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6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정의는 기저질환이나 외상의 과거력 없이 종격동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로, 정확한 빈도는 알 려져 있지 않고, 주로 청소년기에 생기며, 경과가 좋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1-5). 외상의 원인 외에 단순흉부 촬영에서 기종격이 있는 경우 자발성 식도천공(Boerhaave’ s syndrome)이나 괴사성 종격동염(necrotizing medi-astinitis) 으로 오진되는 수가 많다. 그리고 젊은 환자가 흉통으로 오면 심막염이나 심근염등의 심장관련 질환으로 오인 하는 경우도 있다 (6). 자발성 기종격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39년 Hamman에 의해서이며 임상적 triad는 흉통, 호흡곤란, 그리고 피하기종이다(1). 외상이나 식도 천공 외에 알려진 기종격의 원인 혹은 유발 인자로는 천식(3, 4), 기침, 구토, 흡입약제, Valsarva’ s maneuver(4), 출산(7, 8), 격렬한 운동(9), 재채 기(10), 당뇨성 케도산증(11) 등이 보고되어 있다. 평소에 건강한 청소년기에서 생긴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 격 역시 대부분 증례 보고 위주로 되어 있으며, 주로 임상적 소견을 기술한 외과계 임상 논문은 있으나(12-16), 방사선학 적 소견과 방사선학적 예후, 그리고 진단 초기에 문제가 되는 식도나 심장 질환과의 감별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된 논문 은 없다. 국내에서 자발성 기종격과 기심낭이 생긴 이후 저절 로 좋아진 한 젊은 성인에 대한 증례 보고가 하나 있고(17), 특발성 폐섬유화증 등 대부분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동 반된 자발성 기종격의 CT소견이 보고된 적이 있으나(18), 평 소에 건강하게 지내던 청소년기에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 을 모아 체계적으로 보고한 예는 없다. 자발성 기종격은 질환의 소견이나 중요성보다는 기종격을 단순흉부촬영에서 발견하는 것(detection)과 식도 천공과 같 은 위독한 질환(life threatening)과의 감별이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기종격의 흔한 임상적 소견, 특징적인 방 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55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55-60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 1 김미영·김수영·김용훈·황윤준·서정욱·한윤희·차순주·허 목적: 외상, 의인성, 혹은 기저질환 없이 건강한 청소년기에 생긴 자발성 기종격의 임상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예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4년 4월 까지 약 8년 간,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학적으로 진 단된 외상, 의인성, 그리고 기저질환 없이 생긴 자발성 기종격을 가진 14명의 환자를 대상으 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17세였고 남자가 11명이었고 연령분포는 6- 28세 였다. 환자의 주된 임상 소견을 알아보고,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의 주된 분포를 폐첨 부와 폐문을 기준으로 경부, 폐 상부, 그리고 폐 하부로 나누어 살펴보고, 동반된 피하기종 유 무와, 기종격이 소실되기까지의 기간을 살펴보고, 종격동의 확장, 기흉 그리고 흉막액의 유무 를 분석하였다. CT를 시행한 환자 7명에서 추가적인 소견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주된 임상소견은 흉통과 가슴의 불편감이었고(8/14) 목과 관련된 증상이 있었다(6/14). 모든 환자에서 단순 흉부촬영만으로 기종격을 진단할 수 있었고, 주된 분포는 주로 경부 (14/14) 와 폐 상부(13/14)였다. 동반된 피하기종은 6명에서 나타났고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 후 단 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에서 평균 5.6일(2-10)에 호전되었다. 종격동의 확장, 기흉, 그리고 흉 막액이 보인 환자는 없었다. CT상 추가적인 소견이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은 비교적 드문 예후가 좋은 질환으로, 보존요법만으로 좋아 지며, 단순흉부촬영 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1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본 논문은 2003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 이 논문은 2004년 1월 27일 접수하여 2004년 5월 8일에 채택되었음.

Transcript of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Page 1: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정의는 기저질환이나 외상의

과거력 없이 종격동에 기포가 생기는 경우로, 정확한 빈도는 알

려져 있지 않고, 주로 청소년기에 생기며, 경과가 좋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1-5). 외상의 원인 외에 단순흉부

촬영에서 기종격이 있는 경우 자발성 식도천공(Boerhaave’s

syndrome)이나 괴사성 종격동염(necrotizing medi-astinitis)

으로 오진되는 수가 많다. 그리고 젊은 환자가 흉통으로 오면

심막염이나 심근염등의 심장관련 질환으로 오인 하는 경우도

있다(6). 자발성 기종격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39년

Hamman에 의해서이며 임상적 triad는 흉통, 호흡곤란, 그리고

피하기종이다(1). 외상이나 식도 천공 외에 알려진 기종격의

원인 혹은 유발 인자로는 천식(3, 4), 기침, 구토, 흡입약제,

Valsarva’s maneuver(4), 출산(7, 8), 격렬한 운동(9), 재채

기(10), 당뇨성 케도산증(11) 등이 보고되어 있다.

평소에 건강한 청소년기에서 생긴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

격 역시 대부분 증례 보고 위주로 되어 있으며, 주로 임상적

소견을 기술한 외과계 임상 논문은 있으나(12-16), 방사선학

적 소견과 방사선학적 예후, 그리고 진단 초기에 문제가 되는

식도나 심장 질환과의 감별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된 논문

은 없다. 국내에서 자발성 기종격과 기심낭이 생긴 이후 저절

로 좋아진 한 젊은 성인에 대한 증례 보고가 하나 있고(17),

특발성 폐섬유화증 등 대부분 기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동

반된 자발성 기종격의 CT소견이 보고된 적이 있으나(18), 평

소에 건강하게 지내던 청소년기에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

을 모아 체계적으로 보고한 예는 없다.

자발성 기종격은 질환의 소견이나 중요성보다는 기종격을

단순흉부촬영에서 발견하는 것(detection)과 식도 천공과 같

은 위독한 질환(life threatening)과의 감별이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 기종격의 흔한 임상적 소견, 특징적인 방

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55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55-60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1

김미영·김수영·김용훈·황윤준·서정욱·한윤희·차순주·허 감

목적: 외상, 의인성, 혹은 기저질환 없이 건강한 청소년기에 생긴 자발성 기종격의 임상 소견,

방사선학적 소견, 그리고 예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4년 4월 까지 약 8년 간, 임상적 그리고 방사선학적으로 진

단된 외상, 의인성, 그리고 기저질환 없이 생긴 자발성 기종격을 가진 14명의 환자를 대상으

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17세였고 남자가 11명이었고 연령분포는 6-

28세 였다. 환자의 주된 임상 소견을 알아보고,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의 주된 분포를 폐첨

부와 폐문을 기준으로 경부, 폐 상부, 그리고 폐 하부로 나누어 살펴보고, 동반된 피하기종 유

무와, 기종격이 소실되기까지의 기간을 살펴보고, 종격동의 확장, 기흉 그리고 흉막액의 유무

를 분석하였다. CT를 시행한 환자 7명에서 추가적인 소견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주된 임상소견은 흉통과 가슴의 불편감이었고(8/14) 목과 관련된 증상이 있었다(6/14).

모든 환자에서 단순 흉부촬영만으로 기종격을 진단할 수 있었고, 주된 분포는 주로 경부 (14/14)

와 폐 상부(13/14)였다. 동반된 피하기종은 6명에서 나타났고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 후 단

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에서 평균 5.6일(2-10)에 호전되었다. 종격동의 확장, 기흉, 그리고 흉

막액이 보인 환자는 없었다. CT상 추가적인 소견이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은 비교적 드문 예후가 좋은 질환으로, 보존요법만으로 좋아

지며, 단순흉부촬영 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1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본 논문은 2003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이 논문은 2004년 1월 27일 접수하여 2004년 5월 8일에 채택되었음.

Page 2: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약 8년 동안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단순흉부촬영에서 자발성 기종격이 보인 14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자발성 기종격의 진단 기준은 상대정맥 내측

의 공기나 주요 목 동맥 사이의 공기에 의한 박리를 발견하거

나, 종격동 내에서 지방음영에 가려서 보이지 않던 기정맥이

나 상부 늑간정맥이 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 둘러싸는 공기음

영이 보이거나, 또는 심막을 따라 주행하는 선상의 저음영을

발견 할 수 있는 경우로 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임상적으로 호흡곤란, 흉통 등의 기종격과

관련된 증상이 있는지 그리고 이학적 소견에서 청진상 피하기

종에 특징적인 염발음(Hamman’s crepitation)이 나타났는지

알아보았다(Table 1).

11명의 남자와 3명의 여자가 있었고 평균나이는 17세였고

연령분포는 6-28세 였다. 환자 중 수술이나 처치 후에 생긴

의인성 기종격은 배제 하였으며, 모든 환자가 외상, 음주 후 구

토, 코케인 흡입, 흡입성 약제 사용 등의 과거력은 없었고, 종

격동염, 식도암, 천식, 결핵 등의 기저 질환도 없었으며, 평소

에 아무런 증상 없이 건강하게 지냈다. 환자의 주된 임상 증

상과 임상 증상의 기간, 증후, 입원 유무, 입원 기간을 살펴보

고 기종격의 유발요인, 특히 Valsalvar maneuver등이 있었는

지 살펴보았다.

모든 환자에서 단순흉부촬영을 시행하였다. 단순흉부촬영에

서 기종격의 범위를‘폐 첨부’와‘폐문’을 기준으로 세 부분

으로 나누어 경부, 폐 상부, 그리고 폐 하부로 나누어 +로 표

시하고 주된 범위를 살펴 보았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발

현 후 1일 안에 처음 단순흉부촬영을 시행하였고, 1~2일 간

격으로 추적 단순흉부촬영을 하여 기종격이 완전하게 소실되

기까지의 기간을 기술하였다. 또한 동반된 피하기종, 종격동의

확장, 기흉, 흉막액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7명에서 HRCT가 포함된 CT를 시행하였고 사용된 CT기종

은 Somatome Plus 4(Siemens , Erlagen, Germany) 이었다.

CT상 추가적 소견이 있는지 살펴보고 늑막 하기포, 기흉, 흉

막액, 종격동의 침윤, 그리고 종격동의 확장 유무를 확인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청진소견을 분석했고, 심전도를 했으며 추가

검사로 심장초음파와 식도 조영술이 각각 2명과 3명에서 시

행되었다.

결 과

14명 모두에서 기종격에 의한 흉통이나 가슴의 불편감, 그

리고 호흡곤란과 같은 임상증상이 있었다. 그 중 주로 흉통이

나 가슴의 불편감을 호소한 환자가 8명으로 가장 많았고, 호

흡곤란이 4명, 그리고 목이 붓거나 목부위의 불편감을 호소하

는 등 목과 관련된 증상이 6명이었다. 증상의 기간은 당일 발

생에서 3일이었고(평균 1.4일), 입원한 경우는 4명으로 평균

재원기간은 3.8일 이었다(Table 1). 이학적소견에서 청진상

염발음(Hamman’s crepitation)이 5명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에 포함된 14명의 환자 중 대부분 기종격을 진단 받

기 전에 구토나 격렬한 운동을 했다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

는 등의 과거력 없이 모두 일상적인 생활 중에 증상이 생겼고,

수영하다가 물을 무심코 한 모금 마셨다거나(환자 9) 전날 재

채기를 몇 번 한 정도(환자 6)의 유발요인이 각각 한명에서

있었다. 한 환자에서는 1달 전에도 같은 증상이 있어 저절로

좋아진 과거력이 있었다(환자 8) (Table 1). 그 외 설사(환자

13) 와 감기(환자 14)가 각각 한명이었다.

14명 모두 경부에 생겼고, 13명에서 상부 폐야까지 생겼으

며. 하부 폐야 까지 분포한 경우는 6명이었다(Fig. 1). 피하기

종은 모두 6명에서 동반되었으며 기종격이 있다가 추적과정에

─ 56 ─

김미영 외: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

Table 1. Summary of Patient

No. Age Sex Symptom (Duration: Day) Hospital Stay (Day) Other Studies Resolving Days on CXR

01 15§ dyspnea (3) 0 0302 17 neck and chest discomfort (1) 0 CT, * Echo 0703 14 chest discomfort (1) 0 0404 15 chest pain (0) 0 CT, * Echo 0705 19 neck pain (1) 2 1006 21 dyspnea and neck pain (1) 0 CT 0207 06 neck swelling (3) 0 0708 16 neck and substernal pain (1) 0 Esophago 0709 26 neck swelling and dyspnea (1) 4 CT 0610 14 chest discomfort (1) 2 CT, Esophago 0511 18 chest pain (0) 0 CT 0612 28 chest discomfort (1) 0 0313 18§ chest pain (3) 0 CT, Esophago 0514 12§ dyspnea (3) 7 07

*Esophago : EsophagographyEcho : EchocardiographyCXR: Chest radiograph

§Female

Page 3: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서 수시간 내에 나타난 경우도 2명에서 있었다. 단순흉부촬영

에서 기흉이나 흉막액이 보인 환자는 없었다. CT를 시행한 7

명에서 좀더 명확하게 기종격이 보였으며, 폐첨부의 늑막 하

에 위치한 간질성 기포(bleb), 기흉, 혹은 흉막액은 보이지 않

았으나, HRCT상 기종격 자체가 소량의 기흉과 비슷하게 보인

경우가 1명 있었다(Fig. 2). CT에서 기저 식도 질환이나 식도

천공의 소견을 시사하는 종격동 침윤, 종격동 확장, 흉막액, 그

리고 기흉이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단순흉부촬영 상 기종격을 발견한 당일 식도 천공을 의심하

고 식도조영술을 한 3명의 환자와 흉통으로 인한 심 질환의

유무를 밝히기 위해 심장 초음파를 한 2명의 환자는 모두 정

상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는 별 다른 치료 없이 혹은 휴식(bed rest), 산소

요법, 혹은 진통제(analgesics) 등의 보존 요법만으로 증상이

빠르게 좋아졌고, 단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에서 평균 5.6일

(2-10일) 안에 호전되었다. 단순흉부촬영의 추적 검사 중 기

종격이 심해지거나 재발하거나 혹은 기흉이 생기는 경우는 없

었다.

모든 환자는 단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로 기종격이 소실됨을

확인하는 동안 보존적 요법 외에 더 이상의 치료나 처치는 필

요하지 않았다.

고 찰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의 환자가 흉통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

원한 경우 심근염이나 심막염등 심장과 관련된 질환을 의심하

여 심장 초음파 등을 하거나,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이 보

이면 자발성 식도 천공(Boerhaave’s syndrome)이나 괴사성

종격동염과 같은 중한 질병을 의심하게 되고 식도 조영술이나

식도 내시경 등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평소에 음주나 외상 등의 경력 없이 건강하게 지내

던 청소년기, 특히 남자 환자가 흉통, 호흡곤란, 혹은 목 주변

의 부종이나 불편감이 있으면서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이나

피하기종 등이 보이면 우선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을 의

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 경우 방사선학적 소견은 단순

흉부촬영에서 경부를 포함한 종격동 특히 경부의 큰 혈관주위

와 심장의 가장자리를 따라 규칙적이며 연속적인, 수직으로 주

행하는 선상의 저 음영이 나타나고 그 정도는 대개 심하지 않

으며, 그리고 종격동의 확장은 보이지 않는다.

기종격의 알려진 단순흉부촬영의 소견은 상대정맥 내측의

공기나 주요 목동맥 사이의 공기에 의한 박리를 발견하거나,

종격동 내에서 지방음영에 가려서 보이지 않던 기정맥이나 상

─ 57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55-60

Fig. 1. A 16-year-old man (patient 8) presented with neck andsubsternal pain for 1 day. Chest radiography shows continu-ous air streaks in the mediastinum. Free air expands in theneck (arrowheads), along the cardiac margin (arrows) to thelower lung zone of the mediastinum without mediastinalwidening. Note subcutaneous emphysema (curved arrow).

Fig. 2. A 28-year-old man (patient 12) presented with chest dis-comfort for 1 day. The patient did not have a history ofValsalvar’s maneuver before the symptom onset.High-resolution CT scan shows linear air streak surroundingthe great vessels of the neck (small arrow) and along the poste-rior mediastinum (large arrow). Note subcutaneous emphyse-ma in the left upper chest wall and axillary portion (arrow-heads). Note the normal esophageal contour and mediastinalwidth. The patients showed recovery of symptom withouttreatment after 12 hours and normalized on follow-up chest ra-diographs (not shown) after 3 days.

Page 4: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부 늑간정맥이 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 둘러싸는 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19). 특히 양측 종격동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횡격막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공기음

영은 기종격의 징후이다(20) 반면에 기흉의 경우 흉벽에 평

행한 가는 선으로 보이며 그 바깥쪽의 흉막강 내에는 혈관구

조를 찾을 수 없고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공기음영이 없으므로

기종격과 감별이 된다.

단순흉부촬영에서 자발성 기종격이 경부와 폐 상부에 위치

한 특징적인 분포를 보이고, 추적검사에서 임상 증상과 방사

선학적 소견이 빠르게 호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면 침습

적인 식도 조영술, 식도 내시경, 혹은 고가의 심장 초음파 등

의 별다른 검사 없이 보존적 요법 만으로 치료할 수 있고, 입

원을 통한 경과의 관찰도 필요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매우

적은 양의 기흉이 28%(2/7) 가량에서는 동반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1), 소량의 기흉이라면 산소 등 보존 요법만으로 치료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기흉은 나타나

지 않았고(12-16), 병의 경과 중 기흉이 더욱 진행되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도 기흉이 보이거나 자발성 기종격

동에서 기흉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없었는데, 기흉도 미미한 이

차적소견으로 생각된다.

단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CT가 진단

에 도움이 되고, 단순흉부촬영에서 보이지 않던 기종격의 9%

(3/33) 에서 CT상 발견이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으나(21), 단

순흉부촬영에서 기종격의 유무가 애매모호할 정도로 양이 적

다면 기종격의 양이 많아 잘 나타나는 환자 보다 그냥 두면 저

절로 좋아질 기회가 더 많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모든 환자가 단순흉부촬영 만으로 충분한 진단

이 이루어졌으나 식도 천공을 의심하여 CT를 시행한 7명의

환자에서 좀더 명확하게 기종격이 보였고, 정확한 범위을 알

수 있었다. 임상적으로 기종격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는데

단순흉부촬영에서 정상이라면 CT가 소량의 기종격을 찾는데

민감도가 더 높으리라 생각된다.

자발성 기종격이 생기는 빈도는 모든 원인의 기종격의

0.08%로 알려져 있고 남자에서 여자보다 8배 가량 많이 생긴

다(14).

자발성 기종격이 생기는 기전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

나 Valsalvar’s maneuver등에 의해 흉압이 증가 되면서 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폐포가 파열되고, 이때 기포가 종격동의 혈

관과 기도 주위의 간질이나 결합조직을 따라 생길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22, 23). 본 증례에서 모든 환자가 경부에 기종

격이 있고 상부 폐야에 대부분 생기는 것은 아마도 경부와 폐

상부에 호흡에 따른 음압이 가장 많이 작용하는데 기인하리라

생각한다. 본 증례 들에서 신장과 체중에 따른 통계는 내지 않

았으나 일반적인 기준으로 성장기의 마른 남자 환자가 대부분

이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마르고 키가 큰 환자에서 폐

첨부에 늑막하 기포가 자주 생기나 본 연구의 환자에서 단순

흉부촬영이나 CT에서 늑막 하 기포가 보인 예는 없었고, 늑

막하 기포와 기종격의 관계에 대해 기술된 보고도 없었다.

자발성 식도천공(Boerhaave’s syndrome)은 음주 후 구토

에 의해 식도 내압이 증가하면서 식도벽이 가장 얇은 하부 식

도의 좌, 후측부에서 생기며 이때 거의 모든 환자에서 좌측에

흉막액이나 기흉이 생긴다(24, 25). 이때 단순 흉부촬영 소견

은 종격동이 넓어지며, 75%-90%의 빈도로 흉막액이나 기흉

이 동반된다(23-26). 본 연구의 자발성 기종격에서는 흉막액,

기흉, 그리고 종격동의 확장이 나타난 경우는 없었다. 본원에

서 심한 구토와 관련된 1예의 식도천공이 있었는데 73세의 남

자였고 방사선학적 소견은 단순흉부촬영에서 좌측에 흉막액과

좌 하부에만 국한된 기종격과 종격동의 확장이 있었다. 이때

경부나 종격동 상부에는 기종격이 나타나지 않았고 기종격의

모양도 불규칙하였다. 그리고 CT에서 식도주변에 국한된 기

종격이외에 추가적으로 소량의 기흉을 발견할 수 있었다.

괴사성 종격동염이나 종격동 농양은 자발성 식도 천공환자

의 1%에서 생기며 치사율이 높아 초기진단이 중요하다. 하지

만 이 경우에 단순흉부촬영에서 상부 종격동의 정상적 윤곽이

소실되면서 종격동이 넓어 지고, 흉막액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

다(27). CT에서는 식도 천공에 의한 종격동염의 소견이 명확

하게 나타나는데 종격동 내 지방에 광범위한 침윤이 있고, 식

도 벽이 두터워지며, 농양이 생기거나, 천공된 식도 주변을 따

라 불규칙한 기종격이 보이거나, 농양 내에 기포가 보이므로

(28, 29) 자발성 기종격과 쉽게 감별이 되리라 생각된다.

외상에 의한 식도 천공은 경부에 많이 생기는데 외상의 과

거력이 진단에 결정적이다. 기종격이 불규칙적으로 천공 부위

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자발성 기종격과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되고 기흉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2, 27).

심근염 등의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는 단순흉부촬영에서 심

낭액이나 심부전에 의해 심장의 윤곽이 커지는 경우가 많고

때로 폐부종이 생기거나 양측에 대칭적인 흉막액이 보이는 경

우가 많으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자발성 기종격은 매우 드물게 재발 할 수 있으며 3-12년간

의 추적검사에서 22명 중 1명이 재발했다는 보고가 있으나 (3,

14, 16) 본 연구에서 단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 중이나 그 이

후에 재발하여 다시 병원을 찾은 예는 없었고, 환자의 과거력

에서 한달 전에 비슷한 증상이 있다가 저절로 호전되었던 경

우는 있었다(환자 8).

본 연구의 제한점은 1) 기종격을 동반한 식도 천공이나 괴

사성 종격동염의 증례가 적어 직접적인 비교 연구를 하지 못

했으며, 2) 임상적으로 환자의 과거력에 대한 기록이 충분치

않아 기종격의 원인이 될 만한 흉곽내 과도한 음압 유발요인

이 밝혀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고, 응급실만 내원한 환자가

많아 키와 몸무게가 기술되어있지 않아 체격(body habitus)

요인을 분석하지 못 했다. 3) 또한 기저 질환이나 외상을 포

함한 모든 종류의 전체 기종격에서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이 얼마의 빈도로 발생하는지는 구하지 못했다.

본 연구가 다른 연구(1, 12)에 비해 기종격 진단 이후에 행

해진 CT, 식도나 심장 등에 행해진 검사가 적은 이유는 자발

성 기종격 몇 례를 경험한 후 학습효과 때문으로 다른 검사 보

다는 단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를 권한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에 생기는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

─ 58 ─

김미영 외: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

Page 5: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은 드물게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평소에 건강했던 청소년, 특

히 성장기의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서 스트레스나, 일상 생활

내에서의 무의식적인 Valsalva’s maneuver후나, 뚜렷한 유발

요인 없이 생길 수 있으며, 모든 환자에서 단순흉부촬영만으

로 충분히 진단할 수 있다. 주된 분포는 경부와 상부 폐야이

고, 피하기종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으며, 종격동의 확장이나 흉

막액은 보이지 않고, 기흉이 동반되거나 기흉으로 진행하는 경

우는 매우 드물다. 단순흉부촬영의 추적검사에서 대부분 10일

안에 저절로 호전되며 기종격의 진단 자체를 위해서나 동반된

기흉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CT 등의 추가 검사는 필요하지

않으리라 생각되나, 환자의 과거력 상 식도 천공이 강력히 의

심된다면 CT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Hamman L. Spontaneous mediastinal emphysema. Bull JohnsHopkins Hosp 1939;64:1-21

2. Maunder RJ, Pierson DJ, Hudson LD. Subcutaneous and mediasti-nal emphysema,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Arch Intern Med 1984;144:1447-1453

3. Abolnik I, Lossos IS, Breuer R.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A report of 25 cases. Chest 1991;100:93-95

4. Panacek EA, Singer AJ, Sherman BW, Prescott A, Rutherford WF.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clinical and natural history.Ann Emerg Med 1992;21:1222-1227

5. Bejvan SM, Godwin JD. Pneumomediastinum: old signs and newsigns. AJR Am J Roentgenol 1996;166:1041-1048

6. Raith W, Zartner P, Beitzke A.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as a cause of chest pain. Z Kardiol 2003;92:601-605

7. Raley JC, Andrews JL. Spontaneous pneumomediastnum present-ing as jaw pain during labor. Obstet Gynecol 2001;98:904-906

8. Sutherland FW, Ho SY, Campanella C. Pneumomediastinum dur-ing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Ann Thorac Surg 2002;73: 314-315

9. Morgan EJ, Henderson DA. Pneumomediastinum as a complica-tion of athletic competition. Thorax 181;36:155-156

10. Dechambre S, d’Odemont JP, Cornelis JP, Fastrez J. Spontaneouspneumomediastinum after sneezing. Ann thorac Surg 1995;60:1457

11. Weathers LS, Brooks WG, DeClue TJ.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in a patient with diabetic ketoacisosis: a potentially hid-den complication. South Med J 1995;88:483-484

12. Jougon JB, Ballester M, Delcambre F, Mac Bride T, Dromer CE,Velly JF. Assessment of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experi-

ence with 12 patients. Ann Thorac Surg 2003;75:1711-171413. Miura H, Taira O, Hiraguri S, Ohtani K, Kato H. Clinical features

of medical pneumomediastinum. Ann Thorac Cardiovasc Surg2003;9:188-191

14. Gerazounis M, Athanassiadi K, Kalantzi N, Moustardas M.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a rare benign entity. J ThoracCardiovasc Surg 2003;126:774-776

15. Metzger H. The chemistry of the immunoglobulins. JAMA1967;202: 129-132

16. Yellin A, Gapany-Gapanavicius M, Lieberman Y. Spontaneouspneumomediastinum: is it a rare cause of chest pain? Thorax1983;38:383-385

17. Lee YJ, Jin SW, Jang SH, et al. A case of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and pneumopericardium in a young adult. Korean JIntern Med 2001;16:205-209

18. 김성현, 임정기, 서준범, 박재형, 연경모, 한만청.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진단된 자발성 기종격: 원인 질환 및 임상적 의의.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8;38:459-463

19. Hammond DI. The “ring-around-the-artery”sign in pneumomedi-astinum. J Can Assoc Radiol J 1984;35:88-89

20. Levin B. The continuous diaphragm sign. A newly recognized signof pneumomediastinum. Clin Radiol 1973;24:337-338

21. Kaneki T, Kubo K, Kawashima A, Koizumi T, Sekiguchi M, Sone S.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in 33 patients: yield of chestcomputed tomography for the diagnosis of the mild type.Respiration 2000;67:408-411

22. Macklin MT, Macklin CC. Malignant interstitial emphysema ofthe lungs and mediastinum as an important occult complication inmany respiratory diseases and other conditions: an interpretationof the clinical literature in the light of laboratory experiment.Medicine 1944;23:281-358

23. Furuse M. Pneumomedia stinum-what can we learn? Intern Med1998;37:802-803

24. Phillips LG, Cunningham J. Esophageal perforation. Radiol ClinNorth Am 1984;22:607-613

25. Han SY, McElvein RB, Aldrete JS, Tishler JM. Perforation of theesophagus: correlation of site and cause with plain film findings.AJR Am J Roentgenol 1985;145:537-540

26. Parkin GJS. The radiology of perforated esophagus. Clin Radiol1973;24:324-332

27. Levine MS. Miscellaneous Abnormalities. In: Gore RM. Textbookof gastrointestinal radiology. Philadelphia : Saunders, 1994;512-530

28. Gimenez A, Franquet T, Erasmus FF, Martinez S, Estrada P.Thoracic complications of esophageal disorders. Radiographics2002;22:S247-S258

29. White CS, Templeton PA, Attar S. Esophageal perforation: CTfindings. AJR Am J Roentgenol 1993;160:767-770

─ 59 ─

대한영상의학회지 2004;51:55-60

Page 6: 청소년기의원인불명의자발성기종격의 방사선학 ... · 2016. 6. 21. · 부늑간정맥이보이거나, 근위폐동맥을둘러싸는공기음영을 발견함으로써진단할수있다(19).

─ 60 ─

김미영 외: 청소년기의 원인 불명의 자발성 기종격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적 의의

J Korean Radiol Soc 2004;51:55-60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Mi-Young Kim, M. 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2240, Daewa-dong, Ilsan-gu, Goyang-si, Gyunggi-do 411-706, Korea.Tel. 82-31-910-7689 Fax. 82-31-910-7369 E-mail: [email protected]

Idiopathic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Radiologic and Clinical Features1

Mi-Young Kim, M.D., Su Young Kim, M.D., Yong Hoon Kim, M.D., Yoon Joon Hwang, M.D., Jung Wook Seo, M.D., Yoon Hee Han, M.D., Soon Joo Cha, M.D., Gham Hur, M.D.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presentations,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tural history of healthy ado-lescents presenting with idiopathic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imple radiographs of 14 consecutive patients (11males) with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who were examined over a period of 8 years, and analyzedtheir clinical history, radiographic findings including distribution, combined subcutaneous emphysema, medi-astinal widening, pneumothorax, pleural effusion, and resolving period on follow up chest radiographs. We al-so obtained CT images of 7 patients for the assess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Results: The most common complaint at the time of presentation was chest pain and chest discomfort (8/14),followed by neck discomfort (6/14). The chest radiograph was of diagnostic value in all cases. The main distrib-ution of the pneumomediastinum was cervical (14/14), upper lung (13/14) and lower lung (6/14). Combinedsubcutaneous emphysema was observed in 6 patients. However, there were no cases of mediastinal widening,pneumothorax or pleural effusion. Complete resolution of the pneumomediastinum on the radiograph was ob-served after 10 days (mean 5.6), following purely conservative treatment. There was no additional informationon the CT images, as compared with that on the radiographs. Conclusions: Idiopathic spontaneous pneumomediastinum is a benign entity that usually goes undiagnosed,but which responds very well to conservative treatment.

Index words : Chest Emphysema Pneumomediasti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