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PAPER 2011-01

43

Transcript of ISSUE PAPER 2011-01

Page 1: ISSUE PAPER 2011-01

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지식기반경제사회에서는 세계 각국이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식 자원은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을 통해 창출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이공계 기피와 우수

두뇌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일자리가 부족하여 과학기술 전공자의 진로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본 이슈페이퍼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향후 10년 과학기술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을 선정

하고자 작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을 선정하였으며 또한 신직업군에 포함되는 30개의 유망 신직업을

도출하였습니다

본 이슈페이퍼가 과학기술분야의 유망 신직업군 발굴을 통해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하고 많은 청소년들을 과학기술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진로를 고민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향후 정부의 세부 분야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 수립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본 이슈페이퍼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KISTEP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2011년 3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이 준 승

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Ⅰ 작성배경

Ⅰ 작성배경

지식기반경제사회의 도래로 세계 각국은 국가혁신체제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체제에 돌입

성공적인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과 혁신주도형 국가혁신체계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지식과 혁신을 창출하고 확산하는 주체인 인적자원이 핵심

특히 과학기술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됨에 따라 이공계 인력의 효과적인 육성과

활용은 매우 중요한 국가 정책으로 대두

우리나라도 「국가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특별법(20043)」 및 시행령(200412)을 제정하고 2005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제1차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과학기술인력의 육성 및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

현재 제2차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 두뇌 유출 현상 등이

과학기술 정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대두

일반계 고교 자연계 학생 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서울대 공대 박사과정은 3년째

대규모 미달사태가 벌어지고 있으며 의치학전문대학원 입학생의 이공계 출신 비율은

증가

고등학교 2 3학년생의 자연계열 비중(KEDI) 43(2002)rarr399(2009)

또한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우수한 두뇌의 해외 유출과 해외

거주 우수 과학기술인력 영입 어려움 발생

우리나라 총 연구원수는 매우 높은 수준(OECD 30개국 중 4위)이나 고급 연구인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공계 박사비율은 20위)

두뇌유출 지수(IMD 10)가 1995년에 753에서 2010년 369로 감소

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문제는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가 과학자나 엔지니어로 국한되어 있어 졸업

후 진로 선택의 폭이 좁다는 인식과 빠른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공 분야 종사기간이

짧다는 위기감이 과학기술 분야 진로 선택시 기피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비중(OECD 08) 미국 323 EU 300 한국 186

이공계 졸업자 중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율(KEDI) 702(04) rarr 533(09)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박사의 경우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김진용 2010)

이와 같은 이공계 기피 현상 고급 두뇌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을 해소하고 해외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영입 촉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전공자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일자리를 창출할 필요가 있음

오늘날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기술혁신으로 인해 산업구조와 생활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직업도 환경에 맞게 새롭게 탄생하거나 소멸 또는 세분화

복합화 융합화가 되고 있음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신직업군 예측발굴을 통하여 과학기술 전공자들에게 많은 우수한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 차원에서 우수한 인력의 양성활용 계획과 지원정책을 수립할 필요

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Ⅱ 선정 절차

1 개념 정립

정의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1)

세부기준

과학기술분야 전공

-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직업군

새로운 직업군

- 향후 10년 내 또는 10년 후 새롭게 유망한 직업으로 대두될 직업군

유망직업군

- 성장률이 높은 직업군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직업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군 인력수요가 많은 직업군 사회적 인식이 높은 직업군

2 선정 방법

미래유망 직업 직업전망 조사 미래 유망기술 등 최근의 다양한 국내외 문헌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기준으로 신직업군 후보 재분류

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의 lsquo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rsquo 내 과학기술분야의 소분류를 기준으로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유사한 기술이나 산업을 기준으로 통합재분류

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 문헌조사 결과 얻어진 결과가 세부 직업 수준의 범위인 경우 신직업 선정을 위한

후보로 별도 분류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신직업군 후보들의 미래 유망성 조사를 위해 델파이(Delpi)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1차) 수행

- 예비 신직업군 후보를 대상으로 발전 가능성 평균 소득 인력 수요 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미래 유망성 조사

해당 신직업군에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만 응답

(중복 가능)

설문 결과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도출

- 전문가 의견 설문 의견 등을 반영하여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직업군

후보 조정 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 도출

조정된 신직업군들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유망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실시

- 전문 지식의 필요성 발전 가능성 소득수준 인력수요 사회적 인식 등을 조사하여

조정된 신직업군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미래 유망성 조사

2차 설문시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세부 유망 신직업 도출

lt그림 1gt 신직업(군) 도출 방법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 ISSUE PAPER 2011-01

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Ⅰ 작성배경

Ⅰ 작성배경

지식기반경제사회의 도래로 세계 각국은 국가혁신체제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체제에 돌입

성공적인 지식기반경제로의 이행과 혁신주도형 국가혁신체계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지식과 혁신을 창출하고 확산하는 주체인 인적자원이 핵심

특히 과학기술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됨에 따라 이공계 인력의 효과적인 육성과

활용은 매우 중요한 국가 정책으로 대두

우리나라도 「국가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특별법(20043)」 및 시행령(200412)을 제정하고 2005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제1차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과학기술인력의 육성 및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

현재 제2차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2011~2015)」 수립 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는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 두뇌 유출 현상 등이

과학기술 정책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대두

일반계 고교 자연계 학생 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서울대 공대 박사과정은 3년째

대규모 미달사태가 벌어지고 있으며 의치학전문대학원 입학생의 이공계 출신 비율은

증가

고등학교 2 3학년생의 자연계열 비중(KEDI) 43(2002)rarr399(2009)

또한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으로 인해 우수한 두뇌의 해외 유출과 해외

거주 우수 과학기술인력 영입 어려움 발생

우리나라 총 연구원수는 매우 높은 수준(OECD 30개국 중 4위)이나 고급 연구인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공계 박사비율은 20위)

두뇌유출 지수(IMD 10)가 1995년에 753에서 2010년 369로 감소

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문제는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가 과학자나 엔지니어로 국한되어 있어 졸업

후 진로 선택의 폭이 좁다는 인식과 빠른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공 분야 종사기간이

짧다는 위기감이 과학기술 분야 진로 선택시 기피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비중(OECD 08) 미국 323 EU 300 한국 186

이공계 졸업자 중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율(KEDI) 702(04) rarr 533(09)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박사의 경우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김진용 2010)

이와 같은 이공계 기피 현상 고급 두뇌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을 해소하고 해외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영입 촉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전공자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일자리를 창출할 필요가 있음

오늘날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기술혁신으로 인해 산업구조와 생활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직업도 환경에 맞게 새롭게 탄생하거나 소멸 또는 세분화

복합화 융합화가 되고 있음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신직업군 예측발굴을 통하여 과학기술 전공자들에게 많은 우수한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 차원에서 우수한 인력의 양성활용 계획과 지원정책을 수립할 필요

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Ⅱ 선정 절차

1 개념 정립

정의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1)

세부기준

과학기술분야 전공

-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직업군

새로운 직업군

- 향후 10년 내 또는 10년 후 새롭게 유망한 직업으로 대두될 직업군

유망직업군

- 성장률이 높은 직업군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직업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군 인력수요가 많은 직업군 사회적 인식이 높은 직업군

2 선정 방법

미래유망 직업 직업전망 조사 미래 유망기술 등 최근의 다양한 국내외 문헌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기준으로 신직업군 후보 재분류

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의 lsquo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rsquo 내 과학기술분야의 소분류를 기준으로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유사한 기술이나 산업을 기준으로 통합재분류

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 문헌조사 결과 얻어진 결과가 세부 직업 수준의 범위인 경우 신직업 선정을 위한

후보로 별도 분류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신직업군 후보들의 미래 유망성 조사를 위해 델파이(Delpi)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1차) 수행

- 예비 신직업군 후보를 대상으로 발전 가능성 평균 소득 인력 수요 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미래 유망성 조사

해당 신직업군에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만 응답

(중복 가능)

설문 결과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도출

- 전문가 의견 설문 의견 등을 반영하여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직업군

후보 조정 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 도출

조정된 신직업군들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유망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실시

- 전문 지식의 필요성 발전 가능성 소득수준 인력수요 사회적 인식 등을 조사하여

조정된 신직업군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미래 유망성 조사

2차 설문시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세부 유망 신직업 도출

lt그림 1gt 신직업(군) 도출 방법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 ISSUE PAPER 2011-01

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문제는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가 과학자나 엔지니어로 국한되어 있어 졸업

후 진로 선택의 폭이 좁다는 인식과 빠른 과학기술의 발달로 전공 분야 종사기간이

짧다는 위기감이 과학기술 분야 진로 선택시 기피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비중(OECD 08) 미국 323 EU 300 한국 186

이공계 졸업자 중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비율(KEDI) 702(04) rarr 533(09)

해외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이공계 박사의 경우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김진용 2010)

이와 같은 이공계 기피 현상 고급 두뇌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을 해소하고 해외 우수

과학기술 인력의 영입 촉진을 위해서는 과학기술 전공자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 일자리를 창출할 필요가 있음

오늘날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과 기술혁신으로 인해 산업구조와 생활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직업도 환경에 맞게 새롭게 탄생하거나 소멸 또는 세분화

복합화 융합화가 되고 있음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신직업군 예측발굴을 통하여 과학기술 전공자들에게 많은 우수한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고 국가 차원에서 우수한 인력의 양성활용 계획과 지원정책을 수립할 필요

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Ⅱ 선정 절차

1 개념 정립

정의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1)

세부기준

과학기술분야 전공

-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직업군

새로운 직업군

- 향후 10년 내 또는 10년 후 새롭게 유망한 직업으로 대두될 직업군

유망직업군

- 성장률이 높은 직업군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직업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군 인력수요가 많은 직업군 사회적 인식이 높은 직업군

2 선정 방법

미래유망 직업 직업전망 조사 미래 유망기술 등 최근의 다양한 국내외 문헌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기준으로 신직업군 후보 재분류

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의 lsquo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rsquo 내 과학기술분야의 소분류를 기준으로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유사한 기술이나 산업을 기준으로 통합재분류

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 문헌조사 결과 얻어진 결과가 세부 직업 수준의 범위인 경우 신직업 선정을 위한

후보로 별도 분류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신직업군 후보들의 미래 유망성 조사를 위해 델파이(Delpi)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1차) 수행

- 예비 신직업군 후보를 대상으로 발전 가능성 평균 소득 인력 수요 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미래 유망성 조사

해당 신직업군에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만 응답

(중복 가능)

설문 결과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도출

- 전문가 의견 설문 의견 등을 반영하여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직업군

후보 조정 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 도출

조정된 신직업군들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유망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실시

- 전문 지식의 필요성 발전 가능성 소득수준 인력수요 사회적 인식 등을 조사하여

조정된 신직업군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미래 유망성 조사

2차 설문시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세부 유망 신직업 도출

lt그림 1gt 신직업(군) 도출 방법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4: ISSUE PAPER 2011-01

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Ⅱ 선정 절차

1 개념 정립

정의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1)

세부기준

과학기술분야 전공

-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직업군

새로운 직업군

- 향후 10년 내 또는 10년 후 새롭게 유망한 직업으로 대두될 직업군

유망직업군

- 성장률이 높은 직업군 고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직업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군 인력수요가 많은 직업군 사회적 인식이 높은 직업군

2 선정 방법

미래유망 직업 직업전망 조사 미래 유망기술 등 최근의 다양한 국내외 문헌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기준으로 신직업군 후보 재분류

1)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의 lsquo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rsquo 내 과학기술분야의 소분류를 기준으로 관련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유사한 기술이나 산업을 기준으로 통합재분류

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 문헌조사 결과 얻어진 결과가 세부 직업 수준의 범위인 경우 신직업 선정을 위한

후보로 별도 분류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신직업군 후보들의 미래 유망성 조사를 위해 델파이(Delpi)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1차) 수행

- 예비 신직업군 후보를 대상으로 발전 가능성 평균 소득 인력 수요 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미래 유망성 조사

해당 신직업군에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만 응답

(중복 가능)

설문 결과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도출

- 전문가 의견 설문 의견 등을 반영하여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직업군

후보 조정 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 도출

조정된 신직업군들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유망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실시

- 전문 지식의 필요성 발전 가능성 소득수준 인력수요 사회적 인식 등을 조사하여

조정된 신직업군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미래 유망성 조사

2차 설문시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세부 유망 신직업 도출

lt그림 1gt 신직업(군) 도출 방법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5: ISSUE PAPER 2011-01

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 문헌조사 결과 얻어진 결과가 세부 직업 수준의 범위인 경우 신직업 선정을 위한

후보로 별도 분류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신직업군 후보들의 미래 유망성 조사를 위해 델파이(Delpi)

설문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1차) 수행

- 예비 신직업군 후보를 대상으로 발전 가능성 평균 소득 인력 수요 등을 지표로

사용하여 미래 유망성 조사

해당 신직업군에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경우에만 응답

(중복 가능)

설문 결과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도출

- 전문가 의견 설문 의견 등을 반영하여 1차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신직업군

후보 조정 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 도출

조정된 신직업군들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미래 유망성에 대한

2차 설문조사 실시

- 전문 지식의 필요성 발전 가능성 소득수준 인력수요 사회적 인식 등을 조사하여

조정된 신직업군에 대하여 보다 정밀하게 미래 유망성 조사

2차 설문시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세부 유망 신직업 도출

lt그림 1gt 신직업(군) 도출 방법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6: ISSUE PAPER 2011-01

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3 주요 사례분석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 전망」

「2009 한국직업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16개 분야

186개 직종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록

- 발표된 186개 직종에서 고용전망이 lsquo다소 증가rsquo와 lsquo증가rsquo로 분류되는 직업 중

과학기술분야에 관련된 직업 추출

- 한국직업전망에서 분류 되는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재배열

lt표 1gt 「2009 한국직업 전망」 중 고용전망이 증가하는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관련직) 직업 고용전망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전자공학 기술자 증가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증가

통신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컴퓨터시스템설계 및 분석가 증가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다소 증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증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증가

웹 전문가 증가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증가

교육 및 연구 생명과학 연구원 다소 증가

법률 및 공공서비스 변리사 다소 증가

건설조경기술자 다소 증가

도시계획 및 교통설계 전문가 다소 증가

화학섬유 및 환경 환경공학 기술자 다소 증가

식품가공 및 농림어업 식품공학 기술자 증가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7: ISSUE PAPER 2011-01

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년 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직업세계의 현황과 특징 미래의 변화 추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직업에 관한 속성을 지표화한 직업전망

지표 발표

본 연구를 위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lsquo10년 후 한국의 직업 전망 세미나

(201012)rsquo에서 발표한 lsquo향후 10년 후 전망 좋은 이공계 직업rsquo의 리스트를 반영

- 생명과학 연구원 IT 컨설턴트 컴퓨터 보안 전문가 환경공학기술자(엔지니어)

항공기 정비원 자연과학 연구원 식품가공 검사원 전자공학기술자 식품공학

기술자 화학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원

항공기 선박 조립 및 검사원(용접원 제외)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산업안전 및 위험 관리원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 연구」2)

미래 사회의 산업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이공계 분야의 유망 직업을

조사하여 이공계 분야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

상기 연구는 한국고용직업분류 체계(KECO)를 따르므로 분류된 lsquo분야rsquo lsquo직업rsquo lsquo세부

직업명rsquo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2) 연세대학교 공학기술경영교육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지영 20096)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8: ISSUE PAPER 2011-01

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직업명 세부직업명

교육 및 연구 관련직 생명과학 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 생물학연구원

바이오의공학 전문가

건설 관련직조경기술자 조경설계사 조경기사 조경건축가

도시계획가 도시계획전문가 도시설계가

기계 및 재료 관련직 기계공학기술자반도체디스플레이전문가 자동차공학

기술자 로봇공학자

화학 섬유 및 환경

관련직

환경공학기술자

대기환경공학기술자 수질환경공학기술자

토양환경공학기술자 소음진동기술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에너지전문가

화학공학 및 에너지 기술자

공정설계공학자 공정제어공학자

플랜트엔지니어 화학제품기술자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전기 전자 및

정보통신 관련직

전자공학기술자

전자부품개발설계기술자

가전기기개발설계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통신망설계 기술자 통신기기 설계 개발자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컴퓨터설계기술자 반도체개발자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IT 컨설턴트 컴퓨터시스템 분석가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보안전문가

네트워크보안전문가 솔루션제공전문가

인터넷보안 전문가 정보보안 연구원

정보보안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식품가공 관련직 식품공학기술자식품과학연구원 음식료품 기술자 양조생산

기술자

lt표 2gt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선정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2010)」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서비스 첨단과학 문화 노인 및 의료 웰빙

등 7대 분야에 대하여 총 85개의 직업을 선정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9: ISSUE PAPER 2011-01

1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선정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고 각 분야와 직업의 범위를 고려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

lt표 3gt 대한상의 선정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

분야 직업

정보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정보시스템 분석사 정보 보호 관리자 무선 SW 개발

전문가 네트워크 설계 전문가 게임 프로그래머 XML 전문가 전자 상거래 전문가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주문형 반도체 설계원 시스템 관리자 웹 프로그래머

세계화 항공기 정비사

서비스 변리사

첨단과학

생명 공학 엔지니어 생물 정보학자 유전 공학자 나노 전자 공학자 나노

소재 공학자 광전자 엔지니어 화공 엔지니어 정밀 기계 엔지니어 인공

지능 엔지니어 핵물리학자 초고주파 공학자 항공 우주 엔지니어

문화 게임 프로그래머

노인 및 의료 노인 전문의 케어 매니저 핵의학 기술사 병원 코디네이터

웰빙환경 컨설턴트 환경 영향 평가 기술자 토양 환경 기술자 환경 오염 방지

전문가 대기 환경 기술자

취업포털 커리어 선정 「2015년 10대 유망직업」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자사 소속 경력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5년 뒤 가장 유망한

직업에 대해 조사한 결과 발표

- 금융자산 운용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하이브리드 동력시스템 개발자 경영

컨설턴트 마케팅 전문가 유비쿼터스 러닝 교수법 설계자 태양광 발전 연구원

기후 전문가 상담 전문가 실버시터 (요양 보호사)

10대 유망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0: ISSUE PAPER 2011-01

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녹색기술산업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발전 연구 및 개발자 지열시스템 연구개발자

풍력발전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바이오에너지 연구원 매립가스 포집 및 분석원 바이오가스

분석원 가정용 및 발전용 연료전지시스템 연구 및 개발자

기후변화 전문가 제품환경컨설턴트 에너지 진단사 온실가스 인증

심사원 원자력 공학 기술자 환경공학 기술자 기상컨설턴트 등

탄소저감에너지 온실가스처리 연구원 청정화석연료 연구원

고도물처리 고도물 처리 연구원 고도물 처리 플랜트 기술자

LED 응용LED 소자 연구원 LED 조명 및 발영 시스템 기술자 LED

상품 기획자 LED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기획자 등

그린수송시스템수송용 연료전지 연구 및 개발자 축전지 개발자

친환경선박설비 개발자 하이브리드동력시스템 개발자 등

첨단그린도시u-city 기획자 u-city 인프라운영자 지리정보시스템

전문가 지능형교통시스템 전문가 친환경건축 컨설턴트 등

첨단융합산업

방송통신융합 3D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자 IPTV 셋톱박스 개발자

IT 융합시스템시스템반도체 설계 기술자 RFID 시스템 개발자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자

로봇응용지능형로봇 연구 및 개발자 로봇감성인지 전문가

로봇인식기술 연구원 등

신소재나노 융합재료공학기술자 금속공학기술자 섬유공학 기술자

나노소재소자제품 연구 및 개발자 나노사업기획자 등

바이오제약(자원)의료

기기

생명정보학자 생명공학연구원 임상통계전문가

전자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등

고부가 식품산업 기능성식품 연구원 한식 전문가 등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200912)」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년마다 발간하는 분야별 직업전망 자료의 일환으로 신성장

동력 분야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

- 정부에서 선정한 신성장동력 3개 산업의 17개 영역별 핵심직업과 새롭게 나타나는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

하여 재배열하되 MICE 및 관광 영역은 제외

lt표 4gt 주요 신성장동력 직업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1: ISSUE PAPER 2011-01

1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분야 신성장동력 주요 직업

고부가 서비스

산업

글로벌 교육서비스 U-learning 교수 설계자 E-learning 교수 설계자

녹색금융 탄소배출권거래 중개인

콘텐츠소프트웨어

게임기획자 모바일콘텐츠 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BEST JOBS IN 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

CNN Money와 PayScalecom이 함께 조사하여 발표한 2010년 유망 50개 직업으로

향후 10년 동안 성장률은 미국 노동통계국의 자료를 기반으로 예상

50개 직업 중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시스템 엔지니어 IT 프로젝트 매니저 컴퓨터네트워크 보안 컨설턴트 인지 분석가 소프트웨어 개발자 약사 IT 컨설턴트 등

일반관리직이나 보조직 교직 등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과 직접 연관이 없는 직업은

제외

미국 노동 통계국 「직업 전망서」3)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전망기간을 10년으로 하여 2년

마다 직업전망서(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발간

lsquoProfessionalrsquo 목록에 있는 과학기술관련 직업을 대상으로 성장률이 평균보다 빠른

(faster than average) 직업들을 추출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적합하도록 신직업군

선정 후보 및 신직업 선정 후보로 구분하여 재배열

- 컴퓨터와 수학 보험계리사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소프트웨어 공학자 프로그래머 수학자 등

3)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httpwwwblsgovoco)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2: ISSUE PAPER 2011-01

1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건축측량지도 건축 측량 지도 조경사 등 - 공학 생체 공학자 토목 공학 환경 공학 산업 공학 광산 및 지질학자 석유

탐사 전문가

- 생명과학 생명과학자

- 자연과학 대기 과학자 환경 전문가 지구과학자 천문학자 등

4 신직업(군) 후보 Pool 도출

문헌조사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 대상이 되는 총 22개 직업군 선정

각 사례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또는 유사한 의미로 반복 반영되는 직업군 우선 추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사례조사 결과와 관련 산업 동향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환경에 적합한 신직업군 후보 선정

lt표 5gt 예비 신직업군 후보

구분 예비 신직업군 후보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10)

생명과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에너지(녹색) 전문가 식품

공학 전문가 도시교통건축공학 전문가 항공기(우주) 및 선박 전문가 의

공학 전문가 두뇌공학(인공지능) 전문가 전기전자공학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관련직(5)

컴퓨터보안 전문가 사이버전문가 응용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컴

퓨터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보건사회 복지 및

종교 관련직(2)헬스케어 전문가 실버산업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1) 지식재산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3)RampD관리전문가 기술가치평가전문가 금융보험서비스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1)웹 및 멀티미디어 전문가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3: ISSUE PAPER 2011-01

1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5 신직업군 도출

1차 설문조사

22개 신직업군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와 함께 조사대상 신직업군에 포함되지

않은 신직업군 및 유망 신직업 추천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180명이 22개 신직업군 후보의 유망성 조사에 대하여

총 1938건 답변

1차 설문조사 결과 검토 및 조정

검토 사항

-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검토대상이 되는 직업군이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소분류

수준의 범주가 되도록 조정

- 융합기술 환경 및 직업군간 연관성이 높은 경우 유사중복성이 높은 경우 이를 통합조정

검토 대상

- 미래 유망성 순위가 10위 이내인 신직업군 후보와 유망성 순위는 10위 미만이나

각 지표별 순위가 10위 안에 있는 신직업군 후보

1차 설문에서 신직업군으로 추천된 직업군 포함

조정 결과

- 17개의 검토대상 직업군을 대상으로 상기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표와 같이 조정한

결과 총 10개 신직업군이 선정됨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4: ISSUE PAPER 2011-01

1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lt표 6gt 신직업군 선정을 위한 조정 절차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5: ISSUE PAPER 2011-01

1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선정

한국직업표준분류 상 중분류에 해당하는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5개)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2개)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1개) 법률 및 행정 전문직

(1개)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1개)에서 선정

lt표 7gt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분류 과학기술분야 10대 신직업군

과학공학 전문가 및 관련직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헬스케어 전문가

법률 및 행정 전문직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금융재무보험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6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유망 신직업 후보 도출

사례 조사 및 설문 결과를 통해 얻어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세부직업 범주의 직업

들을 분류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6: ISSUE PAPER 2011-01

1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Ⅱ 선정 절차

- 과학기술분야 10개 신직업군에 포함하는 직업들만을 대상으로 총 52개의 유망

신직업 후보를 도출(2차 설문시 유망 신직업 선정)

lt표 8gt 유망 신직업 후보

신직업군 유망직업 후보

금융공학 전문가보험 계리사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금융상품 개발자 리스크 매니저

엔젤 투자 전문가 국제금융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인공지능 전문가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두뇌개발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

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에너지 절감형 건축 전문가 고효율 전기 전문가 원자

력 에너지 전문가 환경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지식재산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RampD 프로그램 매니저 산학연 협

력 코디네이터

생명의공학 전문가유전자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의약품 식품 시험원 신약 개발 전문가 진

단의료기기 개발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로봇 전문가로봇 프로그래머 로봇 설계 전문가 로봇 시험 및 인증 전문가 산업용 로

봇 통제시스템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IT 컨설턴트 시스템 소프트웨어 전문가 응용 소프트웨

어 전문가 (모바일)통합개인정보기기 전문가 디스플레이 전문가 웹 멀티미

디어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u-city 전문가 모바일 컨텐츠 전

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의료 코디네이터 헬스케어 컨설턴트 u-헬스케어 전문가 노인의료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항공기(우주) 정비 엔지니어 무인항공기 전문가 위성

항법 시스템 전문가 비파괴 검사원 특수(고급) 선박 설계자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7: ISSUE PAPER 2011-01

1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1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미래 유망성 수준4)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10개를 대상으로 미래 유망성을 조사(2차 설문)한 결과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유망성 수준도 신직업군 중에서도 높게 나타남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유망성

lt그림 2gt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

4) 설문응답은 매우 높음 10점 매우 낮음 0점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8: ISSUE PAPER 2011-01

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조사 결과

전문지식의 필요성

- 해당 신직업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적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금융공학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74 76 78 8 82 84 86 88 9 92

[평균]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3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의 수준이 가장 높고 헬스케어 전문가 로봇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상됨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19: ISSUE PAPER 2011-01

2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4gt 신직업군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10년 후 해당 직업군의 평균 소득을 어느 수준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고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의 소득 수준도 높을 것으로 예상

600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생명의공학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소득수준

lt그림 5gt 신직업군별 소득 수준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0: ISSUE PAPER 2011-01

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군의 인력 수요는 어느 수준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헬스케어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녹색에너지 전문가 로봇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직업군도 향후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평균]

인지뇌공학 전문가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정보시스템 전문가생명의공학 전문가금융공학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헬스케어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6gt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 10년 후 해당 직업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이 어떠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직업군이 가장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뇌공학 전문가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군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인식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됨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1: ISSUE PAPER 2011-01

2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620 640 660 680 700 720 740 760 780 800

[평균]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사회적인식

lt그림 7gt 신직업군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해당 직업군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성이 어느 정도

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로봇 전문가 헬스케어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직업군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미래 유망성 전문지식 필요성 등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별도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금융공학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8gt 신직업군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2: ISSUE PAPER 2011-01

2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주요 지표간 교차 분석

신직업군의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 수준

- 선정된 신직업군 중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높은 소득수준을 가질

수 있는 직업군은 금융공학 전문가임

- 로봇 전문가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도 전문성 획득을 통해 높은 소득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직업군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소득수준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9gt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소득수준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3: ISSUE PAPER 2011-01

2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의 발전 가능성과 인력 수요 수준

- 향후 10년간 발전 가능성이 높고 해당 분야의 인력 수요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할 수 있는 직업군으로는 헬스케어 전문가가 선정

- 녹색에너지 전문가와 로봇 전문가도 미래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예측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평균

인력수요

발전가능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0gt 신직업군별 발전가능성과 인력수요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4: ISSUE PAPER 2011-01

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신직업군별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 미래에 직업군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직업군으로는

금융공학 전문가가 선정됨

- 로봇 전문가와 생명의공학 전문가도 관련 분야의 전문성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직업군으로 기대됨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정보시스템 전문가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평균

사회적인식

전문지식필요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1gt 신직업군 전문지식 필요성과 사회적 인식 수준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5: ISSUE PAPER 2011-01

2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신직업군별 유망성 수준과 인력양성 필요성 비교

-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이 매우 높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이 많이 필요한

직업군으로는 로봇 전문가가 선정되었으며 헬스케어 전문가와 녹색에너지 전문가도 두 지표 모두에서 높은 수준

- 금융공학 전문가의 경우 직업군의 미래 유망성은 매우 높으나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680 700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

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

정보시스템 전문가

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

인지뇌공학 전문가

항공우주선박 전문가

생명의공학 전문가

녹색에너지 전문가

헬스케어전문가

로봇전문가

금융재무보험 서비스 전문가

인력양성

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lt그림 12gt 신직업군의 유망성 및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6: ISSUE PAPER 2011-01

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2 유망 신직업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조사 결과

신직업군에 해당하는 신직업 후보에 대한 유망성 설문 조사결과에 따라 상위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미래 유망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료용 로봇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보험계리사 직업의 미래 유망성 수준도 높게 나타남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850

[전체평균]

항공기(우주) 설계자

국제금융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

줄기세포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보험계리사

신약개발전문가

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미래유망성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체 평균은 30개 직업의 평균을 의미

lt그림 13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7: ISSUE PAPER 2011-01

2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표 9gt 30개 신직업의 유망성 수준

신직업군 세부 신직업유망성수준

순위

인지 뇌공학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841 1

인공지능 전문가 797 12

감성지능기술 전문가 788 19

녹색 에너지 전문가원자력 에너지 전문가 806 7

재생에너지 전문가 793 15

생명 의공학 전문가

신약 개발 전문가 814 3

줄기세포 전문가 807 5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789 18

유전자 전문가 778 23

로봇 전문가

의료용 로봇 전문가 827 2

로봇 설계 전문가 791 16

로봇 프로그래머 791 17

도우미 로봇 전문가 782 22

항공 우주 선박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 799 10

무인항공기 전문가 785 20

정보시스템 전문가 컴퓨터 보안 전문가 775 26

사이버 네트워크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802 8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794 13

네트워크 시스템 전문가 782 21

u-city 전문가 773 29

헬스케어 전문가

u-헬스케어 전문가 798 11

노인의료 전문가 774 28

헬스케어 컨설턴트 772 30

RampD 기획관리 평가

전문가

기술가치평가 전문가 777 24

지식재산 전문가 774 27

금융공학 전문가

보험 계리사 813 4

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 807 6

국제금융 전문가 800 9

리스크 매니저 793 14

금융상품 개발자 777 25

매우 높음 10 매우 낮음 0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8: ISSUE PAPER 2011-01

2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지표별 수준

전문지식의 필요성

- 유망 신직업들을 대상으로 해당 직업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

한지에 대한 질문에 식약개발 전문가 직업이 가장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답변

-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직업군 및 생명의공학 직업군 관련 직업이 전문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에 위치

81 82 83 84 85 86 87 88 89 9 91

[전체평균]의료용로봇 전문가

원자력에너지 전문가유전자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항공기(우주) 설계자

리스크매니저줄기세포전문가

인공장기개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전문가

전문지식필요성

lt그림 14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전문지식 필요성 수준

발전 가능성

- 향후 10년간 해당 신직업들에 대한 발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

- 녹색에너지 직업군의 재생에너지 전문가 직업과 정보시스템 전문가 직업군의 가상현실 전문가 직업의 발전 가능성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예측됨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29: ISSUE PAPER 2011-01

3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800 810 820 830 840 850 86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노인의료전문가u-헬스케어전문가

유전자전문가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발전가능성

lt그림 15gt 주요(상위 10개) 신직업별 발전 가능성 수준

소득 수준

- 미래 소득 수준은 금융상품 개발자 국제금융 전문가 투자신용 분석가 등 금융

공학 전문가 직업군의 주요 직업들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

- 금융공학 전문가 직업 군 외에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와 의료용 로봇 전문가 직업의 소득 수준도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됨

720 740 760 780 800 820 840 860

[전체평균]

신약개발전문가기술가치평가 전문가원자력에너지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보험계리사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리스크매니저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국제금융전문가금융상품개발자

소득수준

lt그림 16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소득 수준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0: ISSUE PAPER 2011-01

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Ⅲ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및 유망직업

인력 수요

-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 수준이 될 지에 대한

질문에는 모바일 컨텐츠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의료 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직업의 인력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상

740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

재생에너지 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

u-헬스케어전문가보험계리사

네트워크시스템 전문가뇌분석뇌질환 전문가

가상현실전문가노인의료전문가

모바일컨텐츠 전문가

인력수요

lt그림 17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미래 인력 수요 수준

사회적 인식 수준

- 해당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투자신용 분석가 직업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의료용 로봇 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신약개발 전문가 줄기세포 전문가 등 인지뇌공학 생명의공학 직업군에 해당하는 주요 직업들의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1: ISSUE PAPER 2011-01

32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720 740 760 780 800 820 840

[전체평균]보험계리사

항공기(우주) 설계자모바일컨텐츠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로봇프로그래머줄기세포전문가신약개발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투자신용분석가(애널리스트)

사회적인식

lt그림 18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사회적 인식 수준

인력양성 필요성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의 해당 직업에 대한 인력양성 정책의 추진 필요성은 의료용

로봇 전문가와 로봇 설계 전문가 직업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가상현실 전문가 도우미 로봇 전문가 로봇 프로그래머 등의 직업에 대해서도

정부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

750 760 770 780 790 800 810 820 830 840

[전체평균]

인공지능전문가감성지능기술 전문가재생에너지 전문가

항공기(우주) 설계자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 전문가가상현실전문가

뇌분석뇌질환 전문가

로봇설계전문가의료용로봇 전문가

인력양성필요성

lt그림 19gt 주요(상위 10개) 유망 신직업별 인력양성 필요성 수준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2: ISSUE PAPER 2011-01

3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Ⅳ 결론 및 시사점

Ⅳ 결론 및 시사점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우수 과학기술인력을 통한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우리나라도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 이공계 기피현상과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 현상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

이는 과학기술분야의 고급 일자리 부족과 과학기술분야 전공자들의 진로 다양성

부족 등이 가장 큰 원인

따라서 과학기술분야의 미래 유망한 다양한 신직업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 과학기술인력 유인과 과학기술 인력의 진로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이에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분야 전공자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 유망

직업(군) 선정

국내외 관련 사례조사를 통해 신직업(군) 후보를 도출하고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2차에 걸친 전문가 설문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신직업 및 유망 신직업 선정

미래 유망성은 향후 10년 해당 직업(군)의 발전 가능성 소득 수준 인력 수요

사회적 인식 전문 지식의 필요성 등 5개 지표를 통해 조사

lsquo금융공학 전문가rsquo lsquo로봇 전문가rsquo lsquo헬스케어 전문가rsquo lsquo녹색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생명의공학 전문가rsquo lsquo항공우주선박 전문가rsquo lsquo인지뇌공학 전문가rsquo lsquo사이버네트워크

전문가rsquo lsquo정보시스템 전문가rsquo lsquoRampD 기획관리평가 전문가rsquo 등 10개 직업군을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으로 선정

lsquo뇌분석뇌질환 전문가rsquo lsquo의료용 로봇 전문가rsquo lsquo신약 개발 전문가rsquo lsquo보험 계리사rsquo lsquo투자신용 분석가(애널리스트)rsquo lsquo줄기세포 전문가rsquo lsquo원자력 에너지 전문가rsquo lsquo가상현실

전문가rsquo lsquo국제금융 전문가rsquo lsquo항공기(우주) 설계 전문가rsquo 등을 포함한 총 30개 직업을

유망 신직업으로 선정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3: ISSUE PAPER 2011-01

34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이러한 과학기술분야의 직업(군)은 과학기술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미래 예측되는 과학기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조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빠르게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분야의 직업

조사는 이러한 과학기술 환경 변화를 적절히 반영해야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미래 과학기술 환경변화를 신직업(군) 조사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lsquo미래유망

기술 선정rsquo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하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

신직업군에 대한 조사는 미래 직업 진로에 대한 큰 방향을 잡는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포함하는 직업의 범주가 넓으므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서 신직업군별 세부 직업에 대한 추가 조사 필요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이공계 전공자들의

진로 선택과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에 보다 실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음

정부의 과학기술 인력관련 중장기 계획과 연계되면서 신직업(군)별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 필요

도출된 신직업(군)별 정부 등의 인력양성 정책의 필요성 수준을 참고하여 과학기술

환경과 인력 수요에 맞는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4: ISSUE PAPER 2011-01

3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문헌

lt참 고 문 헌gt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이공계인력 육성활용과 처우 등에 관한 실태조사rsquo 교육과학기술부KISTEP(2009) lsquo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rsquo기재부 외(2009) lsquo녹색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방안rsquo

김진용(2010) lsquo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9

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2009) lsquo신성장동력 미래의 직업세계를 가다rsquo대한상공회의소(2010) lsquo2010년 대한상의 선정 7대 분야 유망 직업rsquo

박영숙(2008) lsquo미래 일자리 변화rsquo 대학교육 통권 154호

손석호 외(2010) lsquo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rsquo KISTEP ISSUE PAPER

2010-01

연세대학교한국산업기술진흥원(2010) lsquo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조사분석rsquo 연구오호영(2007) lsquoKRIVET 지표를 이용한 유망직업 전망rsquo 직업과 인력개발 2007 겨울호

조경동(2006) lsquo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대한 고찰rsquo

커리어 매거진(2010) lsquo2010년 유망직업 베스트 10rsquo

한겨레 신문(2008) lsquo차세대 유망직업rsquo 창간 20돌 기획기사(2008521)

한국고용정보원(2009) 한국직업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0) lsquo10년후 한국의 직업세계 전망 세미나rsquo 자료

한상근(2007) lsquo미래 사회 직업 변화에 대한 탐색과 준비rsquo 서울교육 2007년 가을호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5: ISSUE PAPER 2011-01

36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CNN MoneyPayScalecom(2010) lsquoAMERICAMoneyPayscalecoms list of great careersrsquo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Council of Economic Advisor(2009)

Preparing the Woekers of Today for the Jobs of Tomorrow

James Manyika and Jaana Remes(2010) Where the US will find growth and

jobs McKinsey Quarterly March 2010

노동부 lsquo2010 미래직업박람회rsquo(httpwwwyourfuturecok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

한국직업정보시스템(httpknowworkgokr)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6: ISSUE PAPER 2011-01

3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KISTEP 홈페이지(wwwkisteprekr)내 985172이슈페이퍼985173 코너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lt2006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6-01 기업 RampD의 양극화 현황진단과 정책과제문혜선

(kistep)

2006-02 미국의 이공계 대학 교육 혁신정책 추이와 시사점김기완

(kistep 現 KDI)2006-03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의 효과적 구축을 위한 제언

오동훈

(kistep)

2006-04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관리 현황 분석과 정책과제윤권순

(지식재산연구원)

2006-05 韓middot美 FTA 관련 주요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시사점백철우 손병호

(kistep)

2006-06국가연구개발사업의 새로운 성공모델 탐색

FTTH 기술개발 사례 분석

이병헌

(광운대)

2006-07 통신middot방송 융합 관련 주요 과학기술 정책 이슈와 시사점김윤종 정상기

(kistep)

2006-08 기초연구 결과물의 활용과정 분석 및 평가방식 개선에 관한 제언양혜영

(kistep)

2006-09 융합기술분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유경만

(kistep 現 기초연)

2006-10 자립적 지방화를 향한 지역혁신사업 추진 전략한주연

(kistep)

2006-11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 산학협력 선순환구조 구축을 중심으로 -

송완흡

(항공대)

2006-12SBIC 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한 기술금융 정책의 이슈와

시사점

장용석

(조지워싱턴대학)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7: ISSUE PAPER 2011-01

38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7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7-01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기본방향 정립 및 정책활용도 제고임현 유지연

(kistep)

2007-02 lsquo제3세대rsquo 혁신정책 패러다임의 등장과 정책과제이장재 오해영

(kistep)

2007-03자체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 개선방안

박지현 정상기

(kistep)

2007-04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김진용

(kistep)

2007-05 민군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모색이춘주

(국방대학원)

2007-06 주요국의 RampD 투자동향 분석 및 시사점박수동

(kistep)

2007-07 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표준화와 특허풀 연계 전략윤성준(kistep)

길창민(IITA)

2007-08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전타당성조사의 효과성 제고방안이윤빈

(kistep)

2007-09 와해성 기술혁신의 현황진단 및 정책적 지원방안채재우(한국기계연구원)

이길우(kistep)

2007-10 주요국의 고위험 혁신적 연구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차두원(kistep)

김현철(한국과학재단)

손병호(kistep)

2007-11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 관리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고윤미 김병태

(kistep)

2007-12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미래사회 전망 방법론 개선방안임현 안병민

(kistep)

2007-13기술금융 선진화를 위한 기술유동화 도입방안

- 기술신탁을 중심으로 -

이승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7-14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통계의 비교와 시사점박선영(kistep)

조성표(경북대)

2007-15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 분석김진용 이정재

(kistep)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8: ISSUE PAPER 2011-01

39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08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8-01 새 정부 과학기술정책 이슈와 과제이장재 이정재

(kistep)

2008-02융합기술 연구개발조직의 발전방안

- 한middot미middot일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3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귀속과 활용에 관한 주요 이슈와 대응방안최치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8-04국가RampD사업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실물옵션분석법의 적용 방안

모색

이윤빈

(kistep)

2008-05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송완흡

(포항공과대학교)

2008-06 고등교육과 RampD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07 기업부설연구소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지원방향허현회 정해혁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8-08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세계적 추세와 정책방향오동훈

(kistep)

2008-09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위상 재정립 및 발전전략이장재 황지호

(kistep)

2008-10산업특성을 고려한 부품소재 RampD 사업간 효율적

연계 방안

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8-11 과학기술인력 양성middot활용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허대녕 이정재

(kistep)

2008-12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황기하

(kistep)

2008-13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 방법변순천 유지연 손석호

(kistep)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39: ISSUE PAPER 2011-01

40

ISSUE PAPER 2011-01

KISTEP 선정 과학기술분야 유망 신직업군

lt2009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09-01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RampD 전략과 방향이장재 박수동

(kistep)

2009-02 국가 RampD의 수출경쟁력 기여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안병민 천세봉

(kistep)

2009-03국내 이공계 박사의 교육 및 노동시장

특성 분석과 시사점

김진용 이정재

(kistep)

2009-04 연구개발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김상준

(테크노베이션파트너스)

2009-05 과학기술 국제협력 현황분석과 전략적 강화방안오동훈 안혜린

(kistep)

2009-06 주요국 RampD 기관평가제도 사례분석 및 시사점박소희 김성진

(kistep)

2009-07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한 RampD 효율성 제고 방안이승룡 김치용 오세홍

(kistep)

2009-08 미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kistep)

2009-09 주요 미래 시나리오 분석 및 DB 구축방안임현 한종민 정민진

(kistep)

2009-10 2030년 바이오 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방향과 시사점한성구 유승준 한민규

(kistep)

2009-11출연(연)의 발전방향 도출을 위한 현황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천세봉 박소희 차지영

(kistep)

2009-12국가지식재산의 해외 유출방어와 활용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 - 특허 사업 모델을 중심으로 -

정연덕(건국대)

이윤빈(kistep)

2009-13 녹색기술 RampD의 효율적 추진방안이일환 정상기

(kistep)

2009-14 시나리오 플래닝의 한국적 적용모델 개발남상성 황병용 최한림

(kistep)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40: ISSUE PAPER 2011-01

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mp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참고] 이슈페이퍼 발간목록(2006~현재)

lt2010년gt

발간호 제 목 저자 및 소속

2010-01 2010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손석호 한민규 한종민

(kistep)

2010-02 한중일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조정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박구선(kistep)

2010-03 OECD 국가 유형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및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04 탈추격형 과학기술전략의 연착륙과 향후 정책방향이장재 이강춘

(kistep)

2010-05 민군 기초연구 수행체계 연계 강화방안유형곤

(산업기술연구회)

2010-06 이명박정부 중반기 과학기술 정책과제한상연 손병호 백철우

(kistep)

2010-07 원자력 발전의 국민경제적 기여 분석과 기금운영의 개선방안양용석

(국회 환경정책연구회)

2010-08 국방 RampD투자 및 성과 분석을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강인원 이재석(국방기술품질원)

2010-09 국내 이공계 박사의 해외유출 특성 및 요인 분석김진용(kistep)

2010-10우수 기초연구성과의 실용화 연계방안

-BT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유승준 김성진

(kistep)

2010-11기업의 기술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적용

- IT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 서규원

(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0-12우리나라 RampD 투자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이현숙 용태석 정상기

(kistep)

2010-13 일본의 기초연구 진흥 정책과 산학연 역할 분석이종률(kistep)

2010-14 우리나라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진단과 시사점김용희 주혜정 안혜린

(kistep)

2010-15 노벨과학상 수상 현황 분석과 우리의 대응 전략차두원 이종률 장인호

(kistep)

2010-16 6T 분야 RampD 연구생산성 비교와 시사점김윤종(kistep)

2010-17 우리나라 신진 이공계 박사 노동 특성 분석이정재 한동성

(kistep)

2010-18 녹색기술 RampD 투자현황 분석 및 정책적 제언홍미영 황기하 오현환고일원 이경재(kistep)

2010-19G20 Seoul Summit 성공적 개최에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역량 강화방안박구선 김홍범

(kistep)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

Page 41: ISSUE PAPER 2011-01

저자 소개

이 승 룡 - KISTEP 인재정책실 부연구위원

- 전화 02) 589-2194

- e-mail leesr7376kisteprekr

KISTEP Issue Paper 2011-01

|발 행|2011년 3월

|발행인|이 준 승

|발행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75 동원산업빌딩 8~12층

전화 02) 589-2200 팩스 02) 589-2222

httpwwwkisteprekr

|인쇄처|(주)현대아트컴 [TEL02)2278-4482]