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23
< 요 약 >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를 통하여 스트룹 효과를 밝히고,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 능력을 통하여 지적장애아동의 주의 간섭과 촉진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아동 22명,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2명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7명으로 총 71명의 아동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스트룹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산출된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집단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 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 적장애아동보다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단어점수, 색상점수, 색상단어불일치점수, 색상어일치점수, 간섭점수,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IQ에 따른 MA(정신연령) 수준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4, pp. 453~475, 2013.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황 정 보 * 김 덕 미 ** 강 경 희 *** 박 윤 **** 정 화 식 ***** *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영암낭주고 교사 D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ctoral student ** 영암장천초등학교 교사 Yeongam Jangcheon Elementary School, Teacher *** 조선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강사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Lecturer **** 조선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octoral student *****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

Transcript of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Page 1: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 요 약 >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를 통하여 스트룹 효과를 밝히고,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 능력을 통하여 지적장애아동의 주의 간섭과 촉진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아동 22명,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2명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7명으로 총 71명의 아동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스트룹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산출된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집단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

는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

적장애아동보다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단어점수, 색상점수,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색상ㆍ단

어일치점수, 간섭점수,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IQ에 따른 MA(정신연령) 수준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4, pp. 453~475, 2013.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황 정 보* ㆍ 김 덕 미** ㆍ 강 경 희*** ㆍ 박 윤**** ㆍ 정 화 식*****

*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영암낭주고 교사

D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ctoral student

** 영암장천초등학교 교사

Yeongam Jangcheon Elementary School, Teacher

*** 조선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강사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Lecturer

**** 조선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박사과정

Chosun University,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Doctoral student

*****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ongshin Universit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

Page 2: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54

특히, 간섭효과와 촉진효과를 살펴본 결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정신

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이면서도 단어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

은 상충하는 반응을 통합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핵심어 : 지적장애, 스트룹, 간섭효과, 촉진효과

Ⅰ. 서 론

스트룹 과제는, Stoop(1935)의 독창적 연구 이래로 2,50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된 심리

학 패러다임의 하나로(Pothos & Tapper, 2010; Yusoff, Grüning, & Browne, 2011), 주의

처리의 간섭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MacLeod, 1991, 1992; MacLeod

& MacDonald, 2000; Stroop, 1935).

Stroop(1935)은 ‘스트룹 색상ㆍ단어 검사’ 도구를 고안하였는데, 이 검사는 단어의 색과

글자가 일치하지 않는 조건에서 자동화된 반응을 억제하고 글자의 색상을 이야기할 것을

요구한다(Golden, 1978; 신민섭, 박민주, 2006). 즉, “파랑”, “초록”, “빨강”과 같은 단어

와 이 단어가 나타내는 의미인 실제 색상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 "빨강"이 빨간색으로

인쇄되어 있지 않고 초록색으로 인쇄되어 있으면 글자의 색을 말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며 잘못 말하는 경향이 생기게 되는데(Dalrymple-Alford & Budayr, 1966), 이는

단어 읽기가 더 많은 훈련을 받아 색상 명명하기보다 더 자동화된 것이다(Fraisse, 1969).

이처럼 무의식적인 자동적 주의 때문에 정보를 처리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현상

을 스트룹 간섭 효과(Stroop Interference Effect)라고 한다(Comalli, Wapner, & Werner,

1962). 반면, 스트룹 촉진 효과(Stroop Facilitation Effect)는 색깔 단어와 단어의 색이

일치할 경우 색을 말하는데 시간이 더 적게 걸리는 현상으로 효과의 크기가 간섭보다 작

아서 중립적 시도에 의존하게 된다(Lovett, 2005). 즉, 중립적 자극을 제시했을 때보다

자극의 색을 명명할 때 더 빠르며(van Maanen, van Rijn, & Borst, 2009), 간섭 효과는

강력하지만, 단어-색상 촉진 효과는 간섭 효과만큼 신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Macleod,

1991). 이는 단어색상일치 조건에서 색상을 명명하도록 지시하면, 피험자는 단어에 더 자

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색상 명명하기보다는 단어를 읽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단어색상일치 조건에서 단어 읽기와 색상 명명하기 모두를 각각 수행하도록 함으

로써 촉진 효과의 신뢰성을 뒷받침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이 주의에 따라 달라지는 간섭과 촉진 현상을 ‘스트룹 효과

Page 3: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55

(stroop effect)’라고 한다. 스트룹 효과는 지각정보 처리에 비례한 언어정보 처리 속도,

언어정보 처리의 자동화, 그리고 연결주의 모델을 설명해 주고 있으며(Pothos & Tapper,

2010), 이들 설명의 중요한 요소는 하나의 자극에 대한 언어 구성요소와 지각 구성요소

에서 파생된 정보 간의 충돌이다(MacLeod, 1991). 즉, 스트룹 색상ㆍ단어 말하기 과제

는 같은 문제에 대한 다른 특징 간의 경쟁을 일으킴으로써 과제에 대한 반응 시간이 주의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때문에 익숙해진 경향성에 반하는 일을 하는데 더 많은 의

식적이고 의도적인 주의조절이 필요하게 된다(Baars & Gage, 2010).

지적장애인의 스트룹 과제 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Bassett과 Schellman

(1976)은 지적장애아 36명(지능 55~69, 연령 12.7세~19.2세)을 대상으로 스트룹 검사

를 시행하였는데, 지적장애집단에도 강력한 스트룹 간섭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즉,

색상 명명과 관련 없는 단어 차원을 무시하고 색상을 명명하는 과제에서 색상ㆍ단어가 일

치하지 않는 조건이 단순히 색상을 명명하는 조건보다 반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더 긴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글을 읽을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스트룹 간섭 효과가 명백

히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Jensen & Rohwer,, 1966). Ellis 등(1989)은 자

동적 단어 읽기에서 일반아동보다 지적장애아동이 더 많은 간섭을 일으켜 통제능력이 더

열등한 것으로 지적하였다. Das(1970)도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지만, 부진한 읽기

자가 지적장애집단에 포함되었을 때는 패턴이 역전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Das, 1969).

만약 스트룹 검사에 단어 읽기가 부진한 독자가 지적장애집단에 포함된다면, 반응시간이

더 느려지고 더 많은 실수를 유발하기 때문에 색상 명명하기가 더 우세하여 더 쉽게 자동

화 될 수 있다. 이처럼 자동화에서 초래된 효과는 시각적 패턴뿐만 아니라 음운론적 숙고

도 포함하지만, 실상에서는 단어 읽기가 더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우위를 차지하는 것이

다(Monahan, 2001). 그러나 지체 정도에 따라 이와 같은 변화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

에 효과가 극단적인 경우도 있고,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스트룹 효과는 지체 정도가 “인지 관성(cognitive

inertia)”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인지 관성은 행동의 자동적인 측면을 의도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을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Ellis, Woodley-Zanthos, Dulaney, & Palmer,

1989). MacLeod과 Duhnbar(988)는 지적장애인의 기능성이 떨어질수록 스트룹 효과가

낮다는 연구 결과는 인지 관성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비장애인은 행동의 자동적인 측면

을 의식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능력 부재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Ellis & Dulaney,

1991).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스트룹 과제에서 색상ㆍ단어가 일치하지 않을 경

우 색상 명명하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세적인 자동적 반응을 억제해야 하지만,

지적장애인은 주의집중자원이 부족하여 전략적으로 행동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읽

고자 하는 경향성을 잘 통제하지 못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Page 4: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56

이처럼 지적장애인의 스트룹 효과는 그들의 인지능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지

능지수만으로 지적장애인의 인지능력을 완전하게 평가할 수 없으므로 지능지수에 정의된

생활연령(CA)이나 정신연령(MA)에 따라 스트룹 과제의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은 의미

가 있다. Zigler(1969)의 발달 이론에 의하면, 동일한 수준의 정신연령을 가진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교에서 인지 기능에 실제적 차이가 없을 것으로 전제한다. 즉, 생활

연령과 상관없이 동일한 수준의 정신연령을 가진 개인들은 인지-언어 과제를 유사하게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다(Horwitz, Kerker, Owens, & Zigler,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룹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생활연령을 가진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비교

와 동일한 정신연령을 가진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비교를 통해 인지 능력을 밝히

고자 한다.

현재까지 스트룹 효과에 대한 연구가 국외에서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 국내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으로 비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이중언어 간섭에 관한 연구(정우림, 이승복, 2010; 조중열, 2002; 조증열, 박정희,

주선경, 1997; 조증열, 유경순, 김길님, 이수란, 1998; 조증열, 차은영, 심명숙, 1996)와

집행적 주의에 관한 연구(오은미, 정찬섭, 1992; 이도준, 2011)가 있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김진희, 2012; 제갈은주, 안창일, 2012)가 있지만,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룹 과제를 통해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간의 인지능력을 밝히

고,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수행 능력을 통하여 지적장애아동의 주의 간섭과 촉진을 분석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처리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간에 수행 능력 수준은 어떠한가?

1) 성별이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점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점수는 세 집단(일반아동,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 차이가 있는가?

1) 스트룹 과제의 1차 자료 하위요인(단어, 색상, 색상ㆍ단어 불일치, 색상ㆍ단어일치)

점수는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스트룹 과제의 2차 자료 하위요인(간섭, 색상촉진, 단어촉진) 점수는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스트룹 과제의 간섭과 촉진의 수행 능력 수준은 어떠한가?

1) 간섭의 하위범주(색상ㆍ단어 불일치, 색상) 점수 간과 촉진의 하위범주(색상ㆍ단어

일치, 색상, 단어) 점수 간에 차이가 있는가?

Page 5: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57

2) 촉진 효과의 색상촉진과 단어촉진 간에 차이가 있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일반아동 22명(5학년 남자 12명, 여자 10명)과 일반아동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2명(4~6학년 남자 13명, 여자 9명), 그리고 일반아동과

정신연령이 동일한 지적장애아동 27명(고1~3학년 남자 15명, 여자 12명)으로 총 71명

이다. 지적장애아동은 생활연령이 일반아동과 비슷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K-WISC

검사 결과를 통해 환산된 정신연령이 일반아동과 비슷한 고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을 선정하

였다. 본 연구 참가한 참여자의 특성은 <표 2-1>과 같다.

<표 2-1> 연구 참여자의 특성

집 단 N지능

M(SD)

생활연령

M(SD)

정신연령

M(SD)

연구 참여자

일반아동 22 - 10.86(.25) -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2 66.68(4.76) 11.10(.87) 7.40(.79)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7 64.15(6.52) 17.09(.95) 10.96(1.20)

전체 71 - - -

선정된 일반아동 22명의 스트룹 검사 결과를 신민섭, 박민주(2007)의 한국판 아동용

스트룹 색상ㆍ단어 검사의 표준화 연구 결과와 일표본 t 검정으로 비교해 본 결과 단어점

수의 평균(표준편차)은 73.82(9.63)으로 검정값 76.65와 차이가 없었고(t=-1.379, p

=.182), 색상점수의 평균(표준편차)은 52.50(9.01)으로 검정값 55.42와 차이가 없었으며

(t=-1.520, p=.143), 색상ㆍ단어점수의 평균(표준편차)은 34.59(7.44)으로 검정값 35.56과

차이가 없었다(t=-.611, p=.548). 또한, 간섭점수의 평균(표준편차)은 -17.91(5.57)로

검정값 -19.95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718, p=.100). 즉, 선정된 일반아동

은 스트룹 표준화 검사의 11세 일반아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2. 연구 도구

스트룹 검사 도구는 Golden 등(1975)이 개발한 것을 신민섭, 박민주(2007)가 우리나

Page 6: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58

라 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것이다. 본 검사 도구는 단어, 색상, 색상ㆍ단어 등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개씩 5열로 100개의 문항이 제시되었다. 100문항을 완성하는 것은

장애가 있는 피검자에게 심한 좌절을 줄 수 있으므로, 45초의 제한된 시간 동안 완성한

문항 수를 측정하였다. 단어 검사는 ‘빨강’ ‘초록’ ‘파랑’ 단어가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고,

8.5×11인치 크기의 종이에 검은색으로 인쇄되어 있으며, 어떤 단어도 열 내에서 연이어

반복되지 않는다. 색상 검사는 ‘XXXX’로 쓰인 문자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인쇄되

어 있으며, 어떠한 색깔도 열 내에서는 연속되지 않는다. 즉, 단어 검사에 대응되는 문항

이 같은 색으로 인쇄되지는 않는다. 색상ㆍ단어 검사는 단어 검사에 단어가 색상 검사의

색깔로 인쇄되어 구성되며, 두 검사의 문항이 혼합된 것이다. 즉, 단어 검사의 첫 문항이

색상 검사의 첫 문항의 색깔로 인쇄되어 색상ㆍ단어 검사의 첫 문항을 형성하므로 어떤

단어도 쓰인 단어와 색상이 같을 수 없다. 스트룹 검사 도구의 표준화 과정에서 나타난

정상집단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단어점수 .76, 색상점수 .66,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72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검사 도구 이외에 색상ㆍ단어일치 검사페이지를 별도로 제작하였다.

색상ㆍ단어일치 검사는 단어 검사에 단어와 색상을 일치하여 인쇄되어 구성하였으며, 8.5

×11인치 120mg 레이저프린터 전용지에 글자 크기 12pt로 위 검사 도구와 조건을 일치

시켰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를 통하여 스트룹 효과를 밝히고, 스트룹 과

제 하위요인 수행 능력을 통하여 지적장애아동의 주의 간섭과 촉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로 2013년 4월 10일부터 7월 15일까지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스트룹 검사를 시행

하였다. 먼저 일반아동은 Y군의 초등학교 2개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력과 연령을 고

려하여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아 선정되었다.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G광역시 특수

교육센터 2곳에 의뢰하여 초등학교(4~6학년) 지적장애아동의 K-WISC 검사에 의한 지능

지수 정보를 입수하였으며, 검사자 2명에게 연구 방법과 목적을 설명한 후 협조를 요청하

였다.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M시의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5개 고등학교 특수학급(11개 학급) 연구 참여자의 정보를 입수하여 K-WISC 검사에 의한

지능지수 결과를 통해 검사가 가능한 아동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아동들은 검사에 지장이 없는 조용한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스트룹 검사를 시행

하였다. 검사자들은 검사 실시 전에 3차례 모여 검사요강을 숙지하고, 신민섭, 박민주

(2007)의 연구에서 제안한 45초 동안 완성한 문항 수로 채점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오류

Page 7: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59

를 범하면 피험자가 문항을 재차 반복하느라 전체 점수가 낮아진다고 하였기 때문에 오류

수는 측정하지 않고 문항 수 측정으로 피험자의 수행 능력을 알아보았다. 검사 시행 전

각 피험자는 세 가지 색상의 단어를 읽을 수 있는지와 세 가지 잉크색을 명명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한 후 아동을 선정하였다. 먼저 일반아동(초등 5학년)은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

학교 교사가 개별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일반아동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초등 4~6학년)은 G광역시의 2곳의 특수교육센터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

로 검사방법을 숙지한 언어치료사 2명이 개별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고등 1~3학년)은 M시의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 참여하고 있는 특수

학급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개별적으로 검사를 시행

하였다.

4. 자료 처리

아동의 반응은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검사지에 기록되었으며, 점수처리는 45초 동안 완

성한 문항 수를 채점하였다. 간섭점수(I)는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CW)에서 색상점수

(C)를 뺀 점수를 사용하였으며(Golden, 1975), 촉진 점수는 색상ㆍ단어일치점수(CW)

에서 색상점수(C)를 뺀 점수와 색상ㆍ단어일치점수(CW)에서 단어점수(W)를 뺀 점수를

사용하였다.

간섭(Ⅰ) = 색상ㆍ단어 불일치(CW) - 색상(C)

색상촉진(CF) = 색상ㆍ단어 일치(CW) - 색상(C)

단어촉진(WF) = 색상ㆍ단어 일치(CW) - 단어(W)

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21.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고,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집단(일반아

동,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

위요인의 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1차 자료와 2차 자료 각각에 대한 다변량 분산분석

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간섭의

하위범주 간의 차이와 촉진의 하위범주 간의 차이, 그리고 색상촉진과 단어촉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종속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Page 8: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60

Ⅲ. 연구 결과

1.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능력 수준

1) 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에 대한 비교

본 연구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수행의 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한 결과는 <표 3-1>과 같다.

<표 3-1> 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에 대한 비교

성별

항목

일반아동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전체

남아

(n=12)

여아

(n=10)t p

남아

(n=13)

여아

(n=9) t p

남아

(n=16)

여아

(n=11) t p

남아

(n=40)

여아

(n=31) t p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W73.33

(8.95)

74.40

(10.85)-.258 .807

51.08

(11.37)

54.67

(8.57)-.782 .443

66.31

(18.33)

70.45

(16.79)-.597 .556

63.54

(16.48)

67.03

(14.99)-.917 .362

C52.83

(9.09)

52.10

(9.39).186 .855

41.54

(10.79)

44.33

(5.45)-.713 .484

52.06

(13.75)

51.73

(12.07).065 .948

48.95

(12.44)

49.63

(9.91)-.248 .805

CW 35.58

(7.73)

33.40

(7.29).681 .504

18.61

(4.89)

20.56

(4.42)-.950 .353

29.75

(10.41)

31.18

(10.2.7)-.353 .727

27.93

(10.55)

28.73

(9.42)-.333 .740

CW 77.17

(7.93)

78.80

(7.94)-.481 .636

50.46

(12.59)

53.67

(9.07)-.653 .521

68.56

(16.80)

71.18

(15.60)-.409 .686

65.34

(17.00)

68.47

(15.29)-.798 .428

I-17.25

(4.61)

-18.70

(6.72).598 .556

-22.92

(7.85)

-23.78

(4.06).299 .768

-22.31

(6.45)

-20.55

(8.98)-.596 .556

-21.02

(6.78)

-20.90

(7.12)-.075 .941

CF24.33

(6.71)

26.70

(6.88)-.815 .425

8.92

(7.37)

9.33

(6.46)-.135 .894

16.50

(10.49)

19.45

(8.35)-.778 .444

16.39

(10.34)

18.83

(9.99)-.997 .322

WF3.83

(5.69)

4.40

(3.57).285 .779

-.62

(7.91)

-2.11

(5.11).498 .624

2.25

(3.70)

.73

(4.36).978 .338

1.80

(6.00)

1.10

(4.97).525 .601

W: 단어점수, C: 색상점수, CW

: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CW

: 색상ㆍ단어일치점수, I: 간섭점수,

CF: 색상촉진점수, WF: 단어촉진점수

<표 3-1>을 살펴보면, 전체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의 모든 하위요인 수행 능력에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성별에 따른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수행 능력에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61

2)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스트룹 과제 1차 자료의 하위요인과 2차 자료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표

3-2>와 같다.

<표 3-2>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간의 상관계수

W C CW

CW I CF WF

W 1 .801** .747** .944** -.236* .613** -.084

C 1 .801** .783** -.486** .134 .000

CW 1 .763** .135 .323** .118

CW 1 -.183 .721** .240*

I 1 .250* .271*

CF 1 .383**

WF 1

p< .05, p< .01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간의 수행 측정 점수들에 대한 상관행렬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2>에서 제시된 전체 상관행렬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룹 과제의 1차 자료 하위요인 중 단어점수의 경우 색상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801,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747, 색상ㆍ단어일치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944

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상점수의 경우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간의 상

관계수는 .801, 색상ㆍ단어일치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783이며,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와

색상ㆍ단어일치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763으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룹 과제의 2차 자료 하위요인 중 간섭점수의 경우 색상촉진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250, 단어촉진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271로 나타났으며, 색상촉진점수의 경우 단어촉진

점수 간의 상관계수는 .383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룹 과제 하위

요인 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집단 특성에 따라 스트룹 과제 하위 요인

간의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할 필요가 있다.

2.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의 수행능력 수준

1)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 분석

집단 특성에 따른 각 집단의 사례수와 스트룹 과제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인들에 대한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3-3>과 같다.

Page 10: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62

<표 3-3>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 검정

일반아동

(N=22)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N=22)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N=27) F Scheffe

M(SD) M(SD) M(SD)

W 73.82(9.63) 52.55(10.48) 68.00(17.51) 14.93

a>b, b<c

C 52.50(9.01) 42.68(8.94) 51.93(12.85) 6.09

a>b, b<c

CW 34.59(7.44) 19.41(4.70) 30.33(10.18) 21.41

a>b

, b<c

CW 77.91(7.79) 51.77(11.16) 69.63(16.07) 25.32

a>b

, b<c

I -17.91(5.57) -23.27(6.45) -21.59(7.47) 3.81

a>b

CF 25.41(6.73) 9.09(6.85) 17.70(9.62) 22.96

a>b, b<c

WF 4.09(4.74) -1.23(6.80) 1.63(3.97) 5.72

a>b

p< .05, p< .01,

p< .001

<표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 집단에 따른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차이 검정 결과,

단어점수(F=14.93, p<.001), 색상점수(F=6.09, p<.01),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F=21.41,

p<.001), 색상ㆍ단어일치점수(F=25.32, p<.001), 간섭점수(F=3.81, p<.05), 색상촉진

점수(F=22.96, p< .001), 단어촉진점수(F=5.72, p< .01)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cheffe 사후분석 결과, 단어점수, 색상점수, 색상

ㆍ단어불일치점수, 색상ㆍ단어일치점수, 간섭점수,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에서 생활연

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도 간섭점수와 단어촉진점수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비해 스트룹 과제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1차 자료에 대한 분석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에서 간섭점수,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는 1차 자료에서 얻은

2차 자료이기 때문에 1차 자료와 서로 독립적이지 않으며, 서로 종속되어 있으므로 1차

자료와 2차 자료를 나누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트룹 과제의 하위 요인의 1차

자료에 대해 집단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

한 결과는 <표 3-4>와 같다.

Page 11: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63

<표 3-4>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1차 자료에 대한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독립

변수

종속

변수Wilks 람다 다변량F 자유도

유의

확률 단계적F 자유도

유의

확룰

아동

집단

W

.37

(P=.000)

13.86 2/71 .000 .31 13.86 2/68 .000

C 5.35 2/71 .004 .15 1.25 2/67 .294

CW- 19.63 2/71 .000 .39 12.12 2/66 .000

CW+ 23.52 2/71 .000 .43 9.29 2/66 .000

스트룹 과제의 1차 자료 하위요인 점수에 대한 집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Wilks의 람

다는 .37, 유의확률은 .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아동 집단(일반아동, 생활연령 동일 지

적장애아동,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따라 스트룹 과제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집단별 차이를 개별 종속변수별로 분석해 보면, 단변량 F 검정에서 스

트룹 과제의 단어점수, 색상점수,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색상ㆍ단어일치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F 검정에서 스트룹 과제의 단어점수, 색상ㆍ

단어불일치점수, 색상ㆍ단어일치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에 의하면, 단어점수 요인은

31%, 색상점수 요인은 15%,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요인은 39%, 색상ㆍ단어일치점수 요

인은 43% 정도가 아동들의 집단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독립변수에 의해 가장 많

이 설명되고 있는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은 색상ㆍ단어일치점수,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단어점수, 색상점수순으로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3)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2차 자료에 대한 분석

스트룹 과제의 하위 요인의 2차 자료에 대해 집단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5>와 같다.

<표 3-5> 집단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2차 자료에 대한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독립

변수

종속

변수

Wilks

람다다변량F 자유도

유의

확률 단계적F 자유도

유의

확룰

아동

집단

I.55

(P=

.000)

3.81 2/71 .027 .10 3.81 2/68 .027

CF 22.96 2/71 .000 .40 19.42 2/67 .000

WF 5.72 2/71 .005 .14 1.09 2/66 .342

Page 12: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64

대상 구분 N M(SD) t

간섭(I)

일반아동CW

22 34.59(7.44)-15.078

C 22 52.50(9.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CW

22 19.41(4.70)-16.917

C 22 42.68(8.94)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CW

27 30.33(10.18)-15.021

C 27 51.93(12.85)

전체CW

71 28.27(10.03)-25.698

C 71 49.24(11.37)

색상촉진

(CF)

일반아동CW

22 77.91(7.79)17.707

C 22 52.50(9.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CW 22 51.77(11.16)

6.223

C 22 42.68(8.94)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CW 27 69.63(16.07)

9.564

C 27 51.93(12.85)

스트룹 과제의 2차 자료 하위요인 점수에 대한 집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Wilks의 람

다는 .44, 유의확률은 .000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아동 집단(일반아동, 생활연령 동일 지

적장애아동,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따라 스트룹 과제 수행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집단별 차이를 개별 종속변수별로 분석해 보면, 단변량 F 검정에서 스

트룹 과제의 간섭점수,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F 검정에서 스트룹 과제의 간섭점수와 색상촉진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에 의하면, 간섭점수 요인은

10%, 색상촉진점수 요인은 40%, 단어촉진점수 요인은 14% 정도가 아동들의 집단에 의

해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독립변수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고 있는 스트룹 과제의 하위

요인은 색상촉진점수, 단어촉진점수, 간섭점수순으로 집단별 특성에 따른 스트룹 과제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간섭효과와 촉진효과에 대한 수행능력 수준

1) 스트룹 과제의 간섭과 촉진에 대한 비교

스트룹 과제의 주의 간섭과 촉진의 하위범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두 종속

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3-6>과 같다.

<표 3-6> 스트룹 과제의 주의 간섭과 촉진 하위범주에 대한 두 종속표본 t 검정결과

Page 13: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65

전체CW

71 66.66(16.26)14.400

C 71 49.24(11.37)

단어촉진

(WF)

일반아동CW

22 77.91(7.79)4.048

W 22 73.82(9.63)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CW

22 51.77(11.16)-.563

W 22 52.55(10.48)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CW

27 69.63(16.07)2.132

W 27 68.00(17.51)

전체CW

71 66.66(16.26)2.589

W 71 65.01(15.85)

*p< .05, **p< .01, ***p< .001

스트룹 과제의 주의 간섭효과에서 일반아동의 CW-(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평균 34.59

(7.44)은 C(색상점수) 평균 52.90(9.0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t=-15.078,

p<.0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평균 19.41(4.70)

은 C(색상점수) 평균 42.68(8.94)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16.917, p<.001).

또한,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평균 30.33(10.18)는

C(색상점수) 평균 51.93(12.8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t=-15.021, p<

.001), 전체아동의 CW-(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평균 28.27(10.03)은 C(색상점수) 평균

49.24(11.3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t=-25.698, p< .001). 즉 모든 집단의

색상ㆍ단어불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는 기호 ‘xxxx’로 인쇄된 색상을 명명하는 것보

다 더 긴 시간이 걸려서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모든 집단에서 색상ㆍ단어불일치 조건의

색상 명명하기에서 간섭효과가 있었다.

스트룹 과제의 주의 촉진효과의 색상촉진 현상에서 일반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

수) 평균 77.91(7.79)은 C(색상점수) 평균 52.90(9.0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으며(t=17.707, p< .0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

균 51.77(11.16)은 C(색상점수) 평균 42.68(8.94)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6.223, p< .001). 또한,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균

69.63(16.07)는 C(색상점수) 평균 51.93(12.8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t

=9.564, p< .001), 전체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균 66.66(16.26)은 C(색상

점수) 평균 49.24(11.3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4.400, p<.001). 즉 모든

집단의 색상ㆍ단어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는 기호 ‘XXXX’로 인쇄된 색상을 명명하

는 것보다 더 짧은 시간이 걸려서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모든 집단에서 색상ㆍ단어일치

조건의 색상 명명하기에서 촉진효과가 있었다.

Page 14: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66

스트룹 과제의 주의 촉진효과의 단어촉진 현상에서 일반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

수) 평균 77.91(7.79)은 W(단어점수) 평균 73.82(9.6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으며(t=4.048, p< .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균

51.77(11.16)은 W(단어점수) 평균 52.55(10.4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563, p=.580). 또한,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

균 69.63(16.07)는 W(단어점수) 평균 68.00(17.5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t=2.132, p< .05), 전체아동의 CW+(색상ㆍ단어일치점수) 평균 66.66(16.26)은 C(색상

점수) 평균 49.24(11.3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589, p< .05). 즉 일반

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색상ㆍ단어일치 조건에서 단어 읽기는 검은 잉크로

인쇄된 단어를 읽는 것보다 더 짧은 시간이 걸려서 점수가 높았지만, 생활연령 동일 지적

장애아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

적장애아동에서 색상ㆍ단어일치 조건의 단어읽기에서 촉진효과가 있으며,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서는 촉진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트룹 과제의 촉진효과에 대한 비교

스트룹 과제의 단어색상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를 지시하면, 피험자는 단어읽기가

자동화되어 색상 명명하기를 수행하였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단어색상일치 조건에서 단어

읽기와 색상명명하기를 수행한 점수에 대한 두 종속표본 t 검정 결과는 <표 3-7>과 같다.

<표 3-7> 촉진효과의 색상촉진과 단어촉진에 대한 두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대상 구분 N M(SD) t

일반아동CF 22 25.41(6.73)

13.773

WF 22 4.09(4.74)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CF 22 9.09(6.85)

8.378

WF 22 -1.23(6.80)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CF 27 17.70(9.62)

7.455

WF 27 1.63(3.97)

전체CF 71 17.42(10.19)

14.021

WF 71 1.51(5.56)

***p< .001

Page 15: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67

스트룹 과제의 주의 촉진효과의 색상촉진과 단어촉진 현상의 비교에서, 일반아동의 CF

(색상촉진점수) 평균 25.41(6.73)은 WF(단어촉진점수) 평균 4.09(4.74)보다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으며(t=13.773, p< .001),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F(색상촉진

점수) 평균 9.09(6.85)은 WF(단어촉진점수) 평균 -1.23(6.8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높았다(t=8.378, p< .001). 또한,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CF(색상촉진점수)

평균 17.70(9.62)은 WF(단어촉진점수) 평균 1.63(3.9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으며(t=7.455, p< .001), 전체아동의 CF(색상촉진점수) 평균 17.42(10.19)은 WF(단어

촉진점수) 평균 1.51(5.5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14.021, p< .001). 즉

단어 읽기는 색상 명명하기보다 자동화되어 반응을 촉진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어 읽기가

색상 명명하기보다 더 짧은 시간이 걸려서 색상ㆍ단어일치 조건과 단어 읽기의 비교에서

점수 차이가 작았지만, 색상 명명하기는 점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피험자에게 색상ㆍ단어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를 지시하였으나 목적과는 다르게 단어

가 읽히는 것으로 색채를 말하지 않고 단어를 말하는 빈도가 높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스

트룹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적장애아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스트룹 과제를 적용한 연구가 제한

적으로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인 간에 수행 능력 수준에서, 성별에 따른 아동의 스트룹 과

제 수행 수준은 연구 참여자 전체의 남아와 여아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일반아동 22명(남아 12명, 여아 10명),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2명(남아

13명, 여아 9명),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27명(남아 16명, 여아 11명) 남아와 여아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민섭과 박민주(2007)는 5~14세의 일반아동 782

명(남아 392명, 여아 390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스트룹 아동 색상ㆍ단어 연구에서,

각 스트룹 점수에서 성별에 따른 단어점수(F=13.34, p< .001), 색상점수(F=16.29, p<

.001), 색상ㆍ단어점수(F=11.88, p< .001)에서 유의미하였으나 간섭점수(F=3.06)는 유

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olden(1975)의 연구에 의하면, 성별은 스

트룹 변인들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반된 결과는 한국의 자료와 미

국의 자료에서 오는 차이 일 수도 있지만, 본 연구에서 신민섭과 박민주(2007)가 연구

Page 16: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68

개발한 한국자료를 사용하였음에도 성별에 상관이 없는 것은 표집 집단의 크기나 연령의

범위에서 오는 차이일 수 있다. 또한,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됨으로써, 하위요인 간에 상충하면서 충돌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둘째, 일반아동보다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스트룹 과제 점수에서 단어점수, 색

상점수,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색상ㆍ단어일치점수, 간섭점수, 촉진색상점수, 촉진단어점

수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도를 보였으며,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정신연령 동

일 지적장애아동보다 간섭점수와 단어촉진점수를 제외한 모든 점수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

였다.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 간에는 모든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Q에 상관없이 정신연령(MA) 수준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정신연령을 갖는다면 똑같은 인지수준을 보

인다는 Zigler(1969)의 발달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이러한 발달이론에 근거한

지적장애아동에 대한 스트룹 효과를 논의하기 전에 일반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Monahan(2001)은 64명의 피험자에게 컴퓨터 화면에 제시

된 실제 인쇄된 단어를 무시하고 자극의 잉크 색상에 반응하여 적절한 색상 키보드를 누

르도록 지시받았다. 비장애인은 색깔 단어읽기와 잉크 색상 명명하기 모두에서 자동적이

지만, 단어 읽기가 색상 명명하기보다 연습효과에 더 의존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단어읽기와 색상 명명하기 환경에 많이 노출됨으로써 반복연습의 기회를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연습효과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Jensen과

Rohwer(1966)의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스트룹 현상은 글을 읽을 수 있는 모든 사람에

게 명백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어가 거울에 비친 모습처럼 읽기 어려운 형태일

때는 색채 명명하기가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하다는 것이다(Squire et al., 2012). 이는

익숙하지 않은 패턴은 노출 기회가 적은 관계로 연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한편 Ellis 등(1989)의 연구에 의하면, 지적장애 40명과 일반학생 40명(평균연령: 17.19

~20.79세, 표준편차: 6.15세)에 대해 매일 4회기씩 파랑, 노랑, 초록, 빨강, 오렌지를 포

함한 색상ㆍ단어 명명하기를 연습하였다. 실험은 자동 읽기 반응을 억누르고 색상 단어

읽기를 억제하여 자동 경향을 습득하는 것이었으나, 이 실험을 통해 스트룹 효과는 지적

장애인에게 ‘인지 관성’으로 이어짐을 밝혔다. 비장애인에서는 행동의 자동적 측면을 의식

적으로 통제하지 못하는 능력 부재는 찾아볼 수 없었지만, 지적장애인은 장애 정도가 심

각하고 기능성이 제한적일수록 스트룹 효과가 낮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Ellis 등(1989)의 연구 결과는 비슷한 생활연령(CA)의 지적장애인을 일반아동과 비교한

연구로 차이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즉 동일한 생활연령일지라도 지적장애인의 낮은

IQ 때문에 스트룹 과제에서 열등한 수행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Ellis의 연

구에서 동일한 정신연령 수준의 지적장애인과 일반아동 간의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Page 17: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69

때문에 스트룹 과제의 다양한 양상을 밝혀주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아

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주의의 자동적 처리와 의식적 처리의 수행 능력

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자동적 처리와 의식적 처리의 주의

자원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이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보다 단어점수와 색상점수가 높은 것은 읽기 능력과 색상 명명하기에서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적장애집단 간의 비교에서 생활연령집단보다 정신

연령집단이 단어 읽기와 색상 명명하기가 향상되었다는 점은 연령과 학년이 높을수록 더

우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아동과 생활연령이 동일한

지적장애아동은 스트룹 과제에 열등한 수행을 보임으로써 그들의 인지발달 속도가 느리다고

예측할 수 있지만, 일반아동과 동일한 정신연령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은 스트룹 과제에서

비슷한 수행을 보임으로써 인지적 수준에 차이가 없다는 발달이론의 가설을 지지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트룹 과제의 색상ㆍ단어불일치점수 조건과 색상점수의 차에서 발생하는

간섭효과와 색상ㆍ단어일치점수 조건과 색상점수의 차에서 발생하는 색상촉진효과는 집단

모두에서 발생하였으나 단어점수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단어촉진효과는 일반아동과 정신연

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서는 존재하였으나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촉진효과가 없

음을 확인하였다. Bassett과 Schellman(1976)은 비장애 집단에서 보이는 스트룹 간섭효

과가 지적장애 집단 36명(IQ 55~69, 연령 12.7세 ~ 19.2세)에서도 존재하는지를 연구하

였는데, 색상ㆍ단어불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가 단순히 색상을 명명하는 것보다 반

응시간이 유의미하게 더 길었다는 결과는 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그러나 촉진효과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해주지는 못하였다. Cohen

등(1990)의 연결주의 모델에 의하면, 단어읽기와 색상 명명하기 처리는 다른 힘의 경로

를 따라 움직이는 활성화를 통한 시스템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단어 읽기나 색상 명

명하기의 처리를 지배하는 정도는 과제요구의 입력단위에 의존하므로 서로 경쟁하는 색상

과 단어 경로는 동시에 교차하여 활성화를 생성할 때 간섭이 일어나며, 두 가지 경로가

충돌하여 활성화를 생성할 때 촉진이 일어난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색상ㆍ단어일

치 조건의 단어 읽기에서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의 단어촉진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

인된 것은 단어와 색상 반응이 상충할 때 자동화된 단어에 의존하기 때문에 색상 반응이

단서로 작용하지 못함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정신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에 비해 상충하는 반응을 통합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다

고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 및 정신연령 동일 지적

장애아동과 비교하여 스트룹 과제 하위요인 수행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간섭효

Page 18: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70

과와 색상촉진효과가 일반아동과 같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트룹 과제의 하위요

인 수행 수준이 낮은 것은 지적장애 아동의 주의 관련 인지적 결함에서 기인할 것으로 예

측되지만, 아직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 단정할 수는 없다. 지금까지 인지신경과학

관점에서 지적장애인의 집행적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아직 한정된 부분이기는 하지만

(Willner, Bailey, Parry, & Dymond, 2010), 점차 그 윤곽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단어촉진효과에서 생활연령 동일 지적장애 아동이 상충하는 반응을 통합하고 해결하는 능

력이 부족한 것은 집행노력이 관여하는 전두엽의 배외측 전두엽(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과 전대상피질(anterior cingulate cotex)에 대한 뇌 영상 연구가 뒷받침될 필요

가 있다(Botvinick, Cohen, & Carter, 2004; Marrocco & Davidson, 1998). 즉 색

상ㆍ단어일치 조건에서 색상 명명하기 같은 새로운 과제 사이의 충돌이 스트룹 과제에서

높은 뇌 활성화를 보인다는 연구(Duncan & Owen, 2000; Frackowiak, 2004) 결과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연구에서 스트룹 과제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전두엽에 결함이 있는지

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된 주의력에 따른 인지능력의 결함을 찾아

내는 구체적인 시도를 통하여 효과적인 교육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중

요한 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실행에 주는 함의와 특수교육 제고를 위해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

면, 스트룹 색상-단어 명명하기에서 단어는 그 의미와 함께 명확히 기억됨으로써 그 이름

을 자동연상하게 된다. 일단 단어의 색상 이름이 주어지면, 비슷한 여러 색상의 종류의 성

질(색채의 명도나 채도에 대한 세세한 느낌)을 하나하나 점검하고, 구별하고 정리하는 귀

찮은 과정은 생략하게 되므로, 색상 명명하기보다 단어 명명하기가 훨씬 쉬워지는 것이다.

즉, 구체적인 지각으로써는 다르게 보이는 색에 대해서, 그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일반적

인 이름인 빨강이라고 말한다(이은주, 이형석, 2003:102)는 것이다. 이처럼 명명하기를

통해 빨강이라고 범주화한 후 여기에 꼬리표를 붙인 것이 단어이다. 먼저 여러 유사한 색

상을 하나의 색상으로 1차 범주화하고, 그다음으로 단어 명명하기를 통해 꼬리표를 달아

놓음으로써 2차 범주화한 후 단어와 단어의 연결을 통해 추상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즉 사물에서 유발되는 행위를 단어라는 상징에서 촉발되는 행위로 지식을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역으로, 이렇게 패턴이 서열화 되면 꼬리표만으로 쉽게 색

상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대한 반복된 연습이 자동연상 기억

이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에게 지각을 범주화하고, 개념을 범주화하는 학습은 매우 중요

하다. 이러한 범주화는 언어습득 이전에 이루어지므로, 구체적 지각에 대한 반복연습을 통

해 자동연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지각을 범주화한 후, 언어를 매개로 하여 추상적 사고

까지 지적장애아동의 인지 능력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Page 19: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71

참 고 문 헌

김진희 (2012). 경도인지장애 집단의 스트룹 간섭효과를 통해 살펴본 집행기능 손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민섭, 박민주 (2006). 임상 심리학회: 포스터발표; 한국판 아동용 스트룹 색상ㆍ단어 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2006(단일호), 628-629.

신민섭, 박민주 (2007).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서울: 학지사.

오은미, 정찬섭 (1992). 일반학술논문: 자극-반응 양립성이 스트룹(Stroop)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4(단일호), 105-114.

이도준 (2011). 스트룹 간섭의 희석 및 중복 효과. 인지과학, 22(4), 469-494.

이은주, 이형석 (2003). 기억의 신경심리학. 서울: 군자줄판사(원전은 山鳥 重에 의해 2002년도 출판).

정우림, 이승복 (2010). 스트룹 과제로 본 이중언어 어휘처리: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연구. 이중언어학,

44(단일호), 319-343.

제갈은주, 안창일 (2012).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나타나는 우울증 환자들의 인지편향 현상.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31(1), 111-126.

조중열 (2002). 관찰: 한글, 한자 및 영어를 사용한 교차-표기 동음어에서의 스트룹 효과. 한국심리

학회지 인지 및 생물, 14(4), 485-499.

조증열, 박정희, 주선경 (1997). 공동연구: 한글과 영어의 표기가 교차된 동음어(cross-script homophone)

에서 나타난 스트룹 효과. 인문논총, 9(단일호), 37-48.

조증열, 유경순, 김길님, 이수란 (1998). 공동연구: 한글과 한자를 사용한 스트룹 과제에서의 간섭

효과. 인문논총, 11(단일호), 5-19.

조증열, 차은영, 심명숙 (1996). 공동연구: 한글과 한자를 사용한 스트룹 과제에서 간섭의 유형. 인문

논총, 8(단일호), 29-36.

Baars, B. J., & Gage, N. M. (2010).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Introduction to

cognitive neuroscience: Academic Press.

Bassett, J. E., & Schellman, G. C. (1976). Performance of retardates on the Stroop color-

word test. Perceptual and Motor Skills, 43(3f), 1259-1262.

Botvinick, M. M., Cohen, J. D., & Carter, C. S. (2004). Conflict monitoring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n update.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8(12), 539-546.

Cohen, J. D., Dunbar, K., & McClelland, J. L. (1990). On the control of automatic processes:

a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account of the Stroop effect. Psychological review,

97(3), 332.

Comalli Jr, P. E., Wapner, Seymour., & Werner, H. (1962). Interference effects of Stroop

color-word test in childhood, adulthood, and aging.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0(1), 47-53.

Dalrymple-Alford, E. C., & Budayr, B. (1966). Examination of some aspects of the Stroop

Page 20: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72

color-word test. Perceptual and motor skills, 23(3f), 1211-1214.

Das, J. P. (1969). Development of verbal abilities in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as measured

by Stroop test.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8(1), 59-66.

Das, J. P. (1970). Changes in Stroop‐Test Responses as a Function of Mental Age.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1), 68-73.

Duncan, J., & Owen, A. M. (2000). Common regions of the human frontal lobe recruited by

diverse cognitive demands. Trends in neurosciences, 23(10), 475-483.

Ellis, N. R., & Dulaney, Cynthia L. (1991). Further evidence for cognitive inertia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3(4), 412-423.

Ellis, N. R., Woodley-Zanthos, P., Dulaney, C. L., & Palmer, R. L. (1989). Automatic effortful

processing and cognitive inertia in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5(6), 613-612.

Frackowiak, R. S. J., Friston, K. J., Frith, C. D., Dolan, R. J., Price, C. J., Zeki, S., & Penny,

W. D. (2004). Human brain function: Academic Press.

Fraisse, Paul. (1969). Why is naming longer than reading? Acta Psychologica, 30, 96-103.

Golden, C. J. (1975). A group version of the Stroop Color and Word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39(4), 386-388.

Golden, C. J. (1978). Stroop colour and word test. age, 15, 90.

Horwitz, S. M., Kerker, B. D., Owens, P. L., & Zigler, E. (2001). The health status and needs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Yale University.

Jensen, A. R., & Rohwer, W. D. (1966). The Stroop color-word test: A review. Acta psychologica,

25, 36-93.

Lovett, M. C. (2005). A Strategy‐Based Interpretation of Stroop. Cognitive Science, 29(3),

493-524.

MacLeod, C. M. (1991). Half a century of research on the Stroop effect: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9(2), 163.

MacLeod, C. M. (1992). The Stroop task: the “gold standard” of attentional measur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1(1), 12.

MacLeod, C. M., & MacDonald, P. A. (2000). Interdimensional interference in the Stroop effect:

Uncovering the cognitive and neural anatomy of atten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4(10), 383-391.

Marrocco, R. T., & Davidson, M. C. (1998). Neurochemistry of attention. In Parasuraman, Raja

(Ed), (1998). The attentive brain., (pp. 35-50). Cambridge, MA, US: The MIT Press,

xii, 577.

Monahan, J. S. (2001). Coloring single Stroop elements: Reducing automaticity or slowing color

processing?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28(1), 98-112.

Pothos, E. M., & Tapper, K. (2010). Inducing a Stroop effect.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Page 21: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73

24(7), 1021-1033.

Squire, L. R., Berg, D., Bloom, F. E., Du Lac, S., & Ghosh, A. (2012). Fundamental neuroscience:

Academic Press.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8(6), 643.

van Maanen, L., van Rijn, H., & Borst, J. P. (2009). Stroop and picture—word interference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6(6), 987-999.

Willner, P., Bailey, R., Parry, R., & Dymond, S. (2010). Evaluation of executive functioning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4(4), 366-379.

Yusoff, N., Grüning, A., & Browne, A. (2011). Modelling the Stroop Effect: Dynamics in

Inhibition of Automatic Stimuli Processing Advances in Cognitive Neurodynamics (II)

(pp. 641-645): Springer.

Page 22: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4호)474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oop Effect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Hwang, Jung BoㆍKim, Deok MiㆍKang, Kyeong HeeㆍPark, YounㆍJung, Hwa Shik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troop effects by compar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e the attention interference

and facilit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sub-factors(words, colors, incongruent between colors and words, congruent

between colors and words, interference, color facilitation, word facilitation) of Stroop

tasks. Seventy one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consisting of 22 children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22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orresponding chronological age; and 27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corresponding mental age as well. Each of these subjects was taken the Stroop

test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sub-factors of Stroop task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ll the sub-factors of Stroop tasks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ir corresponding chronological age and children

without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ir corresponding mental

ag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hildren without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ir corresponding mental 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mental age) level according to IQ has influenced on the

performance of Stroop tasks. The interference and facilitation effects results especially

have shown th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ir corresponding

Page 23: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23-%C8%B... · 45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스트룹(Stroop) 효과에 대한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비교 연구 475

chronological age recorded a lower score than children without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ir corresponding mental age, and however, have not shown the

word facilitation effects which imply that they lacked the ability to put together

and resolve conflicting reactions.

Key Words : Intellectual Disabilities, Stoop, Interference effect, Facilitation effect

논문접수 : 2013. 10. 29 / 논문심사일 : 2013. 12. 02 / 게재승인 : 2013. 12.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