색 천이다 몽골 초원

에서는 lsquo오보rsquo로 불리는 돌무더기 제단에 푸른 물색 천을 감는 장식을 하고 기도를 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의 이름이 lsquo(뀌이라)rsquo라는 것이다

이외에 신앙과 관련된 의 명칭은 탑돌이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티베트의

종교의식인 lsquo코라rsquo에서 볼 수 있고 이슬람 경전을 lsquo쿠란(코란)rsquo이라 하고 에티오피아의 갈

라 족은 lsquo분-칼레rsquo의식을 행하고 서아프리카 감비아 공화국의 갬비아 계곡에서 종교적 행

사나 왕족을 위한 연주를 할 때 사용되는 21개의 현으로 된 하프 류트를 lsquo코라(Kora)rsquo라

한다 수단의 입술장식원판으로 오래된 것이 BC 3700인 것을 보면 최초의 문화는

BC 4000 이전에 아프리카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Haplogroup C3 집단은 카스피 해 일대에 정착하였는데 이곳의lsquorsquo를 잘 보여주는

것은 투르크 신화에 나오는 Kayra or Kaira (Altai Кайракан Kayrakan Kyrgyz Ка

йра Turkish Kayra Han or Kara Han Azerbaijan Kayra Xan Ottoman كايرا) 신(the

Spirit of God and creator god)이다 이는 타타르 족의 최고신이기도 하다 천신(Gok

Tengri)의 아들인 Kara Han은 아버지가 있는 하늘의 나라를 떠나 천하(天下)인 지상

(underworld)으로 내려와 살았다 Kay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자비로운 왕이라는 의미

Kara Han으로 발음될 때는 검은 왕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데 투르크 어 kara는 black

또는 land라는 뜻이다 그래서 Kara Han은 검은 대지(黑土)의 왕( Khan of the Lands)이

고대 투르크 인의 신앙에 Tangri (God) Kara Han은 망망대해의 물 위를 날고 있는 순

수하고 하얀 거위이다 숫거위 Kara-han은 하늘땅물 삼계(三界)의 주군으로 천계의 17

층(대기권 위의 17권)에 앉아 우주의 운명을 결정하고 다른 신들과 삼라만상을 창조한다

그러고 나서 생명의 구지수(九支樹)를 심었다 이 나무의 가지에서 인류의 조상들이 탄생하

였고 아홉 인종(씨족)이 출현하였다 Tuvinian Soyoth 족의 전설(기독교성경의 내용과

비슷)에 따르면 대홍수가 있었고 Kaira-Khan은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였고 사람들에

게 (제사용의) Araq(물의 한 종류 술)을 만드는 것을 가르쳤다

투르크 인의 Kara Han에는 여러 요소의 문화가 섞여 있는데 분명한 것은 lsquorsquo가 창

조주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투르크 인의 신앙과 전설을 보면 대홍수와 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는 대홍수 때에 높은 산 위에서 사람들을 살 수 있도록 인도하였을

것인데 투르크 인의 활동 지역을 감안할 때 이들의 초기 문화 중심지역은lsquoㄹgt산rsquo(엘브루스 산)의 바로 남쪽 그루지야(Gruziya Georgia )와 다게스탄 일대일 것으

로 추측된다 이 지역에 Cochian 문화가 있었고 이 문화권의 남단은 Araxes 강과 Kura

() 강이다

철기시대의 문화는 아조프 해 건너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 경계를 흐르는 Prut 강

지역까지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강의 이름은 Hierasus (ㄹgt) 또는 Gerasius(ㄹgt

)로 불리었다 Dnieper 강 하류의 큰 섬 Khortytsia와 Kirovohrad 주(州)의 이름에서도

lsquo rsquo를 볼 수 있다 이 지역들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1문화권에 속한다

Kura 강은 터키 북동부의 저(低)코카서스의 고원지대(the Kars Upland of the Lesser

Caucasus)에 있는 작은 계곡에서 발원하여 Georgia Azerbaijan을 거쳐 카스피 해로 흘러

들어간다 문화는 이 강을 따라 이란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이란 동부 지방의 호라

산(Khorasan Khorayan)은 이란 문화의 대표적 지역이다 lsquo호라산rsquo보다는 lsquoㆍrsquo

발음으로 널리 퍼져 나갔다 이 문화인이 이동해간 지역을 살펴보면 이란 남부 파르사

(Fars) 주의 Kor 강 이란 Khuzestan 주의 Kor 마을 지중해의 크레타 섬(CreteKrete

터키어 Kirid 현대 그리스 어 Kriacuteti 단어 끝의 teti는 lsquo땅rsquo이라는 의미) 러시아 어 Gorki(

한국어 고을)에 해당하는 그리스 어 코리오(chōrioacute) 이탈리아의 Titus Tatius (BC 748

경)가 통치하였던 지역 이름 (Cures)와 영국을 마주보고 있는 프랑스의 항구도시 칼레

(Calais[ˈkaeligleɪ] cal-ay) 로마의 지배가 미치지 못했던 브리튼 섬 북부의 옛 지명 칼레도

니아(Caledonia) 등이 있다 이들 지역은 철기시대lsquoㄹgtrsquo산의 제2문화권에 속한다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 살았던 켈트(Celta Celtae Kelt) 족과 그 분파인 갈리아(Gaul

Gallia)족 이들 이름의 어원은 Kel-to Gal(a)-to인데 -to는 인칭접미사이고 KelGal은

이니 이것은 lsquoㄹgtrsquo이 어원이다 그리고 이것을 족명으로 한 또 다른 족이 스

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서 독일 북부 사이에 살았던 게르만 족(Germanic peoples

Germane)이다

Germān이라는 말과 비슷한 것을 찾아보면 헝가리의 성씨와 남성 이름으로 사용되는

Kaacutelmaacuten이 있고 이것은 영어로 Kalman Coloman으로 표기된다 켈트 족과 게르만 족은

문화족의 일부인데 이들의 활동 지역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산의 제3문화권에 속한

다 이들의 팔족신마(八足神馬) 문화는 철기시대에 신라 지역에 전파되었는데 신라 천마총

(天馬塚)은 철기시대 lsquoㄹgtrsquo 산의 제4문화권에 속한다 신라의 갈문왕(葛文王)은

GermānㆍKaacutelmaacuten과 함께 lsquorsquo문화의 파생어인데 이들은 초원을 달리는 말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검색창Sleipnir 검색창천마도

중동 주변

중동 지역의 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기독교 성경에서 Kaleva( Kalevi or Kalev)와

음이 같은 것을 찾아보면 모세가 가나안 땅으로 들어갈 수 있는지를 정탐하기 위해 보낸

사람 중에 유대(Judah) 부족을 대표하는 Caleb 가 있다 Caleb는 종종 Kaleb (ˈkeɪləb

Kalev Tiberian vocalization Kālēḇ Hebrew Academy Kalev)로 번역된다 역대 בלכ

2 문화시대 70

기 상 218(BC 536)에 Hezron의 아들 Caleb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헝가리 Kaliv

(Kalov Kalev) 지역에 유대교 랍비 Yitzchak Isaac Taub가 개창한 Kaliver 왕조

(1744-1828)가 있었다 유대 부족의 Caleb와 헝가리의 Kaliv는 lsquoㄹgtrsquo에서 유래

된 문화가 중동 지방과 헝가리의 성경관련 문화 속에 남은 흔적이다

그리고 주로 제사와 중재를 담당하였던 Cherub([kərūv] pl kərūvicircm dual kərūvāyim

lat cherub[us] pl cherubi[m] Assyrian (cherub))가 있다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어에

서는 이것이 신에 대한 봉사자의 의미를 띠면서 lsquo인간의 머리에 날개달린 황소rsquo 모습을 한

shedu를 kirubu로 인정하였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많았다

유럽

발칸 반도는 아프리카아시아 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처음 정착한 곳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 중에서도 아드리아 해와 접한 크로아티아의 북부 Krapina 지방은 후기

구석기 시대의 중기 무렵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인들의 화석이 발굴된 곳으로 가장 유명

하다 krapina는 동유럽의 Carpathian 산맥과 함께 lsquoㄹgtrsquo에서 유래된 말(lsquoㄹ

gt(Xrovat-HrvatskaHarpii) (Krapina) (Serbia Serbs Slav)인데 태

국어 krabi(sword)와 음훈이 같다 이를 통해 Krapina의 지배자 명칭이 Krapi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북유럽 에스토니아의 Votilderu 군에 Krabi 마을이 있다

ㆍ와 관련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발트 해와 백해 사이 지역 카이누

(Kainuu)의 위대한 왕 Kalevi( Kaleva or Kalev)를 소재로 하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

고 카렐리야 공화국의 민담ㆍ전설ㆍ신화 속에 나온다 핀란드 사람은 이집트 천문학의 기

준별이었던 시리우스(Sirius) 별을 Kalevantaumlhti(Star of Kaleva)로 부르고 오리온 성좌

의 벨트를 lsquoKaleva의 검rsquo으로 부른다 이를 보면 Kaleva는 lsquo하느님rsquo 정도의 의미가 있다

고대 에스토니아의 민담에는 다른 거인들 또는 나라의 적들과 싸우는 Kalev Kalevine

Kalevipoiss Kalevine posikine 그리고 Kalevin Poika가 있는데 이러한 영웅들의 이름

은 《Calenanpoiat》(1515) 《Kalliweh》(1641)에 언급되었고 Friedrich Reinhold

Kreutzwald(1803minus1882)는 구전으로 전해져 왔던 고대 에스토니아의 전설들을 에스토니

아의 민족서사시 《Kalevipoeg (lsquoKalev의 아들rsquo)》(1853)로 정리하였다 《Kalevipoeg》

는 20편(Cantos)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편에 알에서 나와 사람이 된 Salme과 Linda

결혼이야기에 천지창조가 언급되어 있다

에스토니아의 여러 이야기에 Kaleva의 아들들은 원래 왕족으로 간주되었었다 핀란드

의 이야기들에는 그들이 핀란드의 여러 지역에 성을 쌓고 살았던 거인들로 종종 간주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그런 것과는 관계없이 그들은 가끔 본래 기묘하고 이상하게시리 큰

또는 무시무시한 바위들이라고 비난받기도 한다 이는 Kalev 문화가 큰 돌을 숭배하였던

거석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석기 시대부터 내려온 것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핀란드ㆍ카렐리야ㆍ에스토니아 신화에 나오는 Kalevi는 Kainuu 지역의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Kainuu(스웨덴 어Kajanaland)는 고대 북유럽 영웅담에

Kvenland(Cwenland Kaelignland)로 알려져 있다 이곳이 정확히 어느 곳인지는 알려져 있

지 않지만 대체로 Scandinavian 반도ㆍFinlandㆍKareliaㆍKola 반도에 있는 것만은 분명

하다

lsquoㄹgtrsquo 문화가 발칸 반도를 거쳐 북유럽으로 전해진 흔적은 (Hel)과 (Koumlr)을 통

해 쉽게 알 수 있는데 북유럽 신화 죽음의 여신 (Hel)의 집이 있는 곳을 (Koumlr)이라

한다 Koumlr과 lsquoPashto 어 kor(house)ㆍkalay(village)ㆍ한국어 고을(골)rsquo은 음훈이 일

치한다 이를 통해 lsquoㄹ산gt산rsquo(엘브루스 산)에서 이란 고원 북유럽 지역 한국 지역으

로 갈라져 이주한 사람들(Haplogroup R1b)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2)

우주(새 오리)의 알이 깨지면서 천지창조가 이루어졌다고 하는 《Kalevala》의 내용을

고려하여lsquoKalevrsquo의 음에 가까운 것을 찾아보면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자들이 Hiranyagarbha가 Dyaus (하늘)와 Prithvi (땅)으로 나누어졌다고 설명한 것이 있다

Hiraṇyagarbha는 문자적으로 lsquo황금자궁rsquo 또는 lsquo황금알rsquo로 번역되는데 시적으로는 우주의

씨앗(universal germ)으로 번역된다 이 말은 《리그베다(Ṛig veda)》 (RV

10121)(1700ndash1100 BC)에 나오는데 청동기 문명의 성숙기와 초기 철기 시대의 것이다

이에 비해 《Kalevala》의 제9편(Runo IXminus철(鐵)의 기원)은 철기 시대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알에서 천지창조가 시작되었다는 《Kalevala》의 우주론과 산스크리트 어 Garbha

(womb) 문화는 모두 이집트 lsquo난생신화rsquo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을 한국 문화에서 찾는다면 (하르방)와 (갈보)(Garbha

(womb)가 있다 제주도의 하르방은 남자의 성기를 남성 신상으로 만든 모습으로 남아있

고 갈보는 ldquo돈을 받고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rdquo로 사용되지만 원래는 생명창

조의 자궁을 지닌 여신과 신녀를 부르던 말이다 Garbha (womb)를 지닌 신궁(神宮)의

신녀는 다산을 위한 성교의식을 주관하였는데 그것이 후대의 매음 풍습으로 남아 있는 것

이다

그래서 ()는 원래 신관통치자의 명칭이었고 이와 관련된 것으로 왕을 뜻하는

티베트 어 (rGyal-po King ) 북유럽의 Kalev() 그리고 구두쇠를 뜻하는 경상

도 방언 갈바리가 있다 lsquo갈바리rsquo는 lsquo갈바+리(吏)rsquo lsquoGarbha리 Kaleb 리rsquo이고 lsquo구두쇠rsquo는

세금을 한 푼도 빠짐없이 거두는 lsquo씨rsquo lsquoGod 씨(氏)rsquo라는 의미이다 기록으로 남겨진 북

유럽(Norse) 신화의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왕이 (Gylfi Gylfe Gylvi or Gylve)이다

그는 종종 Gangleri로 불리는데 이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이기도 하며 기독교인이 해석한

뜻은 ldquo(기독교가 아닌)사도에 빠져 방랑하는 자 the wanderer or Wayweary)rdquo이다

이는 (Gylfi)와 Gangleri가 기독교 이전 종교문화라는 것을 의미하고 실존하였던

역사적 왕으로서의 Gylfi는 고대 Norse 종교 추종자였다 북유럽 《Gylfaginning

Griacutemnismaacutel (47) Oacuteethins noumlfn (3)》에는 오딘의 다른 이름으로 Glapsviethr(Glapsvid

Glapsvin Swift in Deceit Swift Tricker Maddener Wise in magical spells)가 나오는

데 Gylfa와 Glap는 Kaleb를 달리 표기한 것이고 이는 티베트의 rGyal-po 신라의 갈바

리 태국의 Krabi(lsquo曲劍rsquo을 착용한 자)와 같은 말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토착 원주민은 현실세계에 보이는 삼라만상은 창조되기 전의 영원한

2 문화시대 72

정령(精靈)의 세계에서 존재하였는데 그것이 형상화되어 현실적 땅 위에 나타나 존재한다

고 믿는다 원주민들은 그것을 lsquo꿈rsquo의 세계가 lsquo현실rsquo의 세계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Stanner는 1970년대에 이것을 dream time이라는 용어로 표현하였다 lsquo꿈의 세계rsquo에 있는

정령의 존재ㆍ실재ㆍ창조신을 중앙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살고 있는 원주민 Aranda

(Arunta Arrernte)족은 Altjira(Alchera)로 Dieri 족은 Mura-mura로 Pitjantjatjara 지역

사람들은 츄쿠파(Tjukurpa)로 부른다

세상의 창조과정은 이들의 노래 가락과 가사에 담겨 전해지는데 이것은 영어로

songlines으로 표기되었고 Warlpiri 부족어로는 Yiri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문화의 lsquo아니

리rsquo(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

분)와 관계있을 듯하다

ldquo각 부족마다 그 전승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바이암(Baiame)이라는 신이 꿈을 꾸면서 창조를

했고 바이암을 비롯한 창조신들이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동물이나 바위 등으로 변해 있으며 이들이 다시

돌아오는 때가 몽환시(夢幻時 dream time 신화의 정령들이 창조된 고대의 신성한 시대)가 다시 시작되는

때라고 한다《위키 백과 몽환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그들의 몸에 평상시와는 다른 문양을 그리고 복장을 하

고 춤과 음악이 곁들여진 의식을 통해 몽환시(夢幻時)의 정령 조상신들과 접촉하는데 그

러한 의식을 동부해안 원주민은 caribberie로 부른다 caribberie(=carib+berie)는 Carib

와 만나는 의식(berie) 신들의 세계와 교류를 하는 의식인데 이는 지역과 부족에 따라

juju kobbakobba yanda jalarra 그리고 junba 등으로 불린다

Carib는 유라시아에 보이는 (krabi kaleb)인데 Altjira (Alchera)ㆍMura-muraㆍ

Tjukurpa와 마찬가지로 정령의 존재 또는 실재( 또는 창조신)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

고 berie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성년(입회)의식과 그 장소를 나타내는 말 bora와 같

은 말이다 그래서 유럽인은 caribberie를 corroboree로 채록하기도 하였다 bora는 원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해안 지방에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동부 해안 전 지역에서 사용되

며 Darkinjung 족의 말로는 Burbung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입회의식을 치른 남자들의 허

리띠(belt)를 부르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아메리카

아메리카에서의 lsquo()()rsquo 문화는 북아메리카의 Cree 족과 중앙아메리카의

Carib 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Cree (역사적 본명 nēhiraw 프랑스 어 cri) 족은 북아

메리카캐나다 원주민의 가장 큰 집단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 Lake Superior in Ontario

Manitoba Saskatchewan Alberta의 북서지역에 살고 퀘벡 주에도 38000명 정도가 산

다 그들의 언어로 말할 때는 Nēhilawē로 자칭하고 프랑스와 영어를 사용하는 유럽인과

의 대화에서만 Cree로 칭한다 케벡 주의 James 만 지역의 Cree 족은 그들 자신을

Eeyou or The People로 자처한다

Cree라는 이름은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Ojibwa

족이 허드슨 만 부근의 부족들을 부르던 말이었다 이 말을 프랑스 식민 탐험가들이

Kilistinon Kiristinon Knisteneaux Cristenaux Cristinaux 으로 채록 표기하였고 슈

피리어 호 북쪽 Manitoba 그곳의 서쪽 지역에서 만났던 많은 부족들을 부르는 말로 사용

하였다 프랑스 인들은 알곤킨 어를 사용하는 부족과는 구별되어지는 Severn

Anishinaabe (Ojibwa) 족도 그렇게 불렀다 그렇지만 Ojibwa 족 그들 자신은

nēhiyawak nīhithaw nēhilaw and nēhinaw or ininiw ililiw iynu (innu) or iyyu 로

자칭하였는데 이 말은 역사적 본명 nēhiraw (uncertain meaning) 또는 iriniw (

person)에서 유래된 말이다

북아메리카 Cree 족의 이름과 알곤킨(Algonkian) 어 Kirištino는 그리스 어 kyrios

(ruler lord) 서아프리카 Akan 족의 영적인 용어 Kra 동남아시아 kra (human)와

같은 말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래서 Cree와 Kirištino는 천주(天主)를 믿는 사람

들을 칭하는 말이다

현재 Cree 족은 아메리카 오대호 북쪽 캐나다 지역에 주로 살고 있는데 이들의 조상은

서서히 남하하여 북아메리카 동남 수목 지대에서 전통적으로 살아온 원주민 Mvskoke 족

에게 이 문화를 전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Oklahoma Alabama Georgia and Florida 지

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Mvskoke(Muscogee)족은 Creek 족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이들

의 거주지역 바로 아래가 카리브 해(Caribbean[kair-ə-b])인데 이 지역에서 ㆍ문화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에는 Kalina 또는

Caribs로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다 이들은 영어로 Caribs 프랑스 어로 Galina 네

덜란드 어로 Karaiumleb 등으로 불리는데 그들 자신은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 로 자처한다 Maraworno and Marworno 족

이 이들과 혼혈된 Maroon-Kalina 족이 수리남에 살고 있는데 Kalina 족은 자신들을

Kalina tilewuyu (true Kalina)라 하여 그들과 구별한다 Carib는 lsquo(Cari)+(b)인

칭접미사rsquo Kalina는 lsquo(Kali)+(na)인칭접미사 한국어 minus네rsquo로 분석된다

그리고 카리브 해의 Dominica St Vincent and Trinidad와 같은 섬에 살고 있는

Caribs는 그들 이전의 원주민인 Igneri 족을 정복하고서 정착하였었다 섬 지역에 사는

Caribs는 남아메리카의 북부 지역(Venezuela Guyana Suriname French Guiana and

Brazil)의 강과 해안에 살고 있는 Caribs와 문화적으로는 관계가 있지만 언어상으로는 서

로 관계가 없다 이는 제 각각의 여러 부족들이 lsquorsquo라는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하

나의 공동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Carib 어 karibna(=karib+na인칭접미사)는 사람

(person)을 의미하는데 이들은 (Kaleb) 집단으로 지배층의 후손이다

현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안과 가까운 지역에 Garifuna(pl Garinagu in Garifuna)

족이 살고 있는데 이들은 이 지역 Carib 섬의 원주민 Arawak 인 그들과 결혼한 서아프

리카와 중앙아프리카 흑인의 후예들이다 Garifuna 족 유전인자 76는 서아프리카에서 온

것으로 연구되어 있는데 영국 식민 당국에서는 아프리카 흑인과 혼혈관계를 맺은 사람들

을 Black Carib and Garifuna 그렇지 않았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Yellow and Red Carib

로 구분하였다

2 문화시대 74

Caribs 족은 그들이 1200년경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와 콜롬비아를 흐르는 Orinoco

강 유역에서 현재의 섬 지역으로 이주해왔다고 믿는데 대부분은 Maipurean 어를 말하는

Taiacutenos 족으로 동화되어갔다 그들이 믿는 Kalingo(=Kali+n+go=ん+존칭접미사)

종교는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었던 Arawak인ㆍTaiacuteno족의 조상 숭배와 비슷한 요소가 있

Cree는 캐나다 Cree 호(湖)의 이름 외에 유럽의 지명에서도 볼 수 있다 Cree or

Creegh (Irish An Chriacuteoch meaning The End)는 아일랜드 Clare 군(郡)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이고 아일랜드 Clare 군의 Cree 마을ㆍ스코틀랜드 Cree 강이 있다 그리고

Cree는 영국ㆍ스코틀랜드ㆍ아일랜드에 기원을 둔 성씨로 사용된다 이 중 스코틀랜드 성

씨(姓氏) CREE는 Crieff (Perthshire) or Creich (Fife)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아일랜드에서는 Cree or Creegh를 lsquo끝(The end)rsquo의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 말은 더 갈

수 없는 막다른 끝 지점 절벽(cliff) 앞에 섰다는 것이다 석기 시대의 바위 절벽은 신전으

로 활용되었는데 그 장면을 잘 보여주는 곳이 종교 의식을 치르고 그들의 소망을 그림으로

남긴 절벽 암각화가 있는 울산 태화강변의 반구대이다 그리고 절벽 lsquocliffgtrsquo를 지명

으로 하는 곳 역시 신전이 있었던 지역이다

스코틀랜드의 지명 Crieff Creich는 lsquo(kra)+rsquo와 lsquo(Crei)+(ch)rsquo로 분석된

다 church의 어원(Proto-Germanic kirika probably from Greek kyriake (oikia) kyriakon doma

Lords (house) from kyrios ruler lord from PIE root keue- to swell (swollen hence

strong powerful)을 통해 Creichlsquo+ kirikarsquo는 (kyrios ruler lord)가 계시

는 곳이고 Crieff (Perthshire)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이를 참고하면

karibna(person)는 암벽 신전에서 () 신에게 기도를 드리는 사람(sim

네na(person)으로 이해된다 karibna는 lsquokari+b()+na()rsquo로 분석되고 ()신을 믿는 사람(na한국어 minus네 아낙네)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리브 해의 원주민들이 자신을 Kalina or Karigravena[kaɽiɁnʲauɽaŋ] Kalina

Carintildea Karintildea Kalihna Kalinya로 부르는 것은 그들은 신앙인이라는 것을 나타낸

말이고 서양인들은 이 중에서 Kalina를 Caribe의 스페인 어 이름 변형체들 중의 하나로

불렀는데 Kalina(의미 Viburnum)는 슬라브 어에 기원을 둔 말로 여성 이름과 성씨로도

사용된다 이는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와 관계있다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는 의 존어 ん이다 Kulin Kayasthas

는 벵골 지방 크샤트리아의 하위 집단의 이름 Kulina는 벵골 지방의 다섯 브라만 계층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Kulin Brahmins은 벵골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다섯 씨족 집단을

지칭하는 말이다 Kulin 연합(nation)은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빅토리아에 있는 다섯 원주

민들의 연합을 칭하는 말이고 그들을 Kulin 인이라 한다

아프리카(2)

ǃKung 족의 거주지와 비교적 가까운 짐바브웨 Mashonaland 주 서부 지역에는 Kariba

마을이 있는데 Kariba(=Kari+ba)는 lsquo 신 그것을 믿는 사람rsquo을 뜻하니 Kariba 마을

은 신을 믿는 사람들이 모인 곳이다

기린(Giraffe)

lsquoㄹgtrsquo로 발음되는 신을 상징하는 동물 중 lsquo()()rsquo의 음을 취한 것으

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린(麒麟)(Giraffe)이다 ん(Kulin(highborn)의 음역어가 lsquo기

린rsquo이고 lsquoKaleb+Giraffersquo의 음역어가 ()이다 기린은 아프리카 북부 Chad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서부 Niger에서 동부 소말리아 사이 지역에 살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무

늬의 형태가 다르다 okapi(=o+kapi가비의 존어)는 중앙아프리카의 목이 짧은 기린

인데 콩고의 Mbuba에 있는 동물의 이름에서 취한 것이다 목이 긴 아프리카 반추동물의

이름 giraffa는 아랍 어 zarafa에서 유래된 1590년대 이탈리아어 giraffa에서 유래된 말

이라고 하지만 ()와 더 관련이 있다

기린 관련어

geri(소말리아)ekorii (Ateso) kanyiet (Elgon)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 ndwiya (Kamba) nudululu (Kihehe) ntegha (Kinyaturu) ondere (Lugbara) etiika

(Luhya) kuri (Madi) oloodo-kirragata or olchangito-oodo (Maasai) lenywa (Meru)

hori (Pare) lment (Samburu) and twiga (Swahili and others) in the east[8]313 and

tutwa (Lozi) nthutlwa (Shangaan) indlulamitsi (Siswati) thutlwa (Sotho) thuda

(Venda) and ndlulamithi (Zulu) kylin(영어)《wikipediaGiraffe》

언어표23⦗기린⦘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린의 이름의 가장 큰 특징은 geri korii kuri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과 nduida (Gikuyu) tiga (Kalenjin and Luo)와 같이 lsquorsquo 음 계열의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아프리카 기린의 명칭은 외부에서 전해지는 문화에 따라 다르

다는 것을 뜻하고 lsquoㄹgt(hori 호랑이) (gerikuri고라니) ( 시라소니)rsquo를 통해

giraffa라는 명칭은 아시아의 ㄹ 문화권에서 아프리카로 진출한 사람들이 남긴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기린이 살지 않는 한국에서 ()의 음이 있는 동물은 lsquo고라니rsquo이다 고라니(water

deer (Hydropotes inermis)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 지역에만 살고 있는 사슴과에 딸린

동물로 보노루ㆍ복작노루로 불린다 산스크리트 어 Kulin(highborn)

Kulina(superior) 남아메리카 북부의 Kalina가 lsquo고라니rsquo와 음이 같은데 이는 고라니가

신성한 동물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뿔이 없고 풀이나 나무 뿌리를 갉아먹기 좋게 앞 이

빨이 앞으로 길게 뻗어 자라있는 작은 동물이 고라니이고 뿔이 달리고 앞 이빨이 입 내부

에 있고 목이 길고 키가 큰 것이 기린이다 고라니와 기린(麒麟[qiacute][liacuten])은 의 존어

2 문화시대 76

ん Kulin(highborn) Kulina(superior)를 차용한 것이다

그리고 기린을 뜻하는 ekorii (Ateso)는 lsquoe+koriirsquo로 분석되는데 이는 geri(소말리

아)kuri (Madi)와 코끼리(elephant)의 타밀어 고대 문어체 kiri의 존어이다 이를 보면 한

국어 코끼리는 lsquogoご(御)고(高) + Koriirsquo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단어조성법으로 된

것은 lsquo꾀꼬리rsquo이다 Goldi 족의 샤먼이 굿을 하는 과정에 새를 타고 지하세계를 여행하는

것이 있는데 그 새를 lsquoKoorirsquo라고 하니 꾀꼬리는 lsquogoご(御)고(高) Koori곳고리rsquo로 표기

할 수 있다

캥거루

오스트레일리아의 kangaroo는 Guugu Yimithirr 족의 말 gangurru에서 유래되었는

데 이는 처음에 kanguru로 채록되었다 정확하게는 lsquoんgtんgtKhan (guru)rsquo이고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 정도로 번역될 수 있다 Guugu Yimithirr 족의 말

로는 I dont understand you를 뜻하는 구(句)로 사용되는데 실제 의미는ldquo나는 저 위대

한 하느님(의 대리자인 동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 분은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rdquo 정도

의 의미로 재해석할 수 있다

kanguru(대왕 )와 같은 것은 북유럽의 Gangleri(Gangari Ganglari)에서 볼 수

있다 이것(Gangari)은 고대 스웨덴의 왕 Gylfi와 Norse 신화의 신 오딘의 별명인데 정확

한 의미는 (기독교 이전 문화의) lsquo큰 스승rsquo 또는 lsquo대왕 rsquo이다 이 단어를 오스트레일리

아와 북유럽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은 해안을 따라 lsquoんrsquo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Christ

구원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히브리 어 חישמ (Māšicircaḥ)는 그리스 어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로 번역되었는데 이 말에서 Christ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lsquo성유(聖油)로 마사지

(māshȃsh (he felt through groped)를 받은 자rsquo라는 뜻이다 Christoacutes (라틴 어 Christus)

와 Chrism(聖油holy oil) 헬라 어 chrisma의 원(原)인도유럽어 어원은 ghrei- (문지르

다 to rub)이다 그래서 Christ의 원래 의미는 lsquo(ghrei-to rub)마(摩 māshȃsh)rsquo이

여기서 ghrei-( to rub)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려면 에티오티아의 전설적 왕국이었

던 케파 왕국의 후손인 갈라 족이 행하는 분 칼레(bun-qalle) 의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갈라 족의 족장은 의식을 마친 후 원두를 버터에 넣어 볶으면서 씹는데 이 과정을 통해

신과 일치되어 영적인 권능을 부여받게 된다 그 성스러운 힘을 부여받은 족장은 참가자들

에게 축복을 내리고 이마에 커피향이 나는 신성한 버터기름을 발라 준다 즉 ghrei- to

rub는 하느님의 영혼이 담긴 버터기름을 이마에 문질러 하느님의 은총이 내려졌다는 것

을 증명해주는 것이고 이것이 나중에 Chrism(聖油)를 머리에 부어주는 것으로 되었다

그리고 Christ의 어원 gher-to rub에서 lsquogher-rsquo의 의미는 기름으로 사람의 얼굴을 마

사지해주는 것도 있지만 하느님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바위를 마사지해주는 것도 있다

암벽 신전(karib)에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 lsquokaribna(person)갈바리rsquo는 작은 돌로 바위

를 문질러 갈면서 소원을 빈다 기도의 주요 내용은 다산과 풍요이다 이러한 풍속에 관한

자료는 《삼신민고》(조자용 가나아트1995)에 어느 정도 정리되어 있다

2)ん

의 존어 ん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에트루리아 신화의 카룬(Charun (also

spelled 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 )이 있다 이것의 에트루리아 어 본래 이

름은 잘 모르고 그리스 어 Charon을 차용한 것인데 사자(死者)의 영혼을 마지막 목적지

까지 잘 데려다 주는 지하세계의 저승사자의 하나이다 그는 종종 지하세계와 관련된 날개

달린 여신 Vanth와 같이 손에 해머를 든 무서운 남성으로 그려지고 신화에서 해머는 대

장장이 또는 번개 신을 상징한다

아마도 어느 땐가 ん(Charu or KarunХarun and later Хaru)은 천둥번개를

치고 비를 내려주는 고마운 하느님 또는 그의 사자였을 것이다 그래서 정신적인 느낌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고 순수한 무언가를 나타내는 산스크리트 어 Charu로 표현되어 남아

있다 Charu는 달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대중적인 시어(詩語)로 사용되고(Charu

chandra ki chanchal kirne khel rahi thi jal-thal mein) 신처럼 거룩하게 보인다는 의미

의 힌두 남성과 여성의 대중적인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런데 새로운 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 문화 시대가 전개되자 그 이전 시대의 주인공

세력들은 지하세계의 신으로 격하되어 과거 전통 문화의 일부로 남게 되었는데 그것이 그

리스 신화의 에레보스와 닉스(밤)의 아들인 카론 민간전승에 나오는 죽음의 천사 카로스

또는 카론타스이다 카론은 망자의 영혼을 실어 나르는 저승의 뱃사공이다

그리고 lsquogtgtgtrsquo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lsquorsquo음의 고유명사는

시대에 따라 lsquo 또는 rsquo로 발음되어 남아 있는 것이 많다 한국화된 ん(Charu

or Karun Хarun and later Хaru) 말기 모습은 초라니ldquo[역사] 잡귀(雜鬼)를 쫓는 무속의식에

나오는 나자(儺者)의 하나 붉은 저고리에 푸른 치마를 두르고 기괴한 여자형상의 탈을 쓴 채 긴대의 깃발

을 흔든다《daum 국어사전》rdquo에서 볼 수 있고 한 때는 지배층에 속했을 그의 하락된 모습은

lsquo초라하다rsquo lsquo촐rsquo(lsquo꼴rsquo의 방언(제주)) 등으로 남아 있다 그리고 lsquo초라니rsquo가 고성 마산 지역 오

광대놀이와 관계있음을 통해 이 문화는 바다를 통해 남해안 지역으로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의 lsquo초라니rsquo와 음이 같은 집단을 바다로 연결되는 곳에서 찾아보면 인도와 파

키스탄 지역( 펀자브에 집중)의 Chura or Bhanghi로 불리는 카스트 계층이 있다 이들은

인도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불가촉천민으로 분류되어 있고 청소를 담당하고 있다 파키스

탄의 Chura는 주로 시크교도(Sikhism)이고 일부는 기독교인이고 극히 일부는 힌두교의

Valmkism 파이다

Chura와 관계있는 사람들이 베트남 Lacircm Đồng Province에 살고 있는 15000명 정도

의 Churu (or Chru called Chu Ru or người Chu Ru in Vietnamese người meaning

people) 인들일 것이다 이들은 문화인으로 볼 수도 있는데 크샤트리아 계층을 칭

하는 중국한자어 찰리(刹利) 신라의 치리(齒理)와 관계있을 것이다

Page 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1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2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3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4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5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8: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69: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0: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1: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2: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3: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4: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5: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6: 2. 문화시대 - t1.daumcdn.net
Page 77: 2. 문화시대 - t1.daumcd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