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30
01.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5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 ADHD학생을 중심으로 권상남 * · 이근민 ** · 김소영 *** 요약 본 논문은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를 통해 작업기억에 결함이 있는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것을 통해 장애인들은 자신의 고용을 확대할 수 있고 생산활동 에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Kwon'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장애인들의 인지처리 과정과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는지 그 효과 성을 검증하기 위해 ADHD학생에게 이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K클리닉에서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20명의 ADHD학생을 선출하였다.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무작위로 나누었으며,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Kwon's 소프트 웨어를 적용하여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전두엽의 활성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 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검사(EIQ),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CBT),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말하기(DB)검사, 구어작업기억 검 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을 임상현장에서 적 절하게 사용된다면 인지적 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들의 고용에 대한 지원, 서비스의 확대, 고용유지, 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제어 : 인지장애, 인지 프로그램, 작업기억, 전두엽 활성화, 장애인 고용, ADHD *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겸임교수(1저자) **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 투고일: 2015. 6. 25. 심사기간: 2015. 7. 13. ~ 7 . 31 게재확정일: 2015. 8. 5. Disability & Employment 2015, Vol. 25, No. 3, pp. 5-33 DOI: 10.15707/disem.2015.25.3.001

Transcript of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Page 1: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5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 ADHD학생을 중심으로

권상남* · 이근민** · 김소영***

요약

본 논문은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를 통해 작업기억에 결함이 있는 장애인들의�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이것을 통해 장애인들은 자신의 고용을 확대할 수 있고 생산활동

에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이를 위해 Kwon'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장애인들의 인지처리 과정과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는지 그 효과

성을 검증하기 위해 ADHD학생에게 이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K클리닉에서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20명의 ADHD학생을 선출하였다.�

실험집단 10명,�통제집단 10명을 무작위로 나누었으며,�실험집단에는 개발된 Kwon's�소프트

웨어를 적용하여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전두엽의 활성화가 어떠한 영향을�미치는가 알아보

았다.�그 결과 실험집단에서 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검사(EIQ),�시공간 작업기억

검사(CBT),�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말하기(DB)검사,�구어작업기억 검

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을 임상현장에서 적

절하게 사용된다면 인지적 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들의 고용에 대한 지원,�서비스의 확대,�

고용유지,�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제어� :�인지장애,�인지 프로그램,�작업기억,�전두엽 활성화,�장애인 고용,�ADHD

*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겸임교수(제1저자)**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영남외국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교수

■�투고일:� 2015.� 6.� 25.� � �심사기간:� 2015.� 7.� 13.� ~� 7� .� 31� � �게재확정일:� 2015.� 8.� 5.

Disability� &� Employment�

2015, Vol. 25, No. 3, pp. 5-33DOI: 10.15707/disem.2015.25.3.001

Page 2: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6

Ⅰ.�서론

1.�연구 필요성 및 목적

장애인의 작업수행 능력과 속도를 증대시키는 인지적 교육은 실질적인 장애인 고용 촉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안영진,�2009).�장애유형과 같은 변하기 힘든 요인들은 개선 방안이 희

박하지만 장애로 인한 경험 부족이나 학습의 기회 소실 등과 같은 개별적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직업 훈련에 적절히 제공한다면 장애인들이 직업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권재성 외 2인,�2013).�즉 뇌병변 장애,�정신장애,�지적 장애와 같이 공통적으로 인

지능력 영역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들에게 인지적 발달에 따른 개별 접근을 적절하게 한다면 취

업률을 높일 수 있다(최성규,�2007).�

장애인의 고용을 위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고,�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인지처리 과정을

돕는 능력인 작업기억은(Milton,�2008),�인지와 언어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Just,�M,�A�&�

Carpenter,�1992).�작업기억은 언어의 이해,�학습,�추론,�문제 해결 등의 복잡한 인지기능을 수

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역할을 담당하고(Baddeley,� 2003;�

Klingberg,�2000),�기억의 발달에 관여하며 아동기 동안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복잡한 사고능력을

할 수 있게 되는데(Case,�1985),�이러한 이유로 인해 언어발달과 인지기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개인차를 설명해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Adams�&�Gathercole,� 2000).�

이러한 작업기억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과 관련이 있는데(Goldman-Rakic,� 1987),�

전전두피질은 의도적 행동억제 및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영역으로서Tannock(1998)에

따르면 충동성,�부주의,�과잉행동 등의 특성이 있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Disorder:�ADHD)와 연관된 부분으로 유전적 요인,�호르몬 관련 요인,�환경적 요

인 등이 정상적인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쳐 ADHD가�발생한다고 하였다.� �

ADHD는 전전두피질의 문제로 관리기능(executive� function)에 어려움을 보이며(Doyle,�

2006),�관리기능의 결함은 구두표현,�작업기억,�선택적 주의집중,�논리적 추론 등의 결함을 초래

하여,�부주의,�충동성,�억제력의 결함으로 나타난다(Denckla,�1994).�관리기능은 행동,�정서,�사

고의 조절,�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며,�어떤 계획을 장기적으로 세우고,�추상적인 사고를 할 수 있

게 돕는 역할을 담당하는데(Pennington� &� Ozonoff,� 1996),� 관리기능은 작업기억(working�

memory),�억제제어(inhibitory� control),�주의의 유동성(attentional� flexibility)과 관련성이 깊으

며(Hughes,�1998),�ADHD의인지관련특징중주목해야할부분이다(Douglas,�1988).�또한 ADHD

학생은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와 지속적 주의(sustained� attention)에서 문제를 보이며

(Douglas,� 1988)� 관리기능의 하위요소인 작업 기억력의 결핍과 반응 억제에 결함을 보인다

Page 3: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7

(Willcut� et� al.,� 2005).�그리고 Barkley(1997)는 작업기억,�반응 억제,�중앙관리자,�측두엽의

처리 등과 관련이 있는 자기조절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최근에는 성인 ADHD에 대한 소식

및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본격적인 사회 활동을 시작하면서 우울증이나 대인기피증,�불안증 같

이 증상이 더 심각해져 직업생활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함승례,�2015).

Olesen(2004)은 작업기억훈련을 통한 전두엽 활성화를 증명하였으며,� Klingberg� &� Forssberg�

(2002)는 작업기억훈련소프트웨어를통해 ADHD학생의문제행동을줄일수있다고주장하였다.�이

러한 이유로 인해 관리기능의 다양한 영역에서 작업기억훈련용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으며(Cogmed�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 등에서 작업기억 훈련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다양한 치료가 진행되고 있다.�

ADHD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중재의 장점은 작업기억,�행동 억제능력,�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 등의 향상(Klingberg�&�Forssberg,�2002)�및 부주의와 충동성 억제 효과

(Klingberg�et�al.,�2005),�그리고 관리기능의 향상에 있다.�또한 체계적인 치료중재를 할 수 있으

며 장소에 크게 상관없이 훈련이 가능하기 때문에,�Drechsler�등(2007)은 컴퓨터를 활용한 치료가

미술치료나 그룹치료보다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ADHD학생에 대한 여러 치료법 중 하나로 약

60-90%가�약물치료를받고 있지만,�약물에 의한 치료는 일시적인효과는 있지만 지속적이지는 못

하고(Pelham,� 1993),�복잡한 문제행동을 해결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Hyland,� 2000).�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작업기억 훈련은 ADHD학생의 작업기억 수용력을 증가시켜 뇌 활동

영역에 변화를 주며(Klingberg�et�at,�2005),�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훈련이 작업기억 향상에 긍정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rins�등(2011)의 연구에서는 게임요소가 추가된 훈련이 기존의 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보다 ADHD학생에게 훈련의 동기부여가 되어 보다 효과적임을 주장하였다.�

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사항들로는 시공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훈련이어야 하

며(Shiels�et�al.,�2008),�즉각적인 피드백을 강조하고(Prins�et�al.,�2011),�훈련이 매우 지루하

거나 감독자가 없을 경우에는 흥미로운 활동으로 구성하여야 한다(Van�et�al.,�1995).�그리고 지

루한 과업에 도움이 되는 외부 자극을 추가하며(Shanahan,�2008),�작업기억 훈련에 게임요소를

추가하여 동기유발을 유도해야 한다(Prins�et�al.,�2011).�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작업기억

향상 소프트웨어의 단점을 보완하고 흥미 유발,�활동적인 신체 움직임과 노력,�공간의 관계에 대

한 자연스러운 이해를 돕는 게임제어인터페이스인 DDR패드를 적용한 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

인 Kwon's�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작업기억에 문제를 보이는 ADHD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그리

고 개발된 kwon's�소프트웨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작업기억의 인지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들

의 직업능력개발을 촉진하여 장애인 고용을 확대하고자 한다.

개발한 Kwon's�소프트웨어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Kwon's�소프트웨어가 전두엽 관리지능지수 사전·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Page 4: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8

차이를 보이는가?�둘째,�Kwon's�소프트웨어가 시공간 작업기억 사전·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셋째,�Kwon's�소프트웨어가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와

‘숫자 거꾸로 따라 말하기’�사전·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가?�넷째,�Kwon's�소프트웨어가 구어 작업기억검사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II.�연구 방법

1.�Kwon's�소프트웨어 개발

1)�기존 작업기억 훈련에 대한 고려사항

기존 작업기억훈련 소프트웨어대해 kwon's�소프트웨어의 차별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였다.�첫째,�기존 작업기억훈련 소프트웨어보다 향상된 작업기억 훈련이 될 수 있도록 개발

한다.�둘째,�기존 작업기억훈련 소프트웨어와 달리 각�훈련단계에서 문제선택 과정과 정답확인 과

정을 제시하도록 개발한다.�셋째,�기존 작업기억훈련 소프트웨어보다 즉각적인 피드백을 강조하

여 작업기억 훈련을 촉진한다.�넷째,�사용자의 훈련 진전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하여 모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고 그 자료를 프린트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마지막으로 기존 작업기억훈련

프로그램에서 컴퓨터를 활용한 훈련이 ADHD학생의 활동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보완한다.�이를

위해 ADHD학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활동적인 신체 움직임과 노력,�공간의 관계를 자연스럽

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게임제어(game�control)�인터페이스인 DDR패드를 활용한 작업기억 훈련 소

프트웨어를 개발한다.�

2)�Kwon's�소프트웨어의 구성

(1)�화면구성

본 프로그램 화면은 Adobe사의 Illustrator�CS4와 Photoshop�디자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화면 해상도는 1024x768픽셀(pixel)로 구성되어 있고,�훈련 화면은 클라이언트가 화면을 보고 충

분히 문제가 제시되는 그림 또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흰색 배경에 그림 또는 문자를 제시하

도록 구성하였다.�메인 화면은 문제 제시 화면,�문제정답 화면,�선택한 정답 화면,�카드 수 선택,�

포인트 창(문제에 정반응 하였을 때 점수 누적)�등으로 구성되어 있다.�화면구성은 3x3으로 청각

Page 5: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9

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Magic�number'�7±2의 최댓값인 숫자 9에 맞게 디자인하여 최소 2개에서

최대 9개까지 문제를 제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Miller,�1956).�사용자 정보 창에서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신상정보인 이름과 생년월일을 표기할 필드를 배치하였고,�난이도 버튼은 2에서부터

9가지 사용자가 직접 화면에서 바로 선택하여 훈련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정답 리스트는 콤보

박스(combobox)를 사용하여 총 횟수가 밀려나도 드래그(drag)해서 리스트를 알 수 있도록 만들

었고,�제시 간격 시간 조절 창은 화면에 문제가 제시될 때 각�간격마다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점수 누적 창에서는 각�난이도에 맞는 카드 수를 누르면 카드 수X2로 하여 카드 수

난이도의 2배의 점수를 현재 가지고 있는 점수를 더해서 누적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림 1은

Kwon's�소프트웨어의 메인 화면이다.

[그림 1]�프로그램 구성화면

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단기기억,�작업기억과 관련해 ADHD학생을 위한 전두엽 활성을 촉진

하는작업기억훈련프로그램이다.�소프트웨어개발은 Adobe사의 director�MX�2004로 개발하였다.

파일메뉴에서는 새로운 사용자를 불러오거나,�사용자의 훈련을 저장하는 하위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구어 작업기억 훈련,�청각 작업기억 훈련,�시공간 작업기억 훈련,�글자로 구성된 구어 작

업기억 훈련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게임메뉴는 외부장치인 DDR패드로 훈련할 수 있는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고,�평가메뉴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훈련한 정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디자

인했다.�

Page 6: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10

(2)�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기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훈련의 난이도만 높여 가는 것이 아니라 대상 아동의 수준과 연

령에 적합한 작업기억 훈련을 시행하여야 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 시 훈련 아동의 수준을 고려하

였다.�작업기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훈련의 난이도만 높여 가는 것이 아니라 대상 아동의 수준과

연령에 적합한 작업기억 훈련을 시행해야만 한다.�기존 소프트웨어에서도 작업기억 훈련의 단계가

높아질수록 작업기억 요소가 많이 나타나기는 하였으나,�각�아동의 연령대에 적합하지 않은 난이

도에서 작업기억 훈련이 시행되었으며 쉬운 단계에서는 엄밀히 말하자면 단기기억 훈련만 시행하

였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이 작업기억 훈련을 하는 동안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 단기기억 훈련이 아닌 작업기억 훈련만을 적용하였다.�작업기억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선

행 연구에서처럼 구어 단기기억에서 시공간적인 요소(그림이 무작위로 변함,�공간적으로 순서 재

배치)를 추가하였다.�활동 시 아동들은 문제 제시 과정에서 그림의 단어(이름)를 기억하기 위해

음운루프를 시연하게 되고,�문제가 모두 제시된 후 무작위로 그림이 재배치되고 나면 음운루프를

시연하며 그림카드를 제시순서에 맞게 선택하게 된다.�이 과정에서 시공간적인 간섭작용을 거치면

서 중앙관리자가 제어하기 위해 작동하며,�이러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기억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작업기억의 향상을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 문제 제시 후 그림을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선택하도

록 하였다.�이때 그림을 기억할 때 작업기억을 좀 더 활성화시켜주기 위한 방안으로 마우스 또는

DDR패드를 활용하도록 고안하였다<그림 2,�그림 3>.

[그림 2]�프로그램 화면구성 및 선택

[그림 3]�단기기억과 작업기억 훈련

(3)�정답확인 과정 개발과 효과

오답 선택 시 선택의 기회가 자동적으로 중단되고 다음 답을 선택할 수 없게 되어결과 제시가

미흡한 기존 소프트웨어와는 달리 본 연구 프로그램은 아동이 선택한 각각에 대해 정오유무를 확

인할 수 있다.�이러한 과정은 아동이 기억을 저장(storage)하고 인출(retrieval)하는 절차를 통해

한 번 더 재인(recognition)하도록 돕도록 구성한 것이다.�

Page 7: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11

(4)�즉각적인 피드백과 난이도 조절

훈련에 대한 동기유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중요하며(Prins�et�al.,�2011),�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기존 소프트웨어의 청각적 피드백방식에 시각적 피드백방식을 덧붙여 오

답 및 반응시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제시되는 난이도에 있어서도 3단계에서 문

제를 연속적으로 틀리면 자동으로 하위 단계인 2단계로 넘어가는 기존 소프트웨어와는 달리 어려

운 과업을 쉽게 포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이도를 체계적으로 조절되도록 고안하였다.�즉,�

수준이 올라갈수록 문제 제시 시간을 길게 하였으며,�옵션에 따라 자동과 수동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아동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훈련을 지루하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5)�훈련 리스트 구성과 프로그램 작동

훈련은 동물어휘 작업기억 훈련,�동물소리 청각 작업기억 훈련,�시공간 작업기억 훈련,�숫자 기

억하기 훈련,�숫자 거꾸로 말하기 훈련,�1음절 청각 단기기억 훈련,�1음절 청각 작업기억 훈련,�

2음절 청각 단기기억 훈련,�2음절 청각 작업기억 훈련 등으로 구성하였다.�동물어휘는 호랑이,�토

끼,�코끼리,�개구리,�고양이,�원숭이,�얼룩말,�거북이,�까마귀 등으로 구성하였으며,�청각훈련은

동물소리를 듣고 난 후,�해당하는 그림을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선택하는 것이다.�시공간 작업기

억 훈련에서는 3�x�3�매트릭스에서 무작위로 제시된 공의 위치를 기억하여 순차적 혹은 역순으로

선택하는 것이다.�숫자 기억하기 훈련에서는 제시된 숫자를 기억하고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정답

을 선택한다.�1,�2음절 청각 훈련에서는 SONY사의 [HJ]PCM-D50로 녹음한 ‘눈,�달,�빛’�등의

1음절 단어와 ‘과일,�그림,�나무’�등의 2음절 단어를 Baddeley(2003)의 단어 유사성의 법칙에 따

라 음성학적으로 비슷하지 않은 음소들로 구성하였으며,�제시한 단어들을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6)�데이터베이스와 자료 출력

본 연구에서는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로컬 데이터

베이스인 Microsoft�Data�Base(MDB)를 사용하였으며,�클라이언트의 여러 훈련을 따로 저장하

고,�저장된 자료는 평가화면에서 그래프로 제시되도록 개발하였다.�평가화면에는 각각의 훈련에

대한 정반응수,�오반응수,�정반응율(%),�반응시간(sec)�등이 제시되며,�프린터를 이용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그림 4>.

Page 8: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12

[그림 4]�훈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평가화면

(7)�DDR패드 적용

기존의 소프트웨어 훈련 방식은 가만히 앉아서 마우스로 훈련하기 때문에 장시간 훈련 시 아동

의 활동성을 저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활동적인 놀이형태로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DDR패드를 적용하였다.�DDR패드를 이용한 훈련은 정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는 감각기억에서 들어온 정보를 단기기억절차를 거쳐 시연을 통해 기억을 유지하고,�무작위로 배

치된 그림을 찾을 때 DDR패드에 있는 버튼과 화면의 그림을 매칭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운루

프와 시공간적 요소를 통제하고 조절하기 위해 작업기억이 작동된다.�

9방향 버튼으로 구성된 DDR패드는 3�x�3의 소프트웨어 훈련화면에 최적화되어 아동이 신체적

으로 활동하면서 작업기억 훈련을 할 수 있다.�DDR패드에 게임훈련요소를 추가하여 훈련동기를

부여하고 훈련효능을 향상시켰다.�아동이 DDR패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 훈련을 하면 훈련활동을

놀이로 생각하여 좀 더 재미있고 지루하지 않은 상태에서 훈련 할 수 있다.�DDR패드는 KID�회사

의 Dance�Performance�Deluxe�패드,�인터페이스는 브레이스테이션,�PC-USB에서 사용할 수 있

으며,�크기는 91cm(세로)�x�81Cm(가로)�x�3cm(높이)이고,�재질 상부-페브릭 타입,�하부-논슬

립 타입,�스티로폼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5는 DDR게임 패드의 실제 구성 물품을 보여준다.

Page 9: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13

[그림 5]� 9방향 DDR패드

그림 27에서 보면 9방향 DDR패드에는 1에서 9까지의 버튼이 있으며,�이 버튼들은 소프트웨어

화면의 9개의 블록과 매칭(matching)이 된다.�그리고 수동 상태에서는 선택(select)�버튼을 눌러

단계-스캐닝(step-scanning)하는 형태로 해당하는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단계를 선택하고

start버튼을 눌러서 훈련을 시작한다.�

그림 6은 소프트웨어 화면구성과 DDR패드의 버튼과 연관되는 화면구성을 보여준다.

[그림 6]� DDR패드(우)�와 소프트웨어 화면구성(좌)

Page 10: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14

3)�기존 작업기억 소프트웨어와 Kwon's�소프트웨어의 뇌파비교분석

뇌파는 뇌세포들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며,�많은 연구자들이 두뇌에 의한 정신적 활동과 감정 상

태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수많은 뇌파연구를 실시하였다.�뇌파측정으로 신체의 변화,�심

리·정신적 상태의 변화와 뇌신경 세포의 기능 및 신체상태의 변화를 알 수 있다(구지은,�2009).�

β파(12~20Hz)는 학습할 때 가장 효율적인 집중상태로 알려져 있으며,�작업기억 훈련을 할 때

전두엽(F3,�F4,�Fz,�Cz)부분의 전극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작업기억 활성도를 측정

할 수 있다.�작업기억의 부하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β파의 활성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또

한,�θ파는 서파로 정서안정상태,�집중상태 또는 약간 졸린 상태로 알려졌으나 작업기억 결손자와

작업기억 정상인과의 비교연구에서 작업기억 훈련 동안 작업기억 결손자보다 작업기억 정상인이

θ파의 활성도가 높음을 관찰하였다(김순화,�송기상,� 2008,� Jensen�&�Tesche,� 2002).�따라서

본 연구에서 kwon's�소프트웨어훈련의 타당성을 연구하기위해 ADHD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기존

소프트웨어와 Kown's�소프트웨어를 하는 동안 β,�θ의 EEG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

였다(β:P<.01,�θ:P<.001).

2.�평가 도구

1)�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Ⅲ)(곽금주,�박혜원,�김청택,� 2001)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대상 아동의 지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III)를 실시하였다.�단축형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과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가 높은 상관관계(r=.95)가�있다는 연구(Silverstein,�1985)에

근거하여 어휘,�산수,�토막 짜기,�차례 맞추기 등의 소검사를 실시하였다.�

2)�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김홍근,� 2005)

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는 전두엽 증후군의 임상적 평가를 목적으로 제작된 국내

최초의 심리검사로서,�전두엽 증후군의 인지 및 정서적 측면을 포괄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

다.�또한,�개별 소검사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소검사들을 이용한 다면적 접근방

식을 취한다.�각�소검사는 전두엽 증후군에 대한 변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의 양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을 평가한다.� 피검자의 전체수행 수준은 Executive� IQ(EIQ)� 및 Adaptive�

IQ(AIQ)와 같은 요약점수로 제시된다.�

EIQ는 4개의 소검사들의 결과를 종합한 점수이다.�소검사는 스트룹 검사의 질적 점수,�단어 유

Page 11: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15

창성의 질적 점수,�도안 유창성의 질적 점수,�인출 효율성의 질적 점수가 해당된다.�

스트룹 검사의 질적 점수는 오류억제지표와 간섭억제지표가 있다.�오류억제지표는 간섭시행의

오반응수를 백분위 점수화한 것이며,�백분위가 낮을수록 오반응을 많이 한 것이다.�간섭억제지표

는 간섭시행의 reation� time(RT)에서 단순시행을 뺀 차이를 백분위 점수화한 것이며,�백분위가

낮을수록 단순시행에 비해 간섭시행의 RT가�긴 것이다.�주의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 단순시행과

간섭시행의 RT모드가 비정상적으로 길다.�그러므로 간섭억제지표의 백분위가 낮을수록 관리기능

의 이상이 시사된다.�백분위 점수의 해석은 어떤 고정된 기준으로 평가하기는 어렵고 검사자의 판

단에 따른 사례별 적용이 바람직하다.�단어 유창성과 관련된 질적 점수는 단어 유창성/상식 일치

도,�반복 억제지표,�비어 억제지표를 포함한다.�먼저 단어 유창성/상식 일치도는 ‘단어 유창성’의

환산점수에서 ‘상식’의 환산점수를 뺀 차이를 백분위 점수화한 것이다.�이 백분위가 낮을수록 ‘상

식’에 비해 ‘단어 유창성’의 수행이 낮은 것이다.� ‘도안 유창성’과 관련된 질적 점수에는 도안 유

창성/빠진 곳 찾기 일치도와 반복 억제지표가 있다.�먼저 도안 유창성/빠진 곳 찾기 일치도는 ‘도

안 유창성’의 환산점수에서 ‘빠진 곳 찾기’의 환산점수를 뺀 차이를 백분위 점수화한 것이다.�이

백분위가 낮을수록 ‘빠진 곳 찾기’에 비해 ‘도안 유창성’의 수행이 낮은 것이다.� ‘인출 효율성’과

관련된 질적 점수에는 인출 효율성 지표가 해당된다.�인출 효율성 지표는 지연재인 시행의 원 점

수에서 지연회상 시행의 원점수를 뺀 차이를 백분위 점수화한 것이다.�이 백분위가 낮을수록 지연

재인 시행에 비해 지연회상 시행의 수행이 낮은 것이다.�지연재인의 수행에는 주로 기억기능이 개

입하지만,�지연회상의 수행에는 기억기능과 관리기능이 모두 개입된다.�그러므로 지연재인 시행

에 비해 지연회상 시행의 수행이 낮을수록 관리기능의 이상이 시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학생의 전두엽-관리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관리지능지수(Executive�

IQ,�EIQ)를 수행 전과 수행 후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3)�작업기억 검사 도구

(1)�개발 절차

작업기억 검사도구개발을 위하여 만 6-20세의 대상자 중 연령,�성별,�거주지역을 고려하여 총

186명(남=103명,�여=83명)을 만 6-7세 11개월,�만 8-9세 11개월,�만 10-11세 11개월,�만

12-15세 11개월,�만 16-20세로 세분화하였다.�대상자들은 언어,�인지,�심리적인 문제가 없으며,�

숫자따라하기 과제인 숫자 바로 따라하기(digit�forward�span,�DF)와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igit�

backward�span,�DB)�점수가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Ⅳ(곽금주 등,��2011)�기준으로 정상범주

안에 속하여 기억 및 작업기억에 이상이 없는 자로 선정하였다(<표 1>참조).

<표 1>�상자의 숫자따라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B)의 평균

Page 12: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16

6-7;11 8-9;11 10-11;11 12-15;11 16-20

대상자 수(남,�여)

21(m=9,f=12)

43(m=25,f=18)

31(m=11,f=20)

60(m=40,f=20)

31(m=18,f=13)

DF�평균(SD) 8.85(3.10) 9.14(2.99) 11.52(3.16) 12.31(2.79) 14.16(1.83)

DB�평균(SD) 3.10(2.15) 4.63(2.26) 5.80(1.83) 7.64(2.52) 9.39(2.55)

(2)�표본 선별 검사

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Ⅳ(곽금주 등,�2011)에서 사용한 숫자 바로 따

라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B)�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

능검사의 규준을 참고로 정상범위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3)�실험도구

작업기억 프로그램은 <그림 7>에 제시한 것처럼 초기화면에서 피검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검사도구를 선택한 후 수행한다.�모든 과제가 끝나면 시공간,�구어,�비구어 작업기억 검사 결과가

<그림 7>의 하단에 제시한 것처럼 그래프와 표로 출력된다.�본 연구의 평가영역(시공간,�구어 작

업기억 영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SPSS�19.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작업기억 검

사와 표준화된 웩슬러 지능검사의 작업기억 검사 간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B)�검사의 상관관계

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과 Spearman�상관계수를 구하였다.�작업기억 검사의 각�하위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검사재검사를 통한 Cronbach� α값을 산출하였다.

[그림 7]�작업기억 검사도구 절차

Page 13: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17

(4)�시공간 작업기억 검사

Corsi� Block� Task(CBT)는 시공간 작업기억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검사(Towse� &�

Houston-Price,�2001)로써 시공간 작업기억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CBT�검사 형태는 대략 공책 크기의 보드 위에 9개의 블록을 놓은 후,�검사자가 일정 순

서대로 블록들을 짚어 나가면 피검자가 이를 기억하여 순서대로 되짚어 나가는 것이다.�이때 정확

하게 회상된 가장 긴 블록의 수를 기억폭으로 측정하는데(Berch�et�al.,�1998),�임상현장에서 유

용하게 쓰이고 있다(Orsini�et�al.,�1987).�Corsi�검사과정에서 검사자가 제시한 내용을 피검자가

바로 따라하는 경우,�시공간 작업기억의 저장능력을 측정한다(Orsini� et� al.,� 1987).�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 하위체계의 시공간 메모장과 관련한 수행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통제집단・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실험에서 Corsi�Block�Task(Corsi,�1972)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각�아동의 검사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검사 결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연구의 편리성과 객관성을 높였으며,�사용하기 편리한 자료 관리를 위해 Adobe사의 개

발도구인 Director�MX� 2004를 통해 작업기억 하위체계인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를 개발하였다.�

그림 8은 개발된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의 화면이다.�검사를 시작하면 파란색 블록이 무작위로 화

면에 배치되고 1초 간격으로 블록들이 노란색으로 깜박이며,�화면에 깜빡인 노란색 블록의 순서대

로 선택하면 되는 방식이다.

[그림 8]�개발된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

본 연구자는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 후,�주요 검사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제시하고,�해당

문항에 대한 반응시간과 맞은 수,�틀린 수,�세부 퍼센트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그림 9는 이와 같이 개발된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를 재구성한 CBT�결과 화면이다.�왼쪽 막대그래

프의 화면은 각�문항 당 4번의 훈련 중에 정반응 한 횟수를 나타내었고,�오른쪽 화면의 상단에서

나타난 반응시간은 각�항목 당 문제를 푸는 동안 소요된 총시간을 나타낸다.�오른쪽 화면 하단의

Page 14: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18

퍼센트는 각�문항마다 다 정반응하지 못했더라도 항목별로 정답을 맞힌 개수를 표기하였다.�시공

간 작업기억은 ADHD학생의 작업기억의 하부요소 중 가장 중요한 요소(Westerberg� et� al.,�

2004)이기에,�본 연구자는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우측 전두엽 활성 정도를 확

인하고자 하였다.

[그림 9]�개발된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 결과 화면

본 검사에서는 기존의 CBT검사 방법과 동일하게 N문항의 시행에서 두 번 연속 실패하는 경우

피검자의 시공간 기억폭을 나타내는 점수는 N-1이 된다.�CBT�%는 맞춘 문제의 수를 총 문제의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퍼센트(%)로 나타낸다.�시공간 검사 도구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재검

사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22명의 실험대상자에게 1주일 간격으로 시공간 작업기억 검사를 실

시한 결과 .938의 Cronbach�α값을 보였다.�기존검사도구인 Corsi�Block�Task(CBT)와 본 검사

의 공인타당도는 Pearson� .8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

(5)�구어 작업기억 검사

구어 작업기억 검사는 제시된 그림을 선택한 후,�그 그림을 기억하여 앞서 선택했던 그림을 중

복하여 선택하지 않고 전체 그림을 한 번씩만 선택하는 과업이다.�그림의 위치는 무작위로 배열되

도록 Director�MX�2004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하였으며,�각�훈련 단계에서 제시되는 그림의 수

는 각각�4개,�6개,�8개,�10개이고,�각�단계의 훈련은 총 4회 실시하며,�과제를 수행하는 데에는

약 8∼10분 정도가 소요된다.�그림10은 4개의 그림을 이용한 검사의 예이다.�구어 작업기억 검사

에 대한 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905의 Cronbach�α값을 보였다.�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측

Page 15: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19

정하기 위하여 전체 대상자 186명의 구어 작업기억과 웩슬러의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DB)과제의

수행결과를 분석한 결과,�Pearson� .706,� Spearman� .720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

[그림 10]�구어 작업기억 검사 예시

� � � � � � � �

5)�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와 ‘숫자 거꾸로 말하기’�검사

숫자 외우기 방식에서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DF)는 정보의 유지만을 요구하므로 단기기억과

관련이 있으며,�숫자 거구로 말하기(DB)는 정보의 유지 및 조작을 요구하므로 단기기억뿐만 아니

라 작업기억과 관련이 있으므로,�DF-DB는 작업기억의 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김홍근과 박태

진,� 2003).�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면에 숫자를 제시한 후 그 숫자를 기억하여 제시순서 또는

반대 순서로 숫자를 클릭하는 과업을 수행하여 작업기억을 산출하였다.�

3.�실험방법

1)�참여자

본 연구는 소아정신과에서 DSM-IV(APA,�1994)의 진단 준거에 따라 ADHD로 진단받은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대구시에 소재한 K클리닉에서 실시하였다.�ADHD학생들은 컴퓨터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 20명 중 무작위로 10명의 실험집단과 10명의 통제집단으로 할당하였다.�실험에

참여한 아동들은 IQ�90이상이며,�8~11세로 구성되어 있다.�표 1은 참여한 아동들의 기초적인 정

보를 보여준다.

Page 16: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20

<표 2>�ADHD학생 기본 정보

ADHD학생 연령(년;월) IQ(WISC-III) 성별

� 1 8;6 95 남

� 2 8;5 94 여

� 3 10;10 101 남

� 4 9:8 93 남

� 5 8;10 97 여

� 6 8:9 98 남

� 7 10;8 99 남

� 8 10;6 110 남

� 9 10;5 102 남

� 10 10;4 110 남

� 11 8;3 109 남

� 12 9;5 111 남

� 13 10;7 109 남

� 14 11;7 97 남

� 15 9;10 98 여

� 16 8;10 100 남

� 17 10;10 99 남

� 18 8;5 120 남

� 19 9;2 110 남

� 20 10;7 109 남

실험은 2012년 5월 1일부터 2012년 9월 1일까지 총 4개월간 1회기 40분으로 매주 2회씩 총

30회기 동안 이루어졌다.�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동질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지능에 대한 독립

표본 t검증(independent�t-test)을 실시하였으며<표 2>,�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P>.05).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WISC-III

실험집단(n=10) 100.00 6.055

-2.003 .306

통제집단(n=10) 106.10 7.490

<표 3>�지능에 따른 집단별 동질성 t검증

*P<� .05

Page 17: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21

2)�연구 절차

DDR패드를 결합한 Kwon's�소프트웨어 훈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20명의 ADHD학생을

대상으로 신경심리 검사(Kim's�전두엽 관리기능검사,�시공간 작업기억 검사,�구어 작업기억 검

사,�DF,�DB)를 실시하였다.�DDR패드를 결합한 Kwon's�소프트웨어가 효과적인지 확인하기위하

여 무작위 할당을 통한 실험집단,� 통제집단 사전・사후실험으로 설계되었다.� 따라서 실험집단

(n=10)은 DDR패드를 결합한 Kwon's� 소프트웨어를 적용한 집단이며,� 통제집단(n=10)은

Kwon's�소프트웨어를 적용하지 않은 집단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훈련이 종료된 다음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의 성취결과에 대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그림 11는 무작위 할당 통제집

단 실험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이다.�R1은 무작위 할당으로 배치된 실험집단이고 G1�은 실험집단에 신경심리 사전검사를 실시한다.�X1은 Kwon's�소프트웨어를 적용한 처치이다.�G2는 처치가

모두 끝나고 실험집단에 신경심리 사후검사를 실시한다.�R2는 무작위 할당으로 배치된 통제집단

이고 G3은 통제집단에 신경심리 사전검사를 실시한다.�G4는 통제집단에 신경심리 사후검사를 실

시한다.�무작위 할당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처치하기 전에 G1과 G3를

비교하고,�추후 Kwon's�소프트웨어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G2와 G4가�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그림 11]�무작위 할당 통제집단 실험집단 사전・사후 검사

Kwon's�소프트웨어의 훈련은 재활공학을 전공한 전문가가 실행하였고,�신경심리검사는 임상심

리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가 실시하였다.�그림 [12]�피험자에게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훈련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Page 18: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22

[그림 12]�실험절차

3)�자료 처리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각�집단 에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DDR패드를 활용한 kwon's�소프트웨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경심리 검사

(Kim's�전두엽-관리기능 검사,�작업기억 검사)�훈련 전・후 비교하여 t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통계분석은 SPSS�Win� 19�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Ⅲ.�연구 결과

1.�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EIQ)

DDR패드를 결합한 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가 ADHD학생에게 관리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경심리 검사(EIQ)를 실시하였으며,�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

후검사 결과를 그림 13에 제시하였다.�비교하고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동질성 검증 후,�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여 독립표본 t검증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효과검증

을 실시하였다.�그림 13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EIQ에 대한 평균변화를 나타낸 것이다.�EIQ�

사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표 3>,�사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Page 19: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23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표 4>,�훈련전후에 따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전두엽-관리기능에서는

유의미한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집단 내 EIQ의 사전과 사후의 비교에서는 통제

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표 5>.�김홍근(2005)의 EIQ기준에 따르면 통제집단이 사전과 사후에 각각�89점과 89.2

점으로 ‘평균이하’�수준인 반면,�실험집단은 사전과 사후에 각각�86점과 102.2점으로 ‘평균이하’

에서 ‘평균’으로 향상을 보였다.�

[그림 13]�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EIQ�사전·사후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EIQ실험집단 86 8.01

-.771 .451통제집단 89 9.33

<표 4>�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EIQ사전검사 차이검증

� *P<� .05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EIQ실험집단 102.20 10.25

2.831* .011*통제집단 89.20 10.28

<표 5>�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EIQ사후검사 효과검증

� *P<� .05

Page 20: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24

측정요인 검사 평균 표준편차 t p

EIQ사전 86 8.01

-8.150*** .000*사후 102.2 10.25

<표 6>�실험집단 내의 EIQ사전·사후 효과검증

� *P<� .05

2.�시공간 작업기억 검사(CBT)

CBT와 CBT%에 대한 두 집단 간 사전 및 사후의 독립표본 t검증 결과 사전에서는 각각�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그림 14><표 6>,�사후에서는 각각�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7>.�

[그림 14]� CBT,� CBT%�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CBT�실험집단 3.9 .56765

-1.434 .169통제집단 4.3 .67495

CBT%실험집단 39.78 6.03777

-1.327 .369통제집단 42.76 3.70623

<표 7>�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CBT와 CBT%� t검증

� *P<.05

Page 21: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25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CBT실험집단 5.3 .48305

2.286 .035*통제집단 4.7 .67495

CBT%실험집단 46.68 4.70899

2.131 .047*통제집단 42.35 4.36239

<표 8>�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CBT사후검사 차이검증

� *P<.05

3.�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말하기(DB)’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DF와 DB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에서는 DF와 DB�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표 8>,�사후에서는 DF와 DB�모두 각각�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9>.�그림 15은 DF와 DB의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의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

[그림 15]� DF와 DB의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요인 검사 평균 표준편차 t p

DF실험집단 9 .816

-.000 1.000통제집단 10.9 .876

DB실험집단 4.4 .51640

-.287 .777통제집단 6 .81650

<표 9>�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DF,�DB�사전검사 차이검증

� � *P<.05

Page 22: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26

측정요인 검사 평균 표준편차 t p

DF실험집단 10.90 .876

3.638 .002*통제집단 9.40 .966

DB실험집단 6 .81650

3.280 .004*통제집단 4.6 1.07497

<표 10>�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DF,� DB�사후검사 차이검증

*P<.05

4.�구어 작업기억 검사 결과

DDR패드를 결합한 작업기억 훈련 전과 후의 구어 작업기억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전검

사에서 구어 작업기억 검사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사후검사에

서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10>.�그림 16은 구어 작업기억 평균결과를

사전․사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속변수 집단구분 평균 표준편차 t p

구어 작업기억실험집단 64.21 6.27

3.229* .005*통제집단 55.28 6.09

<표 11>�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어 작업기억 검사 사후검사 차이검증

� *P<.05

[그림 15]�구어 작업기억 실험집단 사전・사후

Page 23: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27

Ⅳ.�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결함이 있는 장애인들의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

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하여 장애인의 고용을 확대하고 장애인이 직업인으로써 사회에 통합되어

자신의 역할을 감당하고 생산적인 활동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장애인의 고용을 위해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고,�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인지처리 과정을

돕는 능력인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의 활성화를 시키는 Kwon's�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효과

성 검증을 위해 ADHD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최근 이연이(2007)에 따르면 성인 ADHD가�대인관계의 문제로 인해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거나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겪음으로써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여 직장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된다고 하였

고,�이영미(2003)은 ADHD가�성인으로 이어지기 전에 아동단계에서 치료하여 증상을 감소시키고

이차적인 문제를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K클리닉에서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20명의 ADHD학생을 선출하여 실험

집단 10명,�통제집단 10명을 무작위로 나누었으며,�실험집단에는 개발된 Kwon's�소프트웨어를

적용하였고,�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전두엽의 활성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았다.�실험

집단은 문제선택 과정과 정답확인 과정,�즉각적인 피드백,�DDR패드의 연동 등을 적용한 Kwon'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기존의 작업기억훈련 소프트웨어와 차별화된 훈련을 실시하였으며,�훈련

전후로 전두엽-뇌파검사,� 신경심리 검사(Kim's� 전두엽-관리기능 검사,�시공간 작업기억 검사,�

구어 작업기억 검사,�DB,�DF)등을 실시하였으며,�통제집단은 일반적인 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전두엽-관리지능(EIQ)검사 결과,�사전․사후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Kim’s�전두엽-관리기능 검사(김홍근,�2001)에 근거한 관리지능지수에서도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

과 사후 모두 ‘평균이하’인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 관리지능지수가 ‘평균이하’(86)에서 ‘평

균’(102.25)으로 향상되어 작업기억 훈련이 관리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ADHD학생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시공간 작업기억(CBT)검사 결과,�실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CBT%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작업기억 훈련이 ADHD학생의 시

공간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훈련이 진행될수록 문항수가 증가하면서 불규칙적

으로 나타난 그래프가 점차 규칙적인 패턴을 보여 ADHD학생에게 있어서 시공간적 작업기억 훈련

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Shiels�등(2008)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구어 작업기억 검사 결과,�Kwon's�소프트웨어 훈련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9)=3.229,�p<.01].�구어 작업기억 검사에서 저조하게 나타난 ADHD학생의 유

형은 부주의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아동이 많았으며,�언어를 처리할 때의 문제점을 드러냈다.�또한

Page 24: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28

전산화된 그래프에서 문항수가 많아질수록 그래프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보이지만 불규칙적

이었다.�또한 일반 아동에 비해 처음 문항의 수의 정반응률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문항수가

많은 경우에도 때론 정답을 맞힐 수 있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최대로 맞출 수 있는 구어 작업기억

폭은 정상아동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하지만 문제에 대한 정반응율의 편차가 일반 아동

의 경우보다는 심하게 나타났다.�Kwon's�소프트웨어 훈련 후에는 정반응율의 편차가 낮게 나타났

으며,�따라서 이런 편차를 줄일 수 있는 Kwon's�소프트웨어 훈련이 ADHD아동에게 중요한 훈련

이 될 수 있다.

숫자 바로 따라 말하기(DF)와 숫자 거꾸로 말하기(DB)검사를 실시한 결과,�실험집단과 통제집

단 모두 DF와 DB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하지만 DF-DB의 차이에서는 실험집단 평균 4.9,�

통제집단 평균 4.8로 실험 전․후가 동일한 급수인 ‘경계선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통계적으로도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는데,�이는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 DF와 DB의 수치가 유사하게 증

가한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따라서 이 부분에 대하여서는 실험아동들을 대상으로 추후

재검사를 실시하여 반복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제한된 음운 정보를 순간적으로 유지하고 조작하도록 돕는 인지처리 영역인 ADHD학생의 좌반

구 전두엽 활성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구어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한 결과 작업기억 훈련 후 실

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초기 구어 작업기억에 대한 정반응율의 편차

가�일반 아동보다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훈련 후에는 정반응율의 편차가 낮게 나타나 훈련의

효과성을 보여주었다.�

ADHD학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이들은 관리기능과 작업기억의 결핍으로 집중장애

및 학습장애를 동반하며 학교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행동 때문에 학업수행,�학교적응,�또래관계형

성 등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그리고 ADHD학생의 30~30%가�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지속된다고 보고하고 있다(Kessler�et�al.,�2006).�따라서 Kwon's�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쉽고 재

미있는 작업기억 훈련은 임상현장에서 작업기억 기능과 전두엽 활성에 결함을 보이는 인지적 장애

가�있는 장애인들을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볼 수 있다.�그리고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

엽 활성화 프로그램을 임상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인지적 장애를 갖고 있는 장애인들의 고

용에 대한 지원,�서비스의 확대,�고용유지,�전문성이 강화되어 보다 많은 장애인의 고용효과가 증

대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장애인 고용을 위한 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단순하고 흥미도가 낮은 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는 인지 장애인의 참여도와 훈련의 효

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보다 다양하고 흥미 있는 활동이나 게임을 포함시켜 아동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시켜야 할 것이다.

Page 25: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29

둘째,�작업기억 훈련 소프트웨어에 시공간적 요소를 고려한 3D�공간요소를 추가시켜 작업기억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셋째,�다양한 장애영역에 대해 객관적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작업기억 검사 소

프트웨어의 개발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Page 26: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30

참고 문헌

구지은 (2009).�아마추어 골퍼의 심상훈련시 뇌파와 골프 퍼팅력의 변화.�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권재성,�김영근,�구인순 (2013).�장애인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인지재활 필요성 기초조사.�대한 작

업치료학회지,� 21(1),� 133-146.

김순화, 송기상 (2008).� 뇌파를 이용한 작업기억 결손 학습자의 판별.� 아시아교육연구,� 9(4),�

69-89.

김홍근 (2005).�아동용 Kim’s�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 검사.�대구:�도서출판 신경심리.�

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2(3),� 599-613.�

안영진 (2009).�장애인 인지적 중증장애인 고용촉진 유지에 패러다임 필요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한신대학교.

이연이 (2007).� ADHD�성향 아동의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

자대학교.

이영미 (2003).�ADHD�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박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최성규 (2007).� 우리나라 청각장애아동의 문해능력 신장을 위한 이중언어접근법의 모형개발.�특

수교육연구,� 14(1),� 111-141.�

함승례 (2015).�성인ADHD�성향과 대인관계 문제 :�정서인식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Adams, A., & Gathercole, S. E. (2000). Limitations in working memory: implications for languag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5(1), 95-1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APA)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Baddeley, A. (2003).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n overview.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6, 189-208.

Barkley, R. A. (1997). ADHD and the nature of self-control. NY: Guildford Press.Berch, D. B., Krikorian, R., & Huha, E. M. (1998). The corsi block-tapping task: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Brain and Cognition, 38, 317-338. Case, R. (1985). Intellectual development: Birth to adulthood. NY: Academic Press.Corsi, P. M. (1972). Human memory and the medial temporal region of the bra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cGill University. 374–385.Denckla, M. B. (1994). Measure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G. R. Lyon. (Ed.), Frames of reference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 disabilities. New views on measurement issues. (pp. 117-142). Baltimore: Brookers.

Page 27: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31

Denckla, M. B., Rudel, R. G., Ghapman, C., & Krieger, J. (1985). Motor proficiency in dyslexic children with and without attentional disorders. Archives of Neurology, 42, 228-231.

Drechsler, R., Straub, M., Doehnert, M., Heinrich, H., Steinhausen, H. C., & Brandeis, D. (2007). Controlled evaluation of a neurofeedback training of slow cortical potential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Behavioral and Brain. Functions, 3, 35.

Douglas, V. I. (1988).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In L. M. Bloomingdale & J. A. Sergeant. (Eds.), Attention deficit disorder: Criteria, cognition, intervention (pp. 65-82). London: Pergamon.

Doyle, A. E. (2006). Executive function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7, 21-26.

Goldman-Rakic, P. S. (1987). Circuitry of primate prefrontal cortex and regulation of behavior by representational memory. In Mountcastle, V. B. (Ed.), Handbook of physiology (pp. 373-417). Bethesda, MD: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Hughes, C. (1998).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ers: Links with theory of mind and verbal ability.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 233-253.

Hyland, K. (2000). Disciplinary discourses: social interactions in academic writing. London: LongmanJensen, O., Gelfand, J., Kounios, J., & Lisman, J. E. (2002). Oscillations in the alpha band (9–

12Hz) increase with memory load during retention in a short-term memory task. Cerebral Cortex, 12, 877-882.

Just, M. A., & Carpenter, P. A. (1992). A capacity theory of comprehens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Psychological Review, 99, 122-149.

Kessler, R., Adler, L., Barkley, R., Biederman, J., Conners, C., Demler, O., Faraone, S., Greenhill, L., Howes, M., & Secnik, K. (2006).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adultADHD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4), 716-723.

Klingberg, T., & Forss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 781-791.

Klingberg, T. (2000). Limitations i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human brain: Neuroimaging of dual task performance and working memory tasks. Progress in Brain Research, 126, 95-102.

Klingberg, T., Fernell, E., Olesen, P. J., Johnson, M., Gustafsson, P., Dahlström, K., Gillberg, C.G.,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5).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 177–186.

Miller, G. A. (1956).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Psychology Rehabilitation, 63, 81-97

Milton, J. D. (2008). Working memory and academic learn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Hoboken, NJ: Wiley.

Page 28: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Disability� &� Employment� 제25권 제3호(통권 88호)� 2015.� 8.

32

Olesen, P. J., Westerberg, H., & Klingberg, T. (2004).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brain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Nature Neuroscience, 7, 75-79.

Orsini, A., Grossi, D., Capitani, E., Laiacona, M., Papagno, C., & Vallar, G. (1987). Verbal and spatial immediate memory : Normative data from 1355 adults and 1112 children. The Ital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8, 539-548.

Pelham, W. E. (1993). Pharmacotherapy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School Psychology Review, 22, 199-227.

Pennington, B. F., & Ozonoff, S. (1996). Executive functions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rty, 37, 51-87

Prins, P. J. M., Dovis, S., Ponsioen, A., ten Brink, E., & van der Oord, S. (2011). Does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with game elements enhance motivation and training efficacy in children with ADHD?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4(3), 115-122.

Shanahan, M., Pennington, B., Willcutt, E. (2008). Do motivational incentives reduce the inhibition deficit in ADHD.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33, 137-159.

Shiels, K., Hawk, L. W., Jr., Lysczek, C. L., Tannock, R., Pelham, W. E., Jr., Spencer, S. V. et al. (2008). The effects of incentives on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Abnorm Child Psychol, 36(6), 903-913.

Shiels, K., Hawk, L. W., Jr., Lysczek, C. L., Tannock, R., Pelham, W. E., Jr., Spencer, S. V. et al. (2008). The effects of incentives on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Abnorm Child Psychol, 36(6), 903-913.

Silverstein, A. B. (1985). Verbal-Performance IQ discrepancies on the WAIS-R: Estimated vs. empirical valu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 694-697.

Tannock, R. (1998).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vance in cognitive, neurobiological, and genetic research.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 65-99.

Towse, J. N., & Houston-Price, C. M. T. (2001). Combining representations in working memory: A brief report.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 319-324.

Van der Meere, J., Hughes, K. A., Bfrger, N., & Sallee, F. R. (1995). The effect of reward on sustained attention in AD/HD children with and without CD. In J. A. Sergeant (Ed.), European approach to hyperkinetic disorder (pp. 241-253). Zurich, Switzerland: Fotorotar.

Willcutt, E. G., Doyle, A. E., Nigg, J. T., Faraone, S. V., & Pennington, B. F.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ogical Psychiatry, 57, 1336-1346.

Westerberg H., Hirvikoski T., Forssberg H., & Klingberg T. (2004).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 sensitive measure of cognitive deficits in children with ADHD. Child Neuropsychology, 10(3), 155-161.

Page 29: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

01.�작업기억 향상과 전두엽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33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orking Memory and Activation of the Frontal Lobes Program

: focus on ADHD Students

Kwon Sangnam* · Rhee Kunmin** · Kim Soyoung***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who have working memory deficit by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working memory and to activate the frontal lobe. Through these improvements, the disabled would be able to expand their employment, play a greater role in society, and to participate in productive activities. Kwon's software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DHD students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with the goal of helping with cognitive processes and allowing the disabled to perform learning activities efficiently. To this end, 20 ADHD students were selected who had received psychological treatment at the K clinic center in Daegu, Korea. Of these students, 10 were placed randomly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were placed randomly into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 Kwon's software was appli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rontal lobe activation through working memory improvement. As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Kim's frontal-management capabilities neurological exam (EIQ) and tests in time and space working memory (CBT), speaking immediately following a number (DF), speaking numbers backwards (DB), etc.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er use of programs to improve working memory and to activate the frontal lobe in clinical practice should increase employment of more disabled persons with cognitive deficit as support, service expansion, employment maintenance, and expertise of cognitive disorders are enhanced.

keywords : activation of the Frontal lobes, ADHD, cognition program, defect of cognition, employment of disabled people, working memory

* Dept.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Dept.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Daegu University(Corresponding Author, [email protected])

***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ungnam Foreign Language College

Page 30: #웹용-논문01 15-31(권상남 이근민 김소영) - KEAD · Robomemo,N-backGame,LumosityMemoryMatrix,ShinyLearning-HelenMelhuish등),학교, 병원,사설클리닉등에서작업기억훈련용소프트웨어를활용한다양한치료가진행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