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일생 문관과무관 4/7 차시 › DataFolder › eduzone › 0066 › 0066_a.pdf ·...

12
한국인의 일생 문관과 무관 6. _ _ 차시 4/7 학습목표 . 조선시대 차점에 대하여 알 수 다. 학습개요 . 조선시대 직에 오르는 길 대표적로 거시험 합격하는 방법다 거시험에는 . 와 가 었는데 사회기 때에 를 더 중시하였다 리가 흔히 말하 . 는 양반 반 반 르는 말다 되는 길 차점 살펴보기로 . , 한다. 교수 학습 과정안 . 한 생 차시 4/7 제재 거시험 학습 목표 조선시대 차점에 대하여 알 수 다. 시간 ( ) 학습 요소 학습 활동 료 및 (5‘) 동기발 학습목표 조선시대 복 사진 보여주기 누가 었까요? 학습목표 확 조선시대 차점에 대하여 알 수 다. ppt 1 ~2 ppt 3 전개 (25‘) 활동 1 활동 2 한 민속 박 출세 동영상 보기 - 등용 동영상 ( ) 거제도 동영상 ( ) 홍패와 백패 - 삼가 어사화 - : 동영상 ( ) 시험목 - 흉배 양 특징 - 동영상 ( ) 시험목 - 흉배 양 특징 - ppt 4~5 ppt 6 ppt 7~9 ppt 10~11 ppt 12~13

Transcript of 한국인의일생 문관과무관 4/7 차시 › DataFolder › eduzone › 0066 › 0066_a.pdf ·...

  • 한국인의 일생 문관과 무관6. _ _ 차시4/7

    가 학습목표.조선시대 문관과 무관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 수 있다.○

    나 학습개요.조선시대 관직에 오르는 길은 대표적으로 과거시험을 합격하는 방법이다 과거시험에는.○

    문과와 무과가 있었는데 유교사회이기 때문에 문과를 더 중시하였다 우리가 흔히 말하.

    는 양반은 문반과 무반을 이르는 말이다 문관과 무관이 되는 길 차이점을 살펴보기로. ,

    한다.

    다 교수 학습 과정안.

    단 원 한국인의 일생 차 시 4/7 장 소 교실

    제 재 과거시험

    학 습

    목 표조선시대 문관과 무관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 수 있다.∘

    과정

    시간( )

    학습

    요소교수 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도입

    (5‘)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 인

    조선시대 관복입은 사진 보여주기▣

    누가 입었을까요?■

    학습목표 확인▣

    조선시대 문관과 무관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 수∘있다.

    번 번ppt 1 ~2•

    번ppt 3•

    전개

    (25‘)

    활동 1

    활동 2

    한국 민속 박물관 출세 동영상 보기‘ - ’▣

    등용문 동영상( )■과거제도 동영상( )■홍패와 백패-

    삼일유가 어사화- :

    문관 동영상( )■문관의 시험과목-

    흉배 문양의 특징-

    무관 동영상( )■무관의 시험과목-

    흉배 문양의 특징-

    번ppt 4~5•

    번ppt 6•

    번ppt 7~9•

    번ppt 10~11•

    번ppt 12~13•

  • 라 수업용 자료.

    변형 승경도 놀이 하기▣

    놀이 인원 명- : 2~6

    놀이 방법 초입문에서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숫자에- :

    써 있는 관직으로 이동한다.

    승경도 놀이판,•

    주사위 말,

    번ppt 14~17

    정리

    (5‘)학습정리

    조선시대 양반 문반 무반( , )▣

    문관과 무관의 차이 알기■위인 중 문관과 무관 구별해 보기■

    학습지•

    평가

    계획

    평가관점

    및 내용

    평가하기▣

    조선시대 관직에 나가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가?■문관과 무관의 차이점을 아는가?■

    1 2 3

    4 5 6

    7 8 9

  • 10 11 12

    13 14 15

    16 17

  • 마 활동지.

    한국인의 일생(4/7) 문관과 무관 비교하기

    학년 반( ) ( )

    이름 ( )

    ◈ 양반은 문반과 무반을 합친 말이예요 문반은 문과시험을 합격하여 관리가.

    된 사람이고 지금의 행정 공무원이라 할 수 있고 무반은 무과시험을 합격하

    여 관리가 된 사람이고 지금의 군인이라 할 수 있지요.

    문반과 무반 직급의 높고 낮음을 표시하기 위해 관복앞에 흉배를 붙였어요, .

    흉배에 있는 동물을 찾아 써 보세요.

    ◈ 여러분이 알고 있는 위인들을 문관과 무관으로 나눠 볼까요?

    문관 :✍ 황희 이황 이율곡 김정희 김종서 정도전 조광조, , , , , ,

    무관 :♘ 원균 임경업 이순신 권율, , ,

    문 관< > 무 관< >

    □ □□□

    원균 황희 이황 임경업 이율곡 이순신, , , , , ,

    권율 김정희 김종서 정도전 조광조, , , ,

    학 호 랑 이

  • 바 체험활동.활동주제 승경도 놀이1. :

    활동목표 승경도 놀이를 통해 조선시대 양반의 관직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2. : .

    준비물 승경도 놀이판 로 확대 주사위 개 말3. : (B4 ), 1 ,

    말판4.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

    말을

    옮길

    곳 안내( )

    말을

    놓는 곳

    무관외직 문관외직

    중앙관직

  • 활동 규칙4.

    놀이의 순서를 정한다.①

    초입문에서 주사위를 굴려 각자 자기의 출발지점을 정한다.②

    유학 무과 생원 진사 문과( , , , , )

    주사위를 교대로 굴려 나온 숫자에 따라 말을 놓는다 말의 칸 안에 관직이름이 써 있.③

    고 그 아래 주사위 숫자에 따라 각각 가야 할 위치가 쓰여져 있다 말을 이동해 새로운.

    칸에 도착한다.

    예) 초입문에서 주사위를 던져 이 나오면3 ▶ 으로 이동한다 생원 에. ‘ ’

    서 주사위 숫자가 이 나오면6 ▶ 으로 이동한다.

    한자리에 개의 말이 같이 갈 수 있으며 상대방의 말을 잡는 일은 없다2 .④

    문과를 선택한 경우에는 판서 영의정 봉조하까지 올라 갑니다 이렇게 주사위의, , .⑤

    숫자대로 말을 움직이며 진행시켜 영의정 봉조하까지 가서 퇴임을 하면 이기는 것이,

    다.

    무과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원수까지 올라 갑니다 이렇게 주사위의 숫자대로 말을.⑥

    움직이며 진행시켜 도원수까지 가서 퇴임을 하면 이기는 것이다.

    문과는 영의정 봉조하에서 무과는 도원수에서 퇴직 자퇴 하면 이긴다, ( ) .⑦

    복직 직전에 있던 관직으로 돌아간다: .※

    서용 죄가 있어 면관 당하였던 사람을 다시 임용하던 일 환용: . ( )還用※

    사약에서 불가복생이 나오면 놀이에서 탈락하게 된다.⑧

    놀이의 벌칙5. ( )✸중요한 직급에서 계속 줏사위의 숫자가 낮게 나오게 되면 벌칙을 받게 되는데 경중에

    따라 파직 추고 또는 금부 로 가게 되며 안치 로 나중에는( ), ( ) ( ) ( )罷職 推考 禁府 安置 賜藥

    사약 을 받고 놀이에서 물러나 지게 된다( ) .

    파직 관직을 박탈함( ) : .罷職①

    추고 지난날의 허물을 추문하여 고찰함( ) : .推考②

    원찬 귀양을 보냄( ) : .遠竄③

    유삼천리 일생동안 먼 곳에 보내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함( ) : .流三千里④

    안치 죄인을 일정한 장소에 격리시켜 둠( ) : .安置④

  • 금부 왕명을 받들어 죄인을 추궁하던 의금부( ) : .禁府⑤

    사약 임금이 죄를 진 왕족이나 중신에게 죄를 물어 극약을 내림( ) : .賜藥⑥

    기대되는 효과6.

    가 승경도 놀이를 통해 무관과 문관의 관직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

    나 조선시대 관직명을 알 수 있다. .

    다 조상들의 지혜를 생각할 수 있다. .

  • 승경도 놀이도제조 첨지 세자부 부원군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봉조하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우의정 1 좌의정

    2 첨지 2 번쉬기1 2 첨지 2 번쉬기1 2 부원군 2 우의정 2 좌의정 2 영의정

    3 세자부 3 세자부 3 번쉬기1 3 우의정 3 번쉬기1 3 번쉬기1 3 번쉬기1 3 번쉬기1

    4 번쉬기1 4 부원군 4 부원군 4 좌의정 4 좌의정 4 영의정 4 봉조하 4 자퇴

    5 번쉬기2 5 노직 5 부원군 5 번쉬기1 5 영의정 5 봉조하 5 자퇴 5 자퇴

    6 세자부 6 세자부 6 첨지 6 우의정 6 세자부 6 부원군 6 자퇴 6 자퇴

    어영대장 훈련대장 부원수 도원수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참찬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훈련대장 1 금부 1 금부 1 금부 1 금부

    2 훈련대장 2 번쉬기1 2 금위대장 2 부원수 2 이조판서 2 참찬 2 참찬 2 이조판서

    3 잉임 3 부원수 3 도원수 3 번쉬기1 3 예조판서 3 도제조 3 도제조 3 도제조

    4 부원수 4 도원수 4 번쉬기1 4 자퇴 4 이조판서 4 이조판서 4 도제조 4 첨지

    5 어영중군 5 번쉬기2 5 어영중군 5 자퇴 5 예조판서 5 번쉬기1 5 첨지 5 세자부

    6 통제사 6 번쉬기1 6 번쉬기2 6 자퇴 6 번쉬기1 6 참찬 6 번쉬기1 6 첨지

    수어사 포도대장 금위대장 어영중군 대사헌 대제학 참판 공조판서

    1 추고 1 금부 1 금부 수사 1 추고 1 파직 1 추고 1 금부

    2 북병사 2 금위대장 2 훈련대장 1 북병사 2 대제학 2 경기감사 2 예조판서 2 훈련대장

    3 통제사 3 번쉬기1 3 어영대장 2 첨사 3 참판 3 참판 3 병조판서 3 병조판서

    4 포도대장 4 어영대장 4 훈련대장 3 훈련대장 4 공조판서 4 예조판서 4 이조판서 4 병조판서

    5 금위대장 5 훈련대장 5 번쉬기1 4 금위대장 5 이조판서 5 병조판서 5 공조판서 5 번쉬기1

    6 어영중군 6 어영중군 6 번쉬기2 5 수사 6 참판 6 번쉬기1 6 예조판서 6 대제학

    내승지 도총관 훈련천총 훈련중군 별제 독서당 도승지 부제학

    1 도총관 1 내금장 1 훈련중군 1 수사 1 내승지 1 강화유수 1 목사 1 번쉬기1

    2 내금장 2 훈련천총 2 수어사 2 북병사 2 오위장 2 부제학 2 대사헌 2 대사헌

    3 훈련중군 3 수어사 3 포도대장 3 통제사 3 도총관 3 대사헌 3 대제학 3 대제학

    4 수어사 4 번쉬기2 4 금위대장 4 수사 4 내금장 4 도승지 4 부제학 4 참판

    5 포도대장 5 훈련중군 5 어영대장 5 금부 5 선전관 5 대제학 5 참판 5 대사헌

    6 번쉬기1 6 포도대장 6 어영중군 6 첨사 6 번쉬기1 6 번쉬기1 6 목사 6 어사

    순장 선전관 오위장 내금장 교리 한림 사인 승지

    1 내승지 1 오위장 1 내승지 1 훈련천총 1 수찬 1 사인 1 경기감사 1 목사

    2 별제 2 내금장 2 도총관 2 훈련중군 2 한림 2 승지 2 목사 2 강화유수

    3 도총관 3 도총관 3 훈련천총 3 수어사 3 사인 3 독서당 3 도승지 3 대사헌

    4 훈련천총 4 내판관 4 내금장 4 포도대장 4 승지 4 도승지 4 승지 4 도승지

    5 부별장 5 부별장 5 수어사 5 번쉬기1 5 도승지 5 부제학 5 부제학 5 독서당

    6 오위장 6 훈련천총 6 교련관 6 훈련중군 6 번쉬기1 6 대사헌 6 대사헌 6 대제학

    부별장 내판관 수문장 교련관 참봉 정언 헌납 수찬

    1 무량청 1 순장 1 순장 1 수문장 1 정언 1 수찬 1 군수 1 교리

    2 별 장 2 수문장 2 선전관 2 선전관 2 수찬 2 참봉 2 수찬 2 한림

    3 내판관 3 교련관 3 오위장 3 순장 3 교리 3 감역 3 교리 3 외판관

    4 교련관 4 선전관 4 내승지 4 내승지 4 한림 4 헌납 4 사인 4 승지

    5 번쉬기1 5 별장 5 선전관 5 도총관 5 사인 5 한림 5 승지 5 사인

    6 별제 6 번쉬기1 6 별제 6 별제 6 교리 6 번쉬기1 6 참봉 6 군수

    원찬✸ 안치✸ 무량청 정자 낭청 사평 감역 통례1 안치 1 사약 1 내판관 1 낭청 1 감역 1 현령 1 참봉 1 현령

    2 유삼천리 2 서용 2 번쉬기1 2 사평 2 사평 2 통례 2 통례 2 감역

    3 사약 3 사약 3 교련관 3 감역 3 정언 3 헌납 3 외판관 3 정언

    4 서용 4 원찬 4 수문장 4 헌납 4 통례 4 감역 4 현령 4 참봉

    5 서용 5 유삼천리 5 순 장 5 번쉬기1 5 헌납 5 정언 5 군수 5 군수

    6 서용 6 서용 6 수문장 6 사평 6 감역 6 사인 6 사인 6 외판관

    사약✸ 금부✸ 초입문 유학 무과 생원 진사 문과1 불가복생 1 안치 1 유학 1 저작 1 부별장 1 진사 1 문과 1 감역

    2 불가복생 2 원찬 2 무과 2 생원 2 번쉬기1 2 감역 2 낭청 2 헌납

    3 안치 3 유삼천리 3 생원 3 진사 3 내판관 3 낭청 3 정언 3 은일

    4 원찬 4 서용 4 진사 4 무과 4 부별장 4 진사 4 감역 4 사평

    5 불가복생 5 서용 5 무과 5 문과 5 수문장 5 감역 5 문과 5 정자

    6 유삼천리 6 유삼천리 6 문과 6 무과 6 내판관 6 낭청 6 정언 6 감역

    통제사

    1 파직

    2 수어사

    3 훈련대장

    4 포도대장

    5 어영대장

    6 훈련중군

    북병사

    1 파직

    2 훈련중군

    3 수어사

    4 통제사

    5 훈련대장

    6 금위대장

    수사

    1 파직

    2 훈련중군

    3 북병사

    4 수어사

    5 번쉬기1

    6 수어사

    첨사

    1 파직

    2 훈련천총

    3 수사

    4 금위대장

    5 어영대장

    6 번쉬기1

    서용✫1 파직

    2 번쉬기1

    3 복직

    4 복직

    5 복직

    6 번쉬기1

    추고✸1 파직

    2 서용

    3 서용

    4 복직

    5 복직

    6 복직

    파직✸1 추고

    2 서용

    3 복직

    4 복직

    5 안치

    6 유삼천리

    유삼천리✸1 파직

    2 원찬

    3 복직

    4 복직

    5 서용

    6 서용

    경기감사

    1 추고

    2 참판

    3 이조판서

    4 참찬

    5 번쉬기1

    6 참판

    강화유수

    1 추고

    2 경기감사

    3 승지

    4 부제학

    5 대제학

    6 도승지

    어사

    1 추고

    2 강화유수

    3 경기감사

    4 번쉬기1

    5 부제학

    6 도승지

    목사

    1 추고

    2 어사

    3 강화유수

    4 경기감사

    5 어사

    6 강화유수

    외판관

    1 추고

    2 목사

    3 강화유수

    4 경기감사

    5 참봉

    6 헌납

    군수

    1 추고

    2 외판관

    3 목사

    4 강화유수

    5 경기감사

    6 목사

    현령

    1 추고

    2 군수

    3 외판관

    4 군수

    5 목사

    6 외판관

    은일

    1 부제학

    2 대사헌

    3 대제학

    4 대사헌

    5 부제학

    6 대제학

  • 사 참고자료.

    자료 조선의 과거제도1)

    과거의 글 뜻은 시험 종류인 과목에 따라 거용한다는 뜻이다.

    조선시대의 과거제는 문 무 양과가 있었다 이 가운데 문과를 중시하였는데 생원 진사과와 잡· . , ·

    과로서 역과 의과 음양과 율과 등이 있었다 생원 진사과는 소과라 하여 세 이상인 자가, , , . · 15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성균관 입학자격을 주고 하급관리로 채용할 수 있었다 고급 관리, .

    가 되기 위해서는 대과에 응시해야 했다 대과에는 성균관 출신과 소과 합격생이 응시할 수 있.

    었다.

    조선초기에는 단 한번의 시험밖에 없었으나 태종 년 에 초시복시 두 단계의 시험을, 14 (1414) .

    설행하였다 즉 서울에 한성시 외방 도에 향시를 두어 생원진사 각 명을 뽑고 이들을 다. , 8 . 700

    시 서울에서 복시하여 생원진사 각 명을 뽑기로 하였던 것입니다그후 세종 년 에. 100 . 19 (1437)

    는 대 소과를 막론하고 시험장을 두 군데로 나누어 고시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시험의 부정을, .

    막기 위해서였다그후 다시 시험을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초시 한성시 서울에서 실. 3 , ( :

    시 관시 성균에서 실시 향시 각 도별로 지방에서 실시 와 복시 초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이; : ; : ) (

    듬해 봄에 서울에서 보는 차시험 어전시 복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궁정에서 실시하는 차시2 ), ( 3

    험 가 있었다) .

    식년시 조선시대의 식년은 자 묘 오 유년 이고 상식년은 인 신 기 해년(( ( ) ( ) ( ) ( ) ( ) ( ) ( )子 卯 午 酉年 寅 申 己

    이다 처음 모든 시험을 식년의 정월에서 월 사이에 거행하였다 그러나 향시입격인 향( ) ) 5 . (亥年

    시합격자 이 서울에 올라와 복시를 치는데 너무 시간이 촉박하였기 때문에 성종 년 에) 3 (1472)

    초시를 상식년 조선시대의 식년은 자 묘 오 유년 이고 상식년은 인 신 기( ( ) ( ) ( ) ( ) ( ) ( )子 卯 午 酉年 寅 申

    해년 이다 가을에 복시를 식년 봄에 설행하기로 하였다 이리하여 소과초시는 상식( ) ( ) ) , .己 亥年

    년의 월 하순에 문무과초시는 월 초순에 길일을 택하여 거행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초8 , 9 .

    시 복시를 막론하고 먼저 진사시를 거행하고 하루 지난 뒤 생원시를 거행하였다 이 때문에 진. .

    사시를 흔히 감시초장 생원시를 감시종장이라 말한다, .

    자료 홍패2)

    합격자의 이름과 성적의 등급을 붉은색 종이에 먹으로 써서 나누어 주

    었기 때문에 이 문서를 보통 홍패 라고 부르며 이것은 고려시대( ) ,紅牌

    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합격자는 국가의 고위 관.

    직에 나갈 수 있는 자격을 갖춘 것으로 인정되었다 조선시대의 과거.

    시험에는 본 시험에 해당하는 대과 에 문과 무과 의 구( ) ( )· ( )大科 文科 武科

    분이 있었는데 일반적으로 문과가 중요시되었다 무과에 합격한 사람, .

    은 이후 무반이 되어 군대와 관련된 업무를 맡았다.

  • 자료 백패3)

    조선시대 과거 가운데 소과 소과 에 해당하는 생원 진사시( ) ·

    험의 최종 합격자에게 임금이 내려준 합격증서이다 대과.

    의 최종 합격자에게 발급한 문서는 홍패 라고( ) ( )大科 紅牌

    하였다 백패는 흰 종이에 검은 글씨로 합격자의 직위 성. ·

    명 합격등급 성적순위를 기입하고 연월일을 쓴 다음 그 사· ·

    이에 어보 왕의 도장 를 찍은 것이다( : ) .御寶

    이 유물은 년 현종 년 월 일에 발행한 것이다1669 ( 10 ) 5 11 .

    유학 이주길 이 생원시험에 등 제 인으로( ) ( ) 2 17幼學 李柱吉

    합격했다는 내용이다 과거지보 라는 도장이 한. ( )科擧之寶″ ″

    개 찍혀 있고 뒷면에는 붓글씨로 유학이주길생원이등제, ″

    십칠인 이라고 쓴 길다란 황( )幼學李柱吉生員二等第十七人 ″

    색 종이가 붙어 있다.

    자료 흉배4)

    조선시대에만 있던 것으로 문무백관 들의 상복 인( ) ( )文武百官 常服

    단령포 의 가슴과 등에 부착시켜 품계에 나타내던 장식으( )團領袍

    로 품계에 따라 문양을 달리하였다, .

    쌍학흉배 는 당상관 인 정 품의 문관( ) ( ) 1·2 ( )雙鶴胸背 堂上官 文官

    상복 왕의 종친 부마 등의 관복에 부착한 것으로 주, ( ), ( )宗親 駙馬

    된 도안이 학 두 마리여서 쌍학흉배라 한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상복 의 대 로 상하를 구별하였으나 잘 구별되지 않는다고 하여( ) ( )常服 帶

    단종 년 월 흉배 제정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어 그 해 월에 제정되었다 조선왕조실록2 6 12 . 《

    을 보면 품 문관은 공작 무관은 호표 품 은 운안1 ( ) ( ), ( ), 2 ( ) (朝鮮王朝實錄 一品 孔雀 虎豹 二品 雲》

    과 호표 품 은 백한과 웅비 대군 은 기린 대사헌 은 해치 해태) , 3 ( ) , ( ) ( ), ( ) ( ),雁 三品 大君 麒麟 大司憲

    도통사 는 사자 왕자와 군은 백택 사람의 말을 한다는 상상의 짐승 이었다 연( ) , ( : ) .都統使 白澤

    산군 년에는 일품에서 이품까지 흉배를 착용하게 하였고 영조 년에는 당상문관은 운학11 , 10

    흉배 당하문관은 백한흉배를 사용하게 하였다( ) , .雲鶴

    고종 년 에는8 (1871) 문관 당상관은 쌍학 당하관은 단학 무관 당상관은 쌍호 당하관은 단호, , ,

    로 하였다.

    흉배는 조선왕조가 막을 내릴 때까지 제도화되어 시행되었다 흉배는 네모진 형태로 백관의.

    상복인 단령포에 부착하였다 옷감과 같은 색의 비단에 다양한 문양을 수놓았는데. , 구름 여의·

    주 파도 바위 물결 불로초 물방울 꽃 모란 완자 당초 칠보 해 달 물고기 불수 무소뿔 산 지초· · · · · · · · · · · · · · ( )· · ·佛手

    장생문( )· ( )芝草 長生紋 등을 수놓았다.

    유물에서 보면 조선 전기의 흉배는 크기가 크고 문양의 수가 적은데 비해 후기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문양도 복잡해진다 흉배 중에 왕족이 사용하는 것은 보 라고 하였는데, . ( ) ,補

    이것은 조선시대 왕 왕세자 왕세손 왕비 왕세자빈의 상징이었다 주로 곤룡포와 적의 원삼, , , , . · ·

    당의에 붙였다 보 는 둥근 형태로 가슴과 등 양어깨 네 곳에 붙였고 옷과 같은 색깔 같. ( ) , , ,補

  • 은 옷감으로 만들었다.

    흉배는 조선시대 계급 표시의 하나였다 이러한 제도는 상하의 차등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만.

    들어졌고 계급의 서열에 따른 문양이 정해져 엄격히 지켜졌다 이렇게 흉배는 권력 집단의 위, .

    계를 가르는 표징물일 뿐 아니라 독립된 자수 작품으로서도 심미적 관점에서 살펴볼 만한 대,

    상이다.

    자료 문관과 무관5)

    문관은 유학경전에 대한 지식과 논술을 시험하는 문과시험 출신의 관리를 말한다 조선시대에.

    는 학문과 유학을 숭상하여 무관보다는 문관을 우대하였다 문관은 최고 정 품 영의정. 1 領議政

    까지 올라 조정의 인사권뿐만 아니라 군사지휘권까지도 장악하였다 그래서 문과시험을 거쳐, .

    문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최고의 출세이자 영광으로 여겼다.

    무관은 병서 와 활쏘기 등의 무예 기술을 시험하는 무과시험 출신의 관리를 말한다 무관.兵書

    은 법제상으로 문관과 동등하였지만 무관은 정 품 절충장군 까지만 올라 갈 수 있어, 3 折衝將軍

    서 이들의 우두머리는 모두 문관이 겸직하였다 무관직은 비록 문관직에 비해 차별을 받기는, .

    했지만 임진왜란 이후 매년 실시되는 무과 시험과 완화된 응시 자격 등으로 하층민에게 신분,

    상승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자료 삼일유가6)

    김홍도가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풍속화로 비단에 색채를 표

    현하였다 과거에 급제한 선비가 맞게 되는 첫 번째 축하 의.

    식은 삼일유가였다 조선시대 과거에 급제한 선비에게는 삼일.

    간의 유가가 허락되었다 유가는 일종의 시가 행진으로 왕에.

    게 받은 어사화를 꽂은 급제자들이 악사와 광대 재인을 앞세,

    워 일간 길거리를 행진하는 것을 말한다3 .

    자료 승경도 놀이7)

    조선시대 양반들이 노는 윷놀이다.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우리나라에서는 하륜이 처음 종정도를 만들어 보급시킨 놀이이다.

    승경도 는 관직도표로서 말판에 관직명을 차례로 적어놓고 윤목 을 던져 나온( ) ‘ ‘ , ( )陞卿圖 輪木

    숫자에 따라 말을 놓아 하위직부터 차례로 승진하여 고위 관직에 먼저 오르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 주로 양반집 아이들이 즐기던 놀이이다 양반집에서는 등급이 많고 칭호와 상호관계가. .

    복잡한 조선시대의 관직에 대해 자녀들에게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이 놀이를 장려하였다.

    명까지 놀 수 있는데 관직 이 적힌 놀이판과 윤목 이 필요하다 놀이판에는 당4 8 , ( ) ( ) .官職 輪木~

  • 시의 관직과 서열이 새겨져 있고 윤목에는 까지의 숫자가 새겨져 있는데 던진 끗수대로1 5 ,~

    관직이 높아지기도 하고 귀양을 가는 등 당시의 관직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이 놀이는 종경. ‘

    도 승정도 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모두 관직도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 ( )’ , ‘ ’ .從卿圖 陞政圖

    출처) http://korea.myict.org 전통문화연구소 관직풀이 및 상세한 설명이 나와 있음( ) - .

    승경도 놀이판을 살 수 있는 곳※

    연기향토 박물관 041-862-7449▪

    해와 하늘 승경도 놀이 원3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